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068B1 -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068B1
KR101067068B1 KR1020110014870A KR20110014870A KR101067068B1 KR 101067068 B1 KR101067068 B1 KR 101067068B1 KR 1020110014870 A KR1020110014870 A KR 1020110014870A KR 20110014870 A KR20110014870 A KR 20110014870A KR 101067068 B1 KR101067068 B1 KR 10106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coupled
slide
pressure
sl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영
Original Assignee
손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영 filed Critical 손종영
Priority to KR102011001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and being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pipe by a tool which moves inside alo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8Lining other than co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110)의 관통관(111) 외주연에 기어샤프트(12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모터(121)를 구비하여 기어샤프트(123)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120)와; 상기 회전부(120)의 기어샤프트(123) 상측에 상호 평행하는 슬라이드바(134)를 형성하고 기어샤프트(123)와 슬라이드바(134)의 좌우에 슬라이딩링(132,135)을 각각 결합하며 상하좌우의 슬라이드링(132,135)을 링크바(133)로 연결하고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132) 사이에 실린더(131)를 설치하되 실린더(131)의 로드를 슬라이드링(132)에 각각 결합한 가압부(130)와; 상기 가압부(130)의 슬라이드바(134)에 상향으로 좌우 한 쌍의 지지대(142)를 결합하고 지지대(142)의 상부에 수직으로 가이드장홈(143)을 형성하여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을 끼워 결합하며 가압롤러(141)의 좌우회전축에 가압지지대(144) 양단을 결합하여 연동되게 하되 가압지지대(144)를 슬라이드바(134)와 대향되게 하여 가압지지대(144)와 슬라이드바(134) 사이에 스프링(145)을 결합한 탄성가압부(140)로 구성하므로; 라이닝패드를 가압튜브로 1차로 가압함과 동시에 탄력설치된 가압롤러로 2차로 가압하므로 관로의 내주연에 라이닝재를 최대한 얇게 피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관로의 내경 축소를 최소화하고 훼손부분에 라이닝재의 침투가 원활하여 크랙, 부분파손, 이음부 및 연결부 등 손상된 부위를 완전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pipe without digging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로의 크랙, 부분파손, 이음부 등의 다양한 손상 부위를 신속하고 완전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굴착 보수공법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관로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이음부가 벌어지거나 단차가 생기는 등 누수를 야기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발생시 이상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공법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보수공법으로는 이상부위 구간에 전체적으로 합성수지 관을 끼워 넣어서 보수하는 전체보수공법,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이상부위만을 대상으로 유리섬유에 접착수지액을 도포하여 함침시킨 후 경화시켜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라이닝 공법,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의 비굴착 보수부재를 관로 내에 밀착하여 설치하는 보강링공법 등이 있다.
상기 공법들 가운데서 라이닝 공법은 다른 공법들에 비해 누수를 야기하던 관로의 파손 및 균열 부위를 비교적 깨끗하게 메울 수 있고, 시공후 관로 내부가 매끄러워 하수의 흐름에 지장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어 그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라이닝 공법의 경우에는 관로 내벽에 피복되는 라이닝재가 액상 또는 연질이고 경화되기 전까지는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스스로 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여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야기되었다.
첫째, 라이닝재를 관로 내벽에 피복하는 과정이 상당히 까다롭고 복잡하였으며, 이로 인해 고가의 장비들이 사용되고 시공시간은 많이 소요되었다.
*둘째, 피복 강도 확보를 위해 라이닝재를 두껍게 피복해야 하는 관계로 사용되는 라이닝재의 양이 많아 시공비가 증가하고 관경이 축소되었다.
또한, 라이닝재의 경화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었다.
셋째, 라이닝재를 두껍게 피복하더라도 여전히 구조적 강성이 취약하여 피복된 라이닝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하곤 하였다.
넷째, 라이닝재가 경화된 이후에도 피복된 라이닝재가 관로 내벽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는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었다.
따라서 라이닝 공법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 외에 이 보수재료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판을 보강지지관으로 이용하여 이상부위를 대상으로 경화시켜 보수하는 개량형 라이닝 부분보수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개량형 라이닝 부분보수공법의 경우 기존의 라이닝 공법과 비교하여 라이닝재를 얇게 피복할 수 있고, 작업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게 되어 라이닝 공법이 야기하던 문제들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개량형 라이닝 부분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판은 자체 지지력이 없는 라이닝재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고 모든 하중을 자체적으로 지지해야 하였기 때문에 높은 강도의 것으로 구비되어야만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관로 보수 공법은 도포된 라이닝재가 단순하게 가압튜브로만 가압하여 부착하므로 피복된 라이닝재가 관로 내벽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라이닝패드를 가압튜브로 1차로 가압함과 동시에 가압롤러로 2차 가압하여 관로의 내주연에 라이닝패드를 최대한 얇게 피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견고하게 관로를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굴착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의 훼손부분에 라이닝재의 침투가 용이하고 관로의 내경 축소를 최소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크랙, 부분파손, 이음부 및 연결부 등 손상된 부위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굴착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는 관통관의 양단 외주연에 지지프레임을 각각 형성하고 지지프레임 사이에 가압튜브를 형성하여 관로의 내주연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관통관 외주연에 기어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모터를 구비하여 기어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기어샤프트 상측에 상호 평행하는 슬라이드바를 형성하고 기어샤프트와 슬라이드바의 좌우에 슬라이딩링을 각각 결합하며 상하좌우의 슬라이드링을 링크바로 연결하고 기어샤프트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 사이에 실린더를 설치하되 실린더의 로드를 슬라이드링에 각각 결합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슬라이드바에 상향으로 좌우 한 쌍의 지지대를 결합하고 지지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가이드장홈을 형성하여 가압롤러의 회전축을 끼워 결합하며 가압롤러의 좌우회전축에 가압지지대 양단을 결합하여 연동되게 하되 가압지지대를 슬라이드바와 대향되게 하여 가압지지대와 슬라이드바 사이에 스프링을 결합한 탄성가압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은 관로의 훼손위치에 이동한 다음 가압튜브에 공기를 압주입하여 팽창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라이닝 패드가 관로의 훼손된 내주연에 가압되도록 하는 1차 가압단계와; 상기 1차 가압단계가 진행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링을 내측으로 당겨 탄성가압부의 가압롤러가 가압튜브의 내주연에 가압되도록 한 다음 기어샤프트를 회전시켜 가압상태의 가압롤러가 라이닝 패드를 관로의 훼손된 내주연에 골고루 가압되도록 하는 2차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는 관로의 내주연에 부착하여 보수 보강하는 라이닝패드를 가압튜브로 1차로 가압하여 밀착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가압롤러가 회전 역회전하여 2차로 가압하므로 관로의 내주연에 라이닝재를 최대한 얇게 피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관로의 내경 축소를 최소화하여 하수 등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훼손부분에 라이닝재의 침투가 원활하고 용이하여 크랙, 부분파손, 이음부 및 연결부 등 손상된 부위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가압튜브의 가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가압롤러의 가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는 관통관(111)의 양단 외주연에 지지프레임(112)을 각각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12) 사이에 가압튜브(113)를 형성하여 관로(10)의 내주연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관통관(111) 외주연에 기어샤프트(12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모터(121)를 구비하여 기어샤프트(123)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120)와; 상기 회전부(120)의 기어샤프트(123) 상측에 상호 평행하는 슬라이드바(134)를 형성하고 기어샤프트(123)와 슬라이드바(134)의 좌우에 슬라이딩링(132,135)을 각각 결합하며 상하좌우의 슬라이드링(132,135)을 링크바(133)로 연결하고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132) 사이에 실린더(131)를 설치하되 실린더(131)의 로드를 슬라이드링(132)에 각각 결합한 가압부(130)와; 상기 가압부(130)의 슬라이드바(134)에 상향으로 좌우 한 쌍의 지지대(142)를 결합하고 지지대(142)의 상부에 수직으로 가이드장홈(143)을 형성하여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을 끼워 결합하며 가압롤러(141)의 좌우회전축에 가압지지대(144) 양단을 결합하여 연동되게 하되 가압지지대(144)를 슬라이드바(134)와 대향되게 하여 가압지지대(144)와 슬라이드바(134) 사이에 스프링(145)을 결합한 탄성가압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바디(110)는 전후좌우에 이동롤러(116)를 지지대(115)로 결합하고 가압튜브(113)의 외주연에 안치홈부(114)를 형성하여 라이닝패드(150)를 편리하게 자제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120)는 모터(121)를 지지프레임(112)의 내부에 설치하고 모터(121)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122)을 기어샤프트(123)의 일측에 결합하여 가압부(130)의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슬라이드링(132) 동작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어샤프트(123)가 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130)는 실린더(131)의 좌우에 각각 로드를 형성하여 회전부(120)의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132)을 동시에 전 후진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기어샤프트(123)와 슬라이드바(134)의 좌우에 슬라이딩링(132,135)을 각각 결합하되 슬라이드링(132)과 슬리이드링(135)을 2개의 바를 교차시킨 링크바(133)로 연결하여 슬라이드링(132,135)의 좌우 거리에 따라 슬라이드바(13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가압부(140)는 가압부(130)의 슬라이드바(134)에 상향으로 좌우 한 쌍의 지지대(142)를 결합하되 슬라이드바(134)의 중앙부분이나 좌우 단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바(134)에 결합된 슬라이드링(135)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에 결합된 가압지지대(144)를 스프링(145)으로 탄력 설치하므로 가압롤러(141)도 탄력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이 지지대(142)의 가이드장홈(143)에 삽입시켜 가압롤러(141)가 상하로 원활하게 탄력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압롤러(141)의 외주연에는 요철이나 돌기를 형성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방법은 다수 겹의 부직포에 라이닝재를 충진하고 내부에 와이어메시를 삽입하는 라이닝패드(150) 제작단계와; 상기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라이닝 패드(150)를 바디(110)의 가압튜브(113) 외주연에 감아 자제시키는 라이닝패드 결합단계와; 상기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관로(10)의 훼손 위치로 이동하여 정확하게 바디(110)를 세팅하는 이동완료단계와; 상기 이동완료단계가 완료되면 가압튜브(113)에 공기를 압주입하여 팽창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라이닝 패드(150)가 관로(10)의 훼손된 내주연에 가압되도록 하는 1차 가압단계와; 상기 1차 가압단계가 진행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링(132,135)을 내측으로 당겨 탄성가압부(140)의 가압롤러(141)가 가압튜브(113)의 내주연에 가압되도록 한 다음 기어샤프트(123)를 회전시켜 가압상태의 가압롤러(141)가 라이닝 패드(150)를 관로(10)의 훼손된 내주연에 골고루 가압되도록 하는 2차 가압단계; 및 상기 2차 가압단계가 완료되면 슬라이드링(132,135)을 외측으로 밀어 가압상태의 가압롤러(141)를 원위치시키고 가압튜브(113)의 공기압을 제거하여 1, 2차 가압단계를 해제하는 완료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제작단계는 라이닝재와 와이어메시를 부직포 내에 충진 삽입하므로 인장강도와 점착력에 의한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관로의 훼손부분을 우수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단계는 라이닝패드(150)를 바디(110)의 가압튜브(113) 외주연에 감아 밴드 등으로 가체결하여 자제시키되 팽창할 때 가체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완료단계는 라이닝패드(150)가 가체결된 보수보강장치(100)를 다양한 통상의 방법으로 관로(10)의 보수 보강 위치로 이동시키다.
상기 1차 가압단계는 가압튜브(114)에 공기를 압주입하여 팽창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외주연에 자제된 라이닝 패드(150)가 관로(10)의 훼손된 내주연에 가압되어 밀착도록 한다.
상기 2차 가압단계는 실린더(131)의 구동하여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132)을 당기면 링크바(133)에 의해 슬라이드바(134)의 좌우에 결합된 슬라이딩링(135)도 함께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드링(132)과 슬라이드링(135)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슬라이드바(134)가 외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바(134)의 외향측에 결합된 지지대(142)도 외향으로 전진하여 지지대(134)에 결합된 가압롤러(141)가 가압튜브(113)의 내주연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압튜브(113)의 외주연에서 1차 가압상태의 라이닝패드(150)가 관로(10)의 내주연에 더욱 가압되어 밀착되는 것이다.
더욱이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이 지지대(142)의 가이드장홈(143)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에 결합된 가압지지대(144)가 스프링(145)으로 탄력설치되므로 가압롤러(141)가 탄성에 의해 가압튜브(113)의 내주연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21)를 구동하여 회전축의 피니언(122)을 회전과 역회전 반복하면 가압롤러(141)가 라이닝패드(150)에 2차로 골고루 압력을 전가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라이닝패드(15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닝패드(150)에 흡착된 라이닝재가 훼손부위에 더욱 침투하도록 하여 훼손부위를 견고하게 보수 보강하고 라이닝패드(150)의 결합에 따른 관로(10)의 내경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관로 100 : 보수보강장치
110 : 바디 111 : 관통관
112 : 지지프레임 113 : 가압튜브
114 : 안치홈부 115 : 지지대
116 : 이동롤러 120 : 회전부
121 : 모터 122 : 피니언
123 : 기어샤프트 130 : 가압부
131 : 실린더 132 : 슬라이드링
133 : 링크바 134 : 슬라이드바
135 : 슬라이드링 140 : 가압탄성부
141 : 가압롤러 142 : 지지대
143 : 가이드장홈 144 : 가압지지대
145 : 스프링 150 : 라이닝패드

Claims (4)

  1. 관통관(111)의 양단 외주연에 지지프레임(112)을 각각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12) 사이에 가압튜브(113)를 형성하여 관로(10)의 내주연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관통관(111) 외주연에 기어샤프트(12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모터(121)를 구비하여 기어샤프트(123)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부(120)와;
    상기 회전부(120)의 기어샤프트(123) 상측에 상호 평행하는 슬라이드바(134)를 형성하고 기어샤프트(123)와 슬라이드바(134)의 좌우에 슬라이딩링(132,135)을 각각 결합하며 상하좌우의 슬라이드링(132,135)을 링크바(133)로 연결하고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132) 사이에 실린더(131)를 설치하되 실린더(131)의 로드를 슬라이드링(132)에 각각 결합한 가압부(130)와;
    상기 가압부(130)의 슬라이드바(134)에 상향으로 좌우 한 쌍의 지지대(142)를 결합하고 지지대(142)의 상부에 수직으로 가이드장홈(143)을 형성하여 가압롤러(141)의 회전축을 끼워 결합하며 가압롤러(141)의 좌우회전축에 가압지지대(144) 양단을 결합하여 연동되게 하되 가압지지대(144)를 슬라이드바(134)와 대향되게 하여 가압지지대(144)와 슬라이드바(134) 사이에 스프링(145)을 결합한 탄성가압부(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 모터(121)를 지지프레임(112)의 내부에 설치하고 모터(121)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122)을 기어샤프트(123)의 일측에 결합하여 가압부(130)의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슬라이드링(132) 동작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어샤프트(123)가 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부(130)는 실린더(131)의 좌우에 각각 로드를 형성하여 회전부(120)의 기어샤프트(123)에 결합된 좌우 슬라이드링(132)을 동시에 전 후진시키도록 하고, 상기 탄성가압부(140)는 가압부(130)의 슬라이드바(134)의 중앙부분이나 좌우 단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바(134)에 결합된 슬라이드링(135)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3. 다수 겹의 부직포에 라이닝재를 충진하고 내부에 와이어메시를 삽입하는 라이닝패드(150) 제작단계와;
    상기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라이닝 패드(150)를 바디(110)의 가압튜브(113) 외주연에 감아 자제시키는 라이닝패드 결합단계와;
    상기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관로(10)의 훼손 위치로 이동하여 정확하게 바디(110)를 세팅하는 이동완료단계와;
    상기 이동완료단계가 완료되면 가압튜브(113)에 공기를 압주입하여 팽창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라이닝 패드(150)가 관로(10)의 훼손된 내주연에 가압되도록 하는 1차 가압단계와;
    상기 1차 가압단계가 진행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링(132,135)을 내측으로 당겨 탄성가압부(140)의 가압롤러(141)가 가압튜브(113)의 내주연에 가압되도록 한 다음 기어샤프트(123)를 회전시켜 가압상태의 가압롤러(141)가 라이닝 패드(150)를 관로(10)의 훼손된 내주연에 골고루 가압되도록 하는 2차 가압단계; 및
    상기 2차 가압단계가 완료되면 슬라이드링(132,135)을 외측으로 밀어 가압상태의 가압롤러(141)를 원위치시키고 가압튜브(113)의 공기압을 제거하여 1, 2차 가압단계를 순차적으로 해제하는 완료단계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압단계는 모터(121)를 구동하여 회전축의 피니언(122)을 회전과 역회전 반복하면 가압롤러(141)가 라이닝패드(150)에 2차로 골고루 압력을 전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방법.
KR1020110014870A 2011-02-21 2011-02-21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KR10106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70A KR101067068B1 (ko) 2011-02-21 2011-02-21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70A KR101067068B1 (ko) 2011-02-21 2011-02-21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068B1 true KR101067068B1 (ko) 2011-09-22

Family

ID=4495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70A KR101067068B1 (ko) 2011-02-21 2011-02-21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0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9698A (zh) * 2016-06-22 2016-08-24 深圳市樊溪电子有限公司 一种管路修补用贴着嵌合装置
KR102094982B1 (ko) * 2019-11-28 2020-03-30 노딕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KR102094983B1 (ko) * 2019-11-28 2020-05-15 노딕기술 주식회사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하수박스 보수 보강시스템 및 공법
EP3653919A1 (en) * 2018-11-16 2020-05-20 Wessex Engineering & Construction Services Limited Pipe rep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927A (ja) * 1993-10-05 1995-04-18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の内張り施工法及び内張り施工機
KR100798220B1 (ko) 2005-04-28 2008-01-24 유정식 관로 비굴착 몰탈 라이닝 및 압착 보수·보강공법
KR100821648B1 (ko) 2007-11-16 2008-04-14 (주)동영이엔씨 관로의 무인 자동화 보수공법
KR100946465B1 (ko) 2007-11-24 2010-03-10 에코랜드 주식회사 관로라이닝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927A (ja) * 1993-10-05 1995-04-18 Osaka Bosui Constr Co Ltd 管の内張り施工法及び内張り施工機
KR100798220B1 (ko) 2005-04-28 2008-01-24 유정식 관로 비굴착 몰탈 라이닝 및 압착 보수·보강공법
KR100821648B1 (ko) 2007-11-16 2008-04-14 (주)동영이엔씨 관로의 무인 자동화 보수공법
KR100946465B1 (ko) 2007-11-24 2010-03-10 에코랜드 주식회사 관로라이닝로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9698A (zh) * 2016-06-22 2016-08-24 深圳市樊溪电子有限公司 一种管路修补用贴着嵌合装置
WO2017219452A1 (zh) * 2016-06-22 2017-12-28 深圳市樊溪电子有限公司 一种管路修补用贴着嵌合装置
EP3653919A1 (en) * 2018-11-16 2020-05-20 Wessex Engineering & Construction Services Limited Pipe repair
US11585479B2 (en) 2018-11-16 2023-02-21 Turnbull Infrastructure & Utilities Limited Pipe repair
AU2019264639B2 (en) * 2018-11-16 2023-11-16 Turnbull Infrastructure & Utilities Limited Pipe repair
US11898686B2 (en) 2018-11-16 2024-02-13 Turnbull Infrastructure & Utilities Limited Pipe repair
KR102094982B1 (ko) * 2019-11-28 2020-03-30 노딕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KR102094983B1 (ko) * 2019-11-28 2020-05-15 노딕기술 주식회사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하수박스 보수 보강시스템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068B1 (ko)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CN113339585B (zh) 一种引水工程顶管用内穿钢管的施工方法
WO2017219452A1 (zh) 一种管路修补用贴着嵌合装置
CN106195441A (zh) 一种适用于雨水连管的非开挖式整体修复方法
WO2013139892A2 (de) System zum sanieren eines kanalschachtes
KR101463593B1 (ko) 하수관을 포함하는 지중 관거의 보수를 위한 제관벨트 라이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거 보수 공법
CN109751475A (zh) 一种圆形管道给进式整体修复设备及其修复方法
JP6917742B2 (ja) 管路の更生方法
CN110242793B (zh) 一种钢筋砼管道的安装方法
KR102290027B1 (ko) 광경화튜브를 이용하는 노후관로의 비굴착 보수보강공법 및 그것에 이용되는 광경화튜브
CN107297807B (zh) 一种拉带式拼圆机及拼圆方法
RU2479784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04324708A (ja) 埋設管の陥没補修方法、陥没補修機及び矯正部材
KR101206997B1 (ko) 관로 갱생공법
KR20130101316A (ko) 비굴착공법용 보수튜브의 견인장치
CN206053971U (zh) 一种隧道中埋式止水带安装装置
JP2007303535A (ja) 管路の更生方法
KR100798220B1 (ko) 관로 비굴착 몰탈 라이닝 및 압착 보수·보강공법
KR101071279B1 (ko) 재분산성 폴리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CN114833974A (zh) 一种led光固化装置
KR101026755B1 (ko) 재분산성 폴리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JP3685494B2 (ja) 排水取付管の補修方法及び使用する支持台車
KR101658739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장치
KR101193760B1 (ko) 관로 보수재료의 연속반전을 이용한 장치
CN113054595B (zh) 一种地埋玻璃钢电缆穿套管安装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