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982B1 -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982B1
KR102094982B1 KR1020190155556A KR20190155556A KR102094982B1 KR 102094982 B1 KR102094982 B1 KR 102094982B1 KR 1020190155556 A KR1020190155556 A KR 1020190155556A KR 20190155556 A KR20190155556 A KR 20190155556A KR 102094982 B1 KR102094982 B1 KR 10209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essing
plate
ma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식
Original Assignee
노딕기술 주식회사
경기도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딕기술 주식회사, 경기도시공사 filed Critical 노딕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인지지대(111)를 구비하고 메인지지대(111)에 조절지지대(112)를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조절지지대(112)에 수직으로 나사 결합하되 상단에 가압플레이트(124)를 결합하는 지지가압부(120)와, 상기 지지가압부(120)의 상부에 탄성거푸집(131)을 상향으로 탄력 설치하는 보강지지부(130)와, 상기 보강지지부(130)의 상면에 안치하여 보수재를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메인가압부(140)로 구성하므로 탄성거푸집(131)을 하수관로에 탄력 설치하여 밀착됨과 동시에 됨과 동시에 메인팽창부재(140)를 팽창시키면 가압타공플레이트(141)와 하부지지플레이트(142)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141)의 상면의 보수재가 하수관로의 훼손부분에 압입상태를 지속하여 유지시키므로 훼손부분에 보수재를 효율적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공기를 충분하게 접촉시켜 신속하고 견고하게 보수재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system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of Concrete sewage box}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박스형의 하수관로에 보수재를 가압하면서 안정적인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하여 신속하고 견고하게 훼손부분을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상하수 관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상수관로의 경우 부식이 발생하여 막대한 량의 물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고, 관로로 유입되는 녹물로 인해서 식수가 오염되며, 하수관로의 경우 크랙 등이 발생되어 하수가 관로 밖으로 흘러나와 토양은 물론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 생활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관로의 손상으로 인한 싱크홀은 지하물길이 하수관로 배면부 주변에 형성될 경우 지하수가 하수관로 외벽표면에 스며들게 되어 콘크리트 부식 및 균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지하수와 토사가 손상된 하수관로 외벽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공동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공동이 발생된 지반은 계속해서 토사가 손상된 하수관로 상부에 낙하되고 무게를 지탱하지 못한 하수관로가 파손되며, 이후 계속해서 토사가 낙하되어 공동이 확대되고 결국 도로까지 파손됨으로써 지반 침하가 발생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20794호 등으로,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된 노후 매설관로를 보수함에 있어 노후 매설관로 속에 보강튜브를 삽입으로 하수관 속에 새로운 복합관을 형성시켜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보상 보수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박스형 관로에는 적용하기 까다롭고 보수부분에 공기를 차단하여 보수재의 신속한 반응을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하수관로의 훼손부분에 거푸집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탄력 설치함과 동시에 보수재를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면서 경화시키므로 견고한 보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훼손부분에 보수재를 가압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공기와 보수재를 접촉시켜 보수재의 신속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로 훼손이 발생하는 상측 부분을 효율적으로 보수보강함과 동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은 메인지지대를 구비하고 메인지지대에 조절지지대를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조절지지대에 가압지지대를 수직으로 나사 결합하되 가압지지대의 상단에 가압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지지가압부와, 상기 지지가압부의 가압플레이트 상측에 탄성거푸집을 상향으로 탄력 설치하는 보강지지부와, 상기 보강지지부의 탄성거푸집의 내부에 안치하고 상면에 보수재를 적재하여 상향으로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메인가압부로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메인가압부는 가압타공플레이트를 보강지지부의 탄성거푸집 내측으로 안치시키고 가압타공플레이트의 저면에 하부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되 하부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간격유지봉을 형성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하고 하부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메인팽창부재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은 탄성거푸집을 하수관로에 탄력 설치하여 밀착됨과 동시에 됨과 동시에 메인팽창부재를 팽창시키면 가압타공플레이트와 하부지지플레이트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의 상면의 보수재가 하수관로의 훼손부분에 압입상태를 지속하여 유지시키므로 훼손부분에 보수재를 효율적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공기를 충분하게 접촉시켜 신속하고 견고하게 보수재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하수관로의 훼손부분에 거푸집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탄력 설치함과 동시에 보수재를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면서 원활하게 공기와 보수재를 접촉시켜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견고한 보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전체단면도.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보조지지부와 지지가압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메인가압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메인가압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지지가압부 가압 직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지지가압부 가압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의 메인가압부 가압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은 메인지지대(111)를 구비하고 메인지지대(111)에 조절지지대(112)를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조절지지대(112)에 수직으로 나사 결합하되 상단에 가압플레이트(124)를 결합하는 지지가압부(120)와, 상기 지지가압부(120)의 상부에 탄성거푸집(131)을 상향으로 탄력 설치하는 보강지지부(130)와, 상기 보강지지부(130)의 상면에 안치하여 보수재를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메인가압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메인지지대(111)에 수직으로 조절지지대(112)를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메인지지대(111)의 상측과 조절지지대(112)의 하측에 고정부재(115)를 구비한 다수개의 조절나사공(113)을 천공하여 높낮이를 조절한 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지지대(112)는 상단에서 하향으로 나사공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지지가압부(120)의 하부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가압부(120)는 가압지지대(121)를 구비하고 가압지지대(121)의 하부를 나사봉(122)으로 형성하여 조절지지대(112)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하므로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가압지지대(121)의 상단에는 수평으로 가압플레이트(124)를 결합하되 베어링(125)으로 결합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플레이트(124)의 모서리 부분에 가이드공(126)을 천공한다.
나아가, 가압지지대(121)의 외주연에는 키부(123)를 형성하고 키부(123)에 키공(128)을 형성한 회전구(127)를 관통시켜 결합하되 회전구(127)의 외주연에 손잡이(129)를 형성하여 가압지지대(121)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가압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강지지부(130)는 탄성거푸집(131)을 구비하되 탄성거푸집(131)의 저면에 하향으로 탄성가이드봉(135)을 형성하고 탄성가이드봉(135)의 외주연에 압축스프링(136)을 끼워 형성하되 탄성가이드봉(135)을 가압지지대(121) 가이드공(126)에 관통시켜 고정하므로 가압지지대(121)의 상면에 압축스프링(136)의 하단이 걸려 탄성거푸집(131)을 탄력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거푸집(131)은 수직가이드편(132)을 형성하여 내부공간을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장자리에 수평가이드편(133)을 형성하여 수평가이드편(133)의 모서리에 가이드봉(134)을 관통시키며 가이드봉(134)의 하단에 가이드플레이트(137)를 결합하여 탄성거푸집(131)의 가이드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되 가이드플레이트(137)의 중앙에 가이드공(138)을 천공하여 지지가압부(20)의 가압지지대(121)를 간섭없이 관통시킨다.
나아가, 탄성거푸집(131)의 수직가이드편(132)에는 수평으로 구멍(나타내지 않음)을 천공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후술하는 메인가압부(140)의 메인팽창부재(144)의 라인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가압부(140)는 보강지지부(130)의 탄성거푸집(131)의 내측으로 가압타공플레이트(141)를 안치시키되 가압타공플레이트(141) 저면에 하부지지플레이트(142)를 결합하고 하부지지플레이트(142)의 상면에 간격유지봉(143)을 형성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141)의 저면과 하부지지플레이트(142)의 상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므로 가압타공플레이트(141)가 보수재를 직접 가압하면서 공기와 가압상태의 보수재가 충분하게 접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지지플레이트(142)의 하측에는 튜브 등의 메인팽창부재(144)를 형성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141)와 하부지지플레이트(142)를 승하강 시킴과 동시에 표면적에 고르게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팽창부재(144)에는 압력계(145)와 압력컨트롤러(146)를 형성하여 정확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타공플레이트(141)와 하부지지플레이트(142)를 승강시킴고 동시에 보수재에 고른 압력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성거푸집(131)의 내부 공간에 형성한 가압타공플레이트(141) 상면에 보수부분에 충분하게 충진시키고 남을 분량의 보수재를 적재하고 조절지지대(112)를 상측으로 올려 가압플레이트(124)의 상측에 형성시킨 탄성거푸집(131)의 상단이 하수관로의 훼손부분에 최근접시킨 상태에서 조절지지대(112)를 고정부재(115)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조절지지대(112)의 고정이 완료되면, 가압지지대(121)에 키결합 시킨 회전구(127)를 회전시키면 가압지지대(121)의 하측에 형성시킨 나사봉(122)으로 인하여 가압지지대(121)가 상승하므로 가압지지대(121)의 상단에 결합시킨 가압플레이트(124)도 탄성가이드봉(135)의 압축스프링(136)을 점점 가압하면서 상승하고, 따라서 가압플레이트(124)의 상측에 결합시킨 탄성거푸집(131)도 상승하므로 탄성거푸집(131)의 상단이 하수관로에 밀착됨과 동시에 됨과 동시에 점점 탄력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훼손부분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콘트롤러(146)를 제어하여 메인팽창부재(144)를 팽창시키면 가압타공플레이트(141)와 하부지지플레이트(142)가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141)의 상면에 충분하게 적재시킨 보수재가 하수관로의 훼손부분에 압입상태를 지속하여 유지시키므로 훼손부분에 보수재를 효율적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공기를 충분하게 접촉시켜 신속하고 견고하게 보수재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강보수장치 110 : 지지부
111 : 메인지지대 112 : 조절지지대
113 : 조절나사공 114 : 베이스
115 : 고정부재 120 : 지지가압부
121 : 가압지지대 122 : 나사봉
123 : 키부 124 : 가압플레이트
125 : 베어링 126 : 가이드공
127 : 회전구 128 : 키공
129 : 손잡이 130 : 보강지지부
131 : 탄성거푸집 132 : 수직가이드편
133 : 수평가이드편 134 : 가이드봉
135 : 탄성가이드봉 136 : 압축스프링
137 : 가이드플레이트 138 : 가이드공
140 : 메인가압부 141 : 가압타공플레이트
142 : 하부지지플레이트 143 : 간격유지봉
144 : 메인팽창부재 145 : 압력계
146 : 압력컨트롤러

Claims (4)

  1. 메인지지대(111)를 구비하고 메인지지대(111)에 조절지지대(112)를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조절지지대(112)에 가압지지대(121)를 수직으로 나사 결합하되 가압지지대(121)의 상단에 가압플레이트(124)를 결합하는 지지가압부(120)와,
    상기 지지가압부(120)의 가압플레이트(124) 상측에 탄성거푸집(131)을 상향으로 탄력 설치하는 보강지지부(130)와,
    상기 보강지지부(130)의 탄성거푸집(131)의 내부에 안치하고 상면에 보수재를 적재하여 상향으로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메인가압부(140)로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메인가압부(140)는 가압타공플레이트(141)를 보강지지부(130)의 탄성거푸집(131) 내측으로 안치시키고 가압타공플레이트(141)의 저면에 하부지지플레이트(142)를 결합하되 하부지지플레이트(142)의 상면에 간격유지봉(143)을 형성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141)의 저면과 하부지지플레이트(142)의 상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하고 하부지지플레이트(142)의 하측에 메인팽창부재(144)를 형성하여 가압타공플레이트(141)와 하부지지플레이트(142)를 승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메인지지대(111)에 수직으로 조절지지대(112)를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지지대(111)의 상측과 조절지지대(112)의 하측에 고정부재(115)를 구비한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며 조절지지대(112)의 상측에 조절나사공(114)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가압부(120)는 가압지지대(121)를 구비하고 가압지지대(121)의 하부를 나사봉(122)으로 형성하여 조절지지대(112)의 조절나사공(114)에 나사 결합하며 가압지지대(121)의 상단에 수평으로 가압플레이트(124)를 결합하여 공회전하도록 하고 가압플레이트(124)의 모서리 부분에 가이드공(126)을 각각 천공하여 구성하되 가압지지대(121)의 외주연에 키부(123)를 형성하고 키부(123)에 키공(128)을 형성한 회전구(127)를 관통시켜 결합하며 회전구(127)의 외주연에 손잡이(129)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부(130)는 탄성거푸집(131)을 구비하고 탄성거푸집(131)의 저면에 하향으로 탄성가이드봉(135)을 형성하며 탄성가이드봉(135)의 외주연에 압축스프링(136)을 끼우되 탄성가이드봉(135)을 가압지지대(121) 가이드공(126)에 관통시켜 고정하므로 가압지지대(121)의 상면에 압축스프링(136)의 하단이 걸려 탄성거푸집(131)을 탄력 설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거푸집(131)의 상면에 수직가이드편(132)을 형성하여 상부를 개구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가장자리에 수평가이드편(133)을 형성하여 수평가이드편(133)의 모서리에 가이드봉(134)을 관통시키며 가이드봉(134)의 하단에 가이드플레이트(137)를 결합하고 가이드플레이트(137)의 중앙에 가이드공(138)을 천공하여 지지가압부(20)의 가압지지대(121)를 간섭없이 관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4. 삭제
KR1020190155556A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KR10209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56A KR102094982B1 (ko)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56A KR102094982B1 (ko)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982B1 true KR102094982B1 (ko) 2020-03-30

Family

ID=7000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556A KR102094982B1 (ko)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9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1Y1 (ko) * 2005-08-10 2005-11-15 이철민 관로 보수용 미장장치
KR101067068B1 (ko) * 2011-02-21 2011-09-22 손종영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KR20180034725A (ko) * 2016-09-26 2018-04-05 창운건설 주식회사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1Y1 (ko) * 2005-08-10 2005-11-15 이철민 관로 보수용 미장장치
KR101067068B1 (ko) * 2011-02-21 2011-09-22 손종영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KR20180034725A (ko) * 2016-09-26 2018-04-05 창운건설 주식회사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8422C (en) Height-adjustable, structurally suspended slabs for a structural foundation
US7182316B2 (en) Adjustable support bracket
AU2011337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the wall of a manhole
KR1013789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KR100928469B1 (ko) 높이 조절형 밸브실
CN104695608A (zh) 建筑物管道间的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94982B1 (ko) 콘크리트 하수박스 보수보강 시스템
KR101809111B1 (ko) 수직시공이 보강된 파일 압입 시설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100905728B1 (ko) 맨홀 보수기구와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방법
CN105220882A (zh) 一种水泥浇捣厚度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672676A (zh) 一种用于剪力墙标高和水平控制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94983B1 (ko) 가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하수박스 보수 보강시스템 및 공법
JPH0347305A (ja) 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沈下修復方法
CN205896396U (zh) 一种组合式快装管道支架
US7454871B2 (en) Adjustable pier
CN214194796U (zh) 一种卫生间沉箱装置
JP4976952B2 (ja) 路面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転圧盤並びにガイド部材
CN106051307A (zh) 一种组合式快装管道支架及其安装方法
JP5348781B2 (ja) 基礎構造体の修復方法
KR20080004036A (ko) 공작기계의 높이 조절 장치
KR100823163B1 (ko) 석션드레인장치
JP4618413B2 (ja) 基礎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られる加圧装置並びに該施工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布基礎又はベタ基礎
CN215106935U (zh) 一种基于架空设计地面的管网快速安装结构
KR100774094B1 (ko) 물탑에 의한 자연수압 반전장치
CN219774340U (zh) 泵改造底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