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712A - 풀러 - Google Patents

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712A
KR20150011712A KR1020130086990A KR20130086990A KR20150011712A KR 20150011712 A KR20150011712 A KR 20150011712A KR 1020130086990 A KR1020130086990 A KR 1020130086990A KR 20130086990 A KR20130086990 A KR 20130086990A KR 20150011712 A KR20150011712 A KR 2015001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r
legs
guide channel
position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1712A/ko
Publication of KR2015001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08Tools for inserting and removing fuses

Abstract

본 발명은 풀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풀러는 풀러몸체(10)에 대해 한 쌍의 레그(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레그(20)가 이동되면서 전기부품의 몸체의 양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레그(20)의 선단에 있는 걸이턱(22)이 상기 전기부품의 몸체에 걸어져 전기부품을 장착된 곳에서 분리해 내기 위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그(20)에는 상기 풀러몸체(10)에 형성된 안내채널(18)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블럭(24)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24)에는 상기 풀러몸체(10)에 형성된 위치설정돌기(19)에 걸어지는 안착돌기(28)가 형성된 위치설정편(26)이 탄성변형가능하게 있다. 상기 위치설정편(26)은 상기 풀러몸체(10)의 양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풀러몸체(10)에는 걸이공(14)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가락을 걸어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전기부품을 하나의 풀러로 분리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풀러에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풀러{Puller}
본 발명은 풀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부품들을 장착된 상태에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는 풀러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와 퓨즈와 같은 부품들은 각각의 몸체에서 레그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레그가 상대물에 있는 터미널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수행된다. 릴레이와 퓨즈 등의 부품은 상대물과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전기적 연결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손으로 분리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풀러를 사용하여 릴레이와 퓨즈와 같은 전기부품을 장착된 상태에서 분리해 내는데, 상기 풀러는 일반적으로 그 작업대상물인 전기부품이 특정되어 있다. 즉, 하나의 풀러로 한가지의 전기부품만을 분리할 수 있고,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중 등록실용신안 20-0456164와 같은 경우에는 2개의 전기부품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풀러들은 2개 이하의 전기부품들만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풀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1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637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전기부품을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풀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부품을 분리하는 풀러에 작업자가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안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채널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설정돌기의 열이 형성되는 풀러몸체와, 상기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전기부품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위치설정돌기에 안착돌기가 걸어져 위치가 고정되며 선단에 전기부품의 몸체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의 걸이턱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블럭은 가장자리가 상기 레그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블럭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선단에 형성된 위치설정편이 상기 풀러몸체의 양단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레그의 걸이턱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가압부돌기가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반대쪽 표면에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풀러몸체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진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채널이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된다.
상기 풀러몸체의 판상부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된다.
상기 풀러몸체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풀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풀러의 레그들이 풀러몸체에 대해 이동하여 다양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전기부품의 몸체를 레그의 걸이턱에 걸어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풀러몸체에 걸이공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가락을 끼워넣고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보다 확실하게 풀러몸체에 작업자가 힘을 가할 수 있어 전기부품을 분리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풀러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제1몸체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레그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사용하여 전기부품을 분리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풀러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풀러몸체(10)가 본 발명의 풀러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풀러몸체(10)는 본 실시례에서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판형상에 하단부가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풀러몸체(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풀러몸체(1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마주보게 결합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된다. 하지만, 서로의 결합을 위한 구성인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턱(16)과 결합고리(16')를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양단에 나누어 배치하면 전체적으로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동일한 구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에는 각각 판상부(13)와 돌출부(13')가 있다. 상기 판상부(13)는 납작한 판형상으로 된 부분이고, 상기 돌출부(13')는 상기 판상부(13)의 하단부를 따라 길게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판상부(13)에는 걸이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14)은 본 실시례에서는 2개씩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걸이공(14)이 반드시 2개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걸이공(14)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검지를 걸어서 작업자가 힘을 가하면 되고, 걸이공(14)이 2개가 있는 경우에는 검지와 중지를 각각의 걸이공(14)에 넣어서 힘을 가하면 된다. 하지만, 걸이공(14)이 하나 있는 것보다는 2개 있는 것이 작업자가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걸이공(14)을 3개씩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적절하기로는 2개의 걸이공(14)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11)에는 결합턱(16)이 있다. 상기 결합턱(16)은 상기 제1몸체(11)의 판상부(13)의 폭방향 양단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16)에 걸어지는 결합고리(16')가 상기 제2몸체(12)의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2몸체(12)의 판상부(13)의 폭방향 양단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고리(16')에는 안착공(17)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턱(16)이 안착되도록 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결합턱(16)과 결합고리(16')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선단에 턱에 있는 아암과 상기 턱이 안착되는 홈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의 내측에는 도 3 및 도 4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채널(1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18)은 상기 돌출부(13')의 내측에 상기 판상부(13)의 하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의 상기 안내채널(18)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을 따라서는 위치설정돌기(19)들이 있다. 상기 위치설정돌기(19)는 다수개가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설정돌기(19)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열을 지어 형성된다. 상기 위치설정돌기(19)는 도 3에서 보면 상기 판상부(13)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설정돌기(19)의 열은 상기 안내채널(18)과 같이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내채널(18)과 위치설정돌기(19)의 열은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대칭이 아닌 경우라면 어느 일측에만 안내채널(18)과 위치설정돌기(19)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풀러몸체(10)에 상기 안내채널(18)을 따라 이동되게 2개의 레그(20)가 설치된다. 상기 레그(20)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풀러몸체(10)에 설치된다. 상기 풀러몸체(10)의 돌출부(13')의 내부에 상기 레그(20)의 상단부가 걸어져 위치되어 있다.
상기 레그(20)의 하단부에는 전기부품의 몸체 하단에 걸어지는 걸이턱(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레그(2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걸이턱(22)이 형성된다. 즉, 하나의 레그(20)의 두개의 걸이턱(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레그(20)에 있는 걸이턱(2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레그(20)의 상단부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럭(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럭(24)는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가장자리가 상기 레그(20)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블럭(24)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채널(18)에 위치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레그(20)가 상기 풀러몸체(10)에 대해 이동할 때, 이동블럭(24)이 안내채널(18)을 따라 안내되어 정해진 궤적을 레그(20)가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블럭(24)에는 그 일단부 중앙에 위치설정편(26)이 있다. 상기 위치설정편(26)는 탄성변형이 가능한데, 그 선단에 안착돌기(28)가 있다. 상기 위치설정편(26)은 상기 이동블럭(24)에서 전방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돌기(28)는 상기 위치설정편(26)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돌기(28)는 상기 풀러몸체(10)에 있는 위치설정돌기(19)의 사이에 위치되어 레그(20)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위치설정편(26)은 선단이 상기 풀러몸체(10)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레그(20)가 상기 풀러몸체(10)의 양측 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대해서 보다 잘 저항한다. 즉, 양측의 레그(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불가능하여, 외력에 의한 임의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된다.
상기 레그(20)에는 상기 이동블럭(24)에 인접하여 가압부돌기(30)가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돌기(30)는 상기 레그(20)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때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풀러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풀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이루어진 풀러몸체(10)에 2개의 레그(2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인데, 상기 레그(20) 상단의 이동블럭(24)을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안내채널(18)에 안착시킨 상태로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를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의 결합은 상기 결합턱(16)과 결합고리(16')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풀러를 사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부품(40)을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상기 레그(20)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전기부품(40)의 몸체의 폭과 대응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그(20)를 상기 풀러몸체(10)에 대해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 레그(20)에 힘을 가해 상기 이동블럭(24)이 상기 풀러몸체(10)의 안내채널(18)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블럭(24)에 있는 위치설정편(26) 선단의 안착돌기(28)가 상기 풀러몸체(10)에 있는 위치설정돌기(19)를 타고 넘어가도록 해야 한다. 상기 위치설정돌기(19)가 상기 안착돌기(28)를 타고 넘어가는 것은, 상기 풀러몸체(10)의 양단부 방향으로 상기 레그(20)가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위치설정편(26)을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레그(2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레그(20)가 풀러몸체(10)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돌기(30)가 있는 부분을 작업자가 눌러주면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그(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의 레그(20)가 상기 전기부품(40)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레그(20)의 걸이턱(22)이 상기 전기부품(40)의 몸체 하단에 걸어지도록 하면 전기부품(40)을 분리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완성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풀러몸체(10)의 걸이공(14)에 작업자가 손가락을 걸고 힘을 가하면 된다. 상기 걸이공(14)에 작업자의 손가락을 걸게 되면 작업자가 보다 쉽게 힘을 풀러몸체(10)에 가할 수 있어 전기부품(40)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풀러몸체(10)에 설치된 레그(20 )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각각의 레그(20)에 있는 상기 위치설정편(26)의 안착돌기(28)는 상기 위치설정돌기(19)의 사이에 안착되고 위치설정편(26)이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어 위치설정돌기(19)를 상기 안착돌기(28)가 넘어가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위치설정돌기(19) 사이에 상기 안착돌기(28)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설정편(26)이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에 있게 되면, 위치설정편(26)이 더욱 견고하게 버틸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풀러몸체(10)에는 반드시 걸이공(14)이 형성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즉, 상기 풀러몸체(10)의 판상부(13)를 작업자가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면 걸이공(14)이 없이도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러몸체(10)가 반드시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풀러몸체(10)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구성되어 레그(20)를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풀러몸체 11: 제1몸체
12: 제2몸체 13: 판상부
13': 돌출부 14: 걸이공
16: 결합턱 16': 결합고리
17: 안착공 18: 안내채널
19: 위치설정돌기 20: 레그
22: 걸이턱 24: 이동블럭
26: 위치설정편 28: 안착돌기
30: 가압부돌기 40: 전기부품

Claims (7)

  1.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안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채널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설정돌기의 열이 형성되는 풀러몸체와,
    상기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전기부품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위치설정돌기에 안착돌기가 걸어져 위치가 고정되며 선단에 전기부품의 몸체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를 포함하는 풀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걸이턱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블럭은 가장자리가 상기 레그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풀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에는 상기 안착돌기가 선단에 형성된 위치설정편이 상기 풀러몸체의 양단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풀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걸이턱 반대쪽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가압부돌기가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반대쪽 표면에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되는 풀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몸체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진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채널이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풀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몸체의 판상부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되는 풀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몸체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풀러.
KR1020130086990A 2013-07-23 2013-07-23 풀러 KR20150011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990A KR20150011712A (ko) 2013-07-23 2013-07-23 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990A KR20150011712A (ko) 2013-07-23 2013-07-23 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12A true KR20150011712A (ko) 2015-02-02

Family

ID=5248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990A KR20150011712A (ko) 2013-07-23 2013-07-23 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17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60A1 (ko) * 2017-01-06 2018-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RU224530U1 (ru) * 2024-01-19 2024-03-28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ъема рел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автоматик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460A1 (ko) * 2017-01-06 2018-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RU224530U1 (ru) * 2024-01-19 2024-03-28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ъема рел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автоматик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219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用の取付部材
CA2974291C (en) Arrangement of multiple latching feet for an assembly, and assembly
JP2014514695A (ja) マーキングデバイスを備えている電気コンダクタ用接続デバイス
JP201611107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配線ユニット
CA2978219C (en) Plate holder for holding a license plate
KR20150011712A (ko) 풀러
EP3159971A1 (en) Terminal base having fastening structure
KR101174826B1 (ko) 파티션 연결구
US10821584B2 (en) Component detachment jig
KR20180001926U (ko) 커팅툴
JP5774251B2 (ja) Plcユニット
KR102231529B1 (ko)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US20150275952A1 (en) Plug-on part for a plug connector
KR102090130B1 (ko) 체결장치
JP6434453B2 (ja) 本体ケース、端子装置、スイッチ装置および制御装置
JP3139276U (ja) 安全ブレーカ等の取付構造
KR101545895B1 (ko)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KR1012810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커넥터
JP2019170051A (ja) ハーネスクリップおよびその保持方法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JP2008171708A (ja) コネクタ固定具
KR101699239B1 (ko) 퀵단자를 이용한 릴레이 소켓
KR100902951B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87873Y1 (ko) 자동차용 블럭
JP6465623B2 (ja) 引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