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07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073A
KR20150016073A KR1020140011985A KR20140011985A KR20150016073A KR 20150016073 A KR20150016073 A KR 20150016073A KR 1020140011985 A KR1020140011985 A KR 1020140011985A KR 20140011985 A KR20140011985 A KR 20140011985A KR 20150016073 A KR20150016073 A KR 2015001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refrigerator
wall
d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157B1 (ko
Inventor
고헤이 스스키노
후쿠타로 오카다
마사노부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함과 함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장고 본체(10) 내에 형성되며, 개구부(5s)를 갖는 냉동실(5) 및 개구부(6s)를 갖는 야채실(6)과, 전후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냉동실(5) 및 야채실(6)의 개구부(5s, 6s)를 개폐하는 인출식의 도어(5a, 6a)와, 개구부(5s, 6s)의 주연부와 도어(5a, 6a)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을 구비하며, 도어(5a, 6a)의 좌우 양단에 도어(5a, 6a)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23a, 24a)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인출식의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는 전후 방향으로 동작시켜서 개폐하는 인출식의 도어를 구비한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인출식의 도어에서는, 도어를 열 때에 손을 걸고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도어의 전면(前面)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9-3645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냉장고에서는, 손잡이부를 설치하는 부분에 오목한 곳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오목한 곳이 있는 부분에 있어서, 도어 내부의 단열층의 두께가 오목한 곳이 없는 다른 부분보다도 얇아져 단열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에 오목한 곳을 설치한 상태에서 단열성을 확보하려고 하면, 오목한 곳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고(庫) 내측으로 단열층을 돌출(팽출)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내의 용적이 감소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함과 함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 내에 형성되며, 전면(前面)에 개구를 갖는 인출실과, 전후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인출실의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인출 도어와, 상기 개구의 주연부(周緣部)와 상기 인출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씰(seal)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 도어의 좌우 양단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인출 도어를 인출하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동작이 용이함과 함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인출식의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D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4의 E-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어의 전판(前板)을 유리제로 했을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대비도로서, 도어의 전판을 강판제로 했을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도 8에 대응하는 작용의 설명도.
도 14는 도 13의 F-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도 7에 대응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도 9에 대응하는 작용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6 도어 타입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5 도어 이하의 타입에 적용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냉장고(1A)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1A)는 냉장실(2), 제빙실(3), 전환실(상단 냉동실, 급속 냉동실)(4), 하단 냉동실(5)(인출실, 제 1 저장실/이하, 냉동실(5)로 함) 및 야채실(6)(인출실, 제 2 저장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1A)는 냉장실(2)의 개구부(2s)(도 2 참조)를 개폐하는 회전식의 도어(2a, 2b), 제빙실(3)의 개구부(3s)(도 2 참조)를 개폐하는 인출식의 도어(3a), 전환실(4)의 개구부(4s)(도 2 참조)를 개폐하는 인출식의 도어(4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냉장실(2), 제빙실(3), 전환실(4), 냉동실(5) 및 야채실(6) 내에 설치되는 용기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인출식의 도어(5a, 6a)는 단면이 아닌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1A)는 냉동실(5)의 개구부(5s)를 개폐하는 인출식의 도어(5a)(인출 도어)와, 냉동실(5)과 도어(5a)의 간극을 밀폐하는 패킹(25)(씰 부재, 도 5 내지 도 7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1A)는 야채실(6)의 개구부(6s)를 개폐하는 인출식의 도어(6a)(인출 도어)와, 야채실(6)과 도어(6a)의 간극을 밀폐하는 패킹(25)(씰 부재, 도 5 내지 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1A)는 냉장고 본체(하우징, 상자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냉장고 본체(10)는 상면벽(10a), 측면벽(10b)(좌측만 도시), 배면벽(후면벽)(10c) 및 저면벽(10d)을 구비하며, 각 벽(10a, 10b, 10c, 10d)의 내부에 진공 단열재가 배설(配設)됨과 함께, 진공 단열재를 제외한 공간에 경질 우레탄폼 등의 발포 단열재를 충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각 벽(10a, 10b, 10c, 10d)은 냉장고(1A)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 구획하는 단열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0)는, 냉장실(2)과, 제빙실(3) 및 전환실(4) 사이에, 냉장 온도대의 냉장실(2)과 냉동 온도대의 제빙실(3) 및 전환실(4)을 구획 단열하는 칸막이 단열벽(10e)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0)는, 냉동실(5)과 야채실(6) 사이에, 냉동 온도대(저장 온도대)의 냉동실(5)과, 냉동 온도대보다도 높은 저장 온도대의 야채실(6)을 구획 단열하는 칸막이 단열벽(10f)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0)는, 제빙실(3), 전환실(4) 및 냉동실(5)을 동일한 냉동 온도대의 공간으로 하여, 칸막이 단열벽이 아닌 단순한 칸막이인 칸막이 부재(10g)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칸막이 부재(10g)의 전면은 후기하는 패킹(25)(도 7 참조)의 전면(前面)(받침면)(10g1)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냉동실(5)의 도어(5a)의 배면(후면)에는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인출 프레임(5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인출 프레임(5b)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어(5a)에는 좌우 한 쌍의 인출 프레임(5b)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인출 프레임(5b)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보강판(5c)이 가설되어 있다. 또한, 각 인출 프레임(5b)은 냉장고 본체(10)의 측면벽(10b)의 내벽에 설치된 레일(10h)의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야채실(6)의 도어(6a)의 배면(후면)에도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인출 프레임(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6a)에 대해서도 좌우 한 쌍의 인출 프레임(6b)이 설치되며, 인출 프레임(6b)에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는 보강판(6c)이 가설되어 있다. 또한, 각 인출 프레임(6b)은 냉장고 본체(10)의 측면벽(10b)에 설치된 레일(10i)의 홈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인출 프레임(5b, 6b) 및 보강판(5c, 6c)에는 각각 인출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재치(載置)된다. 인출 용기는 도어(5a, 6a)의 인출 동작에 수반하여 인출되어 식품의 수납 및 취출이 가능하다.
또한, 냉동실(5) 및 야채실(6) 내에는 도어(5a, 6a)를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개방시키는 구동 장치(5d, 6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장치(5d, 6d)는, 도어(5a, 6a)에 설치된 스위치(SW1, SW2)(도 1 참조)가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 작동하여, 도어(5a, 6a)를 전방으로 개방시키는 것이다. 또한, 구동 장치(5d, 6d)는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 감속 기구, 링크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10)에는 냉동 사이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동 사이클부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 응축기(도시하지 않음), 캐필러리 튜브(도시하지 않음) 및 증발기(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다시 압축기의 순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 및 응축기는 냉장고 본체(10)의 배면 하부에 설치된 기계실(10j)에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는 냉동실(5)의 후방에 설치된 냉각기실(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며, 이 냉각기실에 있어서의 증발기의 상방에 송풍팬(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에 의하여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에 의해 냉장실(2), 제빙실(3), 전환실(4), 냉동실(5) 및 야채실(6)의 각 저장실에 보내진다. 구체적으로는 송풍팬에 의하여 보내지는 냉기는 개폐 가능한 댐퍼 장치를 통하여 그 일부가 냉장실(2) 및 야채실(6)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에 보내지고, 다른 일부가 제빙실(3), 전환실(4) 및 냉동실(5)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에 보내진다.
도 3은 도 2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에서는, 냉동실(5)에 대응하는 측면벽(10b1(10b))의 벽 두께(벽의 두께)를 T1로 하고, 야채실(6)에 대응하는 측면벽(10b2(10b))의 벽 두께(벽의 두께)를 T2로 했을 경우, 야채실(6)의 벽 두께 T2가 냉동실(5)의 벽 두께 T1보다도 얇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1>T2). 또한, 냉장고 본체(10)의 배면벽(10c)에 대해서도, 야채실(6)의 배면벽(10c2)(10c, 도 2 참조)의 벽 두께가 냉동실(5)의 배면벽(10c1)(10c, 도 2 참조)의 벽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동실(5)로부터의 열 누설(냉기 누설)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야채실(6) 내의 용적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인출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어(5a)와 도어(6a)는 서로 같은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도어(5a)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5a)는 상판(21a), 저판(21b), 배판(背板)(21c)(도 5 참조), 전판(22)(유리판) 및 측판(23, 24)(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판(21a), 저판(21b), 배판(21c), 전판(22) 및 측판(23, 24)으로 구성되는 공간 내에는 경질 우레탄폼 등의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다.
전판(22)은 예를 들면 강화 유리에 의하여 구성되며, 도어(5a)의 전면(前面)의 대략 전면(全面)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판(22)을 유리제로 하는 것에 의해, 전판(22)을 강판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보다도 평면감을 높일 수 있다. 강판으로 전판(22)을 구성했을 경우, 도어 내부에 경질 우레탄폼을 발포 충전할 때에, 발포압에 의하여 강판 표면에 물결 형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유리로 전판(22)을 구성했을 경우, 경질 우레탄폼의 발포압에 의해 유리 표면이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판(22)을 유리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면적을 대형화했을 경우에도, 전면(全面)에 걸쳐서 평평한 전판(22)을 구성할 수 있다.
측판(23)은 전판(22)의 좌단 가장자리부보다도 외측방(좌측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5a)를 전방(앞쪽)으로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23a)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측판(24)은 전판(22)의 우단 가장자리부보다도 외측방(우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5a)를 전방(앞쪽)으로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24a)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부(23a, 24a)는 측판(23, 24)의 연직 방향(상하 방향)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1A)(도 1 참조)에 있어서, 손잡이부(23a, 24a)를 측판(23, 24)의 하부에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이용자가 손을 걸기 쉬워진다.
도 5는 도 4의 C-C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3a)는 좌측방으로 개방되는 오목부(23a1)를 가지며, 도어(5a, 6a)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의 앞쪽에 치우쳐서 위치해 있다. 또한, 손잡이부(23a)는 냉장고 본체(10)의 측면벽(10b)의 내벽면(10b3)의 연장선(S1)보다도 외측(좌측방)에 위치하며, 환언하면 측면벽(10b)의 벽 두께 T1, T2의 범위 내에 위치해 있다.
손잡이부(24a)는 우측방으로 개방되는 오목부(24a1)를 가지며, 도어(5a, 6a)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의 앞쪽에 치우쳐서 위치해 있다. 또한, 손잡이부(24a)는 냉장고 본체(10)의 측면벽(10b)의 내벽면(10b5)의 연장선(S2)보다도 외측(우측방)에 위치하며, 환언하면 측면벽(10b)의 벽 두께 T1, T2의 범위 내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어(5a)에는 냉장고 본체(10)와 밀착시켜서 냉동실(5)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25)(씰 부재)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25)은, 도어(5a)의 배면의 외주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벽(10b)의 전면(10b4)과, 우측의 측면벽(10b)의 전면(10b6)과, 칸막이 부재(10g)의 전면(10g1)(도 2 참조)과, 칸막이 단열벽(10f)의 전면(10f1)(도 2 참조)에 각각 대향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6a)에는, 패킹(25)이, 도어(6a)의 배면의 외주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벽(10b)의 전면(10b4)과, 우측의 측면벽(10b)의 전면(10b6)과, 칸막이 단열벽(10f)의 전면(10f1)(도 2 참조)과, 저면벽(10d)의 전면(10d1)(도 2 참조)에 각각 대향하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D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손잡이부(23a)와 손잡이부(24a)는 면 대칭의 관계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손잡이부(23a)만에 대하여 설명하고 손잡이부(24a)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3a)는, 측판(23)의 전후 방향(도어(5a, 6a))의 두께 방향)의 중앙보다도 전측(앞쪽에 치우쳐서)에 곡면부(23b)가 형성되고, 후측에 평면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23a)의 오목부(23a1)는 곡면부(23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23a)의 오목부(23a1)는, 전판(22)의 가장자리부(22b)로부터 배면(후면)(22a)을 따라 형성되는 전벽(23a2)과, 이 전벽(23a2)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중간벽(23a3)과, 중간벽(23a3)의 후부로부터 전벽(23a2)과 대략 평행 또는 외측이 점차 전벽(23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후벽(23a4)을 갖고 있다.
또한, 후벽(23a4)은 전벽(23a2)의 개구단보다도 외측방(좌측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곡면부(23b)와 평면부(23c)의 경계 부분까지 위치해 있다. 또한, 전벽(23a2)의 개구단에는 전판(22)의 가장자리부(22b)를 유지하는 되접힘부(23a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3a)를 전후 방향 앞쪽에 치우친 곡면부(23b)로 형성함으로써, 유저(이용자)가 냉장고(1A)(도 1 참조)의 정면에 서서 도어(5a, 6a)를 열 때, 정면으로부터 손잡이부(23a)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으며, 또한 손(손가락)을 손잡이부(23a)에 대하여 정면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어(우측방 또는 좌측방으로부터 손(손가락)을 삽입할 필요가 없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킹(25)은 도어(5a, 6a)의 배면(후면)과 측면벽(10b)의 전면(10b4) 사이에 배치되며, 배판(21c)에 형성된 오목부(21c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패킹(25)은 내부에 띠 형상의 자석(25a)이 수용된 자력 발생부(25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패킹(25)의 자력 발생부(25b)가 측면벽(10b)에 내장된 철판에 흡인되고 패킹(25)이 측면벽(10b)에 밀착하여, 냉동실(5)에 대한 도어(5a)의 밀폐성(기밀성)이 확보된다.
도 7은 도 4의 E-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21a)의 내벽면에는 전판(22)의 배면(후면)(22a)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리브(21a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리브(21a1)는 전판(22)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손잡이부(23a)와 손잡이부(24a) 사이에 위치해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판(21a)의 내벽면에는 손잡이부(23a)의 중간벽(23a3)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리브(21a2)(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리브(21a2)는 중간벽(23a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21b)의 내벽면에는 전판(22)의 배면(후면)(22a)에 맞닿아서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리브(21b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리브(21b1)는 전판(22)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측판(23, 24)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또한, 저판(21b)에는 전방으로 돌출하여 전판(22)의 하단을 지지하는 플랜지부(21b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1b2)는 전판(22)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측판(23, 24)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배판(21c)은 냉동실(5), 야채실(6)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에 걸쳐서, 전판(22)과의 거리(T3)가 대략 같은 또는 소정 거리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판(21c)은 냉동실(5), 야채실(6)의 개구부(5s, 6s)의 위쪽 가장자리부와 아래쪽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해 있다. 또한, 배판(21c)은 냉동실(5), 야채실(6)에 대응하는 좌우 방향에 걸쳐서, 전판(22)과의 거리가 대략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5a)에서는, 상판(21a), 저판(21b), 배판(21c), 전판(22) 및 측판(23, 24)에 둘러싸이는 공간 전체에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냉동실(5)의 개구부(5s)에 대응하는 영역 전체에 있어서, 두께 T3의 단열층(R1)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6a)에 대해서도, 도어(5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야채실(6)(도 2 참조)의 개구부(6s)(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 전체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의 단열층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6)의 도어(6a)의 단열층의 두께는 냉동실(5)의 도어(5a)의 단열층(R1)의 두께 T3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냉장고(1A)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비교예와 대비하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도 8에 대응하는 작용의 설명도, 도 14는 도 13의 F-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도 7에 대응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의 도 9에 대응하는 작용의 설명도이다. 우선, 비교예의 인출 도어(100)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로서의 인출식의 도어(100)는 전면의 상부에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100)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01)는 도어(100)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로서의 손잡이부(101)는 상판(100a)에 상방로부터 손(손가락)이 삽입되는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101b)를 갖고 있다. 이 오목부(101b)의 저면(101b1)은 칸막이 부재(10g)의 하면(10g2)보다도 상하 방향(연직 방향)의 하방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비교예로서의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부(101)의 점(P10)(도 13 참조)에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100)를 열 경우에는, 도 13의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P10)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좌측 방향, 우측 방향, 경사 좌하측 방향, 경사 우하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분산된 각 힘(F11, F11, F12, F12, F13)이 패킹(25)(도 14 참조)을 떼어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반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5a)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좌측의 손잡이부(23a)의 점(P1)(도 8 참조)에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5a)를 열 경우에는, 도 8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P1)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우측 방향, 경사 우하측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분산된 각 힘(F1, F2, F3)이, 도어(5a) 상부의 좌우 방향(폭 방향)에 위치하는 패킹(25)(도 5 참조)을 떼어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인출식의 도어(100)는, 상하 방향 치수(높이 치수)보다도 좌우 방향 치수(폭 치수)가 큰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것은, 높이 치수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저장실에 수납한 식품이 위에 수납된 식품에 의해 가려져 버리는 경우가 많아져 편의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상하 방향 치수(높이 치수)보다도 좌우 방향 치수(폭 치수)를 크게 해서 수납 정리하기 쉽게 하여, 인출식의 도어(100)의 인출 시에 수납물 전체를 보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로서의 도어(100)에서는 손잡이부(101)가 상부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해 있으므로, 도어(100) 상부의 좌우 방향(폭 방향)에 위치하는 패킹(25)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힘(F11, F11, F12, F12)이 분산된다(도 13 참조). 또한, 패킹(25)은, 점(P10)으로부터 좌우 양측을 향하여 패킹(25)이 배설되며, 또한 자력 발생부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패킹(25)을 떼어내는데 큰 힘이 필요해진다.
이에 반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5a)에서는 손잡이부(23a)가 상부의 모서리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도어(5a) 상부의 좌우 방향(폭 방향), 및 도어(5a) 좌측부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에 위치하는 패킹(25)의 교점 부근에 대하여 우측으로 힘(F1, F2)이 가해진다. 따라서, 패킹(25)에 대한 힘의 분산이 억제되어, 패킹(25)에 대하여 큰 박리력이 작용한다. 또한, 손잡이부(23a)가 도어(5a)의 상단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도어(5a)를 열 때에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패킹(25)의 모서리부에 대하여 떼어내는 힘(F1, F2, F3)이 작용하므로, 패킹(25)을 떼어내는 힘을 비교예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3a)를 이용하여 도어(5a)를 열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25)이 자력 발생부(25b)(도 6 참조)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는 우측(손잡이부(23a)의 좌우 방향의 반대측)의 점(P2)(도 5 참조)을 지지점으로 하여, 손잡이부(23a)에 대하여 회전 모멘트(M1)가 작용하므로, 패킹(25)을 떼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3a)를 이용하여 도어(5a)를 열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25)이 자력 발생부(25b)(도 6 참조)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는 하측(손잡이부(23a)의 상하 방향의 반대측)의 점(P3)(도 7 참조)을 지지점으로 하여, 손잡이부(23a)에 대하여 회전 모멘트(M2)가 작용하므로, 패킹(25)을 떼어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덧붙여, 도어(5a)에 대하여 모멘트(M1, M2)가 발생하는 것은, 도어(5a)의 인출 프레임(5b)(도 2 참조)과, 냉장고 본체(10)의 측면벽(10b)(도 2 참조)에 설치된 레일(10h)(도 2 참조)의 홈 사이에, 인출 동작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클리어런스를 설치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3a)를 도어(5a)의 좌단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비교예(종래)로서의 도어(100)보다도 작은 힘(인출력)에 의하여, 패킹(25)을 전면(10b4)로부터 떼어낼 수 있어, 도어(5a)를 종래보다도 열기 쉬우며, 즉 작은 힘으로 열 수 있다.
또한, 비교예로서의 도어(100)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1)의 오목부(101b)에 의하여, 도어(100)의 상부에 두께 T100의 단열층(R100)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두께 T100의 얇은 단열층(R100)의 영역에서는, 손잡이부(101)의 오목부(101b)가 차가워지기 쉬워지므로, 손잡이부(101)에 이슬 맺힘(결로)이 발생하며, 또한 이슬 맺힘(결로)이 없더라도, 냉동실(5) 내의 열(냉기)이 달아나, 에너지 절약에 반하는 것이 된다. 즉, 열(냉기)이 달아나면, 고 내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고 내를 차갑게 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며, 이와 같은 사이클이 과도하게 반복되는 것에 의해 에너지 절약화가 손상되게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하에 냉동실(5)과 야채실(6)이 배치되며, 냉동실(5)에 도어(100A(100)), 야채실(6)에 도어(100B(10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하 방향(높이 방향)에 있어서, 칸막이 단열벽(10f)에 대하여 도어(100A)의 패킹(25A(25))과 도어(100B)의 패킹(25B(25))이 공유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도어(100A)와 도어(100B)가 상하 방향에서 근접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101)의 오목부(오목부의 저면)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두께 T100의 단열층(R100)이 얇은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이 두께 T100의 얇은 단열층(R100)의 부분을, 도 15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얇은 단열층(R100)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고 내의 용적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23a)를 도어(5a)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단열층(R100)이 얇은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5)의 개구부(5s)의 영역 전체, 즉 상하의 칸막이 사이 치수(칸막이 부재(10g)와 칸막이 단열벽(10f) 사이의 치수)를 두께 T3의 단열층(R1)을 갖는 도어(5a)에 의하여 닫을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개수대(200)의 정면에 냉장고(300)를 배치했을 경우, 이용자가 냉장고(300)의 정면에 서서(허리를 굽히고) 도어(100A, 100B)를 개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냉장고의 대형화에 따라, 냉장고의 안쪽 길이, 즉, 인출 거리(L100)도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용자 자신이 도어(5a)의 개폐를 방해하게 되어, 도어(100A, 100B)의 인출 거리(L100)를 확보할 수 없어진다. 이 때문에, 도어(100A, 100B)에 재치되어 있는 용기(도시하지 않음)의 안쪽에 있는 식품 등을 꺼내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가 냉장고(1A)의 옆(좌측 또는 우측)에 서서(허리를 굽히고), 손잡이부(23a)(또는 손잡이부(24a))에 손을 걸고 도어(5a, 6a)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도어(5a, 6a)를 열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어(5a, 6a)를 열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a, 24a)의 도어(5a, 6a)의 상부 모서리부에의 배치, 또한 회전 모멘트(M1)(도 5 참조) 및 회전 모멘트(M2)(도 7 참조)의 발생에 의하여, 도어(5a, 6a)를 종래보다도 작은 힘으로 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냉장고(1A)에 따르면, 도어(5a, 6a)의 좌우 양단에 도어(5a, 6a)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23a, 24a)를 설치한 것에 의해(도 2, 도 5 참조), 도어(5a, 6a)의 상부에 오목한 곳을 형성하는 것에 따른 단열층이 얇은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5a, 6a)의 배판(21c)을 후방(고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내부의 단열층을 두껍게 구성할 필요도 없으므로, 냉동실(5) 및 야채실(6)의 고 내의 용적이 감소하지도 않는다. 덧붙여, 손잡이부(23a, 24a)를 도어(5a, 6a)의 좌우 양단에 설치했다고 해도, 손잡이부(23a, 24a)를 냉장고 본체(10)의 측면벽(10b)의 벽 두께 T1, T2보다도 깊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도 5 참조), 냉동실(5) 및 야채실(6)의 개구부(5s, 6s)(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도어(5a, 6a)의 단열층(R1)이 얇아지지 않는다(도 7 참조).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어(5a, 6a)의 전면을 유리제(강화 유리제)의 전판(22)으로 하고, 손잡이부(23a, 24a)(전벽(23a2))가 전판(22)의 배면(22a)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리제의 전판(22)을 손잡이부(23a, 24a)의 보강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어, 손잡이부(23a, 24a)에 손을 걸고 도어(5a, 6a)를 인출했을 때에, 손잡이부(23a, 24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제의 전판(22)에 의해 보강함으로써, 손잡이부(23a, 24a)의 두께를 과도하게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유리제의 전판(22)으로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23a, 24a)를 전판(22)의 바로 뒤쪽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부(23a, 24a)에 손을 거는 것이 용이해진다(도 6 참조).
덧붙여, 전판을 유리제의 것 대신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강판제의 것으로 했을 경우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어의 전판을 유리제로 했을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대비도로서, 도어의 전판을 강판제로 했을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판(400)을 강판제로 했을 경우, 전판(400)의 배면(400a)에 접하도록 손잡이부(410)를 설치하면, 손잡이부(41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전판(400)과 손잡이부(410) 사이에 소정의 두께의 발포 단열재 등의 단열층(R10)을 설치해야만 하여, 손잡이부(410)가 전판(400)보다도 후방(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410)가 안쪽에 위치하면, 예를 들면, 냉장고(1A)를 벽면(M)에 빠듯하게 설치했을 때에, 손(손가락)의 삽입이 벽면(M)에 의하여 방해받아, 손(손가락)을 손잡이부(410)에 거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전판(22)을 유리제로 하는 것에 의해, 전판(22)의 바로 뒤쪽에 손잡이부(23a, 24a)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1A)의 측면을 벽면(M)에 빠듯하게 설치했다고 해도, 벽면(M)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 손잡이부(23a, 24a)에 손(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측판(23)(측면)을 전판(22)의 가장자리부(22b)보다도 외측방에 위치시키고, 전방을 향하여 전판(22)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곡면부(23b)(경사면)를 형성하며, 이 곡면부(23b)에 손잡이부(23a, 24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1A)를 가구 등의 벽면(M)에 빠듯하게 설치했다고 해도, 냉장고(1A)의 정면으로부터 손잡이부(23a, 24a)를 시인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으로부터 손(손가락)을 삽입하여, 벽면(M)에 손이 닿지 않고 오목부(23a1)에 손(손가락)을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손잡이부(23a, 24a)가 패킹(25)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23a, 24a)에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5a, 6a)를 열 때에, 패킹(25)을 전면(10b4)으로부터 떼어내는 힘을 분산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패킹(25)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23a, 24a)가 측판(23, 24)의 상부에 위치해 있다. 이에 따라, 패킹(25)의 모서리부에 손잡이부(23a, 24a)가 위치하므로, 손잡이부(23a, 24a)에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5a, 6a)를 열 때에, 도어(5a, 6a)의 바닥쪽의 패킹(25)을 지지점(P3)으로 해서 회전 모멘트(M2)가 작용하여, 패킹(25)을 보다 떼어내기 쉬워져 도어(5a, 6a)를 보다 작은 힘으로 열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23a, 24a)가 도어(5a, 6a)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냉장고(1A)의 좌측에 있을 경우에는, 좌측의 손잡이부(23a)를 이용하여 도어(5a, 6a)를 열 수 있고, 이용자가 냉장고(1A)의 우측에 있을 경우에는, 우측의 손잡이부(24a)를 이용하여 도어(5a, 6a)를 열 수 있어, 이용자가 서 있는 위치에 따라서 손잡이부(23a, 24a)를 분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동실(5)의 손잡이부(23a, 24a)가 연직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인출 프레임(5b)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또한, 야채실(6)의 손잡이부(23a, 24a)가 연직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인출 프레임(6b)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해 있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이용자가 손잡이부(23a, 24a)에 손(손가락)을 걸고 도어(5a, 6a)를 열 때에, 인출 프레임(5b, 6b)과 레일(10h, 10i)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이용하여 회전 모멘트(M2)(도 7 참조)를 보다 발생시키기 쉬워져, 도어(5a, 6a)를 보다 작은 힘으로 열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1B)는 제 1 실시형태의 측판(23)의 곡면부(23b) 대신에 테이퍼부(23d)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23d)를 구비한 도어(5a)이어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23d)의 경사 각도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1C)는, 제 1 실시형태의 측판(23)의 평면부(23c) 대신에, 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하는 곡면부(23e)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곡면부(23e)를 구비한 도어(5a)이어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곡면부(23e)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냉장고(1C)의 측면에 넓은 스페이스가 있을 경우에는, 곡면부(23e)에 손을 걸고 도어(5a, 6a)를 여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측판(23)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측판(23)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만곡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테이퍼 형상과 곡면 형상을 조합시킨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5a, 6a)의 측판(23, 24)(측면)에 손잡이부(23a, 24a)(손잡이)를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도어(5a, 6a)의 좌우 양단으로서, 냉장고 본체(10)의 벽 두께 T1, T2(도 3 참조)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면, 도어(5a, 6a)의 전면에 손잡이부(23a, 24a)의 개구가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어(5a, 6a)의 좌우 양단으로서, 냉장고 본체(10)의 벽 두께 T1, T2(도 3 참조)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면, 손으로 파지하고 잡아당기는 손잡이이어도 되며, 도어(5a, 6a) 내에 손잡이를 격납 가능한 회전 격납식의 손잡이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23a, 24a)를 도어(5a, 6a)의 좌우 양단에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손잡이부(23a)만이어도 되고, 손잡이부(24a)만이어도 되며, 좌우 양단의 적어도 한쪽이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에 냉동실(5), 그 하측에 야채실(6)을 설치한 냉장고(1A)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상측에 야채실(6), 그 하측에 냉동실(5)을 설치한 냉장고이어도 된다.
1A, 1B, 1C : 냉장고
5 : 냉동실(인출실, 제 1 저장실)
5a : 도어(인출 도어)
5b : 인출 프레임
5s : 개구부(개구)
6 : 야채실(인출실, 제 2 저장실)
6a : 도어(인출 도어)
6b : 인출 프레임
10 : 냉장고 본체
10h, 10i : 레일
22 : 전판(유리판)
22a : 배면
23a, 24a : 손잡이부(손잡이)
23b : 곡면부
23d : 테이퍼부
25 : 패킹(씰 부재)

Claims (8)

  1. 냉장고 본체 내에 형성되며, 전면(前面)에 개구를 갖는 인출실과,
    전후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인출실의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인출 도어와,
    상기 개구의 주연부(周緣部)와 상기 인출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씰(seal)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 도어의 좌우 양단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인출 도어를 인출하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도어의 전면을 구성하는 유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인출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유리판의 배면과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하여 상기 유리판에 접근하는 곡면부 또는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곡면부 또는 상기 테이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씰 부재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측면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인출 도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도어는, 상기 인출실 내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인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연직 방향에서, 상기 인출 프레임과 대략 같은 높이 또는 상기 인출 프레임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실을 2개 구비하고,
    한쪽의 상기 인출실은 제 1 저장실이며, 다른 쪽의 상기 인출실은 상기 제 1 저장실보다도 저장 온도대가 높은 제 2 저장실이고,
    상기 냉장고 본체는, 상기 제 2 저장실의 벽의 두께가 상기 제 1 저장실의 벽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011985A 2013-08-02 2014-02-03 냉장고 KR101598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1034 2013-08-02
JP2013161034A JP6073199B2 (ja) 2013-08-02 2013-08-02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073A true KR20150016073A (ko) 2015-02-11
KR101598157B1 KR101598157B1 (ko) 2016-02-26

Family

ID=5250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985A KR101598157B1 (ko) 2013-08-02 2014-02-03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73199B2 (ko)
KR (1) KR101598157B1 (ko)
CN (1) CN1043446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4106B2 (ja) * 2016-10-13 2021-04-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DE102017216189A1 (de) * 2017-09-13 2019-03-1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spezifischer frontseitiger Absenkung eines Fachbodens
JP7038282B2 (ja) * 2020-07-06 2022-03-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CN112503843B (zh) * 2020-12-07 2022-04-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玻璃门体与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421A (ja) * 1999-04-16 2000-11-0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CN2893571Y (zh) * 2006-04-07 2007-04-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冰箱
JP2009036454A (ja) 2007-08-02 2009-02-19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20U (ko) * 1976-11-18 1978-06-21
JPS6382194U (ko) * 1986-11-17 1988-05-30
JPH0188388U (ko) * 1987-11-30 1989-06-12
JPH01300185A (ja) * 1988-05-27 1989-12-04 Sharp Corp 冷蔵庫等のドアの製造方法
JPH0395380A (ja) * 1989-09-08 1991-04-19 Hitachi Ltd 冷蔵庫の扉
JPH03195884A (ja) * 1989-12-26 1991-08-2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等の扉
JPH08121943A (ja) * 1994-10-25 1996-05-17 Hitachi Ltd 冷蔵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H08240378A (ja) * 1995-03-06 1996-09-17 Toshiba Corp 貯蔵庫
US6253568B1 (en) * 1999-12-23 2001-07-03 David A. Peffley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KR20040084418A (ko) * 2003-03-28 200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05337681A (ja) * 2004-05-31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扉のハンドル
JP2006189207A (ja) * 2005-01-07 2006-07-2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CN102149993B (zh) * 2008-09-09 2013-07-24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家用电器
CN201476456U (zh) * 2009-08-12 2010-05-19 海尔集团公司 制冷设备及其抽屉式吧台门体
JP5111479B2 (ja) * 2009-11-26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1720535B1 (ko) * 2010-05-07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와 그 도어
KR101752670B1 (ko) * 2010-08-11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686651B2 (ja) * 2011-03-30 2015-03-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421A (ja) * 1999-04-16 2000-11-0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CN2893571Y (zh) * 2006-04-07 2007-04-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冰箱
JP2009036454A (ja) 2007-08-02 2009-02-19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73199B2 (ja) 2017-02-01
CN104344636B (zh) 2017-11-10
KR101598157B1 (ko) 2016-02-26
CN104344636A (zh) 2015-02-11
JP2015031446A (ja)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1098A (en) Refrigerator
KR101598157B1 (ko) 냉장고
RU2636160C1 (ru) Каме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холодильник
KR20150082065A (ko) 냉장고
KR102520721B1 (ko) 냉장고
KR20150027979A (ko) 냉장고
WO2013014857A1 (ja) 冷蔵庫
JP6078433B2 (ja) 冷蔵庫
KR20090099876A (ko)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AU2016389530B2 (en) Refrigerator
KR20110080523A (ko) 커버어셈블리를 가진 서랍칸을 포함하는 냉장고
JP5119081B2 (ja) 冷蔵庫
KR101467271B1 (ko) 냉장고
JP2014105935A (ja) 冷蔵庫
JP2007271241A (ja) 貯蔵庫
JP2009156527A (ja) 冷蔵庫
KR20190023605A (ko) 냉장고
JP2015031442A (ja) 冷蔵庫
JP2017194257A (ja) 冷蔵庫
KR102206240B1 (ko) 냉장고
WO2018163365A1 (ja) 冷蔵庫
JP2003194457A (ja) 冷蔵庫
JP6186115B2 (ja) 冷蔵庫
JP7456854B2 (ja) 冷蔵庫
WO2018167867A1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