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940B1 - 콘크리트관 접합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관 접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940B1
KR100299940B1 KR1019990021447A KR19990021447A KR100299940B1 KR 100299940 B1 KR100299940 B1 KR 100299940B1 KR 1019990021447 A KR1019990021447 A KR 1019990021447A KR 19990021447 A KR19990021447 A KR 19990021447A KR 100299940 B1 KR100299940 B1 KR 10029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ncrete pipe
axis slider
cylin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932A (ko
Inventor
나남열
Original Assignee
나남열
삼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남열, 삼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남열
Priority to KR101999002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9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호(Backhoe)에 매달아 트럭에 실려 이송되어 온 콘크리트관의 하차 및 관로 내부로의 운반 그리고 접합작업을 신속하고도 정확히 실시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관접합기를 소형, 경량화하여 골목길 등과 같이 작업공간이 한정된 좁은 공간에서도 단기간내에 콘크리트관의 시공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관의 접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각틀형태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백호(12)의 붐대(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과, X축 가이드봉(21)과 Y축 가이드봉(22)이 교차되게 형성되어 Y축 가이드봉이 프레임의 양측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Y축 슬라이더(19)와, 상기 프레임과 Y축 슬라이더사이에 설치되어 Y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1 실린더(20)와, 상기 X축 가이드봉에 끼워지고 양단에는 수직부재(23)가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X축 슬라이더(24)와, 상기 X축 슬라이더와 Y축 슬라이더사이에 설치되어 X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2 실린더(25)와, 상기 X축 슬라이더의 수직부재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 승강부재(26)와, 상기 X축 슬라이더와 승강부재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27)와, 상기 승강부재에 Y축 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콘크리트관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핑거(28)와, 상기 각 승강부재와 핑거사이에 설치되어 핑거를 구동시키는 제 4 실린더와, 상기 일측의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X축 슬라이더의 이동시 콘크리트관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측으로밀어주는 푸셔(30)와, 상기 각 실린더의 구동을 유압에 의해 제어하는 콘트롤부(33)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관 접합기{device for coustructing fume pipe}
본 발명은 유체(상수도, 하수도 등)의 흐름을 안내하는 콘크리트관(Hume pipe)을 지하에 매설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백호(Backhoe)에 매달아 트럭에 실려 이송되어 온 콘크리트관의 하차 및 관로 내부로의 운반 그리고 접합작업을 신속하고도 정확히 실시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콘크리트관의 결합부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차례로 접합되는 콘크리트관(1)의 스피것(spigot)(1a)에 수팽창성 고무링(3)을 끼워 이들의 접합부인 다른 콘크리트관(2)의 소켓(2a)의 내경사이에서 상기 고무링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어 고무링(3)의 재질이나, 형상 그리고 접합방법에 따라 콘크리트관(1)(2)의 접합부에서 수밀성이 좌우된다.
이러한 콘크리트관의 규정에 따른 시공방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공방법상 포크레인이라고 불리우는 백호(Backhoe)는 관로의 굴착만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굴착된 관로상으로 콘크리트관을 운반하거나, 상기 콘크리트관의 접합작업을 위해 콘크리트관을 와이어 로프로 매달아 인상하는 작업은 트럭 크레인으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백호에 의해 관로(4)를 굴착하고 나면 지면에 있던 콘크리트관을 트럭 크레인이 와이어 로프로 매달아 도 2와 같이 관로(4)상에 차례로 운반하여 배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로(4)상에 시공할 콘크리트관(1)(2)이 차례로 배열되고 나면 콘크리트관의 일측에 형성된 스피것(1a) 및 이에 대응되는 소켓(2a)의 내경부를 깨끗하게 닦은 다음 스피것(1a)에 수팽창성 고무링(3)을 끼움과 동시에 스피것(1a)과 소켓(2a)의 내경부에 활제(滑劑)를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된다.
그 후, 고무링(3)이 끼워진 콘크리트관(1)을 트럭 크레인(도시는 생략함)에 접합된 와이어 로프(5)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콘크리트관(2)에 도 3과 같이 일치시킴과 동시에 레버 블럭(6)이 설치된 와이어 로프(5)의 일단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2)에, 그리고 다른 일단은 시공할 콘크리트관(1)에 접합한 다음 와이어 로프(5)상에 설치된 레버 블럭(6)을 반복적으로 젖혀 고무링(3)이 끼워진 콘크리트관(1)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2)측으로 당겨주므로써 스피것(1a)에 끼워진 고무링(3)이 소켓(2a)의 내경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이러한 작업은 콘크리트관(1)(2)의 내경이 비교적 작아 작업자가 콘크리트관의 내부로 들어가 작업할 수 없을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그러나, 콘크리트관(1)(2)의 내경이 커 작업자가 콘크리트관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고무링(3)이 끼워진 콘크리트관(1)을 트럭 크레인에 접합된 와이어 로프(5)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콘크리트관(2)에 일치시킴과 동시에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의 내부에 지지목(7)을 지지한 상태에서 레버 블럭(6)이 설치된 와이어 로프(5)의 일단을 상기 지지목에 고정한 다음 다른 일단을 시공할 콘크리트관(1)의 개구부에 가로지르게 위치된 지지목(8)에 고정한 후 와이어 로프(5)상에 설치된 레버 블럭(6)을 반복적으로 젖혀 고무링(3)이 끼워진 콘크리트관(1)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2)측으로 당겨주므로써 스피것(1a)에 끼워진 고무링(3)이 소켓(2a)의 내경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도 5는 종래에 콘크리트관을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관(1)(2)의 직경이 약 1,500mm 이상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관(1)(2)의 결합작업시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하므로 레버 블럭(6)을 2개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관(1)(2) 접합작업은 시공업자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시공상의 규정을 어기고 백호 하나만으로 모든 시공작업을 완료하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콘크리트관의 접합작업시 와이어 로프(5)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이 전후좌우로 심하게 흔들려 고무링(3)이 끼워진 콘크리트관(2)의 스피것(1a)을 대응되는 콘크리트관(2)의 소켓(2a) 내부로 접근시킬 때 매우 새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그러나 부주의로 인해 통상 콘크리트관으로 만들어진 콘크리트관의 접합부위가 부딪혀 깨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으므로 접합부에서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둘째, 관로(4)의 굴착만을 하도록 되어 있는 백호에 콘크리트관을 와이어 로프(5)로 접합한 다음 콘크리트관을 잡아 당겨 접합작업을 실시하므로 인해 소켓(2a)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고무링(3)을 소켓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시키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켓(2a)의 내경사이에서 충분한 기밀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흙메우기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수밀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셋째, 전술한 방법으로 시공할 때, 콘크리트관(1)(2)의 중심부가 상호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관의 접합작업을 실시하면 스피것(1a)에 끼워져 있던 고무링(3)이 소켓(2a)에 의해 훼손되므로 접합부에서의 기밀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넷째, 규정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에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므로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음은 물론 시공에 따른 기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원활한 교통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관접합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골목길 등과 같이 작업공간이 한정된 좁은 공간에서도 단기간내에 콘크리트관의 시공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관의 접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사각틀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백호의 붐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과, X축 가이드봉과 Y축 가이드봉이 교차되게 형성되어 Y축 가이드봉이 프레임의 양측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Y축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과 Y축 슬라이더사이에 설치되어 Y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X축 가이드봉에 끼워지고 양단에는 수직부재가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X축 슬라이더와, 상기 X축 슬라이더와 Y축 슬라이더사이에 설치되어 X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X축 슬라이더의 수직부재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 승강부재와, 상기 X축 슬라이더와 승강부재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와, 상기 승강부재에 Y축 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콘크리트관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핑거와, 상기 각 승강부재와 핑거사이에 설치되어 핑거를 구동시키는 제 4 실린더와, 상기 일측의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X축 슬라이더의 이동시 콘크리트관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측으로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각 실린더의 구동을 유압에 의해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콘크리트관의 결합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터파기한 관로에 콘크리트관을 일렬로 위치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에 콘크리트관을 결합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에 콘크리트관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에 콘크리트관을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접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접합기가 백호에 매달린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 - A선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파지수단이 콘크리트관을 파지하기 직전의 상태도
도 10b는 파지수단이 콘크리트관을 파지한 상태도
도 10c는 파지한 콘크리트관을 좌우로 미세 조절하는 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관로상에 콘크리트관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a는 파지한 콘크리트관을 관로의 내부에 안착시키는 상태도
도 11b는 콘크리트관을 좌우상하로 미세 조절하여 기 시공된 관로와 일직선상으로 일치시킨 상태도
도 11c는 콘크리트관을 밀어 스피것이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의 소켓에 삽입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레임 19 : Y축 슬라이더
20 : 제 1 실린더 21 : X축 가이드봉
22 : Y축 가이드봉 24 : X축 슬라이더
25 : 제 2 실린더 26 : 승강부재
27 : 제 3 실린더 28 : 핑거
29 : 제 4 실린더 30 : 푸셔
33 : 콘트롤부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접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접합기가 백호에 매달린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사각틀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1)의 상측에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접합기를 백호(12)의 붐대(13)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축(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프레임(11)에 고정된 축(1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회전판(15)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에 고정된 수직 판넬(16)과, 상기 수직 판넬사이에 고정되어 붐대(13)에 설치된 록킹레버(17)가 끼워지는 록킹핀(1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에 Y축 슬라이더(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과 Y축 슬라이더사이에는 상기 Y축 슬라이더를 프레임의 Y축방향으로 진퇴운동시키는 제 1 실린더(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Y축 슬라이더(19)는 X축 가이드봉(21)과 Y축 가이드봉(22)이 교차되게 구성되어 상기 Y축 가이드봉이 프레임(11)의 양측을 감싸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실린더(20)의 몸체의 일단은 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어있고 실린더의 로드는 Y축 슬라이더(19)의 X축 가이드봉(21)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Y축 슬라이더(19)에 형성된 X축 가이드봉(21)에는 수직부재(23)가 양단에 형성된 X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가능하게 X축 슬라이더(24)가 끼워져 있고 상기 X축 슬라이더와 Y축 슬라이더사이에는 X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2 실린더(2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 2 실린더의 몸체는 X축 슬라이더(24)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실린더의 로드는 Y축 슬라이더(19)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X축 슬라이더(24)에 형성된 수직부재(23)에 승강부재(26)가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X축 슬라이더와 승강부재사이에는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3 실린더(27)의 몸체는 X축 슬라이더(24)에 고정되어 있고 로드는 승강부재(26)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26)의 양측에 한 쌍의 핑거(28)가 Y축 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승강부재와 핑거사이에는 핑거를 구동시키는 제 4 실린더(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의 승강부재(26)에는 X축 슬라이더(24)의 이동시 콘크리트관(1)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2)측으로 밀어주는 푸셔(3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4 실린더의 몸체는 승강부재(26)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로드는 핑거(28)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핑거(28)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26)의 양측에 가이드봉(31)이 고정되어 있고 각 핑거(28)에는 상기 가이드봉(31)에 끼워지는 삽입봉(3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2, 3, 4 실린더(20)(25)(27)(29)는 승강부재(26)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부(33)의 조작에 따른 유압에 의해 각각 독립되게, 또는 복수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실린더의 유압원으로는 백호(12)의 유압원을 이용하게 된다.
이는, 백호(12)의 유압호스(도시는 생략함)을 붐대(13)측으로 연장하여 본 발명의 콘트롤부(33)와 원터치 방식으로 접합하므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접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백호(12)의 붐대(13)에 장착되어 있던 버킷(34)을 분리함과 동시에 록킹레버(17)를 지지수단의 록킹핀(18)에 걸어 주어야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핑거(28)를 구동시키는 한 쌍의 제 4 실린더(29)의 로드가 최대한 인출되어 핑거가 도 10a와 같이 양측으로 벌어지고, X축 슬라이더(24)는 도면상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11)에 끼워진 Y축 슬라이더(19)는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접합기를 이용하여 관로(4)를 따라 하역되어 있던 콘크리트관(1)을 상호 접합 시공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10a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로(4)상에서 콘크리트관을 접합하기 위해서는 관로(4)를 따라 하역된 콘크리트관(1)을 파지하여 관로상에 위치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붐대(13)에 매달린 접합기의 핑거(28)가 도 10a와 같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백호(12)의 조작으로 붐대(13)를 하강시키면 상기 핑거(28)가 콘크리트관(1)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핑거(28)가 콘크리트관(1)을 감싸기 위해 콘트롤부(33)의 레버를 조작하면 각 승강부재(26)에 설치된 제 4 실린더(29)가 동시에 구동하여 양측으로 벌어져 있던 핑거(28)를 도 10b와 같이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콘크리트관(1)을 파지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4 실린더(29)의 구동으로 핑거(28)가 내측으로 오므러들 때, 핑거(28)에 고정된 삽입봉(32)이 승강부재(26)에 고정된 가이드봉(31)에 각각 끼워져 있으므로 핑거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일측 핑거(28)에 근접되게 설치된 푸셔(30)는 콘크리트관의 소켓부위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있도록 핑거(28)에 의해 콘크리트관(1)을 감싸기 전에 붐대(13)를 이동시켜 콘크리트관 접합기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핑거가 내측으로 오므러 들어 콘크리트관(1)을 파지하고 나면 백호(12)를 조작하여 붐대(13)를 상승시키므로써, 콘크리트관을 관로(4)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핑거(28)에 의해 관로를 따라 하역되어 있던 콘크리트관(1)을 파지하고 나면 백호(12)를 조작하여 붐대(13)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붐대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이 관로(4)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붐대의 방향을 선회시켜 핑거(28)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이 관로상(4)에 위치되면 붐대(13)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백호(12)의 붐대(13)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핑거(28)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과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2)의 중심축이 상, 하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면 X축 슬라이더(24)와 승강부재(26)사이에 설치된 제 3 실린더(27)를 구동시켜 도 10b의 일점쇄선과 같이 콘크리트관(1)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써 콘크리트관의 수평방향 중심축을 상호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핑거(28)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의 기울기 및 시공되는 콘크리트관의 기울기에 따라 2개의 제 3 실린더(27)를 동시에 구동시키거나, 또는 개별 구동시킬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동작으로 콘크리트관(1)(2)의 수평방향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난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중심축이 어긋나 있으면 프레임(11)과 Y축 슬라이더(19)의 X축 가이드봉(21)사이에 설치된 제 1 실린더(20)를 구동시켜 콘크리트관(1)을 Y축 방향으로 미세 조절한다.
즉, 콘크리트관 접합기는 백호(12)의 붐대(13)에 매달려 있어 프레임(11)의 위치는 불변인 반면, Y축 슬라이더(19)에는 제 1 실린더(20)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Y축 슬라이더(19)의 Y축 가이드봉(22)은 프레임()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 1 실린더(20)의 로드를 이동시키면 도 10c와 같이 콘크리트관(1)을 매달고 있는 핑거(28)는 물론 X축 슬라이더(24)가 함께 Y축을 따라 미세 이동하게 되므로 콘크리트관(1)의 수직방향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1b와 같이 기시공된 콘크리트관(2)의 중심축과 핑거(28)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의 중심축이 완전히 일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콘크리트관(1)(2)의 중심축을 상호 일치시키고 나면 콘크리트관(1)(2)의 접속부를 깨끗하게 닦아내고 스피것(1a)에 고무링(3)을 끼움과 동시에 스피것(1a)과 소켓(2a)의 내경부에 활제(滑劑)를 균일하게 바른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실린더(25)를 구동시키면 X축 가이드봉(21)에 끼워진 X축 슬라이더(24)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일측의 승강부재(26)에는 푸셔(30)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푸셔(30)가 핑거(28)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을 콘크리트관의 결합부위로 밀어주게 되므로 도 11c와 같이 콘크리트관(1)의 결합작업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콘크리트관(1)(2)의 접합작업을 마치고 나면 접합작업이 완료된 콘크리트관(1)의 저부에 흙메우기 작업을 실시한 다음 제 4 실린더(29) 및 제 2 실린더(25)를 순차적으로 재구동하여 상호 내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관(1)을 파지하고 있던 핑거(28) 및 콘크리트관(1)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였던 X축 슬라이더(24)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킨다.
상기 제 2, 4 실린더(25)(29)의 재구동으로 콘크리트관(1)의 파지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푸셔(30)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고 나면 백호(12)의 재조작으로 관로(4)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던 콘크리트관 접합기를 수직 상승시킴과 동시에 붐대(13)를 선회시키므로써 다음 콘크리트관의 접합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은 관로(4)에 인접된 콘크리트관(1)을 핑거(28)에 의해파지하여 관로상에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2)에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서, 1개의 콘크리트관의 접합작업을 완료하고 나면 백호(12)를 조작하여 붐대(13)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선회시키므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콘크리트관을 연속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그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백호를 이용하여 골목길 등 한정된 공간에서의 하수관 교체작업시 유용하게 적용가능하다.
둘째, 콘크리트관의 접합작업시 핑거(28)에 매달린 콘크리트관(1)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고무링(3)이 끼워진 콘크리트관(1)의 스피것(1a)을 대응되는 콘크리트관(2)의 소켓(2a) 내부로 접근시킬 때 부주의로 인한 부딪힘으로 접합부위가 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X축 슬라이더(24)에 고정된 푸셔(30)가 콘크리트관(1)을 밀어 콘크리트관(1)(2)을 상호 접합하게 되므로 고무링(3)이 끼워진 스피것(1a)을 소켓(2a)의 내부에 완전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관의 접합부위에서의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X, Y축 슬라이더(19)(24)의 수평 이동에 따라 콘크리트관(1)(2)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게 되므로 스피것(1a)의 외주면에 감싸여진 고무링(3)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섯째, 콘크리트관(1)의 접합부에서 완벽한 수밀성이 보장되므로 누수에 따른 재시공의 염려가 없어 전체적으로 볼 때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사각틀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백호의 붐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과, X축 가이드봉과 Y축 가이드봉이 교차되게 형성되어 Y축 가이드봉이 프레임의 양측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Y축 슬라이더와, 상기 프레임과 Y축 슬라이더사이에 설치되어 Y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X축 가이드봉에 끼워지고 양단에는 수직부재가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X축 슬라이더와, 상기 X축 슬라이더와 Y축 슬라이더사이에 설치되어 X축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X축 슬라이더의 수직부재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 승강부재와, 상기 X축 슬라이더와 승강부재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3 실린더와, 상기 승강부재에 Y축 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대향 설치되어 콘크리트관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핑거와, 상기 각 승강부재와 핑거사이에 설치되어 핑거를 구동시키는 제 4 실린더와, 상기 일측의 승강부재에 고정되어 X축 슬라이더의 이동시 콘크리트관을 기 시공된 콘크리트관측으로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각 실린더의 구동을 유압에 의해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양측에 가이드봉을 고정하고 각 핑거에는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지는 삽입봉을 고정하여 제 4 실린더를 가이드봉과 삽입봉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프레임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에 고정된 수직 판넬과, 상기 수직 판넬사이에 고정되어 붐대에 설치된 록킹레버가 끼워지는 록킹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 접합기.
KR1019990021447A 1999-06-09 1999-06-09 콘크리트관 접합기 KR10029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47A KR100299940B1 (ko) 1999-06-09 1999-06-09 콘크리트관 접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47A KR100299940B1 (ko) 1999-06-09 1999-06-09 콘크리트관 접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32A KR20010001932A (ko) 2001-01-05
KR100299940B1 true KR100299940B1 (ko) 2001-11-01

Family

ID=1959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47A KR100299940B1 (ko) 1999-06-09 1999-06-09 콘크리트관 접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75B1 (ko) 2015-10-02 2016-07-01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관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933B1 (ko) * 2002-10-02 2005-02-07 삼서건설 주식회사 배관 센터링장치 및 그 방법
KR102647163B1 (ko) * 2023-08-09 2024-03-13 (주)동진이엔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 그립퍼
KR102640028B1 (ko) * 2023-08-09 2024-02-23 (주)동진이엔시 프리캐스트 빗물받이를 운반하기 위한 동력장비용 어태치먼트그립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75B1 (ko) 2015-10-02 2016-07-01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관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32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265A (en) Grapple assembly
EP0718444A1 (en) Oil supply mechanism in a deep excavator
KR100299940B1 (ko) 콘크리트관 접합기
US4306626A (en) Hydraulic earth boring machine
US4286914A (en) Means and method for connecting large pipe
US5918923A (en) Pipe laying attachment for hydraulic equipment
CN111501879A (zh) 箱涵清淤系统及其持续施工方法
KR100538757B1 (ko) 굴삭기와 연계한 흄관 매설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3815202A (en) Pipe joiner
US68083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rotating pipes
KR100336941B1 (ko) 흄관 시공기
JP2011012742A (ja) 管体の敷設方法
KR200178593Y1 (ko) 흄관 시공기
JP2771056B2 (ja) 自走式管接合装置
KR100259602B1 (ko) 흄관 시공전용 크레인
JPH0725595A (ja) 管材ハンドリング装置
CN207419557U (zh) 一种煤矿井下风动硬泥清挖铲
JP2002135932A (ja) 管接続装置および管接続方法
EP0595614A1 (en) Telescopic arm for grab bucket excavator
JP7251267B2 (ja) 連結ピン挿入装置
KR100316836B1 (ko) 배관 접합 장치
JPH0426551Y2 (ko)
JPH0240153Y2 (ko)
JPS61171691A (ja) 浚渫船
JPS6449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