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95B1 -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95B1
KR101545895B1 KR1020140081188A KR20140081188A KR101545895B1 KR 101545895 B1 KR101545895 B1 KR 101545895B1 KR 1020140081188 A KR1020140081188 A KR 1020140081188A KR 20140081188 A KR20140081188 A KR 20140081188A KR 101545895 B1 KR101545895 B1 KR 10154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r
pra
electric vehicle
box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RA 박스에 장착되는 릴레이나 저항 등의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는 상자형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제1집게;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제2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Multi Puller for Power Relay Assembly Box}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RA 박스에 장착되는 릴레이나 저항 등의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PRA)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 EV)에 사용되는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그 연결을 담당하는 장치로 릴레이(Relay), 대용량 저항(Resisto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구동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용량이 매우 큰 커패시터가 사용되는데 배터리와 커패시터를 직접 연결하게 되면 매우 큰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초기에 저항으로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의 운전이 완료되었을 때 모터 구동 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역할도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단위 공간 또는 소켓(7)을 갖는 케이스(8), 상기 소켓(7)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1,제2 메인 릴레이(Main Relay, 1,2), 프리 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 3), 프리 차지 저항(Pre-charge Resistor, 4), DC/DC 커넥터(Connector, 5), 코일 커넥터(Coil Connector, 6) 등의 전기부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기부품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교체하거나 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방법에 따라왔다.
먼저, 생산공정 중에 전기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 보듯이 드라이버(9) 등의 치공구 2개를 이용하여 전기부품에 록킹(locking)된 부분(록킹부,7a)을 제거한 후, 롱로즈 등의 치공구를 이용하여 전기부품을 탈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정비소에서 전기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부품별로 수리하지 않고, PRA 박스를 전체 단위로 교환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리나 교체작업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생산공정 중에 교체하는 경우에는 드라이버(9) 2개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우며 록킹부(7a)에 기준치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 록킹부(7a)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PRA 박스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전기부품과 소켓(7)의 결합방식에 따라 치공구를 달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다음으로, 정비소에서 교체하는 경우 전기부품별 수리가 어렵고 PRA 박스 단위로 교환하여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PRA 박스의 손상 없이 릴레이 및 저항 등 전기부품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결합방식에 적용 가능한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는 상자형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제1집게;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제2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집게가 동작하는 공간인 제1작동홈과 상기 제2집게가 동작하는 공간인 제2작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은 상기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집게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1삽입부와 제1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집게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삽입부와 제2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삽입부는 제2삽입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에는 상,하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에는 전기부품의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의 종단부는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다리부의 종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집게와 제2집게는 중심선이 180도 선상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PRA 박스내 릴레이, 저항 등의 전기부품의 탈거시 PRA 박스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공구로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기부품에 대하여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전기부품을 탈거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3b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에 적용되는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제1집게의 작용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제2집게의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3c는 3b에서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는 상자형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13)에 삽입 결합되는 제1집게(20); 및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14)에 삽입 결합되는 제2집게(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대략적으로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는 무게를 줄이고 사용상의 질감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의 중앙부는 손으로 잡아 힘을 가하는 부분이 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몸체(10)의 중앙부에는 이와 같이 손으로 잡아 힘을 가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힘이 잘 전달되도록 각 면에 요철 또는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양측면에 후술하는 제1집게(20)가 동작하는 공간인 제1작동홈(11)이 한 쌍 형성되고, 몸체(10)의 타측에는 양측면에 제2집게(30)가 동작하는 공간인 제2작동홈(12)이 한 쌍 형성된다.
제1작동홈(11)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1집게(20)가 장착되는 공간인 제1삽입홈(13)이 형성되고, 제2작동홈(12)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2집게(30)가 장착되는 공간인 제2삽입홈(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삽입홈(13)과 제2삽입홈(14)은 각각 관통하는 하나의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0)의 일측단(15)에는 양측면에 제1집게(20)가 안착되어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제1지지홈(16)이 형성되고, 몸체(10)의 타측단(17)에는 양측면에 제2집게(30)가 안착되어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제2지지홈(18)이 형성된다. 이때, 제1지지홈(16)과 제2지지홈(18)은 각각 후술하는 제1집게(20)의 제1다리부(25)와 제2집게(30)의 제2다리부(35)의 폭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집게(20)는 대략적으로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1삽입부(21)와 제1다리부(25)로 이루어진다. 제1집게(20)는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삽입홈(13)에 각각 끼워진다.
제1삽입부(21)는 제1삽입홈(13)에 끼워진다. 이때, 제1다리부(25)는 제1지지홈(16)에 접하면서 지지를 받는다. 제1삽입부(21)에는 상,하면에 제1요철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철부(22)에 의해 제1삽입부(21)는 제1삽입홈(13)에 밀착력되어 고정된다.
제1다리부(25)의 폭은 비교적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다리부(25)의 폭은 제1삽입부(2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다리부(25)의 종단부(26)는 쐐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이 끼워진 소켓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 용이하게 된다. 제1다리부(25)에는 종단부(26) 인근에 전기부품의 측면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집게(30)는 대략적으로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삽입부(31)와 제2다리부(35)로 이루어진다. 제2집게(30)는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2삽입홈(14)에 각각 끼워진다.
제2삽입부(31)는 제2삽입홈(14)에 끼워진다. 이때, 제2다리부(35)는 제2지지홈(18)에 접하면서 지지를 받는다. 제2삽입부(31)에는 상,하면에 제2요철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요철부(32)에 의해 제2삽입부(31)는 제2삽입홈(14)에 밀착력을 갖고 고정된다.
제2다리부(35)의 폭은 비교적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다리부(35)의 폭은 제2요철부(3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다리부(35)의 종단부(36)는 내측으로 쐐기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부품과 상기 전기부품이 끼워진 소켓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상기 전기부품의 하부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적용되는 몸체(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삽입홈(13) 및 제2삽입홈(14)에는 제1요철부(22) 및 제2요철부(32)에 대응하는 제1내부요철부(19a) 및 제2내부요철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집게(20)의 제1요철부(22)가 제1내부요철부(19a)에 끼워지고, 제2집게(30)의 제2요철부(32)가 제2내부요철부(19b)에 끼워짐으로써 밀착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집게(20)는 제1요철부(22)가 제1내부요철부(19a) 내에서 끼워지는 깊이에 따라 제1집게(2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집게(30)는 제2요철부(32)가 제2내부요철부(19b) 내에서 끼워지는 깊이에 따라 제2집게(3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집게(20) 또는 제2집게(30)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기부품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a와 도 6b 및 도 7a와 도 7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용 멀티 풀러의 제1집게 및 제2집게의 작용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릴레이(40)와 같이 측면에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부품의 경우, 제1집게(20)를 이용하여 걸림홈(27)에 돌기(41)가 끼워지도록 하여 전기부품을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프리차지저항(50)과 같이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소켓(55)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부품의 경우, 제2집게(30)를 이용하여 소켓(55)의 록킹부(56)를 밀어 벌어지도록 한 후, 종단부(36)의 쐐기부에 저항(50)의 하면이 걸리도록 하여 전기부품을 탈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PRA 박스내 릴레이, 저항 등의 전기부품의 탈거시 PRA 박스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공구로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기부품에 대하여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몸체 11 제1작동홈
12 제2작동홈 13 제1삽입홈
14 제2삽입홈 15 일측단
16 제1지지홈 17 타측단
18 제2지지홈 19a 제1내부요철부
19b 제2내부요철부 20 제1집게
21 제1삽입부 22 제1요철부
25 제1다리부 26 종단부
27 걸림홈 30 제2집게
31 제2삽입부 32 제2요철부
35 제2다리부 36 종단부
40 릴레이 41 돌기
50 프리차지저항 55 소켓
56 록킹부

Claims (10)

  1. 일측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동작홈과, 타측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동작홈을 갖는 상자형 몸체;
    상기 제1동작홈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집게; 및
    상기 제2동작홈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2집게가 상기 제1,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제1집게 및 상기 제2집게의 폭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은 상기 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1삽입부와 제1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집게는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삽입부와 제2다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삽입부는 제2삽입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와 제2삽입부에는 상,하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에는 전기부품의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의 종단부는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리부의 종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쐐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와 제2집게는 중심선이 180도 선상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KR1020140081188A 2014-06-30 2014-06-30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KR10154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88A KR101545895B1 (ko) 2014-06-30 2014-06-30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88A KR101545895B1 (ko) 2014-06-30 2014-06-30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895B1 true KR101545895B1 (ko) 2015-08-20

Family

ID=5406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188A KR101545895B1 (ko) 2014-06-30 2014-06-30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250A (ko) 2020-12-11 2022-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7801A1 (en) * 2002-08-02 2004-06-10 Lopez Ramon Pinana Improved Fuse and Relay Puller
KR100770742B1 (ko) 2006-12-15 2007-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분리용 풀러
JP2010123328A (ja) 2008-11-18 2010-06-03 Yazaki Corp ヒューズプラー
JP2013031898A (ja) 2011-08-02 2013-02-14 Yazaki Corp ヒューズプラ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7801A1 (en) * 2002-08-02 2004-06-10 Lopez Ramon Pinana Improved Fuse and Relay Puller
KR100770742B1 (ko) 2006-12-15 2007-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분리용 풀러
JP2010123328A (ja) 2008-11-18 2010-06-03 Yazaki Corp ヒューズプラー
JP2013031898A (ja) 2011-08-02 2013-02-14 Yazaki Corp ヒューズプ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250A (ko) 2020-12-11 2022-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3900B2 (en) Holding frame for plug connector modules that is fixable in different angular positions
AU2016206377B2 (en) Latching mechanism for a battery pack
TWI533542B (zh) 接線裝置
JP6014113B2 (ja) 電磁開閉装置
KR101545895B1 (ko)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JP4198129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挿抜工具
DE102015208254A1 (de) Akkuinduktivladevorrichtung
TWI409149B (zh) Hand tools hanger
CA2783455A1 (en) Hand tool
US10821584B2 (en) Component detachment jig
US20160301167A1 (en)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chuko grounding socket
KR20140106319A (ko) 지그용 클립
KR101389228B1 (ko)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CN106163188B (zh) 一种拆装装置
JP6333932B1 (ja) ショートバー、ショートバー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
KR20080032528A (ko) 배터리의 전원케이블 연결구조
JP6384431B2 (ja) 電力制御装置
KR20190055234A (ko)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KR100917895B1 (ko) 버스바탈거공구
CN220822172U (zh) 光伏连接头插接紧固工具
CN102668261B (zh) 电插头安全装置
CN209448198U (zh) 一种快速拆卸插孔端子的工具
AU2008101273A4 (en) A lockable three-pin switch socket
KR20090063721A (ko) 차량용 퓨즈 풀러
KR101754886B1 (ko) 자동차용 콘센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