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379A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379A
KR20150016379A KR20147036724A KR20147036724A KR20150016379A KR 20150016379 A KR20150016379 A KR 20150016379A KR 20147036724 A KR20147036724 A KR 20147036724A KR 20147036724 A KR20147036724 A KR 20147036724A KR 20150016379 A KR20150016379 A KR 2015001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cap
neck portio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580B1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01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 B67D2210/00097Handling of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 B67D3/007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containers with adjustable volu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스무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한 하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워터 서버는, 인출구(20)를 하부에 갖는 케이스(1)와,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가지고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4)을 배치한 상태에서 인출구(20)로부터 출납되는 보틀 홀더(5)를 갖는다. 보틀 홀더(5)는, 물통(4)의 목부(11)가 삽입되는 보틀 삽입구(24)와, 보틀 삽입구(24)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 안내면(25)과, 물통(4)의 어깨부(10)를 지지하는 보틀 지지면(26)과, 보틀 삽입구(24) 내에 상향으로 마련된 통수 로드(28)를 갖는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물통으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의 높아짐으로부터,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된 보틀 삽입구에 교환식의 물통을 셋트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워터 서버에 셋트하는 물통으로서, 종래는, 잔수량이 감소하여도 수축하지 않는 강성이 있는 보틀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은, 사용 후에 빈 보틀을 폐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형성된 보틀이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물통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와, 그 몸통부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와,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개재하여 마련된 목부를 갖는다. 목부의 선단에는 캡이 부착되고, 그 캡의 중앙에 형성된 수출구에 마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물통의 바닥부에는, 물통의 목부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을 들기 위한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의 상면의 보틀 삽입구 내에는, 통수 로드가 상향으로 마련되어 있어, 물통의 목부를 보틀 삽입구에 삽입하였을 때에, 물통의 캡의 수출구가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는, 보틀 삽입구가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셋트할 때에, 물통을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물통은, 통상 12 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어, 10 ㎏ 이상의 중량이 있다. 그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물통의 교환 작업은 큰 일이었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물통의 교환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는 워터 서버를 연구하여, 그와 같은 워터 서버로서, 보틀 하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를 개발하였다.
본원의 발명자가 개발한 보틀 하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는, 인출구를 하부에 갖는 케이스와, 유연성을 갖게 한 교환식의 물통을 배치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인출구로부터 출납되는 보틀 홀더를 갖는다. 보틀 홀더에는, 물통의 목부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의 목부가 삽입되는 보틀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틀 삽입구 내에는, 통수 로드가 상향으로 마련되어 있어, 물통의 목부를 보틀 삽입구에 삽입하였을 때에, 물통의 캡의 수출구가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워터 서버는, 보틀 홀더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셋트할 때에, 물통을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물통의 교환 작업이 수월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46216호 공보(특히 도 1 및 도 3)
그런데, 본원의 발명자는, 보틀 하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를 사내에서 시험 제작한 바, 물통을 워터 서버에 셋트할 때에, 종래의 상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에 비해서 통수 로드를 시인하기 어려워,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스무스하게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상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에서는, 보틀 삽입구가 케이스의 상면에 있기 때문에,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는 작업은, 통수 로드를 시인하면서 행할 수 있는 데 대하여, 하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에서는, 보틀 삽입구가 작업자의 발밑 부근에 있기 때문에,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의 눈의 위치에서 보아 통수 로드의 상방에 물통이 중첩된 배치가 되어, 통수 로드를 시인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스무스하게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통의 바닥부에 마련된 손잡이를 쥐고 물통의 목부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을 들었을 때에, 손잡이를 쥐는 법에 따라서는, 물통의 목부가 바로 아래를 향하지 않고, 경사 아래를 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물통의 목부가 경사 아래를 향하면,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맞추는 작업이, 한층 더 번잡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스무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한 하측 배치형의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출구를 하부에 갖는 케이스와,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로부터 출납되는 보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와, 이 바닥부에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개재하여 마련된 목부와, 이 목부의 선단에 부착된 캡과, 이 캡의 중앙에 형성된 수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마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틀 홀더는, 상기 물통의 목부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의 목부가 삽입되는 보틀 삽입구와, 이 보틀 삽입구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보틀 삽입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삽입 안내면과, 상기 보틀 삽입구에 상기 물통의 목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의 어깨부를 지지하고 물통 내의 음료수를 물통의 목부로 유도하는 경사를 갖게 형성된 보틀 지지면과, 상기 보틀 삽입구에 상기 물통의 목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캡의 수출구에 끼워맞춰지도록 보틀 삽입구 내에 상향으로 마련된 통수 로드를 갖는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하였다.
이 워터 서버는, 보틀 홀더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셋트할 때에, 물통을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물통의 교환 작업이 수월하다. 여기서, 물통의 목부를 보틀 삽입구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목부의 위치가 보틀 삽입구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도, 보틀 삽입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보틀 삽입구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가진 삽입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안내면을 따라 물통의 목부가 보틀 삽입구에 안내된다. 또한, 물통의 바닥부의 손잡이의 쥐는 법에 따라, 물통의 목부가 바로 아래를 향하지 않고, 경사 아래를 향하고 있을 때에도, 물통의 목부가 삽입 안내면을 따라 보틀 삽입구에 안내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의 눈의 위치에서 보아 통수 로드의 상방에 물통이 중첩되어 통수 로드를 시인하기 어려울 때에도,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스무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통의 어깨부를 지지하는 보틀 지지면이 경사를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 내의 음료수를 완전히 다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의 위치에 합치시키기 위해서는, 본래라면, 통수 로드의 높이는, 통수 로드의 상단이 삽입 안내면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수 로드의 상단을 삽입 안내면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하면, 물통의 목부를 보틀 삽입구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물통의 목부가 삽입 안내면에 의해 보틀 삽입구의 가장 중앙에 가까운 위치까지 안내된 후에, 물통의 캡이 통수 로드에 도달하기 때문에,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의 위치에 가장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통수 로드의 상단을 삽입 안내면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한 워터 서버를 시험 제작한 바, 물통의 캡이 통수 로드에 도달하였을 때에, 통수 로드로부터 캡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유연성이 있는 물통이 변형되고, 이 변형에 의해 물통의 목부가 충분히 하강하지 않으며, 그 결과, 캡의 수출구가 통수 로드에 끼워맞춰지지 않을 우려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통수 로드의 높이는, 상기 삽입 안내면의 하단보다 상방, 또한, 상기 삽입 안내면의 상단보다 하방의 범위에 통수 로드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물통의 캡이 통수 로드에 도달하였을 때에, 통수 로드로부터 캡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유연성이 있는 물통이 변형되어도,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보틀 홀더에 물통을 배치한 하측 배치형이기 때문에, 물통의 교환 작업이 수월하다. 또한, 보틀 삽입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보틀 삽입구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가진 삽입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의 캡의 수출구를 통수 로드에 스무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물통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물통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의 케이스로부터 보틀 홀더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보틀 홀더에 물통을 셋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물통의 셋트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물통의 음료수를 펌프로 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물통의 잔수량이 적어진 단계에서, 물통의 음료수를 펌프로 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물통의 음료수가 다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세로로 긴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상부에 삽입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교환식의 물통(4)이 배치되는 보틀 홀더(5)와, 보틀 홀더(5)에 배치한 물통(4)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하는 원수 공급로(6)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7)를 갖는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통(4)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8)와, 그 몸통부(8)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9)와, 몸통부(8)의 타단에 어깨부(10)를 통해 마련된 목부(11)를 갖는다. 물통(4)의 몸통부(8)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물통(4)이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통(4)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물통(4)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2 리터 정도이다.
목부(11)의 선단에는 캡(12)이 부착되고, 그 캡(12)의 중앙에 형성된 수출구(13)에 마개체(14)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캡(12)은, 목부(11)의 외측 둘레에 끼워맞춰지는 외통부(15)와, 외통부(15)의 일단에 연속하여 마련된 환형 판부(16)와, 환형 판부(16)의 내직경 단부로부터 목부(11) 내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통부(17)로 이루어진다. 내통부(17)는, 외통부(15)와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15)와 환형 판부(16)의 교차 모서리는 단면 원호형으로 라운딩을 주어 형성되고, 내통부(17)와 환형 판부(16)의 교차 모서리도 단면 원호형에 라운딩을 주어 형성되어 있다. 안통부(17)의 내측의 공간은 수출구(13)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내통부(17) 내에 마개체(14)가 끼워맞춰진다.
또한, 물통(4)의 바닥부(9)에는, 물통(4)의 목부(11)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4)을 들기 위한 손잡이(18)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18)는, 물통(4)의 바닥부(9)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띠형체이며, 그 양단이 물통(4)의 몸통부(8)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18)는, 바닥부(9)의 중앙에 부착된 수지 성형체를 채용하여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하부에는, 보틀 홀더(5)가 출납되는 인출구(20)와, 인출구(20)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도어(21)가 마련되어 있다. 보틀 홀더(5)는, 인출구(20)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22)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물통(4)을 배치한 상태인 채로, 인출구(20)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21)는, 보틀 홀더(5)와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보틀 홀더(5)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 도어(21)를 개방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보틀 홀더(5)가 인출구(20)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21)를 폐쇄하는 조작을 행하면, 이에 연동하여 보틀 홀더(5)가 인출구(20)의 내부에 수납된다.
슬라이드 도어(21)의 하부에는, 케이스(1)의 배치면(FL)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23)는, 인출구(20)로부터 보틀 홀더(5)를 인출하여, 만수 상태의 물통(4)을 보틀 홀더(5)에 배치하였을 때에, 그 물통(4)의 중량을 지지함으로써, 케이스(1)의 전도를 방지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 홀더(5)는, 물통(4)의 목부(11)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4)의 목부(11)가 삽입되는 보틀 삽입구(24)와, 그 보틀 삽입구(24)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보틀 삽입구(24)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 안내면(25)과, 보틀 삽입구(24)에 물통(4)의 목부(11)를 삽입한 상태에서 물통(4)의 어깨부(10)를 지지하는 보틀 지지면(26)과, 보틀 지지면(26)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벽(27)과, 보틀 삽입구(24) 내에 상향으로 고정된 통수 로드(28)를 갖는다. 통수 로드(2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로드(28)는, 보틀 삽입구(24)에 물통(4)의 목부(11)를 삽입하였을 때에, 캡(12)의 수출구(13)에 끼워맞춰진다. 여기서, 통수 로드(28)의 외직경은, 통수 로드(28)가 캡(12)의 수출구(13)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그 끼워맞춤면 사이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출구(13)의 내직경[즉 내통부(17)의 내직경]에 비해서 동직경이거나 약간 대직경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수 로드(28)의 선단에는, 통수 로드(28)가 수출구(13)에 끼워맞춰졌을 때에, 수출구(13)의 마개체(14)를 유지하는 반구형의 돌기(28a)가 형성되어 있다.
보틀 지지면(26)은, 물통(4) 내의 음료수를 물통(4)의 목부(11)에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 안내면(25)은, 보틀 지지면(26)보다 급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물통(4)의 어깨부(10)를 보틀 지지면(26)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물통(4)과는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보틀 삽입구(24)의 내측 둘레는, 물통(4)의 목부(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통면이다. 보틀 지지면(26)은, 도면에서는, 단면 직선형의 원추면이지만, 단면이 약간 만곡한 오목 곡선이 되는 테이퍼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삽입 안내면(25)은, 도면에서는, 보틀 지지면(26)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단면 직선형의 원추면이지만, 단면이 볼록 곡선이 되는 테이퍼면으로 하여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로드(28)의 높이는, 삽입 안내면(25)의 하단보다 상방, 또한, 삽입 안내면(25)의 상단보다 하방의 범위(A)에 통수 로드(28)의 상단[즉 돌기(28a)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둘레벽(27)의 높이는, 물통(4)의 몸통부(8)의 길이의 적어도 1/2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벽(27)은, 물통(4)의 잔수량이 감소하여 물통(4)이 수축할 때에, 물통(4)의 몸통부(8)의 기욺을 방지하여, 물통(4)이 인출구(20)의 내면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물통(4)이 비었을 때에, 보틀 홀더(5)가 인출구(20)로부터 인출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27)의 상측 가장자리의 중앙에 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9)는, 물통(4)의 목부(11)의 선단의 캡(12)이 오목부(29)를 통과할 수 있도록, 캡(12)의 외직경보다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만수 상태의 물통(4)을 보틀 홀더(5)에 셋트할 때에, 오목부(29)의 깊이에 상당하는 분량만큼, 물통(4)을 들어올리는 높이가 억제되어, 물통(4)의 교환 작업의 부담이 경감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수 로드(28)의 하단에는, 원수 공급로(6)의 물통(4)측의 단부와, 물통(4)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로(30)의 물통(4)측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원수 공급로(6)의 도중에는, 펌프(31)와 유량 센서(32)가 조립되어 있다. 펌프(31)는,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톱니바퀴를 회전시켜 음료수를 송출하는 기어 펌프이다. 펌프(31)로서,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음료수의 흡입과 토출을 행하는 다이어프램 펌프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31)를 작동시키면,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물통(4)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되어, 물통(4)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펌프(31)는,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다 떨어졌을 때는, 원수 공급로(6) 내의 공기(오존 함유 공기를 포함함)를 물통(4)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한다. 유량 센서(32)는, 펌프(31)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다 떨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한 상태로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3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34)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 장치(33)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측 둘레에 배치되어,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34)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3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35)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31)가 작동하여, 물통(4)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 배플판(34)은, 물통(4)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될 때에, 냉각 장치(33)에서 냉각되어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물통(4)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공급되는 상온의 음료수와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수 탱크(2)의 저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따르는 냉수 주출로(注出路)(36)가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로(36)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37)가 마련되고, 이 냉수 코크(37)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따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물통(4)의 용량보다 작으며, 2 리터∼4 리터 정도이다.
배플판(34)의 중앙에는,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7)의 상단이 개구하고 있다. 탱크 접속로(7)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측으로부터 온수 탱크(3)측에의 음료수의 흐름을 허용하고, 또한, 온수 탱크(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에의 음료수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38)가 마련되어 있다.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9)가 부착되어 있어,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39)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안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3)의 둘레벽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3)의 내부를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3)의 외측 둘레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에 저장된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에 따르는 온수 주출로(40)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로(40)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41)가 마련되고, 이 온수 코크(41)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따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따르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7)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 리터∼2 리터 정도이다.
탱크 접속로(7)는, 온수 탱크(3)의 상면으로부터 온수 탱크(3)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탱크 내 배관(42)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42)의 하단은, 온수 탱크(3)의 저면 근방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열 장치(39)로 가열된 고온의 음료수의 상승류가, 탱크 내 배관(42)의 하단 개구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탱크 내 배관(42)의 온수 탱크(3)의 상면 근방에는, 탱크 내 배관(42)의 내외를 연통하는 작은 구멍(43)이 마련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44)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45)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45)는, 공기 도입구(46)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47)와, 케이스(47)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48)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48)로서는, 예컨대,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45)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48)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항상, 케이스(47)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공기 도입로(44)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45)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냉수 탱크(2) 내에는, 원수 공급로(6)로부터 유출된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면에 도달하기까지의 음료수의 흐름을 확산시키는 확산판(49)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확산판(49)을 마련함으로써, 원수 공급로(6)로부터 유출된 음료수가, 냉수 탱크(2) 내의 공기 중의 오존[공기 살균 챔버(45)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 것]과 넓은 면적으로 닿도록 하여,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되는 음료수의 위생을 높이고 있다.
흡기로(30)의 물통(4)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오존 발생 장치(50)가 접속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50)는, 입구와 출구를 갖는 중공의 케이스(51)와, 그 케이스(51)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52)로 이루어진다. 케이스(51)의 입구는 공기 도입로(44)에 접속되고, 케이스(51)의 출구는 흡기로(30)에 접속되어 있다. 오존 발생체(52)는, 공기 살균 챔버(45)의 오존 발생체(48)와 마찬가지로,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오존 발생 장치(50)는, 펌프(31)의 작동에 연동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원수 공급로(6)와 흡기로(30)는, 보틀 홀더(5)의 슬라이드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오존 발생 장치(50)에서 발생한 오존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연성 및 내오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수 공급로(6)와 흡기로(30)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튜브, 불소 수지 튜브, 불소 고무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코크(37)를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따르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코크(41)를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따르더라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7)를 통하여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35)가 검출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31)가 작동하여, 물통(4)의 음료수를 냉수 탱크(2)에 공급한다. 이때, 펌프(31)의 작동에 연동하여, 오존 발생 장치(50)에서 오존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펌프(31)가 작동하고 있을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통(4) 내의 잔수량이 많은 단계에서는, 물통(4) 내의 음료수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물통(4)이 수축한다. 그 때문에, 흡기로(30)로부터 물통(4) 내에의 공기의 유입은 생기지 않는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통(4) 내의 잔수량이 적어진 단계에서는, 물통(4)의 수축이 진행되어 강성이 생겨, 그 이상의 수축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31)가 작동하고 있을 때, 물통(4) 내의 감압에 의해 흡기로(30)로부터 물통(4) 내에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오존 발생 장치(50)에서 오존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그 오존이 흡기로(30)와 통수 로드(28)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물통(4) 내에 유입되어, 흡기로(30)의 내부 및 통수 로드(28)의 내부가 오존 살균된다.
또한, 물통(4) 내의 잔수량이 적어지면, 물통(4) 내의 음료수는 목부(11)에 모인다. 이때, 보틀 지지면(26)이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4)의 어깨부(10)에 잔수가 생기지 않고, 물통(4) 내의 음료수를 완전히 다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31)가 작동한 상태에서 원수 공급로(6) 내의 음료수가 다 떨어진 것을 유량 센서(32)가 검지하였을 때는, 그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펌프(31)와 오존 발생 장치(50)가 계속해서 작동한다. 이때, 오존 발생 장치(50)에서 발생한 오존은, 흡기로(30)와 통수 로드(28)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물통(4)의 하부에 들어가고, 또한, 물통(4)의 하부로부터 통수 로드(28), 원수 공급로(6)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냉수 탱크(2) 내에 유입된다. 이에 의해, 흡기로(30)의 내부, 통수 로드(28)의 내부, 원수 공급로(6)의 내부가 오존 살균된다.
그 후, 물통(4)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인출구(20)로부터 보틀 홀더(5)를 인출하여, 보틀 홀더(5)로부터 빈 물통(4)을 제거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수 상태의 물통(4)의 목부(11)를 하향으로 하고 그 물통(4)의 바닥부(9)에 마련된 손잡이(18)를 쥐고 물통(4)을 들어, 보틀 홀더(5)에 셋트한다.
이때, 보틀 삽입구(24)가 작업자의 발밑 부근에 있기 때문에, 물통(4)의 캡(12)의 수출구(13)를 통수 로드(28)에 끼워맞추는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의 눈의 위치에서 보아 통수 로드(28)의 상측에 물통(4)이 중첩된 배치가 되어, 통수 로드(28)를 시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물통(4)의 목부(11)를 보틀 삽입구(24)에 삽입할 때에, 물통(4)의 목부(11)의 위치가 보틀 삽입구(24)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도, 보틀 삽입구(24)의 둘레 가장자리에, 보틀 삽입구(24)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가진 삽입 안내면(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안내면(25)을 따라 물통(4)의 목부(11)가 보틀 삽입구(24)에 안내된다. 또한, 물통(4)의 바닥부(9)의 손잡이(18)를 쥘 때에, 손잡이(18)의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를 쥠으로써, 물통(4)의 목부(11)가 바로 아래를 향하지 않고, 경사져 아래를 향하여도, 물통(4)의 목부(11)가 삽입 안내면(25)을 따라 보틀 삽입구(24)에 안내된다. 그 때문에, 물통(4)의 캡(12)의 수출구(13)를, 통수 로드(28)에 스무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물통(4)의 캡(12)의 수출구(13)를 통수 로드(28)의 위치에 합치시키기 위해서는, 본래라면, 통수 로드(28)의 높이는, 통수 로드(28)의 상단이 삽입 안내면(25)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수 로드(28)의 상단을 삽입 안내면(25)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하면, 물통(4)의 목부(11)를 보틀 삽입구(24)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물통(4)의 목부(11)가 삽입 안내면(25)에 의해 보틀 삽입구(24)의 가장 중앙에 가까운 위치까지 안내된 후에, 물통(4)의 캡(12)이 통수 로드(28)의 선단의 돌기(28a)에 도달하기 때문에, 캡(12)의 수출구(13)를 통수 로드(28)의 위치에 가장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캡(12)의 수출구(13)에 통수 로드(28)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통수 로드(28)가 마개체(14)를 압출하면서 내통부(17)를 관통할 필요가 있고, 이때, 캡(12)과 통수 로드(28) 사이에 축방향의 힘이 부하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실제로는, 통수 로드(28)의 상단을 삽입 안내면(25)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하면, 물통(4)의 캡(12)이 통수 로드(28)에 도달하였을 때에, 통수 로드(28)로부터 캡(12)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유연성이 있는 물통(4)이 변형되고, 이 변형에 의해 물통(4)의 목부(11)가 충분히 하강하지 않으며, 그 결과, 캡(12)의 수출구(13)가 통수 로드(28)에 끼워맞춰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통(4)의 캡(12)이 통수 로드(28)에 도달하였을 때에, 통수 로드(28)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물통(4)의 어깨부(10)가 물통(4)의 내측으로 움푹 패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이 어깨부(10)의 변형에 의해, 통수 로드(28)가 캡(12)의 수출구(13)에 끼워맞춰지는 것보다 전에 물통(4)의 어깨부(10)의 외측 둘레 부분이 보틀 지지면(26)에 접촉하여, 그 접촉 부분에 물통(4) 내의 음료수의 중량이 분산되며, 그 결과, 캡(12)과 통수 로드(28) 사이에 충분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캡(12)의 수출구(13)가 통수 로드(28)에 끼워맞춰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워터 서버의 통수 로드(28)의 높이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안내면(25)의 하단보다 상방에 통수 로드(28)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4)의 캡(12)이 통수 로드(28)에 도달하였을 때에, 통수 로드(28)로부터 캡(12)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유연성이 있는 물통(4)이 변형되어도, 캡(12)의 수출구(13)를 통수 로드(28)에 확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워터 서버는, 보틀 삽입구(24)의 둘레 가장자리에, 보틀 삽입구(24)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가진 삽입 안내면(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4)의 캡(12)의 수출구(13)를 통수 로드(28)에 스무스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보틀 홀더(5)가 케이스(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4)을 워터 서버에 셋트할 때에, 물통(4)을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물통(4)의 교환 작업이 수월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펌프(31)의 작동에 연동하여 오존 발생 장치(50)가 오존을 발생하기 때문에, 흡기로(30)로부터 물통(4) 내에 공기가 유입될 때에, 오존 발생 장치(50)에서 발생한 오존이 흡기로(30)를 흘러, 흡기로(30)의 내부가 오존 살균된다. 또한, 교환식의 물통(4)의 음료수를 다 사용할 때마다, 흡기로(30)와 원수 공급로(6)의 양방의 유로가 오존 살균된다. 그 때문에, 흡기로(30) 및 원수 공급로(6) 내에서의 잡균의 번식이 방지되어 위생적이다.
1 케이스
4 물통
5 보틀 홀더
8 몸통부
9 바닥부
10 어깨부
11 목부
12 캡
13 수출구
14 마개체
18 손잡이
20 인출구
24 보틀 삽입구
25 삽입 안내면
26 보틀 지지면
28 통수 로드

Claims (2)

  1. 인출구(20)를 하부에 갖는 케이스(1)와,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4)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20)로부터 출납되는 보틀 홀더(5)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4)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8)와, 이 몸통부(8)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9)와, 이 바닥부(9)에 마련된 손잡이(18)와, 상기 몸통부(8)의 타단에 어깨부(10)를 개재하여 마련된 목부(11)와, 이 목부(11)의 선단에 부착된 캡(12)과, 그 캡(12)의 중앙에 형성된 수출구(13)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마개체(14)를 포함하며,
    상기 보틀 홀더(5)는, 상기 물통(4)의 목부(11)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물통(4)의 목부(11)가 삽입되는 보틀 삽입구(24)와, 이 보틀 삽입구(24)를 향하여 깊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보틀 삽입구(24)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 안내면(25)과, 상기 보틀 삽입구(24)에 상기 물통(4)의 목부(1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물통(4)의 어깨부(10)를 지지하고 물통(4) 내의 음료수를 물통(4)의 목부(11)로 유도하는 경사를 갖게 하여 형성된 보틀 지지면(26)과, 상기 보틀 삽입구(24)에 상기 물통(4)의 목부(1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캡(12)의 수출구(13)에 끼워맞춰지도록 보틀 삽입구(24) 내에 상향으로 마련된 통수 로드(28)를 포함하는 것인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안내면(25)은 상기 물통(4)의 어깨부(10)를 상기 보틀 지지면(26)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물통(4)과는 비접촉의 경사면이고,
    상기 통수 로드(28)의 높이를, 상기 삽입 안내면(25)의 하단보다 상방, 또한, 상기 삽입 안내면(25)의 상단보다 하방의 범위에 통수 로드(28)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정한 것인 워터 서버.
KR1020147036724A 2012-06-05 2013-04-12 워터 서버 KR102044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8006 2012-06-05
JP2012128006A JP5529206B2 (ja) 2012-06-05 2012-06-05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3/061047 WO2013183361A1 (ja) 2012-06-05 2013-04-12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379A true KR20150016379A (ko) 2015-02-11
KR102044580B1 KR102044580B1 (ko) 2019-11-13

Family

ID=4971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724A KR102044580B1 (ko) 2012-06-05 2013-04-12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58713A1 (ko)
EP (1) EP2857346A4 (ko)
JP (1) JP5529206B2 (ko)
KR (1) KR102044580B1 (ko)
CN (1) CN104395226A (ko)
TW (1) TW201400398A (ko)
WO (1) WO20131833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5B1 (ko) * 2018-01-18 2019-07-04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29909B (en) * 2013-12-11 2018-07-31 Neviot Nature Galilee Ltd Device for closing a liquid container
JP5583296B1 (ja) * 2014-04-15 2014-09-0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430430B2 (ja) * 2016-03-30 2018-11-28 中嶋 孝司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NL2017109B1 (en) 2016-07-05 2018-01-12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NL2018955B1 (en) 2017-05-19 2018-11-2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NL2018956B1 (en) 2017-05-19 2018-11-28 Heineken Supply Chain Bv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beverage container
JP7339647B2 (ja) * 2018-11-28 2023-09-06 富士山の銘水株式会社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飲料水ボトル自動発注システム
JP2020083472A (ja) * 2019-06-06 2020-06-04 富士山の銘水株式会社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飲料水ボトル自動発注システム
CN110326973B (zh) * 2019-07-17 2021-04-02 宁波福特恩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下置式饮水机及其水汽分离盒
CN113371662B (zh) * 2021-05-21 2022-11-11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空气零接触上水器及保鲜取液系统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523A (ja) *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JP2007238144A (ja) * 2006-03-09 2007-09-20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給水装置および飲料機器
JP2010042859A (ja) * 2008-07-18 2010-02-25 Water Direct Co Ltd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US20100116847A1 (en) * 2008-11-07 2010-05-13 Design By Pari, Llc Under-counter water cooler appliance
JP2010143600A (ja) * 2008-12-17 2010-07-01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JP2010235135A (ja) * 2009-03-30 2010-10-21 Duskin Co Ltd 冷温飲料水サーバー
JP2011063310A (ja) * 2009-09-17 2011-03-31 Ishida Kanagata Seisakusho Kk 飲料ディスペンサ用容器のキャップ、これを備えた飲料ディスペンサ用容器、飲料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並びに、そのキャッ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1246130A (ja) * 2010-05-21 2011-12-08 Shinichi Yano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2046216A (ja) 2010-08-26 2012-03-08 Hanshin Kasei Kogyo 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JP2012046194A (ja) * 2010-08-24 2012-03-08 Nittoku:Kk 冷水機
JP2012171679A (ja) * 2011-02-24 2012-09-10 Tech Corporation:Kk 飲用水供給装置へのボトルウォーター挿入装置および挿入方法
JP2012171651A (ja) *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ボトルウォーターを原水とする飲用水供給装置におけるボトルウォーターの挿入方法および挿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5694A (en) * 1969-12-18 1972-08-22 Yan Nell Corp Liquid dispenser plastic bottle and receptacle with piercing units
JP2004176977A (ja)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急速冷却装置
EP1645523B1 (en) * 2004-10-06 2008-07-23 Kabushiki Kaisha Cosmo Life Container cartridge for beverage dispenser and support structure thereof
US20080041897A1 (en) * 2006-08-16 2008-02-21 Rohit Malhotra Case with integrated accessory holder
US8281821B2 (en) * 2006-08-30 2012-10-09 MTN Products, Inc Leak stop seal for water cooler
JP4759591B2 (ja) * 2008-05-12 2011-08-31 有限会社アンディクス 冷水器
US20110100503A1 (en) * 2009-11-03 2011-05-05 Mtn Products, Inc. No-leak liquid dispenser
JP5487164B2 (ja) * 2011-07-08 2014-05-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空気殺菌チャンバ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523A (ja) *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JP2007238144A (ja) * 2006-03-09 2007-09-20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給水装置および飲料機器
KR20110042034A (ko) * 2008-07-18 2011-04-22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다이렉트 워터 서버용 보틀
JP2010042859A (ja) * 2008-07-18 2010-02-25 Water Direct Co Ltd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US20100116847A1 (en) * 2008-11-07 2010-05-13 Design By Pari, Llc Under-counter water cooler appliance
JP2010143600A (ja) * 2008-12-17 2010-07-01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JP2010235135A (ja) * 2009-03-30 2010-10-21 Duskin Co Ltd 冷温飲料水サーバー
JP2011063310A (ja) * 2009-09-17 2011-03-31 Ishida Kanagata Seisakusho Kk 飲料ディスペンサ用容器のキャップ、これを備えた飲料ディスペンサ用容器、飲料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並びに、そのキャップ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1246130A (ja) * 2010-05-21 2011-12-08 Shinichi Yano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2046194A (ja) * 2010-08-24 2012-03-08 Nittoku:Kk 冷水機
JP2012046216A (ja) 2010-08-26 2012-03-08 Hanshin Kasei Kogyo 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JP2012171651A (ja) *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ボトルウォーターを原水とする飲用水供給装置におけるボトルウォーターの挿入方法および挿入装置
JP2012171679A (ja) * 2011-02-24 2012-09-10 Tech Corporation:Kk 飲用水供給装置へのボトルウォーター挿入装置および挿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75B1 (ko) * 2018-01-18 2019-07-04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WO2019143183A1 (ko) * 2018-01-18 2019-07-25 (주)원봉 슬라이드 방식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0398A (zh) 2014-01-01
CN104395226A (zh) 2015-03-04
EP2857346A1 (en) 2015-04-08
KR102044580B1 (ko) 2019-11-13
JP2013252867A (ja) 2013-12-19
EP2857346A4 (en) 2016-03-16
JP5529206B2 (ja) 2014-06-25
US20150158713A1 (en) 2015-06-11
WO2013183361A1 (ja)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6379A (ko) 워터 서버
KR102065202B1 (ko) 워터 서버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KR20150127111A (ko) 워터 서버
EP2829506A1 (en) Water server
KR20150070188A (ko) 워터 서버
KR102090854B1 (ko) 워터 서버
RU2605060C2 (ru) Система стерилизации водозаборного пальца и воздушной полости бутылки для водного диспенсера
KR20140130468A (ko) 워터 서버
JP5520404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