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602B1 -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602B1
KR100259602B1 KR1019980022594A KR19980022594A KR100259602B1 KR 100259602 B1 KR100259602 B1 KR 100259602B1 KR 1019980022594 A KR1019980022594 A KR 1019980022594A KR 19980022594 A KR19980022594 A KR 19980022594A KR 100259602 B1 KR100259602 B1 KR 10025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e pipe
vertical support
cylinder
boo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050A (ko
Inventor
김해준
Original Assignee
나남열
삼서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남열, 삼서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남열
Priority to KR101998002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6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상수도, 하수도 등)의 흐름을 안내하는 흄관(Hume pipe)을 지하에 매설하는 작업시 트럭에 실려 이송되어 온 흄관의 하차 및 관로로의 운반 그리고 연결작업을 신속하고도 정확히 실시하는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단기간내에 흄관의 시공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하면서도 흄관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주 구동부(10)와, 상기 주 구동부에 의해 주 궤도(11)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본체(9)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아암(12)과, 상기 아암에 내장된 제 1 실린더(13)의 구동에 따라 아암으로부터 출몰하는 제 1 붐대(14)와, 상기 아암에 설치된 제 2 실린더(15)의 구동에 따라 제 1 붐대에 안내되어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 1 수직 지지간(16)과,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흄관을 지지하는 제 1 승강부재(18)와,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내에 설치되어 제 1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17)와, 상기 제 1 붐대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수직 지지간(26)과,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승강부재(28)와,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 설치되어 제 2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4 실린더(27)와, 상기 제 2 승강부재의 끝단에 설치되어 주 궤도와 평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보조 궤도(30)와, 상기 보조 궤도를 구동시키는 보조 구동부(29)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1)의 스피코트부(1a)를 대응되는 흄관(2)의 소켓(2a) 내부로 접근시킬 때 부주의로 인한 부딪힘으로 흄관의 연결부위가 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고무링(3)이 끼워진 스피코트부(1a)를 소켓(2a)의 내부에 완전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되므로 흄관의 연결부위에서의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최소한의 인원으로 빠른 시간내에 흄관의 완벽한 시공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Description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본 발명은 유체(상수도, 하수도 등)의 흐름을 안내하는 흄관(Hume pipe)을 지하에 매설하는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트럭에 실려 이송되어 온 흄관의 하차 및 관로로의 운반 그리고 연결작업을 신속하고도 정확히 실시하는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흄관의 결합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차례로 연결되는 흄관(1)의 스피코트부(1a)에 고무링(3)을 끼워 이들의 연결부인 다른 흄관(2)의 소켓(2a)의 내경사이에서 상기 고무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어 고무링(3)의 재질이나, 형상 그리고 연결방법에 따라 흄관(1)(2)의 연결부에서 수밀성이 좌우된다.
이러한 흄관의 규정에 따른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공방법상 포크레인이라고 불리우는 백호는 관로의 굴착만을 하도록 되어 있고, 굴착된 관로상에 흄관을 운반하거나, 연결작업을 위해 흄관을 와이어 로프로 매달아 인상하는 작업은 트럭 크레인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백호에 의해 관로(4)를 굴착하고 나면 지면에 있던 흄관을 트럭 크레인이 와이어 로프로 매달아 도 2와 같이 관로(4)상에 차례로 운반하여 배열한다.
이와 같이 관로(4)상에 시공할 흄관(1)(2)이 차례로 배열되고 나면 흄관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코트부(1a) 및 이에 대응되는 소켓(2a)의 내경부를 깨끗하게 닦은 다음 스피코트부(1a)에 고무링(3)을 끼움과 동시에 스피코트부(1a)와 소켓(2a)의 내경부에 활제(滑劑)를 균일하게 바른다.
그 후,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1)을 트럭 크레인(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5)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흄관(2)에 도 3과 같이 일치시킴과 동시에 레버 블럭(6)이 설치된 와이어 로프(5)의 일단을 기 시공된 흄관(2)에, 그리고 다른 일단은 시공할 흄관(1)에 연결한 다음 와이어 로프(5)상에 설치된 레버 블럭(6)을 반복적으로 젖혀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1)을 기 시공된 흄관(2)측으로 당겨주므로서 스피코트부(1a)에 끼워진 고무링(3)이 소켓(2a)의 내경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이러한 작업은 흄관(1)(2)의 내경이 비교적 작아 작업자가 흄관의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할 수 없을 경우에 적용된다.
그러나, 흄관(1)(2)의 내경이 커 작업자가 흄관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1)을 트럭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5)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흄관(2)에 일치시킴과 동시에 기 시공된 흄관의 내부에 지지목(7)을 지지한 상태에서 레버 블럭(6)이 설치된 와이어 로프(5)의 일단을 고정한 다음 다른 일단을 시공할 흄관(1)의 개구부에 가로지르게 위치된 지지목(8)에 고정한 후 와이어 로프(5)상에 설치된 레버 블럭(6)을 반복적으로 젖혀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1)을 기 시공된 흄관(2)측으로 당겨주므로서 스피코트부(1a)에 끼워진 고무링(3)이 소켓(2a)의 내경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도 5는 종래에 흄관을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흄관(1)(2)의 직경이 약 1500mm 이상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흄관(1)(2)의 결합작업시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하므로 레버 블럭(6)을 2개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흄관(1)(2)의 연결작업시 시공업자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시공상의 규정을 어기고 백호 하나만으로 모든 시공작업을 완료하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흄관의 연결작업시 와이어 로프(5)에 매달린 흄관(1)이 전후좌우로 심하게 흔들려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2)의 스피코트부(1a)를 대응되는 흄관(2)의 소켓(2a) 내부로 접근시킬 때 매우 새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그러나 부주의로 인해 통상 콘크리트관으로 만들어진 흄관의 연결부위가 부딪혀 깨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으므로 연결부에서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둘째, 관로(4)의 굴착만을 하도록 되어 있는 백호에 흄관을 와이어 로프(5)로 연결한 다음 흄관을 잡아 당겨 연결작업을 실시하므로 인해 소켓(2a)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고무링(3)을 소켓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시키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켓(2a)의 내경사이에서 충분한 기밀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흙메우기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수밀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셋째, 규정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에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므로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음은 물론 시공에 따른 기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원활한 교통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단기간내에 흄관의 시공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하면서도 흄관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동력을 발생하는 주 구동부와, 상기 주 구동부에 의해 주 궤도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내장된 제 1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아암으로부터 출몰하는 제 1 붐대와, 상기 아암에 설치된 제 2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제 1 붐대에 안내되어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 1 수직 지지간과,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흄관을 지지하는 제 1 승강부재와,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내에 설치되어 제 1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와, 상기 제 1 붐대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수직 지지간과,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 설치되며, 하단에는 보조 궤도가 설치된 제 2 승강부재와, 상기 보조 궤도를 구동하는 보조 구동부와,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 설치되어 제 2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4 실린더로 구성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이 제공된다.
도 1은 흄관의 결합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터파기한 관로에 흄관을 일렬로 위치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에 흄관을 결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에 흄관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에 흄관을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크레인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크레인이 흄관을 관로로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7의 A - A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 - 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크레인이 흄관을 연결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C - C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D"부 사시도
도 13은 제 1 붐대에 제 1 수직 지지간이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0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E - E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크레인을 트럭에 적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본체 10 : 주 구동부
11 : 주 궤도 12 : 아암
13 : 제 1 실린더 14 : 제 1 붐대
15 : 제 2 실린더 16 : 제 1 수직 지지간
17 : 제 3 실린더 18 : 제 1 승강부재
24 : 안착판 26 : 제 2 수직 지지간
27 : 제 4 실린더 28 : 제 2 승강부재
29 : 보조 구동부 30 : 보조 궤도
33 : 제 2 붐대 37 : 제 1 보조 지지간
39 : 제 3 승강부재 43a, 43b : 수평 지지간
44 : 제 2 보조 지지간 46 : 제 4 승강부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 크레인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크레인이 흄관을 관로로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9)의 주행 및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 구동부(10)가 본체(9)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주 구동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한쌍의 주 궤도(11)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9)의 주행수단을 궤도로 적용하였으나, 기타 바퀴 등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본체(9)의 상측에는 한쌍의 아암(1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아암에는 제 1 실린더(13)의 구동에 따라 출몰하는 "ㄷ"형태의 제 1 붐대(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붐대(14)상에는 아암(12)의 상측에 설치된 제 2 실린더(15)의 구동에 따라 제 1 붐대(14)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하는 제 1 수직 지지간(1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에는 제 3 실린더(17)의 구동에 따라 출몰하는 제 1 승강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붐대(14)상에 설치되는 제 1 수직 지지간(16)의 내측면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하게 한쌍의 지지판(19)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사이에는 제 1 붐대(14)의 상,하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로울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판(19)에는 제 1 수직 지지간(16)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15)의 로드가 고정되어 있다.
이는, 제 2 실린더(15)의 구동에 따라 제 1 수직 지지간(16)이 제 1 붐대(14)에 안내되어 수평 이동할 때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수직 지지간(16)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15)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12)에 고정된 브라켓(21)에 핀(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제 1 수직 지지간(16)의 위치에 따라 제 2 실린더(15)의 로드에 작용되는 하중의 분포가 달라져 제 2 실린더(15)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로드가 변형되는 현상을 보상하여 주기 위함이다.
또, 제 3 실린더(17)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는 제 1 승강부재(18)의 저면에 흄관(1)의 외주면과 접속됨과 동시에 레버 블럭(6)이 구비된 띠(23)가 함께 묶여지는 안착판(24)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안착판(24)은 흄관(1)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11과 같이 흄관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16)사이에 직교되게 보강레버(25)가 도 12와 같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는, 흄관(1)(2)의 결합작업시 제 1 수직 지지간(16)의 직각방향으로 크게 작용하는 힘을 보강레버(25)에 의해 견뎌냄과 동시에 한쌍의 제 1 수직 지지간이 작용되는 힘에 의해 상호 뒤틀리더라도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에 힌지 결합된 보강레버(25)의 연결부가 파손되지 않고 이를 견뎌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실린더(13)의 구동에 따라 출몰하는 제 1 붐대(14)의 끝단에 제 2 수직 지지간(26)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는 제 4 실린더(27)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는 제 2 승강부재(28)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승강부재의 하단에는 보조 구동부(29)에 의해 회전하는 보조 궤도(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12)의 상부 일측에는 트럭에 실려온 흄관을 관로(4)의 내부로 운반하기 위해 회동편(3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편에는 선단에 로울러(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붐대(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편과 제 2 붐대사이에는 제 2 붐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5 실린더(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회동편(31)의 일측에는 와이어 로프(35)를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흄관(1)(2)의 운반을 위해 아암(12)의 일측에 제 2 붐대(33)를 설치할 경우에는 구동시 하중의 불균형으로 인해 본체(9)가 일측으로 넘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안전상 본체(9)를 지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1 수직 지지간(16)의 측벽에 제 1 보조 지지간(3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조 지지간(37)에는 제 6 실린더(38)의 구동에 따라 출몰하는 제 3 승강부재(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16)과 제 1 보조 지지간(37)사이에는 흄관(1)(2)의 운반작업시에는 제 1 보조 지지간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주고, 크레인의 이동시에는 제 1 보조 지지간(37)을 제 1 수직 지지간(16)에 매달아 주는 레버(40)가 핀(4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흄관(1)(2)의 운반시에는 레버(40)를 제 1 수직 지지간(16)의 하부에 고정된 걸림편(42a)에 도 8의 실선과 같이 걸어 제 1 보조 지지간(37)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본체(9)의 이동시에는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수직 지지간(16)의 상부에 고정된 걸림편(42b)에 레버(40)의 일단을 걸어 이동간에 제 1 보조 지지간(37)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아암(12)의 상,하부에 한쌍의 수평 지지간(43a)(43b)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 지지간의 끝단에는 제 2 보조 지지간(44)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보조 지지간의 내부에는 제 7 실린더(45)의 구동에 따라 출몰하는 제 4 승강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아암(12)의 상측에 고정된 수평 지지간(43a)은 높이가 비교적 높지만, 하측에 고정된 수평 지지간(43b)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제 2 보조 지지간(44)의 높이를 상호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 9와 같이 수평 지지간(43b)이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흄관의 운반시 제 3, 4 승강부재(39)(46)가 지면에 닿아 본체(9)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크레인을 장거리 운반하기 위해 트럭의 적재함(47)에 실을 때 도 16과 같이 제 1 승강부재(18)와 제 4 승강부재(46)에 의해 본체(9)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적재 및 하차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제 4 승강부재(46)의 승강 스트로크를 일정이상(적재함의 높이)으로 유지시켜야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2 보조 지지간(44)이 수평 지지간(43a)(43b)에 축(4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보조 지지간(44)에는 본체(9)의 이동간에 제 2 보조 지지간을 아암(12)의 일측면에 걸어둘 수 있도록 걸고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 구동부(10) 및 보조 구동부(29) 그리고 각 실린더가 유압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유압회로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9)의 근거리 주행시에는 도 6과 같이 제 1, 2 승강부재(18)(28)를 상사점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아암(12)을 본체(9)의 주행방향과 나란히 하며, 아암(12)을 본체(9)로부터 약간 상승시켜 상사점에 위치된 보조 궤도(30)가 지면과 닿지 않도록 하여야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 구동부(10)를 구동시키면 본체(9)의 하부에 나란히 설치된 주 궤도(11)가 회전하게 되므로 본체(9)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주 구동부(10)의 구동으로 주 궤도(11)가 관로(4)에 평행인 상태로 크레인이 작업현장에 도달하면 트럭에 적재되어 있거나, 지면으로 하역되어 있던 흄관을 관로(4)상에 차례로 운반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서는 흄관의 운반시 무게중심의 상실로 인해 본체(9)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본체(9)의 네 모서리부분을 견고히 지지하여야 된다.
따라서 한쌍의 제 1 수직 지지간(16)내에 설치된 제 3 실린더(17)를 구동하여 제 1 승강부재(18)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 1 승강부재(18)에 고정된 안착판(24)이 각각 지면에 닿게 되므로 크레인의 선단이 지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수직 지지간(16)의 걸림편(42b)에 걸려 있던 레버(40)를 풀고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과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되어 있던 제 1 보조 지지간(37)을 양측으로 각각 펼친 다음 제 6 실린더(38)를 구동시키면 제 1 보조 지지간에 수용되어 있던 제 3 승강부재(39)가 인출되어 도 8과 같이 저면이 지면에 닿게 되므로 본체(9)의 선단이 견고히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체(9)의 선단을 견고히 지지하고 나면 아암(12)의 측면에 지지되어 있던 제 2 보조 지지간(44)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수직상태로 함과 동시에 본체(9)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있던 수평 지지간(43a)(43b)을 각각 양측으로 인출한 후 제 7 실린더(45)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4 승강부재(46)가 하강하여 제 4 승강부재(46)의 저면이 도 9와 같이 지면에 닿게 되므로 크레인의 네 모서리가 견고히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5 실린더(34)를 구동시켜 제 2 붐대(33)를 작업에 알맞는 각도로 조절함과 동시에 주 구동부(10)의 구동에 따라 회동편(31)에 설치된 제 2 붐대(33)를 흄관이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윈치(36)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 로프(35)를 풀어 선단에 매달린 후크(50)를 이용, 흄관을 매달아 관로(4)상으로 운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여러개의 흄관을 관로상으로 운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관로상에 위치된 흄관(1)(2)을 상호 연결하여야 된다.
관로(4)상에 위치된 흄관(1)(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 2 붐대(33)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킴과 동시에 하강하여 지면에 닿아 있던 제 1 승강부재(18) 및 제 3, 4 승강부재(39)(46)를 차례로 상사점까지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 1 보조 지지간(37)을 제 1 수직 지지간(16)에, 그리고 제 2 보조 지지간(44)은 아암(12)의 측벽에 지지하여 본체(9)의 이송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된다.
그 후, 아암(12)을 회전시켜 본체(9)의 주행방향과 나란히 위치되어 있던 보조 궤도(30)를 관로(4)의 건너편에 주 궤도(11)와 평행하게 위치시켜야 된다.
즉, 도 14와 같이 위치시켜야 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 구동부(10)의 구동으로 아암(12)을 90°회전시켜 제 2 승강부재(28)에 매달린 보조 궤도(30)가 주 궤도(11)와 평행하게 되면 제 1 실린더(13)를 구동하여 제 1 붐대(14)를 인출하게 되는데, 상기 제 1 붐대(14)의 인출량은 관로(4)의 폭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보조 궤도(30)가 관로(4)의 건너편 지면에 닿도록 하여야 흄관(1)(2)의 연결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인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겠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제 1 붐대(14)가 인출되고 나면 제 2 수직 지지간(26)내에 설치된 제 4 실린더(27)가 구동하여 제 2 승강부재(28)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보조 궤도(30)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 때, 제 2 수직 지지간(26)은 지면과 최대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붐대(14)의 인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로(4)를 사이에 두고 주 궤도(11)와 보조 궤도(30)가 평행하게 위치되고 나면 제 2 실린더(15)를 구동하여 제 1 수직 지지간(16)이 관로(4)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제 2 실린더(15)의 구동으로 제 1 붐대(14)에 끼워진 제 1 수직 지지간(16)이 이동하면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의 지지판(19)사이에 고정된 가이드 로울러(20)가 제 1 붐대(14)의 상, 하면에 접속된 상태이므로 제 1 수직 지지간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주 궤도(11)와 보조 궤도(30)가 관로(4)를 사이에 두고 지면과 맞닿고 관로(4)의 중심선상에 제 1 수직 지지간(16)이 위치되면 흄관(1)(2)의 연결에 필요한 작업 준비가 완료된다.
그럼, 흄관(1)(2)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을 첨부도면 도 1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실린더(17)의 구동으로 제 1 승강부재(18)의 하단에 고정된 안착판(24)이 흄관(1)의 상면에 닿을 때까지 제 1 승강부재를 하강시킨 다음 제 3 실린더(17)의 구동을 중단시키고 레버 블럭(6)이 고정된 띠(23)를 이용하여 안착판(24) 및 흄관(1)을 동시에 감싸고 레버 블럭(6)을 반복적으로 젖혀 띠(23)를 팽팽하게 조여준다.
이와 같이 안착판(24)에 띠(23)를 이용하여 흄관(1)을 고정시키고 나면 흄관의 접속부를 깨끗하게 닦아내고 스피코트부(1a)에 고무링(3)을 끼움과 동시에 스피코트부(1a)와 소켓(2a)의 내경부에 활제(滑劑)를 균일하게 바른다.
그 후, 주 구동부(10) 및 보조 구동부(29)를 동시에 구동하여 주 궤도(11) 및 보조 궤도(30)를 동일속도로 흄관의 결합부위측으로 이동시키면 흄관(1)이 매달린 제 1 승강부재(18)가 흄관(1)의 연결부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므로 연결부위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던 흄관(1)(2)이 상호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링(3)이 흄관(2)의 연결부위에 억지 끼워짐에 따라 제 1 승강부재(18) 및 제 1 수직 지지간(16)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지만, 2개의 제 1 수직 지지간사이에 보강레버(25)가 직교되게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하게 되므로 제 1 승강부재(18) 및 제 1 수직 지지간(16)이 변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흄관(1)(2)의 연결작업을 마치고 나면 연결작업이 완료된 흄관(1)의 저부에 흙메우기 작업을 실시한 다음 안착판(24)과 흄관(1)을 묶고 있던 띠(23)를 제거하므로서 흄관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1개의 흄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1개의 흄관의 연결작업을 완료하고 나면 제 1 승강부재(18)를 상사점까지 상승시킴과 동시에 본체(9)를 후진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흄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정장소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흄관의 연결작업을 마치고 나면 본 발명의 크레인을 차량의 적재함에 실어 차기 현장으로 운반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 3 실린더(17)를 구동하여 제 1 승강부재(18)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흄관의 운반시와 마찬가지로 수평 지지간(43a)(43b)을 아암(12)의 외측으로 인출한 다음 제 2 보조 지지간(44)내에 출몰가능하게 내장된 제 4 승강부재(46)를 하강시키면 제 1, 4 승강부재(18)(46)의 인출로 인해 도 6과 같은 상태로 있던 본체(9)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도 16과 같이 되므로 제 4 승강부재(46)사이를 통해 트럭의 적재함(47)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9)가 적재함(47)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3 실린더(17) 및 제 7 실린더(45)를 서서히 동작하여 제 1, 4 승강부재(18)(46)를 상승시키면 본체(9)를 지탱하는 주 궤도(11)가 적재함(47)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므로 크레인의 이동시와 마찬가지로 제 1, 4 승강부재(18)(46)를 상사점까지 위치시킴과 동시에 아암(12)의 상,하부로부터 인출되었던 수평 지지간(43a)(43b)을 밀어 넣고 제 2 보조 지지간(44)은 아암(12)의 측벽에 걸어두면 된다.
물론, 크레인의 이송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는 반대의 동작에 의해 트럭의 적재함으로부터 크레인을 하차시킬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흄관의 연결작업시 띠(23)에 의해 안착판(24)에 매달린 흄관(1)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고무링(3)이 끼워진 흄관(1)의 스피코트부(1a)를 대응되는 흄관(2)의 소켓(2a) 내부로 접근시킬 때 부주의로 인한 부딪힘으로 연결부위가 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본체(9)의 주행하는 힘에 의해 흄관(1)(2)을 상호 연결하게 되므로 고무링(3)이 끼워진 스피코트부(1a)를 소켓(2a)의 내부에 완전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흄관의 연결부위에서의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크레인 운전자 및 띠를 묶거나, 풀어주기 위한 작업자만이 있으면 시공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최소한의 인원으로 빠른 시간내에 흄관의 완벽한 시공작업이 가능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교통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던 문제점이 개선된다.

Claims (8)

  1. 동력을 발생하는 주 구동부와, 상기 주 구동부에 의해 주 궤도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내장된 제 1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아암으로부터 출몰하는 제 1 붐대와, 상기 아암에 설치된 제 2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제 1 붐대에 안내되어 수평이동하는 한쌍의 제 1 수직 지지간과,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흄관을 지지하는 제 1 승강부재와,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내에 설치되어 제 1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와, 상기 제 1 붐대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수직 지지간과,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승강부재와, 상기 제 2 수직 지지간에 설치되어 제 2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4 실린더와, 상기 제 2 승강부재의 끝단에 설치되어 주 궤도와 평행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보조 궤도와, 상기 보조 궤도를 구동하는 보조 구동부로 구성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의 상,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편과, 상기 회동편에 고정되며 선단에는 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붐대와, 상기 회동편과 제 2 붐대사이에 설치되어 제 2 붐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 5 실린더와, 상기 회동편의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를 더 구비하여서 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제 1 수직 지지간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보조 지지간과, 상기 제 1 보조 지지간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제 3 승강부재와, 상기 제 1 보조 지지간내에 설치되어 제 3 승강부재를 구동시키는 제 6 실린더와, 상기 제 1 수직 지지간과 제 1 보조 지지간사이에 설치되어 제 1 보조 지지간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레버와, 상기 아암의 상,하부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지지간과, 상기 수평 지지간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보조 지지간과, 상기 제 2 보조 지지간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제 4 승강부재와, 상기 제 2 보조 지지간내에 설치되어 제 4 승강부재를 구동시키는 제 7 실린더가 더 구비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직 지지간사이에 직교되게 보강레버의 양단이 힌지 결합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수직 지지간의 내측면에 제 1 붐대의 양측면을 감싸여지게 설치된 한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붐대의 상,하면과 접속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로울러가 구비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실린더가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아암에 설치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승강부재의 저면에 흄관의 외주면과 접속됨과 동시에 레버 블럭에 고정된 띠가 함께 묶여지는 안착판이 고정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8. 제 1 항에 있어서,
    안착판과 흄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안착판이 흄관의 외주면과 같이 만곡되게 형성된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KR1019980022594A 1998-06-16 1998-06-16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KR10025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594A KR100259602B1 (ko) 1998-06-16 1998-06-16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594A KR100259602B1 (ko) 1998-06-16 1998-06-16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050A KR20000002050A (ko) 2000-01-15
KR100259602B1 true KR100259602B1 (ko) 2000-07-01

Family

ID=1953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594A KR100259602B1 (ko) 1998-06-16 1998-06-16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85Y1 (ko) * 2008-01-30 2010-10-21 이상철 다용도 크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912B1 (ko) * 2004-06-10 2006-06-01 (주)한백 산악용 조립식 크레인
KR100817852B1 (ko) * 2006-03-07 2008-03-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하수도 시공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85Y1 (ko) * 2008-01-30 2010-10-21 이상철 다용도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050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7870B (zh) 一种自动铺管设备
CN110513125A (zh) 用于明挖暗渠的内外模台车衬砌系统
US3472401A (en) Pipe-lifting attachment for excavating equipment
CN110029714B (zh) 工程排水管道用安装装置
KR100259602B1 (ko)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CN211816262U (zh) 水下混凝土灌注设备
CN109208533A (zh) 基于桩顶顶推平台的码头一体化施工系统和方法
CN209114417U (zh) 基于桩顶顶推平台的码头一体化施工系统
JP5292019B2 (ja) 杭施工装置及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CN207131967U (zh) 一种钢筒型预应力混凝土压力管安装装置
JP2000327261A (ja) 門型クレーン及びこれに用いるバケット並びに地下埋設物の敷設工法
JP3689268B2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
US3933261A (en) Construction equipment
JPS6133937B2 (ko)
CN111042295A (zh) 一种预制承插式接口管道施工装置及施工方法
KR100336941B1 (ko) 흄관 시공기
KR100299940B1 (ko) 콘크리트관 접합기
JP2008121832A (ja) 管体搬送用台車及び管体の敷設方法
CN209721522U (zh) 大口径排水管道沟底运输装置
CN215249058U (zh) 一种用于预制管节吊装的简易吊架
CN218968713U (zh) 一种微型预制块吊装设备
KR200178593Y1 (ko) 흄관 시공기
CN217581272U (zh) 混凝土浇筑设备
CN218148322U (zh) 预留锚索孔施工装置
CN215635352U (zh) 一种市政排水管道铺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