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876A -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876A
KR20090099876A KR1020080025110A KR20080025110A KR20090099876A KR 20090099876 A KR20090099876 A KR 20090099876A KR 1020080025110 A KR1020080025110 A KR 1020080025110A KR 20080025110 A KR20080025110 A KR 20080025110A KR 20090099876 A KR20090099876 A KR 2009009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partition member
door
cas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287B1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287B1/ko
Priority to US12/933,323 priority patent/US20110011121A1/en
Priority to PCT/KR2008/007777 priority patent/WO2009116720A1/en
Publication of KR2009009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게 상기 냉각실의 전면에 배치되는 구획부재와;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냉각실의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고 각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냉기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PARTITION MEMBER}
본 발명은,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실의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고 각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도어(25) 및 냉동실도어(35)를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의 냉장실도어(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25)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냉장실도어(25)를 개방하지 아 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25) 중 다른 하나에는 홈바(2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3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냉동실도어(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35)의 배후에는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용기(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용기(37)는 상기 냉동실도어(35)와 일체로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냉동실도어(35)는 상기 냉동실(30)의 전면 개구를 전면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의 인출 또는 수납 시 냉기손실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30)의 개폐 시, 상기 냉동실도어(35), 수납용기(37) 및 음식물 또는 식품이 일체로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냉동실도어(35), 수납용기(37) 및 음식물의 하중에 기인하여 슬라이딩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음식물이 상기 냉동실도어(35)를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어 외부 공기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실의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고 각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개폐 조작이 용이하고 냉기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실의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회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각실의 개구를 2개의 소개구로 분할하며,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다른 하나는 회동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에는 양 측의 도어에 각각 접촉되게 복수의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스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접촉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차단부와, 상기 제1부분차단부와 이격된 상기 결합부의 타 측에서 상기 제1부분차단부의 단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차단부는 상기 도어의 차단 시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부분차단부와 접촉되어 내부에 상호 협조적으로 단열공간을 형성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내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된 폐루프 단면 형상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도어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고 각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개폐조작이 용이하게 되며, 각 소개구를 개폐하므로 냉기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소개구로 분할하고, 소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슬라이딩 및/또는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소개구의 개폐조작이 용이하게 되고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부재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부재의 양 측에 배치되는 도어와 각각 접촉되게 가스켓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냉기 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구획부재의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구획부재의 변형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3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실(130)의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는 구획부재(150)와;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획부재(150)가 냉동실(130)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획부재(150)는 상기 냉장실(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에 동시에 설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냉장실(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20)의 전면 개구에는 상기 냉장실(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냉장실도어(125)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냉장실도어(125)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1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 중 다른 하나에는 홈바(12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소개구, 즉 2개의 소개구로 분할되게 구획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획부재(150)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냉각실, 즉 냉동실(130)의 내부 공간을 좌우폭에 비해 상하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구획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개구의 선택적인 개방을 통해 냉기 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개폐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구획부재(150)는 2개의 소개구의 크기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2개의 소개구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상하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150)의 양 단부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면에 스크류(15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재(150)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 후크 결합되거나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130)에는 상기 구획부재(150)에 의해 분할된 2개의 소개구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2개의 냉동실도어(13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냉동실(130)의 소개구를 각각 개폐한다.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의 전면에는 손잡이(1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의 배면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용기 또는 수용부(13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의 배면 테두리에는 상기 소개구의 연부와 각각 접촉되게 도어가스켓(141)이 구비된다.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의 양 측에는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가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139)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130)의 양 측 내벽에는 상기 각 레일(139)이 수용결합되어 지지되는 홀더(13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52)와, 상기 케이스(152)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62)와, 상기 케이스(152)의 외면에 상기 케이스(152)의 양 측에 배치되는 냉동실도어(135)와 각각 접촉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스켓(165)을 구비한다. 여기서, 충전재(162)는 단열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 단부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 각각 스크류(15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1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 상기 케이스(152)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각 전방영역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35)의 형상, 즉 각 냉동실도어(135)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고 외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다이크(dike)부(143)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1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구획부재(15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 냉동실도어(135)와 상기 구획부재(15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하여 냉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스(152)의 전면은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의 후면에 형성된 도어가스켓(165)이 각각 접촉되며, 상기 케이스(152)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35)의 각 다이크부(143)에 각각 접촉되어 냉기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가스켓(16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가스켓(16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52)에 결합되는 결합부(166)와, 상기 결합부(166)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의 다이크부(143)와 접촉되어 냉기 누설을 억제하는 차단부(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165)은 고무부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66)에 는 상기 케이스(152)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157)가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1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170)는 내부에 단열공간(172)이 형성되게 폐루프(loop)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6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물질(175)에 의해 상기 케이스(152)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결합부(166)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케이스(152)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구획부재(150)가 설치되고, 상기 구획부재(150)에 의해 구획된 소개구는 상기 냉동실도어(135)에 의해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각 냉동실도어(135)가 상기 각 소개구를 차단하도록 수납되면, 각 가스켓(165)은 해당 냉동실도어(135)의 다이크부(143)와 접촉되어 냉기누설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구획부재(150)의 케이스(152)의 전면부는 각 냉동실도어(135)의 도어가스켓(141)과 접촉됨으로써 각 냉동실도어(135)와 구획부재(150) 사이의 틈새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구획부재의 변형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냉동실(130)의 전면 에 배치되어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80)와, 상기 소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냉동실도어(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부재(18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52)와, 상기 케이스(152)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62)와, 상기 케이스(152)의 외부에 각각 결합되어 냉동실도어(135)와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가스켓(18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52)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35)의 다이크부(143)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부(15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52)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가스켓(185)이 각각 접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185)은, 상기 구획부재(180)의 케이스(152)에 결합되는 결합부(186)와, 상기 결합부(186)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도어(135)와 상기 구획부재(18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1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단부(190)는, 상기 결합부(186)의 일 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차단부(191)와, 상기 결합부(186)의 타 측, 즉 상기 제1부분차단부(191)로부터 소정 냉동실도어(135)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부분차단부(192)를 구비한다. 상기 제1부분차단부(191)의 단부와 상기 제2부분차단부(192)의 단부는 자연상태,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도어(135)의 해당 소개구의 차단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분차단부(192)는 상기 냉동실도어(135)의 다이크 부(143)에 의해 접촉 및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부분차단부(191)의 단부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분차단부(191) 및 제2부분차단부(192)의 내부에는 폐루프 형상의 단열공간(193)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0)의 내부의 냉기 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게 배치되는 구획부재(210)와, 상기 구획부재(210)에 의해 분할된 소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도어(20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에는 구획부재(210)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를 좌우방향을 따라 2개의 소개구로 분할함으로써 냉동실(130)을 좌우폭에 비해 상하폭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게 공간을 분할하여 활용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구획부재(210)는 2개의 소개구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게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소개구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부재(210)에 의해 분할된 2개의 소개구에는 해당 개구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냉동실도어(20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205)는 해당 소개구에 대응되게 좌우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하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205)는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해당 소개구를 각각 개폐 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동실도어(205)는 해당 소개구를 모두 회동개폐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동실도어(205)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되면서 해당 소개구를 개폐하고 다른 하나는 회동하면서 해당 소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재(2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12)와, 상기 케이스(212)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222)와, 상기 케이스(212)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도어(205)와 접촉되어 냉기 누설을 차단하는 가스켓(22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12)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상기 냉동실도어(205)의 다이크부(207)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2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212)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가스켓(225)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가스켓(225)은, 상기 케이스(212)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226)와, 상기 결합부(226)의 일 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 냉동실도어(205)의 다이크부(207)와 접촉되는 차단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단부(230)는 내부에 단열공간(232)이 형성되게 폐루프 단면 형상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2)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217)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226)에는 상기 리브(217)가 각각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2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 개구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구획부재(210)가 설치되고, 상기 구획부재(21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각 소개 구는 상기 냉동실도어(205)에 의해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한편, 상기 각 냉동실도어(205)가 상기 각 소개구를 차단하도록 수납되면, 각 가스켓(225)은 해당 냉동실도어(205)의 다이크부(207)와 접촉되어 상기 냉동실도어(205)와 상기 케이스(21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냉기누설을 억제하게 된다. 이때, 구획부재(210)의 케이스(212)의 전면부는 각 냉동실도어(205)의 도어가스켓(208)과 접촉됨으로써 각 냉동실도어(205)와 구획부재(210) 사이의 틈새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구획부재의 변형례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구획부재의 변형례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장실
130 : 냉동실 135 : 냉동실도어
141 : 도어가스켓 143 : 다이크부
150 : 구획부재 152 : 케이스
155 : 경사부 157 : 리브
162 : 충전재 165 : 가스켓
166 : 결합부 168 : 수용홈
170 : 차단부 172 : 단열공간

Claims (15)

  1.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실의 개구를 복수의 소개구로 분할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소개구를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각실의 개구를 2개의 소개구로 분할하며,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다른 하나는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에는 양 측의 도어에 각각 접촉되게 복수의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스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접촉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차단부와, 상기 제1부분차단부와 이격된 상기 결합부의 타 측에서 상기 제1부분차단부의 단부측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차단부는 상기 도어의 차단 시 상기 도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부분차단부와 접촉되어 내부에 상호 협조적으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내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된 폐루프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도어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25110A 2008-03-18 2008-03-18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5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10A KR100951287B1 (ko) 2008-03-18 2008-03-18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US12/933,323 US20110011121A1 (en) 2008-03-18 2008-12-30 Refrigerator having the partition member
PCT/KR2008/007777 WO2009116720A1 (en) 2008-03-18 2008-12-30 Refrigerator having the partition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10A KR100951287B1 (ko) 2008-03-18 2008-03-18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876A true KR20090099876A (ko) 2009-09-23
KR100951287B1 KR100951287B1 (ko) 2010-04-02

Family

ID=4109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110A KR100951287B1 (ko) 2008-03-18 2008-03-18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11121A1 (ko)
KR (1) KR100951287B1 (ko)
WO (1) WO2009116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1712B2 (en) * 2010-03-25 2014-03-18 Whirlpool Corporation Upper freezer basket guided by lower freezer basket divider
JP6028220B2 (ja) * 2011-06-17 2016-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US20180142945A1 (en) * 2016-11-22 2018-05-24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hinged mullion assembly
JP6905856B2 (ja) * 2017-05-10 2021-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US11832740B2 (en) 2021-05-21 2023-12-05 Anthony, Inc. Thermal frame with insulating backing member
US11684180B2 (en) 2021-05-21 2023-06-27 Anthony, Inc. Mullion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7165A (en) * 1938-04-09 1938-11-15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US3217921A (en) * 1962-02-21 1965-11-16 Gen Tire & Rubber Co Sealing device
JPH0672738B2 (ja) * 1986-09-12 1994-09-1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4884415A (en) * 1988-09-29 1989-12-05 Maytag Corporation Heat transfer barrier for the yoder loop of a refrigerator cabinet
ATE94254T1 (de) * 1989-05-25 1993-09-15 Phoenix Ag Dichtung fuer container, insbesondere kuehlcontainer.
JP2532959B2 (ja) * 1990-01-31 1996-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断熱箱体
US5095657A (en) * 1990-10-26 1992-03-17 Marsh Richard B Door seal
US5269099A (en) * 1992-08-20 1993-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cabinet with combination sealing arrangement including breaker panels
US5551192A (en) * 1993-07-21 1996-09-03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seal assembly
JPH07280428A (ja) * 1994-04-11 1995-10-27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CA2206506C (en) * 1997-05-29 2004-01-13 Nedo Banicevic Refrigerator mullion
JP3443309B2 (ja) * 1998-03-06 2003-09-0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蔵庫
JPH11264648A (ja) 1998-03-18 1999-09-2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0154968A (ja) * 1998-11-19 2000-06-06 Sharp Corp 冷蔵庫
CA2300791C (en) * 2000-03-15 2006-05-09 Camco Inc. Refrigerator with pull-out door
CA2338807C (en) * 2001-02-27 2004-07-06 Camco Inc. Refrigerator mullion
US7343757B2 (en) * 2005-08-11 2008-03-18 Whirlpool Corporation Integrated center rail dispenser
KR20070041842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S2348804T3 (es) * 2006-01-13 2010-12-14 Whirlpool Corporation Frigorifico.
KR100951294B1 (ko) * 2008-03-18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11121A1 (en) 2011-01-20
WO2009116720A1 (en) 2009-09-24
KR100951287B1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8563A1 (en) Refrigerator
KR100951287B1 (ko)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EP2818814A2 (en) Refrigerator
EP2317255A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ing room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160044294A (ko) 냉장고
KR102118445B1 (ko) 냉장고
BRPI1100936A2 (pt) frente isolante de compartimento de armazenamento de gelo
CA2717884C (en) Refrigerator
KR2010012861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조립체
KR20110080523A (ko) 커버어셈블리를 가진 서랍칸을 포함하는 냉장고
JP6767615B2 (ja) 冷蔵庫
KR20190131360A (ko) 냉장고
KR100823232B1 (ko) 음식저장고용 서랍
JP2014006013A (ja) 冷凍庫
KR102206240B1 (ko) 냉장고
KR20080047151A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KR20070003395A (ko) 냉장고용 홈바
KR100884955B1 (ko) 용적 가변형 냉장고
KR20240001019A (ko) 냉장고
KR200468207Y1 (ko) 냉장고
JP2006189243A (ja) 冷蔵庫
CN108603717B (zh) 冷藏库
KR100861349B1 (ko) 양문여닫이 냉장고
KR102233275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