KR100963307B1 -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307B1
KR100963307B1 KR1020090116797A KR20090116797A KR100963307B1 KR 100963307 B1 KR100963307 B1 KR 100963307B1 KR 1020090116797 A KR1020090116797 A KR 1020090116797A KR 20090116797 A KR20090116797 A KR 20090116797A KR 100963307 B1 KR100963307 B1 KR 10096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vertical
hydraulic
winding roller
vertical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운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성림산업(주)
유성산업 주식회사
그린산업(주)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림산업(주), 유성산업 주식회사, 그린산업(주), 이명철 filed Critical 성림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1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Abstract

신축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수평붐과 신축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수직붐을 구비하여 상하수도 관로 보수시 관로 내부로 진입되거나 관로 외부로 인출되는 보수장비를 견인할 때 관로의 길이방향으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보수장비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상하수도 관로 보수공사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보수장비의 견인과정에서 보수장비로 인한 상하수도 관로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있게 되는 등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작업 효율성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TRACTION DEVICE FOR REPAIR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DUIT}
본 발명은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를 위해 상하수도 관로 내부로 투입되거나 상하수도 관로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보수장비들의 견인을 위한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관로는 소정길이를 갖는 단위관체 복수개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단위관체로는 통상 주철관이나 강관 및 PE관이 이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를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하수도 관로 내경 쪽에 녹과 같은 이물질이 끼게 되면서 유속이 저하되거나, 단위관체 사이의 이음부가 부식되거나 이완되면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관로 외부의 토압에 의해 단위관체가 손상되는 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기간 이상 사용된 상하수도 관로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어야 하고,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의 교체시에는 통상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하수도 관로를 제거하고 새로운 상하수도 관로를 다시 매설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상하수도 관로의 경우 도로나 건물의 하부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를 새로이 매설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굴착공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의 교체시에는 장기간 동안 도로 교통이 정체되고 극심한 소음이 유발되는 등 많은 민원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하수도 관로를 교체하는 대신 노후 된 소정의 구간의 상하수도 관로 내벽에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라이너를 형성하는 보수공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수공법은 상하수도 관로에 있어서 보수가 필요한 소정의 구간을 작업구간관로로 설정한 상태에서 이러한 작업구간관로 양단부를 굴착 및 절단하여 작업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작업구를 통해 작업구간관로 내부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보수장비를 투입하여 이물질 제거 및 라이너를 형성한 후 작업구 쪽 관로를 다시 연결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보수장비는 작업구간관로 내벽을 긁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 수지도료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작업구간관로 내벽에 분사하여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라이닝을 형성하는 스프레이기기, 작업구간관로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자체가 라이너를 형성하는 플라스틱튜브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장비(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작업구(2,3) 중 어느 한 쪽을 통해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반대 쪽 작업구(2,3) 쪽으로 작업구간관로(1)를 통과하면서 보수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보수장비에는 견인장치(3)에 감길 수 있도록 마련된 와이어(4)에 연결 된다. 견인장치(3)는 작업구간관로(1)의 길이방향 일측 지상에 하나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1과 같이 작업구간관(1)의 길이방향 양측 지상에 각각 설치되어 한 쪽 견인장치(3)에 와이어(4)가 감기면 반대 쪽 견인장치(3)의 와이어(4)가 풀려지는 방식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보수장비(B)를 투입하거나 투입된 상기 보수장비(B)를 상기 작업구간관로(1) 외부로 인출할 때는 견인장치(3)의 와인딩롤러(3a)를 회전시켜 와이어(4)가 와인딩롤러(3a)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보수장비(B)를 견인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견인장치(3)를 이용한 보수장비(B)의 견인동작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구간관로(1)를 통과하는 보수장비(B)를 와이어(4)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견인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와이어(4)의 견인방향이 작업구간관로(1)의 길이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종래 견인장치(3)는 단순히 와이어(4)를 감기 위한 와인딩롤러(3a) 만을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지상에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간관로(1)와 견인장치(3)가 설치되는 지면 사이의 높이 편차로 보수장치(B)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4)의 와인딩 과정에서 견인장치(3)에 근접하게 되는 작업구간관로(1)의 단부 쪽으로 갈수록 보수장비(B)를 견인하는 와이어(4)의 견인방향이 상부의 견인장치(3) 쪽으로 경사를 이루게 되면서 보수장비(B)를 견인하는 와이어(4)의 충분한 견인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견인장치(3)를 이용하였을 때는 스크래퍼 등을 이용하여 작업구간관로(1) 내경의 이물질을 스케일링하여 제거할 때도 스크래퍼와 작업구간관로(1)의 상부 쪽 내경 사이에는 과도한 마찰력이 형성되어 관로 내벽이 쉽게 손상되는 반면 스크래퍼와 작업구간관로(1)의 하부 쪽 내경 사이에는 미비한 마찰력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게 되는 등 작업구간관로(1) 내벽의 스케일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은 직경의 스크래퍼를 채용하여 작업구관관로(1) 상부 쪽 손상을 방지하면서 스크래퍼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작업을 다수 회에 걸쳐 여러 번 반복해야 했기 때문에,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작업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등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때는 작업구간관로(1)의 과도한 길이로 인해 플라스틱튜브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플라스틱튜브의 중량이 증가될 경우 플라스틱튜브를 작업구간관로(1)의 끝까지 견인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작업시 작업구간관로 내부를 통과하면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보수장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작업 효율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는 상하수도 관로 중 노후 된 작업구간관로의 양단부를 굴착하고 절단하여 형성되는 작업구을 통해 상기 작업구간관로 내부로 보수장비를 투입하거나 투입된 상기 보수장비를 상기 작업구간관로 외부로 인출할 경우 상기 보수장비가 연결되는 와이어를 견인하도록 상기 작업구 쪽 지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는 상기 와이어를 와인딩하기 위한 와인딩롤러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작업구간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신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붐과, 상기 수평붐에 상기 작업구의 깊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신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수직붐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붐에는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안내롤러가 상기 수직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붐은 상기 수평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가 고정되도록 탑재되는 차량과, 상기 와인딩롤러와 상기 수직붐의 회전 구동 및 상기 수평붐과 상기 수직붐의 신축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와인딩롤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와, 상기 수평붐을 신축 구동시키기 위한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수직붐을 신축 구동시키기 위한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수직붐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유압실린더와, 유압탱크와, 상기 차량의 PTO 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유압탱크의 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펌핑 된 유체를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유압실린더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유압메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붐의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유압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붐의 연장 반대방향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수직붐의 일측면에 상기 수직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치되는 복수개의 제1안내롤러와, 상기 수직붐의 타측면에 상기 수직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는 상기 와인딩롤러의 회전운동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인딩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와인딩롤러의 축에 차례로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붐과 와이딩롤러 사이의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와인딩롤러의 회전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와인딩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도록 마련된 왕복운동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이드부재는 롤러로 마련되고, 상기 왕복운동기구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되며, 상기 왕복운동기구는 상기 유압모터를 경유한 유압에 의해 구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는 수평붐과 수직붐의 신축동작 및 수직붐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하수도 관로 보수시 관 로 내부로 진입되거나 관로 외부로 인출되는 보수장비를 견인할 때 관로의 길이방향으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보수장비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상하수도 관로 보수공사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보수장비의 견인과정에서 보수장비로 인한 상하수도 관로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있게 되는 등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작업 효율성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를 간략히 ‘견인장치’로 기재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 설명에 앞서 이러한 견인장치가 이용되는 상하수도 관로의 보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수도 보수작업은 크게 상하수도 관로(A) 중 노후된 작업구간관로(1)를 설정한 상태에서 설정된 작업구간관로(1)의 양단부 지상 쪽으로 작업구(2,3)를 형성하고 상기 작업구간관로(1)의 양단을 절단하여 작업구(2,3)를 형성하는 작업구 형성단계와, 상기 작업구(2,3)를 통해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스크래퍼나 세척장치 등을 투입하여 작업구간관로(1)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작업구간관로(1) 내벽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작업구간관로(1) 내벽을 세척함으로써 라이닝을 형성하기 위한 사전작업을 수행하는 라이닝 준비단계와, 상기 작업구간관로(1)의 내벽에 라이너를 형성하는 라이닝단계와, 절단된 상기 작업구간관로(1)의 양단을 연결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구(2,3)는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맨홀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닝단계는 스프레이장치를 작업구간관로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수지도료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작업구간관로 내벽에 분사하여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라이닝을 형성하는 스프레이 방식과, 작업구간관로(1) 내벽에 플랙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튜브를 견인하고 밀착시킨 상태에서 경화시켜 플라스틱튜브 자체를 통해 라이닝을 형성하는 튜브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튜브로는 CIPP(Cured In Place Pipes)연성튜브와 같은 현장경화관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수도 보수공법의 각 단계에서 상기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투입되는 스크래퍼와, 세척장치와, 스프레이장치와, 플라스틱튜브 등은 모두 상하수도 보수작업시 이용되는 보수장비(B)를 이루게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라이닝 준비단계 이후 라이닝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CCTV가 설치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구간관로(1)의 스케일링 및 세척 상태를 확인해 볼 수도 있으므로, 상기 촬영장치 역시 보수장비(B)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보수장비(B)는 상하수도 관로(A)의 보수를 위해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투입될 수 있는 모든 장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10)는 와이어(4)를 감도록 마련된 와인딩롤러(41)를 구비하여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투입되거나 작업구간관로(1) 내부로 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보수장비(B)를 견인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견인장치(10)는 작업구 형성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구(2) 일측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견인장치(10)를 이용하여 보수장비(B)를 견인할 때는 보수장비(B)를 반대 쪽 작업구(3)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4)의 타단 내지는 중도에 상기 보수장비(B)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인딩롤러(41)를 회전시켜 와인딩롤러(41)에 와이어(4)가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보수장비(B)를 견인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수도 관로(A)의 보수작업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구(3) 일측 지상에도 별도의 견인장치(30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는 작업구간관(1)의 길이방향 양측 지상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견인장치(10,300)를 이용하여 한 쪽 견인장치(10)에 와이어(4)가 감기면 반대 쪽 견인장치(300)의 와이어(4)가 풀려지는 방식으로 와이어(4)를 양방향으로 와인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300)는 와인딩롤러(301)만을 구비하는 단순한 형태의 것이 채용된다.
한편, 상기 견인장치(10)는 보수장비(B)에 연결되는 와이어(4)를 작업구간관로(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작업구간관로(1) 내부를 통과하면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보수장비(B)를 보다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견인장치(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장치(10)는 견인유닛(20)과, 견인유닛(20)의 기동성을 원활히 하도록 견인유닛(20)이 탑재되는 차량(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30)의 하부 일측에는 견인유닛(20)의 견인 동작과정 중에 차량(3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그(32)가 설치된다.
이중 먼저 견인유닛(20)은 상기 와인딩롤러(41)가 설치되는 몸체(40)와, 몸체(40)에 상기 작업구간관로(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신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붐(50)과, 수평붐(50)의 연장방향 끝단에 상기 작업구(2)의 깊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신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붐(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붐(60)은 수평붐(50)을 기준으로 회전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견인유닛(20)은 몸체(40)를 통해 차량(30)의 후방 쪽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붐(60)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4)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100,200)가 상기 수직붐(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4)의 일단은 상기 안내롤러(100,200)에 지지되도록 가이드 된 상태에서 상기 와인딩롤러(41)에 감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붐(50)과 수직붐(60)은 각각 3단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수평붐(50)과 수직붐(60)은 각각 은 3단으로 신축되는 몸통(51,61)을 구비하며, 각 몸통(51,61)은 제1단몸통(51a,61a)과 제2단몸통(51b,61b)과 제3단몸통(51c,61c)으로 구성된다. 제3단몸통(51c,61c)은 제2단몸통(51b.61b)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제2단몸통(51b,61b) 안쪽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2단몸통(51b,61b)은 제1단몸통(51a,61a)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제1단몸통(51a,61a) 내부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각 몸통(51,61)은 3단으로 펴졌다가 다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붐(60)은 제 1단몸통(61a)이 수평붐(50)의 제3단몸통(51c)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롤러(100,200)는 상기 수직붐(60)의 몸통(61) 일측면에 수직붐(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안내롤러(100)와, 수직붐(60)의 몸통(61) 타측면에 수직붐(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안내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안내롤러(100,200)를 2개의 열로 형성하게 되면, 작업구간관로(1)가 차량(30) 위치의 측방으로 크게 벗어나게 되는 경우와 같이 수직붐(60)이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도 복수개의 제1안내롤러(100)와 복수개의 제2안내롤러(200) 중 와이어(4)를 걸기 가장 용이한 안내롤러(100,200)를 고를 수 있는 폭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안내롤러(100,200)에 안내되는 와이어(4)가 안내롤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안내롤러(100)와 제2안내롤러(200)는 각각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101, 201은 최 하단 안내롤러(100,2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보조롤러로써, 이러한 보조롤러(101,202)도 최 하단 안내롤러(100,200)와의 사이로 삽입되는 와이어(4)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10)는 이러한 견인유닛(20)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70)를 더 구비하며, 이러한 구동장치(70)는 견인유닛(20)이 탑재되는 차량(30)의 구동동력을 이용하여 동작되도록 마련된다.
즉, 구동장치(70)는 상기 와이어(4)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와인딩롤러(4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71)와, 상기 수평붐(50)을 신축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51) 내부에 설치되는 제1유압실린더(72)와, 상기 수직붐(60)을 신축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61) 내부에 설치되는 제2유압실린더(73)와, 수직붐(6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유압실린더(74)와, 차량(30)에 설치되는 유압탱크(75)와, 차량 엔진 동력이 출력되어 후륜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돌출되는 차량의 PTO(power take off) 축(31)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유압탱크(75)의 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76)와, 상기 유압펌프(7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76)로부터 펌핑된 유체를 상기 유압모터(71)와 상기 제1 내지 제3유압실린더(72,73,74)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유압메니폴드(7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78은 유압라인을 가리킨다.
제1 및 제2유압실린더(72,73)는 일단이 제1단몸통(51a,61a)의 내측 단부 쪽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3단몸통(51c,61c)의 내측 단부 쪽에 고정되어 각 몸통(51,61)을 신축 운동시키게 된다. 제2유압실린더(73)의 제3단몸통(61c) 쪽 단부의 경우 상기 안내롤러(100,200)를 제3단몸통(61c)에 고정시키는 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유압메니폴드(77)로 전달된 유체는 유압라인(78)을 따라 유압모터(76)와 제1 내지 제3유압실린더(72,73,74)로 각각 분배되고, 유압메니폴드(77)를 경유한 유체는 다시 유압라인(78)을 통해 유압탱크(75)로 복귀하게 된다. 유압메니폴드(77)에는 분기되는 유압라인(78)의 수에 맞게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각 유압라인(78)으로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펌프(76) 및 유압메니폴드(77)의 제어를 위해 상기 몸체(40)의 일측에는 콘트롤박스(42)가 설치되며, 이러한 콘트롤박스(42)는 도시되지 않은 리모트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구동장치(70)를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 상기 수평붐(50)의 끝단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가 마련되고, 상기 제3유압실린더(74)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52) 한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붐(60)의 연장 반대방향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평붐(50)을 기준으로 수직붐(60)을 회전운동 시키게 된다.
또한 와인딩롤러(41)에 와이어(4)가 감기는 과정에서는 와이어(4)의 위치가 꼬이게 될 우려가 있고, 와이어(4)가 꼬인 상태로 와인딩롤러(41)에 감기게 되면, 이후 와이어(4)를 풀게 되는 과정에서 와이어(4)가 풀림동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유닛(20)은 와인딩롤러(41)의 회전운동시 와이어(4)가 와인딩롤러(41)의 축방향을 따라 와인딩롤러(41)의 축에 차례로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붐(60)과 와이딩롤러(41) 사이의 와이어(4)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81)가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재(81)에는 와인딩롤러(41)의 회전운동시 가이드부재(81)를 와인딩롤러(41)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왕복운동기구(82)가 연결된다.
가이드부재(81)는 통상의 롤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왕복운동기구(82)는 통상의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기구(82)도 상기 유압라인(78)의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왕복운동기구(82)에는 상기 유압모터(71)를 경유한 유압라인(78)이 연결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마련되는 견인장치(10)를 이용한 보수장비(B)의 견인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견인장치(10)를 이용하여 보수장비(B)를 견인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30)을 작업구(2) 일측 지상 쪽으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견인동작시 차량(30)이 유동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우트리그(32)를 동작시켜 차량의 자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붐(60)의 위치가 작업구(2) 상부에 위치될 때까지 수평붐(50)을 작업구(2) 쪽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수직붐(60)을 하부 쪽으로 신장시켜 수직붐(60)의 끝단 높이를 작업구간관로(1)의 높이에 맞추게 된다.
도 6에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 5 상태의 견인장치(10)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수직붐(60)의 하단 높이가 작업구간관로(1)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맞춰진 상태에서는 수직붐(60)을 회전시켜 수직붐(60) 하단의 안내롤러(100,200) 중 어느 하나를 작업구간관로(1)의 중심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게 되며, 수평붐(50)과 수직붐(60)의 조작은 이로써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장비(B)에 연결된 와이어(4)가 수직붐(60)에 연결된 안내롤러(100,200)를 차례로 거쳐 상기 와인딩롤러(41)에 연결되도록 와이어(4)를 견인유닛(20)에 걸게 되며, 이 상태에서 와인딩롤러(41)를 구동시키게 되면, 와인딩롤러(41)에 와이어(4)가 감기게 되면서 보수장비(B)를 작 업구간관로(1)를 따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수장비(B)의 견인 동작시에는 수직붐(60) 및 수평붐(50)의 위치조작을 통해 작업구간관로(1)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이(4)의 인출방향이 작업구간관로(1)와 평행하게 되어 작업구간관로(1)의 길이방향으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면서 충분한 견인력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작업구간관로(1)의 보수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이 보수장비(B)를 강력한 견인력으로 견인할 수 있게 되면, 와이어(4)에 복수의 스크래퍼나 세척장치와 같은 여러 개의 보수장비(B)를 동시에 연결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보수장비(B)들을 원활하게 견인할 수 있게 되고, 스크래퍼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스크래퍼와 작업구간관로(1) 내경 사이에 큰 마찰력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도 스크래퍼의 견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술한 라이닝 준비단계 등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와이어(4)의 인출방향을 작업구간관로(1)의 중심에 맞추게 될 경우에는 스크래퍼와 같은 보수장비(B)의 견인동작시 작업구간관로(1) 내경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스케일링 되므로, 스케일링 작업 도중 작업구간관로(1) 내경의 특정부위가 과도하게 스케일링되면서 파손되는 것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강력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상기 견인장치(10)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구간관로(1)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게 설정되어 전술한 라이닝 단계에서 플라스틱튜브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플라스틱튜브의 중량이 커지게 되더라도 한 번의 견인동작으로 플라스틱튜브를 견인할 수 있게 되어 전술한 라이닝단계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상하수도 보수과정에서 보수장비의 견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를 이용한 상하수도 보수작업 중 보수장비 견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견인장치가 작업구 쪽 지상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견인장치의 수평붐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견인장치의 수직붐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 상태의 견인장치의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견인장치의 수직붐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와이어가 설치된 수직붐과 와이딩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가이드부재와 왕복운동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견인장치 20: 견인유닛
30: 차량 40: 몸체
41: 와인딩롤러 50: 수평붐
60: 수직붐 70; 구동장치
81: 가이드부재 82: 왕복운동기구
100: 제1안내롤러 200: 제2안내롤러

Claims (7)

  1. 상하수도 관로 중 노후 된 작업구간관로의 양단부 지상 쪽으로 작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작업구간관로의 양단을 절단하여 작업구를 통해 상기 작업구간관로 내부로 보수장비를 투입하거나 투입된 상기 보수장비를 상기 작업구간관로 외부로 인출할 경우 상기 보수장비가 연결되는 와이어를 견인하도록 상기 작업구 쪽 지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와인딩하기 위한 와인딩롤러가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작업구간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신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붐과, 상기 수평붐에 상기 작업구의 깊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신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붐의 연장방향 끝단에 상기 수평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수직붐과, 상기 몸체가 고정되도록 탑재되는 차량과, 상기 와인딩롤러와 상기 수직붐의 회전 구동 및 상기 수평붐과 상기 수직붐의 신축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붐에는 상기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안내롤러가 상기 수직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수직붐의 일측면에 상기 수직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안내롤러와, 상기 수직붐의 타측면에 상기 수직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안내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안내롤러는 각각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와인딩롤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와, 상기 수평붐을 신축 구동시키기 위한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수직붐을 신축 구동시키기 위한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수직붐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유압실린더와, 유압탱크와, 상기 차량의 PTO(power take off) 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유압탱크의 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펌핑된 유체를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유압실린더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유압메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붐의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유압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붐의 연장 반대방향 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와인딩롤러의 회전운동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인딩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와인딩롤러의 축에 차례로 감길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붐과 와이딩롤러 사이의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와인딩롤러의 회전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와인딩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도록 마련된 왕복운동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롤러로 마련되고, 상기 왕복운동기구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되며, 상기 왕복운동기구는 상기 유압모터를 경유한 유압에 의해 구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16797A 2009-11-30 2009-11-30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KR10096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797A KR100963307B1 (ko) 2009-11-30 2009-11-30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797A KR100963307B1 (ko) 2009-11-30 2009-11-30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307B1 true KR100963307B1 (ko) 2010-06-15

Family

ID=4236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797A KR100963307B1 (ko) 2009-11-30 2009-11-30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42B1 (ko) 2014-10-17 2015-01-16 최재현 상하수도 노후관 비굴착 튜브견인장치 및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517A (ja) * 1993-12-28 1995-08-01 Ishikawajima Constr Mach Co 地下下水道保全装置及び該地下下水道保全装置に用いる作業台
KR20070091841A (ko) * 2006-03-07 2007-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517A (ja) * 1993-12-28 1995-08-01 Ishikawajima Constr Mach Co 地下下水道保全装置及び該地下下水道保全装置に用いる作業台
KR20070091841A (ko) * 2006-03-07 2007-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42B1 (ko) 2014-10-17 2015-01-16 최재현 상하수도 노후관 비굴착 튜브견인장치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8484B (zh) 一种高效的承插管道接口安装装置
KR101359448B1 (ko)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KR100991326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US11572972B2 (en) CIPP liner feeder system
KR101632286B1 (ko)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00967184B1 (ko) 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KR101124065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632978B1 (ko)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KR100555026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946465B1 (ko) 관로라이닝로봇
KR100963307B1 (ko)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KR101316027B1 (ko) 비굴착공법용 보수튜브의 견인장치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KR100817852B1 (ko)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3503420A (zh) 用于非开挖管道修复工程的内衬软管牵引装置及施工方法
KR20050072863A (ko) 각종 관거 이음부, 파손부, 단차부 비굴착 보수공법
KR101743476B1 (ko) 낙차를 이용한 하수 바이패스 장치 및 방법
KR102025829B1 (ko) 관로 지장물 제거장치
CN110906103A (zh) 用于供水管道从内部修复的喷涂方法
KR100739858B1 (ko) 관로 내부의 보수공법
KR101887490B1 (ko) 이동형 되메우기 토사 공급 장치
CN215596723U (zh) 一种用于非开挖管道修复工程的内衬软管牵引装置
KR100835869B1 (ko) 기계식 윈치를 이용한 비 굴착식 관 보수방법
JPH0975882A (ja) 差圧駆動式管内掃除・補修・通線方法と、その装置
KR100942008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