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465B1 - 관로라이닝로봇 - Google Patents

관로라이닝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465B1
KR100946465B1 KR1020070120567A KR20070120567A KR100946465B1 KR 100946465 B1 KR100946465 B1 KR 100946465B1 KR 1020070120567 A KR1020070120567 A KR 1020070120567A KR 20070120567 A KR20070120567 A KR 20070120567A KR 100946465 B1 KR100946465 B1 KR 100946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sprayer
cement paste
supply pipe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873A (ko
Inventor
양해익
Original Assignee
에코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4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몰탈(10) 또는 보강재(11) 중의 하나 이상을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부착하여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함으로서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 및 지하박스를 보수 및 보강하는 관로라이닝로봇(1)을 제공한다.
관로, 로봇, 분사, 라이닝, 보강재, 몰탈

Description

관로라이닝로봇{Pipe lining robot}
본 발명은 관로라이닝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본체, 몰탈분사기,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 미장기, 증기분사기, 몰탈공급관,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 증기공급관, 윈치, 몰탈공급기, 몰탈혼합기,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 증기발생기로 구성되어 몰탈 또는 보강재 중의 하나 이상을 기존관로의 내부벽면에 부착하여 관로라이닝을 형성하는 관로라이닝로봇에 관한 것이다.
과거로부터 수년간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는 파손, 부식, 훼손, 침식 등으로 인하여 누수가 되거나 오염이 누출되게 된다. 이러한 관로는 누수 및 오염의 방지를 위하여 대책방안 도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관로의 대책방방으로 관로교체, 관로보수, 관로보강 등의 방안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의 보수방안 및 보강방안에 있어서 시멘트몰탈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시멘트의 고결력에 의한 누수방지효과 및 보강효과를 이용하여 기존관로의 내부벽면을 새로운 라 이닝을 형성하여 기존관로의 내부벽면을 보수 및 보강하는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관로에 투입되어 시멘트몰탈을 인력으로 내벽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하여 관로라이닝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멘트몰탈공법은 관로 속에 인력이 투입되어 시공을 하는 것으로 인하여 인력의 투입에 따른 작업자위험요소, 시공불편, 시공지연, 인건비지급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공법은 시멘트만을 사용하여 기존관로 내벽에 시멘트라이닝을 형성하여 시멘트의 고결력 만을 이용함으로 인하여 장기강도발현, 파손용이, 침식용이, 부식균침입, 부식용이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관로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라이닝공법에 있어서 인력시공에 따른 문제점 및 시멘트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의 고안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력작업을 로봇화하여 자동화하고 시멘트만의 사용을 시멘트 이외에 보강재, 화이버, 항균제, 오염흡착제, 내부식제 등의 재료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라이닝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로라이닝로봇은 원형 및 사각형의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 및 지하박스 내에 몰탈 및 보강재가 혼용된 관로라이닝을 자동로봇장치로 형성하여 인력공사 배제, 지중공사 위험해소, 신속한 관로보 수보강, 경제적인 관로보수보강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관로라이닝로봇(1)은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몰탈(10) 또는 보강재(11) 중의 하나 이상을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부착하여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함으로서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 및 지하박스를 보수 및 보강하는 관로라이닝로봇(1)을 제공한다.
상기 헤드(2)는 본체(3)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장치의 관로 내 이동을 안내하고 또한 보강재(11)를 펼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헤드(2) 외부주위에는 필요시 절삭카타(2-2), 회전바퀴로라(2-1) 및 보강재견인걸쇠(11-1)가 부착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삭카타(2-2) 사용시에는 헤드(2)의 자체회전이 가능한 가변적인 구조이고, 상기 자체회전은 전기모타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본체(3)는 헤드(2)와 몰탈분사기(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장치의 부분 또는 전체를 지지하고 또한 이동시키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본체(3) 외부주위에는 이동바퀴로라(3-1)가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이동바퀴로라(3-1)는 모타식 또는 견인식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되고, 상기 모타식은 전기, 전지, 밧데리 중의 하나 이상으로 운전되는 구조이고,
상기 견인식은 전진견인줄(3-2) 또는 몰탈공급관(6) 중의 하나 이상으로 전진되고 후진견인줄(3-3)에 의하여 후진되는 구조이고, 상기 본체(3)는 필요시 보강재(11)를 기존관로(20)에 고정시키는 보강재볼팅기(11-5)가 장착된 구조이다.
상기 몰탈분사기(4)는 본체(3)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몰탈분사기(4) 외주에 노즐구멍(4-1)이 형성되어 몰탈공급관(6)으로부터 공급된 몰탈(10)을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분사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몰탈분사기(4)의 설치개수는 본체(3) 후방에 한개 이상 다수개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노즐구멍(4-1)은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 외주에 대한 전체부위 분사 또는 부분부위 분사가 가능하도록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외주에 노즐구멍(4-1)이 형성되어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으로부터 공급된 시멘트페이스트를 기분사된 몰탈(10) 상부에 분사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는 지상의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로부터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을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미장기(5)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성철재, 고무, 플라스 틱, 우레탄, 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고 깔대기 모양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몰탈분사기(4)로부터 분사된 몰탈(10)을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매끈하게 미장 및 마감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미장기(5)의 설치개수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한개 이상 다수개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미장기(5) 선단에는 필요시 카메라(35), 후진견인줄(3-3), 보강재견인고리(11-3)가 부착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증기분사기(13)는 미장기(5)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에 증기를 분사하여 관로라이닝(21)을 급속양생시키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증기는 지상의 증기발생기(15)로부터 증기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이 되는 것이다.
상기 몰탈공급관(6)은 몰탈공급기(8)로부터 몰탈(10)을 몰탈분사기(4)에 이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동시에 본체(3)의 이동바퀴로라(3-1)를 전방으로 견인하는 기능도 가지는 부속장치이다.
상기 윈치(7)는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몰탈공급관(6)을 당기어 견인하는 부속장치이다.
상기 몰탈공급기(8)는 몰탈(10)을 몰탈공급관(6)으로 공급하는 부속장치이다.
상기 몰탈혼합기(9)는 몰탈(10)을 제작하기 위하여 몰탈재료를 혼합하는 부속장치이다.
상기 몰탈(10)은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시멘트, 골재, 화이버, 항균제, 내부식제, 오염흡착제, 접착제, 에폭시, 레진, 우레탄, 급결제, 돌가루, 비분, 석분, 물 중의 하나 이상이 혼합된 일반몰탈 또는 항균몰탈 또는 화이버몰탈 또는 흡착몰탈 또는 항균흡착몰탈 또는 흡착화이버몰탈 또는 항균화이버몰탈 또는 항균흡착화이버몰탈이고, 상기 화이버는 강재화이버, 스틸화이버, 섬유화이버, 유리섬유화이버 중의 하나 이상이고, 상기 오염흡착제는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슬래그분말, 철분, 나노철 중의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보강재(11)는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와이어메쉬, 철망, 섬유망, 플라스틱망, 모기망 중의 하나 이상이고 관로 내에 인력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걸쇠(11-1)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고리(11-3)에 의해 포설되고, 상기 보강재견인걸쇠(11-1)는 보강재탈착줄(11-2)의 당김에 의하여 보강재(1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 기분사기(13) 간의 연결구조는 스프링구조, 힌지구조, 연골구조, 핀구조 중의 하나로 되어 관로 곡선부분에 대하여 굴곡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의 장착위치는 현장조건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한 가변적인 구조이다.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관로라이닝로봇(1)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하수관로, 상수관로, 지하관로, 지하박스, 기존관로(20)의 전체 길이 또는 부분 길이 및 전체 내부벽면(22) 또는 부분 내부벽면(22)을 보수 및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관로(20)를 준설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헤드(2)에 부착된 절삭카타(2-2)로 기존관로(20)내 지장물 및 돌출물을 절삭하는 단계, 기존관로(20)를 재준설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몰탈분사기(4)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시멘트 페이스트분사기(16)를 이용하여 관로라이닝(21) 상부에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증기분사기(13)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을 양생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카메라(35)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의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 필요시 관로라이닝로봇(1)의 몰탈분사기(4)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관로라이닝(21)을 재형성하는 단계, 필요시 관로라이닝로봇(1)의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를 이용하여 관로라이닝(21) 상부에 시멘트페이스트를 재도포하는 단계, 필요시 관로라이닝로봇(1)의 증기분사기(13)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을 재양생하는 단계의 전체 또는 부분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라이닝로봇(1)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지상 및 지하에 배치된 관로라이닝로봇(1)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로라이닝로봇(1) 전체를 보여준다. 관로라이닝로 봇(1) 관로에 투입되어 몰탈(10) 또는 보강재(11) 중의 하나 이상을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부착하여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윈치(7)는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몰탈공급관(6) 도는 증기공급관(14)을 당기어 견인하는 부속장치이고, 몰탈공급기(8)는 몰탈(10)을 몰탈공급관(6)으로 공급하는 부속장치이고, 몰탈혼합기(9)는 몰탈(10)을 제작하기 위하여 몰탈재료를 혼합하는 부속장치이다.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는 시멘트페이스트를 공급하는 부속장치이다. 증기발생기(15)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부속장치이다. 여기에서 통상적으로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는 지하에 위치하고 몰탈공급관(6) 및 증기공급관(14) 및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은 지상 및 지하에 위치하고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는 지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관로라이닝로봇(1)은 로봇진행방향(30)으로 전진을 하고 몰탈(10) 및 증기 및 시멘트페이스트는 주입방향(31)으로 주입되어 관로라이닝로봇(1)에 공급이 된다.
도 2 는 관로라이닝로봇(1) 만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관로라이닝로봇(1)을 구성하는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 및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하여 보수 및 보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관로라이닝(21)에 의한 시공은, 기존관로(20)를 준설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헤드(2)에 부착된 절삭카타(2-2)로 기존관로(20)내 지장물 및 돌출물을 절삭하는 단계, 기존관로(20)를 재준설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몰탈분사기(4)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를 이용하여 관로라이닝(21) 상부에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증기분사기(13)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을 양생하는 단계, 관로라이닝로봇(1)의 카메라(35)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의 상태를 촬영하는 단계, 필요시 관로라이닝로봇(1)의 몰탈분사기(4)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관로라이닝(21)을 재형성하는 단계, 필요시 관로라이닝로봇(1)의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를 이용하여 관로라이닝(21) 상부에 시멘트페이스트를 재도포하는 단계, 필요시 관로라이닝로봇(1)의 증기분사기(13)를 이용하여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을 재양생하는 단계의 전체 또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의 장착위치는 현장조건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한 가변적인 구조이다.
도 3 은 기존관로(20)의 내부에 매입된 관로라이닝로봇(1)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지하 관로에 투입된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미장기(5)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관로라이닝로봇(1)은 로봇진행방향(30)으로 전진을 하고 몰탈(10)은 몰탈공급관(6)을 통하여 주입방향(31)으로 공급이 되어 몰탈분사기(4)에서 내부벽면(22)으로 몰탈분사(32) 된다. 관로라이닝(21)은 몰탈(10)에 만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필요시 몰탈(10) 분사 전에 보강재(11)가 포설되어 몰탈(10)과 보강재(11)가 함께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한다. 여기서 몰탈공급관(6)은 몰탈공급기(8)로부터 몰탈(10)을 몰탈분사기(4)에 이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동시에 본체(3)의 이동바퀴로라(3-1)를 전방으로 견인하는 기능도 가진다.
도 4 는 헤드(2)가 없는 관로라이닝로봇(1)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통상적으로 보강재(11)가 포설되지 않고 몰탈(10)만 포설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관로라이닝로봇(1) 구조예이다.
도 5 는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미장기(5), 몰탈공급관(6), 전진견인줄(3-2), 후진견인줄(3-3), 보강재견인걸쇠(11-1), 보강재탈착줄(11-2), 보강재견인고리(11-3), 카메라(33)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관로라이닝로봇(1)은 자체구동 또는 전진견인줄(3-2) 또는 몰탈공급관(6) 중의 하나 이상으로 전진되고 후진견인줄(3-3)에 의하여 후진된다. 보강재(11)는 관로 내에 인력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걸쇠(11-1)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고리(11-3)에 의해 포설 되고, 보강재견인걸쇠(11-1)는 보강재탈착줄(11-2)의 당김에 의하여 보강재(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은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3), 증기분사기(13), 미장기(5)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관로라이닝로봇(1)은 지하관로에서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3), 증기분사기(13), 미장기(5) 순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3),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간의 연결구조는 스프링구조, 힌지구조, 연골구조, 핀구조 중의 하나로 되어 관로 곡선부분에 대하여 굴곡변형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은 회전바퀴로라(2-1) 및 보강재견인걸쇠(11-1) 및 보강재탈착줄(11-2) 및 전진견인줄(3-2)이 부착된 헤드(2)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헤드(2)는 본체(3)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장치의 관로 내 이동을 안내하고 또한 보강재(11)를 펼치는 부속장치이고, 헤드(2) 외부주위에는 필요시 회전바퀴로라(2-1)가 부착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회전바퀴로라(2-1)는 관로 내부에서 내부벽면(22)으로 보강재(11)를 포설시 보강재(11)가 원활하게 포설되도록 보강재(11)를 펼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보강재견인걸쇠(11-1)는 보강재(11)를 전방으로 견인하는 장치이고 보강재탈착줄(11-2)은 보강재(11)가 부착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보강재탈착줄(11-2)을 당기어 보강재911)로부터 보강재견인걸쇠(11-1)를 탈착시키는 장치이다. 전진견인줄(3-2)은 관로라이닝로봇(1)을 수동으로 전방으로 전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줄이다.
도 8 은 회전바퀴로라(2-1)가 부착되지 않은 헤드(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도에서는 헤드(2)에 절삭카타(2-2)가 부착되어 있는데, 헤드(2) 주위에는 필요시 절삭카타(2-2)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절삭카타(2-2) 사용시에는 헤드(2)의 자체회전이 가능한 가변적인 구조이다. 절삭카타(2-2)의 자체회전은 전기모타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9 는 본체(3)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본체(3)는 헤드(2)와 몰탈분사기(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장치의 부분 또는 전체를 지지하고 또한 이동시키는 부속장치이고, 본체(3) 외부주위에는 이동바퀴로라(3-1)가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이동바퀴로라(3-1)는 모타식 또는 견인식으로 이동된다. 모타식은 전기, 전지, 밧데리 중의 하나 이상으로 운전되는 구조이고, 견인식은 전진견인줄(3-2) 또는 몰탈공급관(6) 중의 하나 이상으로 견인되는 구조이다.
본체(3)는 필요시 보강재(11)를 기존관로(20)에 고정시키는 보강재볼팅기(11-5)가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10 은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증기분사기(13)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증기분사기(13)는 본체(3)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노즐구멍(4-1)이 형성되어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으로부터 공급된 몰탈(10), 시멘트페이스트, 증기를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분사하는 부속장치이다.
몰탈분사기(4)는 본체(3) 후방에 위치하여 몰탈혼합기(9), 몰탈공급기(8), 몰탈공급관(6)을 통하여 이송된 몰탈(10)을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분사하는 부속장치이다.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외주에 노즐구멍(4-1)이 형성되어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으로부터 공급된 시멘트페이스트를 기분사된 몰탈(10) 상부에 분사하여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부속장치이고, 시멘트페이스트는 지상의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로부터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을 통하여 공급된다.
증기분사기(13)는 미장기(5)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에 증기를 분사하여 관로라이닝(21)을 급속양생시키는 부속장치이고, 증기는 지상의 증기발생기(15)로부터 증기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된다.
도 11 은 미장기(5)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미장기(5)는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또는 증기분사기(13) 후방에 위치하거나 증기분사기(13)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무, 플라스틱, 우레탄, 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고 깔대기 모양 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몰탈분사기(4)로부터 분사된 몰탈(10)을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매끈하게 미장 및 마감하는 부속장치이다. 미장기(5) 선단에는 필요시 카메라(35), 후진견인줄(3-3), 보강재견인고리(11-3)가 부착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진다. 카메라(35)는 시공과정 및 시공검증을 위한 영상촬영 장치이다. 후진견인줄(3-3)은 관로라이닝로봇(1)을 수동으로 후진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보강재견인고리(11-3)는 몰탈(10) 타설 전에 보강재(11)을 관로 내에 포설하고자 하는 경우에 보강재(11)를 관로라이닝로봇(1) 후단에 장착하여 관로내를 관통하여 포설한 후 관로라이닝로봇(1)에 의한 몰탈 포설을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도 12 는 관로라이닝(21)과 보강재(11)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기존관로(20) 내에 포설된 보강재(11)와 몰탈(10)에 의하여 형성된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낸다. 여기서 보강재(11)는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와이어메쉬, 철망, 섬유망, 플라스틱망, 모기망 중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재(11)는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와이어메쉬, 철망, 섬유망, 플라스틱망, 모기망 중의 하나 이상이고 관로 내에 인력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걸쇠(11-1)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고리(11-3)에 의해 포설된다.
도 13 은 보강재(11)가 매입된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관로라이닝(21) 내부에 보강재(11)가 매입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4 는 원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11)가 매입된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원형관로의 내부에 시공된 관로라이닝(21) 및 관로라이닝(21) 내부에 보강재(11)가 매입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5 는 사각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11)가 매입된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사각형관로의 내부에 시공된 관로라이닝(21) 및 관로라이닝(21) 내부에 보강재(11)가 매입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6 는 보강재(11)가 매입되지 않은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몰탈(10)에만에 의하여 관로라이닝(21)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몰탈(10)은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시멘트, 골재, 화이버, 항균제, 내부식제, 오염흡착제, 접착제, 에폭시, 레진, 우레탄, 물 중의 하나 이상이 혼합된 일반몰탈 또는 항균몰탈 또는 화이버몰탈 또는 흡착몰탈 또는 항균흡착몰탈 또는 흡착화이버몰탈 또는 항균화이버몰탈 또는 항균흡착화이버몰탈이고, 화이버는 강재화이버, 스틸화이버, 섬유화이버, 유리섬유화이버 중의 하나 이상이고, 오염흡착제는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슬래그분말, 철분, 나노철 중의 하나 이상이다.
도 17 은 원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11)가 매입되지 않은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원형관로의 내부에 시공된 몰탈(10)에 의한 관로라이닝(21)을 보여 준다.
도 18 은 사각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11)가 매입되지 않은 관로라이닝(21)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사각형관로의 내부에 시공된 몰탈(10)에 의한 관로라이닝(21)을 보여준다.
도 19 는 관로라이닝(21) 상세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관로라이닝(21)은 몰탈(10) 및 보강재(11)의 조합체 또는 몰탈(10)의 단일체로 구성된다.
도 20 은 기존관로(20)에 매입된 보강재(11)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기존관로(20)에 매입되어 포설된 보강재(11)를 보여준다.
도 21 는 헤드(2) 통과 전의 보강재(11)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헤드(2) 통과 전의 보강재(11)가 좁혀진 단면을 보여준다.
도 22 은 헤드(2) 통과 전의 보강재(1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헤드(2) 통과 전의 보강재(11)가 좁혀진 형상을 보여준다.
도 23 은 헤드(2) 통과 후의 보강재(11)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헤드(2) 통과 후의 보강재(11)가 펴진 단면을 보여준다.
도 24 는 헤드(2) 통과 후의 보강재(1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헤드(2) 통과 후의 보강재(11)가 펴진 형상을 보여준다.
도 1 은 지상 및 지하에 배치된 관로라이닝로봇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관로라이닝로봇 만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는 기존관로의 내부에 매입된 관로라이닝로봇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은 헤드가 없는 관로라이닝로봇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는 헤드, 본체, 분사기, 미장기, 공급관, 전진견인줄, 후진견인줄, 보강재견인걸쇠, 보강재탈착줄, 보강재견인고리, 카메라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 는 헤드, 본체, 몰탈분사기,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 증기분사기, 미장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회전바퀴로라 및 보강재견인걸쇠 및 보강재탈착줄 및 전진견인줄이 부착된 헤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 은 회전바퀴로라 및 보강재견인걸쇠가 부착되지 않은 헤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은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 은 몰탈분사기,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 증기분사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 은 미장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 은 관로라이닝과 보강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 는 보강재가 매입된 관로라이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 는 원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가 매입된 관로라이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 는 사각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가 매입된 관로라이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 는 보강재가 매입되지 않은 관로라이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 은 원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가 매입되지 않은 관로라이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 은 사각형관로에 대하여 보강재가 매입되지 않은 관로라이닝을 나타내는 단 면도
도 19 는 관로라이닝) 상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0 은 기존관로에 매입된 보강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 는 헤드 통과 전의 보강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2 은 헤드 통과 전의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 은 헤드 통과 후의 보강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 는 헤드 통과 후의 보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로라이닝로봇 2 : 헤드
2-1 : 회전바퀴로라 2-2 : 절삭카타
3 : 본체 3-1 : 이동바퀴로라
3-2 : 전진견인줄 3-3 : 후진견인줄
4 : 몰탈분사기 4-1 : 노즐구멍
5 : 미장기 6 : 몰탈공급관
7 : 윈치 8 : 몰탈공급기
9 : 몰탈혼합기 10 : 몰탈
11 : 보강재 11-1 : 보강재견인걸쇠
11-2 : 보강재탈착줄 11-3 : 보강재견인고리
11-4 : 보강재탈착줄당김방향 11-5 : 보강재볼팅기
13 : 증기분사기 14 : 증기공급관
15 : 증기발생기 16 :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
17 :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 18 :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
20 : 기존관로 21 : 관로라이닝
22 : 내부벽면 30 : 로봇전진방향
31 : 주입방향 32 : 몰탈분사 또는 증기분사 또는 시멘트페이스트분사
33 : 로봇후진방향 35 : 카메라 40 : 지반

Claims (3)

  1. 하수관로 및 상수관로 및 지하관로 및 지하박스의 보수 및 보강에 있어서,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몰탈(10) 또는 보강재(11) 중의 하나 이상을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부착하여 관로라이닝(21)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헤드(2)는 본체(3)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장치의 관로 내 이동을 안내하고 또한 보강재(11)를 펼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헤드(2) 외부주위에는 필요시 절삭카타(2-2), 회전바퀴로라(2-1) 및 보강재견인걸쇠(11-1)가 부착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절삭카타(2-2) 사용시에는 헤드(2)의 자체회전이 가능한 가변적인 구조이고,
    상기 자체회전은 전기모타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본체(3)는 헤드(2)와 몰탈분사기(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장치의 부분 또는 전체를 지지하고 또한 이동시키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본체(3) 외부주위에는 이동바퀴로라(3-1)가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이동바퀴로라(3-1)는 모타식 또는 견인식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되고,
    상기 모타식은 전기, 전지, 밧데리 중의 하나 이상으로 운전되는 구조이고,
    상기 견인식은 전진견인줄(3-2) 또는 몰탈공급관(6) 중의 하나 이상으로 전진되고 후진견인줄(3-3)에 의하여 후진되는 구조이고,
    상기 본체(3)는 필요시 보강재(11)를 기존관로(20)에 고정시키는 보강재볼팅기(11-5)가 장착된 구조이고,
    상기 몰탈분사기(4)는 본체(3)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몰탈분사기(4) 외주에 노즐구멍(4-1)이 형성되어 몰탈공급관(6)으로부터 공급된 몰탈(10)을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분사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몰탈분사기(4)의 설치개수는 본체(3) 후방에 한개 이상 다수개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노즐구멍(4-1)은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 외주에 대한 전체부위 분사 또는 부분부위 분사가 가능하도록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외주에 노즐구멍(4-1)이 형성되어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으로부터 공급된 시멘트페이스트를 기분사된 몰탈(10) 상부에 분사하여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는 지상의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로부터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고,
    상기 미장기(5)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성철재, 고무, 플라스틱, 우레탄, 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고 깔대기 모양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몰탈분사기(4)로부터 분사된 몰탈(10)을 기존관로(20) 내부벽면(22)에 매끈하게 미장 및 마감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미장기(5)의 설치개수는 몰탈분사기(4) 후방에 한개 이상 다수개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미장기(5) 선단에는 필요시 카메라(35), 후진견인줄(3-3), 보강재견인고리(11-3)가 부착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지고,
    상기 증기분사기(13)는 미장기(5)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존관로(20)의 내부벽면(22)에 형성된 관로라이닝(21)에 증기를 분사하여 관로라이닝(21)을 급속양생시키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증기는 증기발생기(15)로부터 증기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이 되는 것이고,
    상기 몰탈공급관(6)은 몰탈공급기(8)로부터 몰탈(10)을 몰탈분사기(4)에 이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또한 동시에 본체(3)의 이동바퀴로라(3-1)를 전방으로 견인하는 기능도 가지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윈치(7)는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몰탈공급관(6) 또는/및 전진견인줄(3-2) 또는/및 보강재탈착줄(11-2)을 당기어 견인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몰탈공급기(8)는 몰탈(10)을 몰탈공급관(6)으로 공급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몰탈혼합기(9)는 몰탈(10)을 제작하기 위하여 몰탈재료를 혼합하는 부속장치이고,
    상기 몰탈(10)은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시멘트, 골재, 화이버, 항균제, 내부식제, 오염흡착제, 접착제, 에폭시, 레진, 우레탄, 급결제, 돌가루, 비분, 석분, 물 중의 하나 이상이 혼합된 일반몰탈 또는 항균몰탈 또는 화이버몰탈 또는 흡착몰탈 또는 항균흡착몰탈 또는 흡착화이버몰탈 또는 항균화 이버몰탈 또는 항균흡착화이버몰탈이고,
    상기 화이버는 강재화이버, 스틸화이버, 섬유화이버, 유리섬유화이버 중의 하나 이상이고,
    상기 오염흡착제는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슬래그분말, 철분, 나노철 중의 하나 이상이고,
    상기 보강재(11)는 관로라이닝(2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와이어메쉬, 철망, 섬유망, 플라스틱망, 모기망 중의 하나 이상이고 관로 내에 인력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걸쇠(11-1)에 의해 포설되거나 또는 보강재견인고리(11-3)에 의해 포설되고,
    상기 보강재견인걸쇠(11-1)는 보강재탈착줄(11-2)의 당김에 의하여 보강재(1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의 장착위치는 현장조건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한 가변적인 구조이고,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간의 연결구조는 스프링구조, 힌지구조, 연골구조, 핀구조 중의 하나로 되어 관로 곡선부분에 대하여 굴곡변형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라이닝로봇(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 본체(3), 몰탈분사기(4), 시멘트페이스트분사기(16), 미장기(5), 증기분사기(13), 몰탈공급관(6), 시멘트페이스트공급관(17), 증기공급관(14), 윈치(7), 몰탈공급기(8), 몰탈혼합기(9), 시멘트페이스트공급기(18), 증기발생기(15), 관로라이닝로봇(1)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인 하수관로, 상수관로, 지하관로, 지하박스, 기존관로(20)의 전체 길이 또는 부분 길이 및 전체 내부벽면(22) 또는 부분 내부벽면(22)을 보수 및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라이닝로봇(1)
  3. 삭제
KR1020070120567A 2007-11-24 2007-11-24 관로라이닝로봇 KR10094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567A KR100946465B1 (ko) 2007-11-24 2007-11-24 관로라이닝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567A KR100946465B1 (ko) 2007-11-24 2007-11-24 관로라이닝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873A KR20090053873A (ko) 2009-05-28
KR100946465B1 true KR100946465B1 (ko) 2010-03-10

Family

ID=4086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567A KR100946465B1 (ko) 2007-11-24 2007-11-24 관로라이닝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4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55B1 (ko) * 2010-09-17 2011-04-08 주식회사 호서 재분산성 폴리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KR101067068B1 (ko) 2011-02-21 2011-09-22 손종영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KR101071279B1 (ko) 2011-01-18 2011-10-07 주식회사 호서 재분산성 폴리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547A1 (ko) * 2013-01-08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52487B1 (ko) * 2020-10-07 2022-10-0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퍼티 도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CN115056337A (zh) * 2022-06-06 2022-09-16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非破坏非开挖可调节混凝土管道内衬喷浆修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561A (ja) 1999-03-31 2000-10-10 Hiroshi Suzuki 取付管ライニング工法及び装置
KR20050122953A (ko) * 2004-06-26 2005-12-29 (주)인포그린테크 수도용 노후관 갱생방법
JP2006123248A (ja) 2004-10-27 2006-05-18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のライニング方法及びライニング装置
KR20060115431A (ko) * 2005-05-06 2006-11-09 유정식 관로 비굴착 복합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561A (ja) 1999-03-31 2000-10-10 Hiroshi Suzuki 取付管ライニング工法及び装置
KR20050122953A (ko) * 2004-06-26 2005-12-29 (주)인포그린테크 수도용 노후관 갱생방법
JP2006123248A (ja) 2004-10-27 2006-05-18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のライニング方法及びライニング装置
KR20060115431A (ko) * 2005-05-06 2006-11-09 유정식 관로 비굴착 복합 보강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55B1 (ko) * 2010-09-17 2011-04-08 주식회사 호서 재분산성 폴리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KR101071279B1 (ko) 2011-01-18 2011-10-07 주식회사 호서 재분산성 폴리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KR101067068B1 (ko) 2011-02-21 2011-09-22 손종영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873A (ko)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465B1 (ko) 관로라이닝로봇
US10065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ing a pipe
KR101963176B1 (ko)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몰탈 라이닝을 활용한 비굴착 상하수도관 갱생 라이닝 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359448B1 (ko)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WO2011025255A2 (ko)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세정 및 보수 장치
KR100991326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120011795A (ko) 지하매설관 내 모르타르 제거 및 보수 장치
KR100967184B1 (ko) 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KR100632978B1 (ko)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KR102051615B1 (ko) 비굴착식 상하수도관 보수공법
KR101124065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N108952731B (zh) 一种隧道的施工方法
KR20070098221A (ko) 상수도용 수지 도포 튜브 라이닝 비굴착 갱생공법
KR101083115B1 (ko) 일체식 후렉시블 피더를 이용한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튜브의 자체 반전 삽입에 의한 대구경 상하수도관의 무절단 갱생보수공법.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KR100853249B1 (ko) 노후 매설 대구경 관로의 관내 공기압 튜브 반전방법을이용한 관로 무절단 노후관 갱생공법.
KR101890694B1 (ko) 노후관로 보수보강장치
KR100803512B1 (ko) 관로 비굴착 복합 보강 공법
KR101131667B1 (ko) 원형 자력 개폐식 튜브피더를 이용한 관로 내부에서 튜브를 반전삽입하는 수도용 대구경관로 무절단 갱생보수공법.
KR20160027688A (ko) 보수재 손실 감소형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내면 보수공법
CN108312317B (zh) 一种钢筋混凝土排水管用养护喷淋车
KR100963307B1 (ko)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CN110906103A (zh) 用于供水管道从内部修复的喷涂方法
KR100739858B1 (ko) 관로 내부의 보수공법
KR20070079155A (ko)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