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155A -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 Google Patents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155A
KR20070079155A KR1020060009634A KR20060009634A KR20070079155A KR 20070079155 A KR20070079155 A KR 20070079155A KR 1020060009634 A KR1020060009634 A KR 1020060009634A KR 20060009634 A KR20060009634 A KR 20060009634A KR 20070079155 A KR20070079155 A KR 2007007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reinforcement
spraying
repair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식
Original Assignee
유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식 filed Critical 유정식
Priority to KR102006000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9155A/ko
Publication of KR2007007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수지 계열의 유기계 또는 몰탈 계열의 무기계 습식 결합재를 소정의 횟수 반복적으로 분사하여 보수하도록 구성하였고,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계나 몰탈을 포함하는 무기계의 습식 라이닝 보수를 실시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로를 대상으로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원통형 와이어메쉬의 외면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 겸 보강철근이 결속선으로 고정된 철재 보강재를 설치한 후 이 철재 보강재 상에 수지 몰탈, 습식 몰탈 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분사하여 도포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장하여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 보수를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가지 실시예 공히 시공성 또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omitted}
도 1은 통상적인 부분보수공법의 종단 개념도.
도 2는 통상적인 임의구간보수공법을 포함한 전체보수공법의 종단 개념도.
도 3은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부착시킨 표면상에 습식 결합재를 분사하여 부분보수공법, 임의구간보수공법 또는 전체보수공법을 시공중인 제 1 실시예의 종단 개념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
도 5는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부착시킨 표면상에 부분보수용 습식 라이닝재를 시공중인 제 2 실시예 중의 한가지 종단 개념도.
도 6은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부착시킨 표면상에 임의구간보수용 또는 전체보수용 습식 라이닝재를 시공중인 제 2 실시예 중의 또 다른 한가지 종단 개념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 및 도 6의 B'-B'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
도 8은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부착시킨 표면상에 임의구간보수용 또는 전체보수용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재를 시공중인 제 3 실시예의 종단 개념도.
도 9는 도 8의 C-C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로 3 : 이음부
5 : 파손부 6 : 맨홀
7 : 보수재 9 : 습식 접착제
11 :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13 : 습식 결합재
15 : 분사장치 17 : 몸체
19 : 바퀴 21 : 분사노즐
23 : 카메라 25 : 이동용 밧줄
27 : 분사용 재료 공급 호스 29 : 부분보수기구
31 : 고무튜브 33 : 바퀴
35 : 견인용 밧줄 37 : 공기 주입용 호스
39 : 반전 유도용 밧줄 41 : 공기압 또는 수압
43 : 온수 또는 증기 45 : 습식 라이닝재
47 : 간격재 겸 보강철근 49 : 와이어메쉬
51 : 결속선 53 :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재
본 발명은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에 관한 것으로 서, 습식 접착제가 분사되어 도포된 관로 내면에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한 후 습식 결합재를 분사하거나, 습식 라이닝재 또는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재를 시공하여 보수재를 형성시킴으로써 보수재의 부착성 향상을 통한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의 관로 비굴착 보수공법 중에는 무기계 재료인 콘크리트관을 대상으로 유기계 수지계열의 보수재료를 사용하는 에프알피(F.R.P.)공법이 있으나 부착이 불가능하고 단순히 밀착만 가능한 정도이므로 보수 대상 관로와 보수재가 복합관으로 일체화될 수는 없어서 보수·보강의 궁극적인 목적인 파괴강도를 포함한 외압강도의 증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유기계 수지계열의 플라스틱관 또는 에프알피(F.R.P.)관을 대상으로 무근 또는 철근콘크리트와 같은 무기계 보수재료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보수공법은 이질재료로서 밀착 정도만 가능할 뿐 부착은 불가능한 기술적인 문제로 인하여 전혀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무기계 재료인 콘크리트관을 대상으로 동일한 무기계 재료인 습식 몰탈을 사용하여 미장장치를 사용하거나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미장하는 경우에도 습식 몰탈 자체가 점착성이 있음은 물론 중량이 무거운 편이므로 관로의 내면 특히 단차진 이음부 등을 대상으로 균등한 두께로 미장이 어려워서 시공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여기서, 습식 몰탈은 모래와 결합재인 시멘트 및 물로 구성되어 있어 젖은 시멘트의 경우 점착성이 높아서 미장칼이나 미장판에 몰탈이 달라붙거나 미장면이 매끄럽게 시공되지 못하고, 젖은 시멘트와 모래가 합쳐지면 중량이 무거워서 미장장치나 분사장치를 사용하여 관로를 보수해야 하는 경우 몰탈이 탈락되는 등 관로의 내면 특히 단차진 이음부 등을 대상으로 균등한 두께의 미장이 어려워서 시공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수 대상 관로의 재질 종류와 보수재의 재질 종류에 따라 접착제의 종류도 달라져야 부착성이 우수하게 되고 이로 인해 파괴강도를 포함한 외압강도의 증가에 따른 관로의 보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계 또는 무기계 등 접착제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부착성이 우수한 모래나 규사 등의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중간 매체로 활용하여 관로와 보수재가 이질재료일 경우에도 부착성 향상을 통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점착성이 높고 중량이 무거운 습식 몰탈을 보수재로 사용하여 미장할 경우에도 미장칼이나 미장면에 몰탈이 달라붙어 미장 두께가 균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몰탈이 탈락되어 시공성 및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동시에 개선시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나 플라스틱관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관을 포함하는 유기계 재료의 관로를 대상으로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후 수지 계열의 유기계 또는 몰탈 계열의 무기계 습식 결합재를 소정의 횟수 반복적으로 분사하여 보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균등한 두께로 시공이 가능하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시공성 및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몰탈 계열의 무기계 습식 결합재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계 섬유와 아라미드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비닐론섬유, 나이론 등의 유기계 섬유를 모두 포함하는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몰탈 외에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도 포함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공법과 임의구간보수공법을 포함하는 전체보수공법의 경우로 각각 구분하여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나 플라스틱관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관을 포함하는 유기계 관로를 대상으로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후 별도의 부분보수장비나 임의구간보수장비를 포함하는 전체보수장비를 각각 사용하여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계나 몰탈을 포함하는 무기계의 습식 라이닝 보수를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몰탈을 포함하는 무기계의 습식 라이닝 보수용 습식 라이닝재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계 섬유와 아라미드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비닐론섬유, 나이론 등의 유기계섬유를 모두 포함하는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몰탈 외에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도 포함된다.
한편,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공법, 임의구간보수공법 및 전체보수공법을 포함하여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나 플라스틱관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관을 포함하는 유기계 관로를 대상으로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후 이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간격재 겸 보강철근이 접하도록 원통형 와이어메쉬의 외면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 겸 보강철근이 결속선으로 고정된 철재 보강재를 설치한 다음 이 철재 보강재 상에 수지 몰탈 또는 습식 몰탈을 분사하여 도포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장하여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 보수를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습식 몰탈은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계 섬유와 아라미드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비닐론섬유, 나이론 등의 유기계섬유를 모두 포함하는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습식 몰탈 외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보수과정을 세가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구분하여 공정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전처리 공정으로 관로(1) 내면의 준설 및 세정작업이 실시된 후 물돌리기 작업이 실시되어야 하나, 이는 이미 공지된 통상적인 방 법에 해당되어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콘크리트 또는 철재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1)나 플라스틱 관로(1)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 관로(1)를 포함하는 유기계 관로(1)를 대상으로 이음부(3)나 파손부(5)에 대한 부분보수공법의 경우나 맨홀(6)과 맨홀(6) 사이의 임의구간보수공법을 포함하는 전 구간에 대한 전체보수공법의 경우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9)를 관로(1)의 내면에 분사장치(15)를 사용하여 분사하거나,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붓 또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장치(15)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몸체(17)의 양쪽 측면부에 소정 수량의 이동용 바퀴(19)가 관로(1)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전후로 굴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몸체(17)의 한쪽 측면에는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밧줄(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습식 접착제(9)나 후술할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 또는 습식 결합재(13) 등의 분사용 보수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용 재료공급호스(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17)의 다른 한쪽 측면에는 고정된 채 소정의 개소에서 원주면을 대상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회전하면서 보수재료의 분사가 가능한 분사노즐(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분사작업 상황을 확인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확인용 카메라(23)가 설치되어 있고, 맨홀(6)과 맨홀(6) 사이의 전 구간에 대한 전체보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한쪽 맨홀(6)에 분사장치(15)를 진입시킨 후 반대쪽 다른 맨홀(6)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분사장치(15)를 후진시키면서 분사하도록 구성하 였으며, 분사장치(15)에 포함되는 발전기나 콤프레서를 포함하는 이동용 차량 등의 일반적인 부분에 대한 도면상의 표기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생략하기로 하였다.
상기 관로(1) 내면의 습식 접착제(9) 상에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를 분사장치(15)로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수지 계열의 유기계 또는 몰탈 계열의 무기계 습식 결합재(13)를 분사하여 보수재(7)가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보수재(7)의 두께를 두텁게 시공할 경우에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와 습식 결합재(13)를 소정의 횟수 반복적으로 분사하여 보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균등한 두께로 시공이 가능하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시공성 및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1)나 플라스틱 관로(1) 또는 수지 계열의 에프알피(F.R.P.) 관로(1)를 포함하는 유기계 관로(1)를 대상으로 이음부(3)나 파손부(5)에 대한 부분보수공법의 경우 관로(1)의 이음부(3)나 파손부(5)에 대하여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9)를 관로(1)의 내면에 도 3에서 전술한 분사장치(15)를 사용하여 분사하거나,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붓 또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상기 관로(1) 내면의 습식 접착제(9) 상에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를 도 3에서 전술한 분사장치(15)로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통상적인 부분보수기구(29)를 사용하여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계 또는 몰탈을 포함하는 무기계의 습식 라이닝재(45)를 추가적으로 시공하 여 보수재(7)를 형성시킴으로써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 상에 습식 라이닝재(45)가 부착된 상태로 경화되어 보수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부분보수기구(29)는 소정의 체적을 갖으며 몸체에 해당되는 고무튜브(31)의 양쪽 측면부에 소정 수량의 이동용 바퀴(33)가 관로(1)의 내면에 접촉되어 전후로 굴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무튜브(31)의 한쪽 측면에는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견인용 밧줄(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고무튜브(31)에 소정의 공기압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공기주입용 호스(37)가 설치되어 있고, 고무튜브(31)의 다른 한쪽 측면에는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견인용 밧줄(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무튜브(31)의 외면상에는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비닐 등의 분리재가 씌워진 상태에서 수지 또는 몰탈 등을 포함하는 습식 라이닝재(45)를 둘러 감은 상태로 관로(1)의 이음부(3) 등 보수대상부위로 부분보수기구(29)를 이동시킨 후 공기주입용 호스(37)를 통해 고무튜브(31)에 소정의 공기압을 작용시켜 습식 라이닝재(45)를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 상에 가압하여 부착시킨 상태로 보수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부분보수기구(29)에 포함되는 발전기나 콤프레서를 포함하는 이동용 차량 등의 일반적인 부분에 대한 도면상의 표기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생략하기로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경우인 맨홀(6)과 맨홀(6) 사이의 임의구간보수공법을 포함하는 전 구간에 대한 전체보수공법의 경우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9)를 관로(1)의 내면에 도 3에서 전술한 분사장치(15)를 사용 하여 분사하거나,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붓 또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상기 관로(1) 내면의 습식 접착제(9) 상에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를 도 3에서 전술한 분사장치(15)로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별도의 통상적인 임의구간보수장치 또는 전체보수장치를 사용하여 에프알피(F.R.P.) 수지 등을 포함하는 습식 라이닝재(45)를 추가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 상에 습식 라이닝재(45)가 부착되어 보수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임의구간보수장치를 포함하는 전체보수장치의 발전기, 콤프레서, 보일러 및 이동용 차량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부분에 대하여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하였으며, 다른 한쪽 맨홀(6)에서 한쪽 맨홀(6)을 향해 관로(1)의 내면 상에서 습식 라이닝재(45)의 한쪽을 묶어 밀폐시킨 다음 뒤집은 상태로 반전 유도용 밧줄(39)을 한쪽 맨홀(6) 방향으로 후진시키면서 당긴 상태에서 습식 라이닝재(45)의 내면에 공기압 또는 수압(41)을 작용시켜 습식 라이닝재(45)가 다른 한쪽 맨홀(6)을 향해 전진되도록 반전시키면서 습식 라이닝재(45)가 관로(1) 내에 펼쳐지도록 한 후 습식 라이닝재(45) 내에 온수 또는 증기(43)를 소정의 시간동안 공급하여 습식 라이닝재(45)가 부착된 채 경화되어 보수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음부(3) 또는 파손부(5)를 포함하는 부분보수공법이나 맨홀(6)과 맨홀(6) 사이의 임의구간보수공법을 포함하는 전 구간에 대한 전체보수공법의 경우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9)를 관로(1)의 내면에 분사장치(15)를 사용하여 분사하거나,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붓 또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도포한다.
상기 관로(1) 내면의 습식 접착제(9) 상에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를 분사장치(15)로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이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 상에 간격재 겸 보강철근(47)이 접하도록 하여 원통형 와이어메쉬(49)의 외면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 겸 보강철근(47)을 통상적인 결속선(51)으로 고정시킨 철재 보강재를 설치한 후 이 철재 보강재 상에 수지 몰탈, 습식 몰탈,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 등을 포함하는 습식 결합재(13)를 분사장치(15)를 사용하여 분사하여 도포하거나, 도면상에서 별도로 표기하지 않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장하여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재(53)가 형성되도록 보수재(7)를 시공함으로써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 보수가 실시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분사장치(15)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몸체(17)의 양쪽 측면부에 소정 수량의 이동용 바퀴(19)가 관로(1)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전후로 굴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몸체(17)의 한쪽 측면에는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밧줄(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습식 접착제(9)나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11) 또는 습식 결합재(13) 등의 분사용 보수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용 재료공급호스(27)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 3에 표기된 분사장치(15)와 동일한 원리로서 일부분에 대한 도면상의 표기는 통상적인 것으로 서 생략하기로 하였다.
또한, 몸체(17)의 다른 한쪽 측면에는 고정된 채 소정의 개소에서 원주면을 대상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회전하면서 보수재료의 분사가 가능한 분사노즐(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분사작업 상황을 확인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확인용 카메라(23)가 설치되어 있고, 맨홀(6)과 맨홀(6) 사이의 전 구간에 대한 전체 보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한쪽 맨홀(6)에 분사장치(15)를 진입시킨 후 반대쪽 다른 맨홀(6)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분사장치(15)를 후진시키면서 분사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분사장치(15)에 포함되는 발전기나 콤프레서를 포함하는 이동용 차량 등의 일반적인 부분에 대한 도면상의 표기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생략하기로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나 플라스틱관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관을 포함하는 유기계 재료의 관로를 대상으로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다음 수지 계열의 유기계 또는 몰탈 계열의 무기계 습식 결합재를 소정의 횟수 반복적으로 분사하여 보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균등한 두께로 시공이 가능하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시공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공법 또는 임의구간보수공법을 포함하는 전체보수공법의 경우로 각각 구분하여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나 플라스틱관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관을 포함하는 유기계 재료의 관로를 대상으로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부분보수장비나 임의구간보수장비를 포함하는 전체보수장비를 각각 사용하여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계나 몰탈을 포함하는 무기계의 습식 라이닝재를 형성시켜 보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로 비굴착 부분보수공법, 임의구간보수공법 및 전체보수공법을 포함하여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철재 또는 옹기를 포함하는 무기계 재료의 관로나 플라스틱관 또는 수지계열의 에프알피(F.R.P.)관을 포함하는 유기계 재료의 관로를 대상으로 각각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습식 접착제를 관로의 내면에 분사하여 도포한 후 모래나 규사를 포함하는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여 균등하게 소정의 두께로 부착시킨 후 이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간격재 겸 보강철근이 접하도록 원통형 와이어메쉬의 외면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재 겸 보강철근이 결속선으로 고정된 철재 보강재를 설치한 다음 이 철재 보강재 상에 수지 몰탈, 습식 몰탈 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등의 습식 결합재를 분사하여 도포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장하여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 보수를 실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착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는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관로의 비굴착 내면 부분보수, 임의구간보수 또는 전체보수를 실시함에 있어서,
    관로의 내면에 습식 접착제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공정과,
    상기 습식 접착제 상에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를 분사하는 공정과,
    상기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습식 결합재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습식 결합재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공정은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습식 라이닝재를 부착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습식 결합재를 도포 또는 분사하는 공정은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상에 간격재 겸 보강철근이 접하도록 원통형 와이어메쉬의 외면상에 간격재 겸 보강철근을 결속선으로 고정시킨 철재 보강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철재 보강재 상에 습식 결합재를 분사 또는 미장하여 습식 철재 보강 라이닝재를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KR1020060009634A 2006-02-01 2006-02-01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KR20070079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34A KR20070079155A (ko) 2006-02-01 2006-02-01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34A KR20070079155A (ko) 2006-02-01 2006-02-01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155A true KR20070079155A (ko) 2007-08-06

Family

ID=3859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634A KR20070079155A (ko) 2006-02-01 2006-02-01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91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49B1 (ko) * 2009-02-02 2011-06-14 허완구 관로 보수·보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보수·보강 공법
KR101963176B1 (ko) * 2018-08-10 2019-03-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몰탈 라이닝을 활용한 비굴착 상하수도관 갱생 라이닝 형성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49B1 (ko) * 2009-02-02 2011-06-14 허완구 관로 보수·보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보수·보강 공법
KR101963176B1 (ko) * 2018-08-10 2019-03-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몰탈 라이닝을 활용한 비굴착 상하수도관 갱생 라이닝 형성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ing a pipe
US6986813B2 (en) Sprayed in place pipe l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151417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lining a pipe
KR101359448B1 (ko)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US2011029724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lining a pipe
CA2095834A1 (en) Lining of passageways
GB2371612A (en) Method and device for lining a pipe conduit or a channel
KR20070098221A (ko) 상수도용 수지 도포 튜브 라이닝 비굴착 갱생공법
KR20070079155A (ko) 관로 비굴착 건식 부착 매개재 겸 보강재 분사공법
US9931668B2 (en) Centrifugal casting concrete pipe method
RU2293905C2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890694B1 (ko) 노후관로 보수보강장치
KR100935396B1 (ko) 필름코팅 부직포 펠트링을 이용한 강관 용접 접합부의 부식방지 라이닝공법.
KR101890693B1 (ko) 노후관로 보수보강공법
KR20080062484A (ko) 시설물 균등 미장재 및 이를 이용한 균등미장 보강공법
CN110332410A (zh) 不停输外贴纤维布修复pccp管的预应力施加装置及使用方法
JPH09123279A (ja) 既設管路の補修工法及び既設管路補修用装置並びに既設管路補修用ライニング材
RU2459134C2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2070495A (ja) 湾曲面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体
JP2000064793A (ja) トンネルの覆工構造およびその覆工方法
KR20150036953A (ko) 관로 비굴착 가변 단면 두께 조정식 균일 두께 미장 공법
KR20140121640A (ko) 맞춤형 관로 내면 보수공법
CN111963817A (zh) 一种管道快速修复锁
JP2002310336A (ja) 推進管の防護方法
KR810002129B1 (ko) 기설 (旣設)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