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841A -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841A
KR20070091841A KR1020060021474A KR20060021474A KR20070091841A KR 20070091841 A KR20070091841 A KR 20070091841A KR 1020060021474 A KR1020060021474 A KR 1020060021474A KR 20060021474 A KR20060021474 A KR 20060021474A KR 20070091841 A KR20070091841 A KR 2007009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unit
hot water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852B1 (ko
Inventor
황환국
한상종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2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8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내에 흐르는 하수유속을 상승시키기 위해,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에 보조관을 부착하여 갱생하고자 하는 하수도관 내부로 견인하고, 수지가 함침되지 않은 밀착튜브를 그 연성튜브 내부에서 수압에 의해서 반전시키는 동시에 보조관에 미리 산정된 공기압력을 주입하여 원하는 형태의 복합단면을 형성시키고, 내부에 열을 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하수도관을 갱생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견인 및 반전용 로보틱스 붐 유닛,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에어 콤프레서 유닛, 몰탈펌프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범위의 공간을 극대화하고, 말단(지선)관 설치구역인 좁은 골목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차도와 인도 모두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콤팩트형 차량으로 구현되고, 장비효율 향상을 통해 작업인원이 최소화되고 디지털 제어를 통해 시공의 정밀화가 가능한 자동화 차량으로의 구현될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차를 응용한 로보틱스 붐을 사용하여, 붐을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이동가능하도록 구현시킴에 따라 작업범위를 넓히고, 시공범위가 확대되는 상하수도 보수장치 및 보수장치가 탑재된 시공차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하수도 보수차량, 비굴착, 복합단면 시공장치, 복합단면 시공차량

Description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onstruction vehicle for water supply or drain pip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시공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3은 도2에 나타낸 시공차량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4a는 도2에 나타낸 시공차량의 로보틱스 붐 유닛의 상하이동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4b는 도2에 나타낸 시공차량의 로보틱스 붐 유닛의 좌우이동에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5는 복합단면형성을 위해 연성튜브에 보조관을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에 의해 복합단면을 형성시키는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에 의해 형성된 복합단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관 단부 밀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공차량 2 : 시공차량
110 : 로보틱스 붐 유닛 111 : 윈치
112 : 구동장치 113 : 플렛폼
115, 116, 117 : 실린더장치 120 :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121,122,126,127 : 순환관
123 : 유출구 124 : 유입구
125 : 물순환펌프 128 : 보일러
130 : 에어 콤프레서 유닛 140 : 몰탈펌프 유닛
본 발명은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견인 및 반전용 로보틱스 붐 유닛,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에어 콤프레서 유닛, 몰탈펌프 유닛을 포함하고, 비굴착방식으로 구현되는 상하수도의 유관보수가 가능한 상하수도 시공차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을 이용한 시공의 일실시예로서 복합단면을 형성시키기 위해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에 보조관을 부착하여 갱생하고자 하는 하수도관 내부로 견인하고, 상기 연성튜브 내부에 수지가 함침되지 않은 밀착튜브를 공기압 또는 수압에 의해 반전시키는 동시에 보조관에 공기압력을 주입하여 하수관내에 저유로의 단면을 형성시키고, 몰탈로 뒷채움 함으로써 복합단면을 형성시킴에 따라 하수유속이 향상되는 시공차량을 이용한 복합단면형성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노후된 하수관의 보수 및 유지를 위해 하수도관이 묻혀 있는 곳을 굴착한 후, 노후된 하수도관을 분리하고 교체하는 굴착공법이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굴착공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 교통문제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땅을 파지 않고 하수관거를 보수 및 교체하는 비굴착 공법들이 개발되어왔으며, 그 예로서, CIPP(Cured in Placed Pipe), Pipe jacking, Pipe bursting 등의 다양한 형태의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국내에서는 비굴착 공법의 형태로 CIPP 방식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상기 CIPP방식은 하수도관 내부에 수지(Resin)가 함침된 연성튜브를 삽입시고, 증기 또는 온수를 통해서 관내부에 팽창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른바 기설관거 내부에 플라스틱 계열의 새로운 신관이 성형되는 형태의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CIPP 공법은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관거내로 삽입시키는 방법에 따라서 견인공법, 반전공법, 견인반전공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튜브를 경화시키는 수단에 따라서 튜브 내에 온수 및 수압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방법과 열공기 및 증기압을 통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분류된다.
한편, 하수관거 매설조건은 하수가 원활하게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자연유하방식이 채택되고 있으며, 하수가 하수관거 내에서 원활한 유통과 퇴적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수도 시설기준에서 적절한 관경과 구배에 의해 최소유속이 만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오수관거의 최소유속기준은 0.6 m/s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지반이 평탄한 경우 시공성과 경제성 때문에 최소유속기준을 모두 만족하기 어렵고, 현장여건상 최소유속 미달 관거가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오수관거의 유속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보수차량의 경우, 보일러장치만을 구비하고 있어, 복합단면형성을 위한 보조설비장치들은 별도로 시공장소까지 운반되어야 함에 따라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을 위한 많은 시간과 공간이 요구되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구현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차량(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수도 보수차량(1)은 보일러 유닛(20) 및 상하이동 작업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 유닛(20)은 순환관(21,22) 및 입출력관을 포함하여 온수를 공급하고, 상하이동 작업유닛(30)은 플랫폼 및 상하이동수단(31)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차량(1)은 시공을 위한 플랫폼이 상하로만 이동가능함에 따라,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할 경우 공간상의 제약으로 효율적인 시공이 구현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복합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기타장치들을 별도로 구비하고, 이동, 보관, 및 구동시켜야 함에 따라 시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견인, 반전용 로보틱스 붐 유닛,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에어 콤프레서 유닛, 및 몰탈펌프 유닛을 포함하여 단일차량으로 상하수도의 유지보수가 가능한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관거내의 관거 형상에 맞게 팽창 및 경화시키는 하구관거 비굴착 갱생공법뿐만 아니라, 하수유속향상을 위한 복합단면 형성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다용도 및 고난이도의 시공수행능력이 구비된 일체형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유속을 만족하는 설계조건에 맞도록 단면을 결정하고, 원하는 단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관 크기, 위치, 주입압력의 조절이 가능한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CIPP 공법의 수행방식에 따른 단순한 하수도관 내부에 코팅되는 보수방법인 것과 달리, 코팅뿐만 아니라 하수유속상승을 위해 하수도관 내부 단면을 변형 경화시켜 복합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착튜브 반전용 로보틱스 붐을 사용하고, 기존 고소작업차를 응용한 로보틱스 붐을 사용하여 붐을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작업범위를 넓히고, 시공범위가 확대되어 갈수록 복잡해지는 도로 교통상황으로 인한 차량진입 불가지역, 좁은 골목 등의 현장시공여건이 난 해한 지역, 차도와 인도가 분리된 지역의 인도 위에서 하수관거 보수시공이 가능하고, 원격조정을 통해 로보틱스 붐을 맨홀 상단으로 안착시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성튜브를 하수관거 내로 견인하기 위한 윈치가 탑재되어 있으며, 작업위치에 맞게 상하좌우로 조절이 가능하고, 각 하수관의 관경에 따라 반전 또는 밀착튜브를 수압반전시키기 위한 관경별 탈착식 원형 반전 고정틀이 포함된 로보틱스 붐 유닛; 상기 로보틱스 붐의 반전 고정틀에 고정된 밀착튜브에 온수를 제공하고 반전 및 온수순환을 위한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복합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연성튜브에 부착된 보조관에 공기주입 및 압력조절을 위한 에어 콤프레서 유닛; 및 튜브경화 공급부분을 몰탈로 뒷채움 하기 위한 몰탈 펌프유닛을 포함하는 상하수도 보수장치 및 보수장치가 탑재된 시공차량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보수장치 및 보수장치가 탑재된 시공차량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시공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3은 도2에 나타낸 시공차량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은 로보틱스 붐 유닛(110),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120), 에어 콤프 레서 유닛(130), 및 몰탈펌프 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10)은 튜브를 견인 및 반전시키고, 작업위치로 작업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윈치(111), 구동장치(112), 플렛폼(113), 실린더장치(115,116,117)를 포함한다. 상기 윈치(111) 및 구동장치(112)는 로프(115)를 통해 하수관내에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를 견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실린더장치는 상기 상/하 실린더(115), 수평실린더(116), 및 길이조절 실린더(117)를 포함하고, 시공하고자 하는 맨홀 상단으로 상기 플렛폼(113)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렛폼(113)에는 튜브 장착부(114)가 형성되어 작업 관로 및 연성튜브 내부로 밀착튜브를 반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튜브 장착부(114)는 하수관의 관경에 따라 밀착튜브를 수압반전시키기 위해 관경별 탈착식 원형 고정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10)는 도4의 (a) 및 (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 실린더(115), 수평실린더(116), 및 길이조절 실린더(117)에 의해 플렛폼(113)의 수평을 유지하며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소정각의 범위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보틱스 붐(110)의 좌우이동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10)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라, 갈수록 복잡해지는 도로 교통상황으로 인한 차량진입 불가지역, 좁은 골목 등의 현장시공여건이 난해한 지역, 차도와 인도가 분리된 지역의 인도 위에서 하수관거 보수시공 시 시공구간의 맨홀상단에 반전 지지대 유닛을 원격조정을 통해서 안착시켜서 손쉽게 시공가능하 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120)은 튜브를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일러(128), 순환관(121,122,126,127), 유출구(123), 유입구(124), 물순환펌프(125)를 포함한다. 상기 보일러(128)는 차량 탑재시 배치공간 마련 및 열효율 극대화를 위해 콤팩트하게 변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상기 보일러의 일실시예는 전열면적(㎡): 10.2, 연료소비량: 38 Kg/hr, 총중량: 3,800Kg이고, 외형전장 2,750(m/m), 전폭 1,720(m/m), 전고 1,835(m/m)이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은 보일러에서 열전달을 받아 데워진 온수가 출력되는 온수관(126,121)은 로보틱스 붐 유닛에 장착된 유출구(123)에 연결되고, 밀착튜브에서 순환된 물이 보일러로 유입시키기 위해 로보틱스 붐 유닛에 유입구(124)에 순환관(122,127)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물순환펌프(125)는 보다 효율적으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보일러로 공급되는 외부냉수의 유입구(미도시) 및 밸브(미도시)가 더 장착된다.
상기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손쉽게 온수공급 및 순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밸브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수의 유입방향을 보일러에서 순환관으로 바꾸어 냉수가 순환관에 채워짐에 따라, 순환관에 진공상태가 발생되어 튜브의 온수를 흡입하는데 발생된 문제점은 해결된다.
상기 에어 콤프레서 유닛(130)은 복합단면 및 저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연성튜브에 부착되는 보조관에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 어 콤프레서, 공기압 조절용 레귤레이터, 압력계와 압력센서 등이 포함된 공기압 전자제어,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610,620) 및 밀봉장치(6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610) 및 고정부재(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610)의 일단은 에어 콤프레서의 에어출력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조관이 연결되며, 에어주입부(611), 나사결합부(612), 및 보조관 결합부(613)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주입부(611)는 에어 콤프레서의 에어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관 결합부(613)는 보조관의 삽입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20)는 상기 나사결합부(612)에 대응되는 나사결합부(6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부재(610)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홈(6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는 연결부재(610)의 일단인 에어주입부(611)를 에어 콤프레서의 에어출력부(미도시)에 연결하고, 보조관 결합부(613)를 보조관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재(620)를 보조관 결합부(613)의 외주를 커버하는 보조관의 상부로 위치시키고, 상기 홈(623)에 결합바(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시켜 상기 나사결합부(612) 및 나사결합부(622)를 나사결합시켜 보조관을 에어 콤프레서 유닛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밀봉장치(630)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바디(631) 및 고정바디(632), 및 회전바(63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바(633)는 회전중심축에 결합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하이동바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디(631)의 상단은 상 하이동바 연결되고, 상기 고정바디(630)에는 상기 상하이동바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바가 삽입결합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관의 단부를 상기 이동바디(631) 및 고정바디(632) 사이에 삽입하고, 회전바를 회전시켜 이동바디(631)를 하강시키고, 고정바디와 보조관을 가압함으로써, 보조관의 단부는 밀봉된다. 또한 밀봉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보조관의 단부를 접고 이동바디(631)와 고정바디(632) 사이에 삽입밀봉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에어 콤프레서 유닛(130)을 통해 연성튜브에 저유로를 형성하기위해 부착된 보조관에 임의의 공기압력을 주입하면, 밀착튜브 내에서 작용하는 수압과 보조관의 공기압이 서로 반발하면서 팽창하여 복합단면 및 저유로가 형성되고,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610,620) 및 밀봉장치(630)에 의해 상기 보조관에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어도 에어가 새는 문제점은 방지되고,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형태 및 크기의 복합단면과 저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주입호스를 이용하여 에어 콤프레서의 에어출력부(미도시)와 연결부재(610)가 연결될 수 도 있고, 에어 콤프레서 전자제어부의 작동을 통하여 보조관으로 공기압이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콤프레서 유닛(130)은 보조관 공기압 조절용도 외에도 공법수행 후에 경화된 튜브의 단부를 커팅하기 위한 에어용 커터를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용도로도 이용 가능하다.
상기 몰탈펌프 유닛(140)은 튜브경화 후 보조관을 제거하고, 상기 보조관에 의해 형성된 복합단면 저유로의 공극부분을 몰탈로 뒷채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 퀴즈 방식의 몰탈펌프(142), 몰탈믹서(142), 및 몰탈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극부분의 뒷채움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임은 자명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2)은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110),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120), 에어 콤프레서 유닛(130), 및 몰탈펌프 유닛(140)을 제어하고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되도록 차량의 소정위치에 장착되고, 플렛폼(113)에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야간작업이 가능하도록 조명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을 이용한 시공공법의 일실시예인 복합단면 형성공법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한다.
도5는 복합단면형성을 위해 밀착튜브에 보조관을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310)에 보조관(320)을 부착한다. 그리고 갱생하고자 하는 하수도관 내부로 견인하고, 수지가 함침되지 않은 밀착튜브(330)를 상기 연성튜브(310) 내부에서 수압에 의해서 반전시킨다. 동시에 보조관에 미리 산정된 공기압력을 주입하여 원하는 형태의 복합단면을 형성시킨다. 이때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출구(123)에 연결된 온수주입관(710)에는 소정구간 및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온수를 밀착튜브내로 공급하면, 연성튜브내에 함침된 수지가 3차원가교반응 통해 경화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튜브(330)에 순환된 온수는 유입구(124)에 연결된 흡입관(720)을 통해 보일러(128)로 유동시킨다.
다음으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경화 후 보조관을 제거하고, 상기 보 조관에 의해 형성된 복합단면에는 저유로(A)가 형성되고, 상기 몰탈펌프 유닛(140)을 이용하여 보조관이 제거된 공극부분을 몰탈(500)로 뒷채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효율적인 복합단면이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차량을 이용한 복합단면형성 시공방법의 경우, 튜브 경화를 위해 사용된 온수를 배출시키기 않고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보조관 삽입각 및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복합단면을 형성시키고, 간편하고 빠르게 플라스틱 형태로 현장 경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체화하여 하나의 차량에 탑재됨에 따라 작업자의 노동력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화되고, 다양한 상하수도 시공에 적용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 반전용 로보틱스 붐 유닛,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에어 콤프레서 유닛, 및 몰탈펌프 유닛을 포함하여 단일차량으로 상하수도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하수관거내의 관거 형상에 맞게 팽창 및 경화시키는 하구관거 비굴착 갱생공법뿐만 아니라, 하수유속향상을 위한 복합단면 형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다용도 및 고난이도의 시공수행능력이 구비되고, 최소유속을 만족하는 설계조건에 맞도록 단면을 결정하고, 원하는 단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관 크기, 위치, 주입압력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CIPP 공법의 수행방식에 따른 단순한 하수도관 내부에 코팅되는 보수방법인 것과 달리, 코팅뿐만 아니라 하수유속상승을 위해 하수도관 내부 단면을 변형 경화시켜 복합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밀착튜브 반전용 로보틱스 붐을 사용하고, 기존 고소작업차를 응용한 로보틱스 붐을 사용하여 붐을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작업범위를 넓히고, 시공범위가 확대되어 갈수록 복잡해지는 도로 교통상황으로 인한 차량진입 불가지역, 말단(지선)관 설치구역인 좁은 골목 등의 현장시공여건이 난해한 지역, 차도와 인도가 분리된 지역의 인도 위에서 하수관거 보수시공이 가능하고, 원격조정을 통해 로보틱스 붐을 맨홀상단으로 안착시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상하수도 시공을 위한 작업위치로 작업수단을 이동시키는 로보틱스 붐 유닛;
    상기 상하수도의 보수 및 튜브의 온수경화를 위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및
    상기 상하수도에 복합단면을 형성시키기 위해 에어공급 및 공기압을 조절하는 에어 콤프레서 유닛을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2. 연성튜브 및 밀착튜브를 견인 및 반전시키고, 작업위치로 작업수단을 이동시키는 로보틱스 붐 유닛;
    상기 로보틱스 붐에 고정되는 밀착튜브를 반전 및 온수경화시키기 위한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 및
    상기 연성튜브에 부착되는 보조관을 가압 및 압력조절 하기 위한 에어 콤프레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튜브 내부로 밀착튜브에 공기압 및 수압을 가하여 반전, 튜브경화에 의해 복합단면 및 저유로를 형성시키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보틱스 붐 유닛은
    시공하고자 하는 맨홀 상단으로 작업수단을 위치시키기 위해 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장치;
    하수관내에 수지가 함침된 상기 연성튜브를 견인하기 위한 윈치;
    작업 관로 내부에 밀착튜브를 반전시키기 위한 관경별 탈착식 원형 고정틀이 형성된 플렛폼; 및
    상기 붐을 상하좌우 및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모듈은
    상/하 실린더, 수평실린더, 및 길이조절 실린더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은
    보일러, 순환관, 및 로보틱스 붐 유닛에 장착된 유출구와 유입구, 및 물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보일러는 콤팩트하게 변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관은 보일러에서 출력되는 온수를 로보틱스 붐 유닛에 장착된 유출구에 연결되고, 순환된 물을 보일러로 유입시키기 위해 로보틱스 붐 유닛에 장착된 유입구를 통해 보일러로 유동시키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가열 및 순환 유닛은
    튜브 내에서의 온수유입 및 유출을 위한 온수주입관 및 흡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수주입관에는 소정구간 및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상하수도 시공차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콤프레서 유닛은
    에어 콤프레서, 공기압 조절용 레귤레이터, 압력계와 압력센서가 포함된 공기제어부,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 및 밀봉장치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 공기주입 연결장치는
    일단은 에어 콤프레서의 에어출력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조관이 연결되며, 에어주입부, 나사결합부, 및 보조관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결합부에 대응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연결부재에 간편하게 장착하기 위해 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장치는
    보조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이동바디와 고정바디; 및
    상기 이동바디를 상하이동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튜브경화에 따른 복합단면형성 및 보조관 제거 후, 제거된 보조관의 공극부분을 뒷채움하기 위한 뒷채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뒷채움 유닛은
    몰탈로 뒷채움 하기 위한 몰탈펌프, 몰탈믹서 및 몰탈호스를 포함하는 몰탈 펌프유닛인
    상하수도 시공차량.
  12. 제1항 또는 제2항의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에 보조관을 부착하여 갱생하고자 하는 하수도관 내부로 견인하고,
    밀착튜브를 상기 연성튜브 내부에서 수압에 의해서 반전시킴과 동시에 보조관에 소정의 공기압을 주입하여 원하는 형태의 복합단면을 형성시키고,
    온수를 밀착튜브내로 주입하여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를 경화시키고, 순환된 온수를 보일러로 유동시키고,
    상기 보조관을 제거하고, 보조관이 제거된 공극부분을 몰탈로 뒷채움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이용한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는 온수주입관에 소정구간 및 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밀착튜브내로 주입하고, 상기 밀착튜브를 순환한 온수는 흡입관을 통해 보일러로 유동되는
    상하수도 시공차량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60021474A 2006-03-07 2006-03-07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17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74A KR100817852B1 (ko) 2006-03-07 2006-03-07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474A KR100817852B1 (ko) 2006-03-07 2006-03-07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841A true KR20070091841A (ko) 2007-09-12
KR100817852B1 KR100817852B1 (ko) 2008-03-31

Family

ID=3868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474A KR100817852B1 (ko) 2006-03-07 2006-03-07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08B1 (ko) * 2009-07-22 2010-02-12 주식회사 라텍이엔지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KR100963307B1 (ko) * 2009-11-30 2010-06-15 성림산업(주)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84B1 (ko) * 2009-11-30 2010-07-05 성림산업(주) 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584A (ja) * 1991-12-26 1993-07-20 Yutaka Kawanami 高圧洗浄機搭載高所作業車
KR100259602B1 (ko) * 1998-06-16 2000-07-01 나남열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JP3894470B2 (ja) 2001-01-23 2007-03-22 トーヨープランツ株式会社 特装車
KR20030009714A (ko) * 2001-07-23 2003-02-05 중앙산업 (주) 상하수도관 보수용 차량
KR200252634Y1 (ko) 2001-07-23 2001-11-17 중앙산업 (주) 상하수도관 보수용 차량
KR200327872Y1 (ko) 2003-06-23 2003-09-26 (주)엔코텍 하수도관 보수용 차량
KR20050110529A (ko) * 2004-05-19 2005-11-23 (주)나스텍종합건설 상하수도관을 포함한 관로 보수 갱생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08B1 (ko) * 2009-07-22 2010-02-12 주식회사 라텍이엔지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KR100963307B1 (ko) * 2009-11-30 2010-06-15 성림산업(주)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852B1 (ko)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5819B2 (ja) その場硬化型ライナーの二重グランド空気圧反転挿入および蒸気硬化法
US5374174A (en) Apparatus for/installing a liner within a service pipe or the like
KR101038486B1 (ko)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157080B1 (ko) 하수관과 가지관 접합부의 비굴착 보수 장치 및 보수 방법
KR100555026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0817852B1 (ko)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39268B1 (ko) 상하수도 매설관 부분 보수장치 및 공법
US20080075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s
KR101414235B1 (ko) 가변형 비굴착 관로 보수 장치를 이용한 보수 공법
KR101003467B1 (ko) 대차와 패커를 이용한 장 구간의 관거 비굴착 보수장치와 공법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KR200321707Y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200382365Y1 (ko) 상하수도 매설관 부분 보수장치 및 공법
KR100922845B1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101086827B1 (ko) 가물막이 수밀 패널 위치 제어가 가능한 하수관거 차수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63307B1 (ko)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JP4909795B2 (ja) 管路更生工法
KR100633737B1 (ko) 공·수압 복합형 반전 삽입장치를 이용한 관고정식 상·하수도 노후관의 열경화성 수지액 함침 pe 연질 부직포 보강튜브 삽입 보수공법.
KR102212988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용 보수튜브 경화보조장치
KR102212992B1 (ko) 보수튜브 경화보조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KR100774094B1 (ko) 물탑에 의한 자연수압 반전장치
JP2509101B2 (ja) 取付管用内張り材の施工方法
KR100532826B1 (ko) 지하 매설관의 보수 보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균일안배방법
KR102216759B1 (ko) 본관부 혹은 가지관부 혹은 본관부와 가지관부의 선택적 부분 보수 장치 및 부분 보수 공법
JP5083900B2 (ja) 既設管の補修方法及び水中作業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