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530A - 차량 운행용 신발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530A
KR20150017530A KR1020130093576A KR20130093576A KR20150017530A KR 20150017530 A KR20150017530 A KR 20150017530A KR 1020130093576 A KR1020130093576 A KR 1020130093576A KR 20130093576 A KR20130093576 A KR 20130093576A KR 20150017530 A KR20150017530 A KR 2015001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upport
driver
heel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연
Original Assignee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530A/ko
Publication of KR2015001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30Heel-protectors for car-dri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안착하여 지지하는 바닥부와 발등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는 중앙돌출지지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면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신발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발등이나 바닥 등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통풍부위가 가능한 크게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고 쾌적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운행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운행용 신발{Driving shoes}
본 발명은 차량 운전할 때 신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발바닥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바닥창부와 발등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는 중앙돌출 조임지지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면 조임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신발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발등이나 바닥 등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통풍부위가 가능한 크게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고 쾌적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운행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을 할 때 특히 더운 여름이나 장거리 운전을 하게 되면 발에 땀이나고, 갑갑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하이힐을 신은 여성일 경우 페달의 조작이 부자연스러워 운전에 지장을 주게되고 심지어 사고의 위험을 초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때문에 일반적인 운전자 특히 여성 운전자나 장거리 운전자는 별도로 준비한 운동화나 슬리퍼를 갈아신고 운전하게 된다.
그러나 슬리퍼는 발에 통풍도 잘되고 가벼워서 편안하나 시간이 지나면 운전자도 모르게 벗어지거나 미끄러져 예기치 못하는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운동화는 신고 벗는데 번거롭고 불편하면서도 통풍이 잘 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리퍼가 벗겨질 경우 운전자가 당황하게 되고 급기야는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불합리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 운행용 신발이 공지되어 있다.
그 중 몇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78550호의 '장거리 운전용 보조 신발'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장거리 운전용 보조 신발'은 각종 신발의 밑부분 크기에 맞춰 운동화 밑창과 비슷하게 제작하고, 뒷부분에 적당한 높이의 뒷굽을 만들어 장거리 운전시에만 신고 있는 기존 우측 신발이나 맨발을 밑부분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고정장치를 해제하면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보조신발과 같은 재질로 발등과 발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걸이테이프(일명 찍찍이)를 부착하여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33328호의 '운전자전용 신발'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력성을 갖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면은 다수개의 지압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하부면의 전방부(12)와 후방부(13)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부(12, 13)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높이부(14,14')를 각각 형성한 밑창(10)과; 상기 밑창(10)의 상면 발등이 위치하는 전방부(12)측에는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되도록 형성한 착용띠(20)와; 상기 밑창(10)의 상면 발뒤꿈치가 위치하는 후방부(13)측에 형성되는 뒤축(30)을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KR 20-0278550 (등록번호) 2002.06.03. KR 20-0433328 (등록번호) 2006.12.04. KR 10-2011-0111577 (공개번호) 2011.10.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거리 운전용 보조 신발이나 운전자전용 신발은 운전자가 손으로 신발에 구비된 테이프를 벗겨서 발을 끼운 후 이를 다시 조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는 신발을 신고 벗는데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안착하여 지지하는 바닥부와 발등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는 중앙돌출 조임지지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면조임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신발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발등이나 바닥 등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등의 전면부를 개방하여 그 통풍부위가 가능한 크게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고 쾌적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운행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할 때 갈아 신는 차량 운행용 신발에 있어서, 운전자의 발바닥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창부(110)와, 운전자의 발등을 그 양측면에서 견고하면서도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중앙부 양측이 돌출 성형되는 발등조임지지부(120)와, 운전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뒤꿈치조임지지부(130)로 구성되고, 운전자의 발이 상기 바닥창부(110)에 안착되면서 발등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그 상부면이 개방부(140)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상기 바닥창부(110)와 연결되는 바닥연결부는 넓게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곡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뒤꿈치조임지지부(130)는 상기 바닥창부(110)에 연결되면서 발뒤꿈치를 감싸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곡면부(131)와 상기 지지곡면부(13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지지곡면부(13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발목을 감싸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조임부(132)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상단부측이 중간부나 하부측보다 그 두께를 더 뚜껍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조임부(132)는 발목을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되도록 그 단부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곡면부(131)의 양단면측은 뒤꿈치쪽으로 오목하게 곡면부(131a)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 또는 상기 탄성조임부(132)의 내부에는 탄성지지력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철심(121)를 다수개 삽설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닥창부(110)의 전방 하면에는 굴곡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요홈부(111)를 더 형성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은 운전자가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발등이나 바닥 등으로 통풍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가능한 크게 확장되도록 발등의 전면부를 개방함으로써 운전자가 쾌적하게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 발이 경사지게 놓이는 특성상 뒤꿈치 쪽으로의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특징을 형태에 반영함으로써 전면부의 개방감이 운전자의 갑갑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발등이나 뒤꿈치를 조여주는 조임지지부는 탄성력을 구비하여 발등이나 발목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와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의 단면도와 착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운전자전용 신발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의 발바닥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창부(110)와,
운전자의 발등을 그 양측면에서 견고하면서도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중앙부 양측이 돌출 성형되는 발등조임지지부(120)와,
운전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뒤꿈치조임지지부(130)로 구성되고,
운전자의 발이 상기 바닥창부(110)에 안착되면서 발등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도록 그 상부면이 개방부(140)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 운행용 신발(100)은 운전을 할 때 운전자가 구두 또는 하이힐 등의 워킹용 신발을 벗고 발을 상기 개방부(140)로 삽입하기만 하면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와 상기 뒤꿈치조임지지부(130)가 각각 발등과 발목 및 발뒤꿈치 등을 탄력적으로 조여주면서 간단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운전자의 발등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면서 발등이 상기 바닥창부(110)로부터 들리거나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상기 바닥창부(110)와 연결되는 바닥연결부가 넓게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상부측으로 갈수록 중간부나 하부측보다 그 두께가 내측으로 더 뚜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발등의 상부면이 점점 좁아지기 때문에 이를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시켜주기 위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뒤꿈치조임지지부(130)는 상기 바닥창부(110)에 연결되면서 발뒤꿈치를 감싸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곡면부(131)와 상기 지지곡면부(13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지지곡면부(13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발목을 감싸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조임부(132)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곡면부(131)에 의해 신발의 뒤꿈치 부분이 외부와 패쇄되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조임부(132)는 그 단부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발목을 안정적이면서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곡면부(131)의 양단면측은 뒤꿈치쪽으로 오목하게 곡면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곡면부(131a)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의 끝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나 상기 탄성조임부(132)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철심(121)를 다수개 삽설하여 탄성지지력을 대폭적으로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창부(110)의 전방 하면에는 굴곡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요홈부(111)를 형성하여 발바닥이 유연하게 브레이크 페달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요홈부(111)에 의해 상기 바닥창부(110)의 전방부가 쉽게 굴곡될 수 있어 워킹시 또는 페달을 밟을 때 발바닥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기 차량 운행용 신발(100)은 운전 시 이외에도 일상적인 패션 상품화하여 활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용 신발은 운전자의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안착하여 지지하는 바닥부와 발등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는 중앙돌출 조임지지부 및 뒤꿈치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면조임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신발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발등이나 바닥 등으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등의 전면부를 개방하여 그 통풍부위가 가능한 크게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편리하고 쾌적하게 운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 구두나 하이힐에 비해 땀이 차는 것을 막아 줄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며 바닥에서의 이탈 방지는 물론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100:차량 운행용 신발
110:바닥창부 111:요홈
120:발등조임지지부
130:뒤꿈치조임지지부
131:지지곡면부 132:탄성조임부
140:개방부

Claims (7)

  1. 차량을 운전할 때 갈아 신는 차량 운행용 신발에 있어서,
    운전자의 발바닥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창부(110)와,
    운전자의 발등을 그 양측면에서 견고하면서도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중앙부 양측이 돌출 성형되는 발등조임지지부(120)와,
    운전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면서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뒤꿈치조임지지부(130)로 구성되고,
    운전자의 발이 상기 바닥창부(110)에 안착되면서 발등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그 상부면이 개방부(140)로 형성되어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상기 바닥창부(110)와 연결되는 바닥연결부는 넓게 형성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곡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뒤꿈치조임지지부(130)는 상기 바닥창부(110)에 연결되면서 발뒤꿈치를 감싸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곡면부(131)와 상기 지지곡면부(131)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지지곡면부(13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발목을 감싸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조임부(132)로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는 상단부측이 중간부나 하부측보다 그 두께를 더 뚜껍게 형성하여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임부(132)는 발목을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되도록 그 단부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곡면부(131)의 양단면측은 뒤꿈치쪽으로 오목하게 곡면부(131a)를형성하여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조임지지부(120) 또는 상기 탄성조임부(132)의 내부에는 탄성지지력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철심(121)를 다수개 삽설하여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부(110)의 전방 하면에는 굴곡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요홈부(111)를 더 형성하여 구성된 차량 운행용 신발.
KR1020130093576A 2013-08-07 2013-08-07 차량 운행용 신발 KR20150017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576A KR20150017530A (ko) 2013-08-07 2013-08-07 차량 운행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576A KR20150017530A (ko) 2013-08-07 2013-08-07 차량 운행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30A true KR20150017530A (ko) 2015-02-17

Family

ID=5304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576A KR20150017530A (ko) 2013-08-07 2013-08-07 차량 운행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53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94U (ko) * 1999-03-08 2000-10-05 황기수 일체형 슬리퍼
JP2003516781A (ja) * 1999-12-17 2003-05-20 ピロ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ドライブ用及び歩行用シューズ
KR20110006134A (ko) * 2009-07-13 2011-01-20 고재호 비치샌들
KR20110107247A (ko) * 2010-03-24 2011-09-30 구정회 기능성 슬리퍼
KR20130008398A (ko) * 2011-07-12 2013-01-22 주식회사 나인인터내셔날 마찰부재를 구비한 소프트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94U (ko) * 1999-03-08 2000-10-05 황기수 일체형 슬리퍼
JP2003516781A (ja) * 1999-12-17 2003-05-20 ピロ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ドライブ用及び歩行用シューズ
KR20110006134A (ko) * 2009-07-13 2011-01-20 고재호 비치샌들
KR20110107247A (ko) * 2010-03-24 2011-09-30 구정회 기능성 슬리퍼
KR20130008398A (ko) * 2011-07-12 2013-01-22 주식회사 나인인터내셔날 마찰부재를 구비한 소프트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6043B2 (ja) ブーツライナー
EP2023756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open upper
US20120144699A1 (en) Shoe having a plurality of toe compartments
US20200100557A1 (en) Performance sandal shoe and method of use
WO2014067454A1 (zh) 具有弹性支撑片的高弹性鞋中底及高跟鞋
US20050120592A1 (en) Footwear combining comfort with fashion
GB2442293A (en) Footwear cushioning apparatus
KR20150017530A (ko) 차량 운행용 신발
US20150320140A1 (en) Sandal having grooves for drainage
US20180020774A1 (en) Shoe with Flexible Upper
WO2000013537A3 (en) Footwear sole and arch strapping system
US20110289657A1 (en) Specialized sock having removeable insert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JPH10179207A (ja) 靴及び付属品
JP2008148867A (ja) 薄型フットケアパッド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KR200388747Y1 (ko) 건강 신발
KR200278550Y1 (ko) 장거리 운전용 보조 신발
JP3145121U (ja) 踵部固定パッド
JP3009145U (ja) 短 靴
JPH11318511A (ja) 鼻緒付き靴
KR200271353Y1 (ko) 기능성 샌들
JP3132207U (ja) 織ゴムのような伸縮材を使用した靴ベラのいらない靴
CN204444412U (zh) 方便系着安全鞋
JPH08317808A (ja) 履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