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479A -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479A
KR20150012479A KR1020130088024A KR20130088024A KR20150012479A KR 20150012479 A KR20150012479 A KR 20150012479A KR 1020130088024 A KR1020130088024 A KR 1020130088024A KR 20130088024 A KR20130088024 A KR 20130088024A KR 20150012479 A KR20150012479 A KR 20150012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light
light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vehic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050B1 (ko
Inventor
이창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50B1/ko
Priority to CN201410170065.0A priority patent/CN104348547B/zh
Publication of KR20150012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는 차량의 광량을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는, 가시광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수신부로부터 입력 받은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복조된 가시광 신호 및 센서부로부터 입력 받은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광 통신 소스 데이터의 심볼을 펄스 폭 변조 신호로 변조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입력 받은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서 가시광 통신 차량의 램프를 점소등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은,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시각에 기초하여 가시광 통신 차량이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송신 간격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와, 조정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송신 간격 및 주파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LIGHT AMOUNT OF VEHICL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는 차량의 광량을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이란 사람의 눈에 보이는 가시광 영역을 이용한 통신으로서, 백열 전구와 형광등과 같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조명이 디지털 반도체인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조명으로 교체되는 인프라를 사용하여 정보를 각 객체에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는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이다.
가시광 통신은 가정의 조명기기, 옥외광고 표시, 교통신호, 각종 기기의 디스플레이 등에서 나오는 380nm내지 780nm의 범위에 해당하는 가시광 파장(wavelength)를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 또는 전송하는 기술로 기존의 유선 광섬유를 통한 광통신 기술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무선 광통신 기술이다.
가시광 통신은 1998년 일본 게이오대학 이공학부의 나카무라 교수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발신원 및 수신원을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활발한 연구 및 응용이 진행 중이다.
현재 조명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광등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고 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보다 친환경적이고 형광등에 비하여 약 90%의 전력 절감 효과 및 긴 수명을 가지는 LED 조명으로 대체 중에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기존 조명기구를 LED 조명으로 변경하도록 권장하는 법률 제정을 추진 중에 있거나 실제 수행 중에 있다.
과거 LED의 최대 수요처는 휴대폰 액정과 키패드의 내부조명 등이었으나, LED의 성능향상과 대량 생산에 따른 가격 인하가 가능함에 따라, LED 백라이트(BLU: Back Light Unit)적용 LCD 디스플레이 등 IT 및 가전 분야에 있어서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자동차의 실내조명과 실외조명 등에도 사용이 확대되었다. 또한, 대형전광판, 간판조명, 신호등 뿐 아니라 다양한 조명시장에서도 LED의 비중은 급속히 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 2월 산업자원부가 1530 프로젝트를 수립하여 발표하였고, 1530프로젝트란 2015년에 LED 조명의 비율을 전체 조명의30%까지 전환하는 프로젝트이며, 프로젝트의 실현 결과로서 연간 1조 6천억원의 전력 절감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인 LED는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조명으로 활용된다. LED 조명과 통신의 융합 원리는 LED와 포토다이오드의 깜빡임을 이용한 송수신을 기본 원리로 하여, 조명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서 빛으로 바꾸는 속도는 약 30ns 내지 250ns가 소요되고, 조명용 통신은 이러한 빠른 온오프 스위칭을 통한 통신 변조를 이용한다. 사람의 눈은 초당 100번 이상 깜빡이면 그 깜빡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매우 짧은 시간에 전기에서 빛으로 바꾸는 온오프는 발생하지만, 인간의 시신경을 통한 인지의 한계로 조명이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되므로 조명의 기능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시광 통신은 기본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이용하므로, 사람의 시신경이 인식할 만한 점소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하면, 펄스 폭 변조를 이용한 결과로서 평균 광량이 감소되고, 이러한 광량의 감소로 인하여 사람의 시야는 일시적으로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시광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아 가시광 통신이 실제로 실행 중이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광량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램프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시야의 확보가 용이한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는, 가시광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수신부로부터 입력 받은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복조된 가시광 신호 및 센서부로부터 입력 받은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광 통신 소스 데이터의 심볼을 펄스 폭 변조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입력 받은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서 가시광 통신 차량의 램프를 점소등하여 펄스폭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은,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와, 주행 시각에 기초하여 가시광 통신 차량이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송신 간격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와, 조정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송신 간격 및 주파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가시광 신호의 메시지를 가시광 통신 차량의 운전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운전의 안전성을 증대하고, 차량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신호 위반을 방지하여 운전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며 발생되는 광량의 감소 현상을 방지하여 시야의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가시광 통신이 진행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가시광 통신의 시도 주기를 조절하여, 실제로 가시광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에도 지속적으로 통신을 시도함으로써 발생하는 광량의 감소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시광 통신의 광량 감소 현상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기적인 통신 시도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100)와,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200)와, 상기 수신부(1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 및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광 통신 소스 데이터의 심볼을 펄스 폭 변조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서 가시광 통신 차량의 램프를 점소등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100)는 포토디텍터(photodetector)를 포함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전후방에 위치하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는 신호등, 가로등, 차량 등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는 상기 제어부(300)가 출력하는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500)는 스크린 또는 LED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시광 신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탑승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례로, 상기 가시광 신호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리어램프로부터 수신되는 브레이크등, 비상등의 가시광 신호로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제어부(300)는 상기 가시광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감속”, “비상” 등의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50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 간의 주행 상황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운전의 안전성을 증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가시광 신호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통신하는 가로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가로등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로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제어부(300)는 상기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 신호에 따른 현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상기 출력부(50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가시광 신호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통신하는 신호등으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로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제어부(300)는 상기 신호등의 교통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 신호에 따른 현재 신호등의 교통 신호 정보를 상기 출력부(50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신호 위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가시광 신호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통신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제어부(300)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 신호에 따른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상기 출력부(50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횡단 보도에서의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의 상기 센서부(200)는 오토라이트 센서 및 차속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토라이트 센서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이 낮인 경우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에 배치되는 램프의 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주행 시각이 밤인 경우 상기 램프의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이 시야 확보를 위한 광량 제어가 필요한 시각인지 판단하기 위한 주행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차속 감지 센서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주행 정보로 획득한다. 가시광은 전파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그 강도가 약해지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두 가시광 통신 단말 간의 가시광 통신은 불가능하다. 즉, 가시광 통신 단말이 근접하였을 경우에만 가시광 통신이 가능하며, 일례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경우, 서행 시가 전방 차량이 인접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상기 차량의 서행 시에 상기 가시광 통신 시도의 빈도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는 전방 레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레이더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전방 레이더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전방 레이더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가시광 통신 장치 간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거리를 상기 주행 정보로 획득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가시광 통신 장치 간의 거리에 대한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소스 데이터의 심볼을 펄스 폭 변조하고,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가시광 통신 주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차속에 따라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타이머를 별도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타이머가 설정한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송신부(400)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가시광 통신 차량의 램프를 점소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기적인 통신 시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차량 간 통신이 진행 중이 아닌 경우, 연속적인 통신 시도는 지속적인 광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도에 의하여 펄스 폭 변조를 하게 되면, 평균 광량의 감소로 인하여 시야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의 제어부(300)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통신 시도의 주기를 조절한다.
즉, 서행 시에 전방 차량을 비롯한 가시광 통신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 시도의 주기를 짧게 조절하고, 고속 주행 시에는 상기 통신 시도의 주기를 길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는 연속적인 통신 시도 및 펄스 폭 변조로 인한 광량의 감소를 방지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상기 통신 시도의 주기를 조절하여,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은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주행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이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주파수 및 송신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S50)와, 상기 조정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주파수 및 송신 간격 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60)와,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70) 및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S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시야 확보가 필요한 주행 시각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가시광 통신 소스 데이터의 심볼을 펄스 폭 변조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되, 신호 송신 간격 및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센서부(200)의 오토라이트 센서가 감지한 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에 장착된 램프의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시야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신부(400)의 펄스 폭 변조 신호 대비 가시광 통신 메시지 펄스 폭 변조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신호의 송신 간격을 증가시키고, 상기 송신부(400)의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60)는 상기 프리앰블에 신호 송신 간격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송신부(400)가 송신하는 신호에 대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는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오류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은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가시광 통신 장치의 거리가 기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가시광 통신 장치의 거리가 기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10)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가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최대 간격 이하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판단한다(S40).
반면,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기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은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S30)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써,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가 줄어들수록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는 짧아지도록 하여, 도로 정체 시와 같이 상기 주행 속도가 줄어드는 경우,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 빈도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신부 200: 센서부
300: 제어부 400: 송신부
500: 출력부

Claims (9)

  1.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가시광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행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가시광 통신 소스 데이터의 심볼을 펄스 폭 변조하여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서 가시광 통신 차량의 램프를 점소등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출력하는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복조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오토라이트 센서 및 차속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오토라이트 센서가 획득한 조도 정보에 기초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 또는 상기 차속 감지 센서가 획득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를 상기 주행 정보로 획득하는 것
    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방 레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레이더가 감지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과 가시광 통신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상기 주행 정보로 획득하는 것
    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는 것
    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6.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행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이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송신 간격 및 주파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송신 간격 및 주파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기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거리가 기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시광 통신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출력 주기를 조정하는 것
    인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방법.
KR1020130088024A 2013-07-25 2013-07-25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12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24A KR102128050B1 (ko) 2013-07-25 2013-07-25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CN201410170065.0A CN104348547B (zh) 2013-07-25 2014-04-25 可视光通信车辆的光量调节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24A KR102128050B1 (ko) 2013-07-25 2013-07-25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479A true KR20150012479A (ko) 2015-02-04
KR102128050B1 KR102128050B1 (ko) 2020-06-29

Family

ID=5248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024A KR102128050B1 (ko) 2013-07-25 2013-07-25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8050B1 (ko)
CN (1) CN10434854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491A1 (en) * 2017-07-27 2019-01-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IRECT VISIBILITY OPTICAL COMMUNICATION FOR MOBILE VEHICLE (V2V) AND INFRASTRUCTURE VEHICLE (V2I) COMMUNICATION NETWORKS
KR20190123229A (ko) * 2018-04-23 2019-10-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alm 시스템에서의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93920B1 (ko) * 2020-02-18 2021-08-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alm 시스템에서의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983B1 (ko) * 2015-05-11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8234022B (zh) * 2018-01-02 2020-03-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通信控制方法、装置和光通信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8819A (ja) * 2006-07-24 2008-02-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通信装置
KR20080108732A (ko) * 2007-06-11 2008-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20113311A (ko) * 2011-04-05 2012-10-15 한국광기술원 무선 광통신을 이용한 차량간 거리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0246B2 (en) * 2005-08-01 2009-08-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pulse-width-modulated visible light
CN201018754Y (zh) * 2007-03-09 2008-02-06 郑鹏 多功能车载媒体系统
JP5348100B2 (ja) * 2010-09-17 2013-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前照灯装置、輝度制御方法
JP5474757B2 (ja) * 2010-12-29 2014-04-16 中日本ハイウエイ・エンジニアリング名古屋株式会社 トンネル用照明灯具群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トンネル用照明灯具群の保守・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8819A (ja) * 2006-07-24 2008-02-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通信装置
KR20080108732A (ko) * 2007-06-11 2008-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20113311A (ko) * 2011-04-05 2012-10-15 한국광기술원 무선 광통신을 이용한 차량간 거리 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3491A1 (en) * 2017-07-27 2019-01-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IRECT VISIBILITY OPTICAL COMMUNICATION FOR MOBILE VEHICLE (V2V) AND INFRASTRUCTURE VEHICLE (V2I) COMMUNICATION NETWORKS
US11245469B2 (en) 2017-07-27 2022-02-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Line-of-sight optical communication for vehicle-to-vehicle (v2v) and vehicle-to-infrastructure (v2i)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KR20190123229A (ko) * 2018-04-23 2019-10-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alm 시스템에서의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93920B1 (ko) * 2020-02-18 2021-08-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alm 시스템에서의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8547A (zh) 2015-02-11
CN104348547B (zh) 2017-11-17
KR102128050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618B2 (ja) 自動車の夜間運転支援装置
KR20150012479A (ko)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US92425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aillight of vehicle, capable of brightness control and visible light wireless communication
CN105579262B (zh) 驾驶辅助设备和驾驶辅助方法
US20190061618A1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the same, and vehicle
CN103561511A (zh) 一种亮度可控的道路照明控制方法及系统
KR101247901B1 (ko) 가시광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가시광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120038622A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US20150201478A1 (en) Headligh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WO2014051417A1 (en) High user accessibility traffic light system using optical manipulation and vlc technology
JP2008182446A (ja) 双方向照明光通信装置
KR20110050221A (ko)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206267052U (zh) 交通标志牌及使用该标志牌的人行道安全警示装置
CN213024653U (zh) 一种智能道钉警示装置
CN112509349A (zh) 一种智能调节亮度的交通信号灯
CN103839378A (zh) 汽车驾驶员疲劳驾车识别及警示系统
CN103241162A (zh) Led型车灯汽车夜间会车安全系统
NL2030341B1 (en) Traffic signal lamp capable of intelligently adjusting brightness
JP4938537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30023006A (ko) 지능형 주차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Ilyas et al. Two toys vehicles interactions using communication protocol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N203219556U (zh) 智能雾灯及其诱导控制系统
CN114375080A (zh) 一种led汽车灯智能照明系统及方法
CN210574908U (zh) 一种全天候自适应亮度路面警示灯装置
JPH1060831A (ja) 横断歩道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