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895B1 - 버스바탈거공구 - Google Patents
버스바탈거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7895B1 KR100917895B1 KR1020070130223A KR20070130223A KR100917895B1 KR 100917895 B1 KR100917895 B1 KR 100917895B1 KR 1020070130223 A KR1020070130223 A KR 1020070130223A KR 20070130223 A KR20070130223 A KR 20070130223A KR 100917895 B1 KR100917895 B1 KR 100917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ce
- bus bar
- bus
- tool
- coupl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탈거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버스바탈거공구의 골격은 몸체부(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는 헤드부(4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42)는 하우징(31)에 형성된 랜스(35)와 상기 랜스(35)에 걸어지는 버스바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헤드부(42)의 선단은 상기 랜스(35)를 변형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42)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부(41)의 외면 양측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부(4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3)의 각각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44)와 홈부(4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3)는 상대 버스바탈거공구(40')의 결합부(43')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에 걸어진 버스바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랜스의 개수에 따라 버스바탈거공구를 결합시킨 후, 다수개의 상기 랜스를 동시에 눌러 버스바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버스바의 분리작업이 용이 해지고, 일부 랜스만이 버스바의 장착홈에 걸어져 버스바 전체의 하중을 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퓨즈박스, 하우징, 랜스, 버스바, 탈거, 공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퓨즈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퓨즈박스에 결합되는 버스바를 분리하기 위한 버스바탈거공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퓨즈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퓨즈박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버스바가 구비된다. 버스바는 여러 지점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공통도체로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바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lance)에 의해 걸어짐으로써 상기 버스바가 하우징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탈거용 지그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버스바탈거공구와 퓨즈박스의 구성이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퓨즈박스(1)의 골격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미도시)를 비롯하여 퓨즈(미도시)나 릴레이(미도시)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버스바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랜스(1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5)는 상기 버스바장착부(12)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버스바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15)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15)의 일측에는 걸이턱(15')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5')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의 장착홈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부에는 버스바(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의 일부는 상기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에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에 삽입된다. 상기 장착홈이 상기 랜스(15)의 걸이턱(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버스바탈거공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바탈거공구의 골격은 몸체부(20)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작업자는 상기 몸체부(20)를 파지하고 작업을 하게 되어, 상기 몸체부(20)는 손잡이의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20)의 일단에는 헤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22)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큰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헤드부(22)의 타단에는 누름 단(2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22')은 상기 랜스(15)와 상기 버스바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15)를 상기 버스바장착부(12)의 내면을 향하여 눌러줌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분리를 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는 상기 버스바를 상기 랜스(15)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탈거공구를 다수개의 상기 랜스(15)와 상기 버스바의 장착홈 사이에 하나씩 차례로 삽입하여 상기 랜스(15)를 눌러준다. 즉,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의 장착홈이 상기 랜스(15)로부터 모두 분리되어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가 상기 랜스(15)로부터 차례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일부 랜스만이 버스바의 장착홈에 걸어져 버스바 전체의 하중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버스바의 장착홈에 의해 상기 랜스(15)중 일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랜스의 개수에 상관없이 한번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랜스로부터 버스바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랜스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와 상기 랜스에 걸어지는 전장품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를 변형시키도록 그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헤드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 양측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일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대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 및 상대 결합부의 홈부 그리고 상기 홈부 및 상대 결합부의 돌출부는 도브테일구조로 결합된다.
삭제
삭제
상기 결합부와 상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대 헤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랜스와 인접한 랜스와의 거리와 대응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에 걸어진 버스바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랜스의 개수에 따라 버스바탈거공구를 결합시킨 후, 다수개의 상기 랜스를 동시에 눌러 버스바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탈거공구와 결합된 상대 버스바탈거공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랜스와 상기 랜스와 인접한 랜스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므로, 상기 랜스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상기 버스바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의 분리작업이 용이 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랜스를 버스바탈거공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누를 수 있으므로, 일부 랜스만이 버스바의 장착홈에 걸어져 버스바 전체의 하중을 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랜스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탈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퓨즈박스의 구성을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퓨즈박스의 요부구성과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탈거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30)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상기 하우징(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미도시)를 비롯하여 퓨즈나 릴레이등 각종 부 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31)에는 버스바장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부에는 전장품이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부는 전장품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측면에는 랜스(35)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35)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35)는 상기 하우징(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35)는 상기 버스바장착부(32)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버스바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35)의 일측에는 걸이턱(35')이 상기 랜스(35)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5')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의 장착홈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랜스(35)에는 전장품이 장착된다. 상기 전장품은 상기 하우징(31)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장품은 버스바(미도시)이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하우징(31)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는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에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랜스(35)의 걸이턱(35')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홈이 상기 랜스(35)의 걸이턱(3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탈거공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의 골격은 몸체부(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41)는 버스바탈거공구(40)의 기본 골격 및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부(42)가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41)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는 헤드부(4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42)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큰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헤드부(42)의 선단에는 누름단(42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42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스(35)의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35)를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면을 향하여 눌러줌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해제를 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드부(42)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부(41)의 외면에는 한 쌍의 결합부(43)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43)는 상기 몸체부(41)의 외면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3)는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와 상대 버스바탈거공구(40')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43)와 상대 버스바탈거공구(40')의 결합부(4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42)와 상대 헤드부(42') 사이의 거리(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스(35)와 상기 랜스(35)와 인접한 랜스(35)의 거리(d)와 대응된다. 이는, 다수개의 상기 랜스(35)를 상기 버스바로부터 동시에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대 버스바탈거공구(40')는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43)는 제1결합부(43a)와 제2결합부(43b)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43a)와 제2결합부(43b)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44) 및 아래에서 설명될 홈부(4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43a)의 일면으로부터 상대 제2결합부(43'b)의 홈부(46')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4) 및 상기 홈부(46')는 도브테일형상으로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44)는 상기 헤드부(42)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헤드부(4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결합부(43)와 상대 결합부(4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44)가 상기 상대 제2결합부(43'b)의 홈부(46')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43a)와 상대 결합부(43'b)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44)가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43a)와 반대되는 상기 제2결합부(43b)의 일면에는 홈부(46)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46)는 상대 제1결합부(43'a)의 돌출부(44')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부(46)는 상대 제1결합부(43'a)의 돌출부(4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부(46)는 상기 돌출부(44)와 마찬가지로, 상기 홈부(46)에 상대 돌출부(44')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43b)와 상대 제1결합부(43'a)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탈거공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버스바장착부(32)에 형성된 랜스(35)의 개수를 확인한 후,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를 상기 랜스(35)와 대응되는 개수로 준비한다. 본 실 시예에서는 상기 랜스(35)가 두 개이므로,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는 두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결합부(43a)의 돌출부(44)를 상대 제2결합부(43'b)의 홈부(46')에 위치시켜 끼운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43a)와 상대 제2결합부(43'b)는 상기 헤드부(42)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43a)와 상대 제2결합부(43'b)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결합된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를 파지하여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의 헤드부(42,42')가 상기 랜스(35)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를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42,42')의 누름단(42a,42b)이 상기 랜스(35)와 상기 버스바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42,42') 사이의 거리(D)는 상기 랜스(35)와 상기 랜스(35)와 인접한 랜스(35)의 거리(d)와 대응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랜스(35)에 상기 헤드부(42,42')를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랜스(35)가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면과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랜스(35)는 탄성변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랜스(35)가 상기 버스바장착부(32)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상기 버스바의 장착홈은 상기 랜스(35)의 걸이턱(35')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랜스(35)는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에 의해 동시에 눌러짐으로, 상기 랜스(35)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버스바탈거공구(40,40')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랜스(35)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장착홈이 동시에 분리되므로, 일부 랜스(35)만이 버스바의 장착홈에 걸어져 버스바 전체의 하중을 받는 현상을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버스바를 퓨즈박스(30)의 랜스(35)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버스바탈거공구(4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하우징에 결합된 터미널의 분리에 사용되는 버스바탈거공구(40)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바탈거공구와 퓨즈박스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퓨즈박스의 요부구성과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탈거공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퓨즈박스 31: 하우징
32: 버스바장착부 35: 랜스
35': 걸이턱 40: 버스바탈거공구
41: 몸체부 42: 헤드부
42a: 누름단 43: 결합부
43a:제1결합부 43b: 제2결합부
44: 돌출부 46: 홈부
Claims (4)
-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와 상기 랜스에 걸어지는 전장품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랜스를 변형시키도록 그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헤드부; 그리고상기 헤드부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 양측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일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대 결합부와 결합되고,상기 돌출부 및 상대 결합부의 홈부 그리고 상기 홈부 및 상대 결합부의 돌출부는 도브테일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탈거공구.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와 상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대 헤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랜스와 인접한 랜스와의 거리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탈거공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0223A KR100917895B1 (ko) | 2007-12-13 | 2007-12-13 | 버스바탈거공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0223A KR100917895B1 (ko) | 2007-12-13 | 2007-12-13 | 버스바탈거공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2787A KR20090062787A (ko) | 2009-06-17 |
KR100917895B1 true KR100917895B1 (ko) | 2009-09-17 |
Family
ID=4099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0223A KR100917895B1 (ko) | 2007-12-13 | 2007-12-13 | 버스바탈거공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789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9871U (ko) * | 1995-10-02 | 1997-05-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터미날 탈거 장치 |
US7020973B2 (en) * | 2004-08-17 | 2006-04-04 | Knight Jr David | Tile marking tool |
KR100838789B1 (ko) | 2007-03-30 | 2008-06-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박스 조립체 |
-
2007
- 2007-12-13 KR KR1020070130223A patent/KR1009178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9871U (ko) * | 1995-10-02 | 1997-05-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터미날 탈거 장치 |
US7020973B2 (en) * | 2004-08-17 | 2006-04-04 | Knight Jr David | Tile marking tool |
KR100838789B1 (ko) | 2007-03-30 | 2008-06-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박스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2787A (ko) | 2009-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0100B1 (ko) |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 |
JP4198129B2 (ja) | ケーブル用コネクタ挿抜工具 | |
KR100917895B1 (ko) | 버스바탈거공구 | |
KR101619941B1 (ko) |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 | |
US6871567B2 (en) | Fuse and relay puller | |
KR20150008812A (ko) | 차량용 전기 센터 | |
CN108475857B (zh) | 具有夹紧弹簧技术的母线分接夹 | |
KR20090051643A (ko) | 커넥터 | |
JP4225415B2 (ja) | 接続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クランプ具 | |
CN113036631B (zh) | 电连接箱、电连接箱制造装置、电连接箱制造方法和线束 | |
EP2999073B1 (en) | Spacer for a junction block for busbars and junction block comprising said spacer | |
KR100783163B1 (ko) | 정션박스 | |
EP1094569B1 (en) |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including said terminal. | |
KR101545895B1 (ko) |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 |
JP2008178181A (ja) | 高圧絶縁カバー | |
KR20090008231U (ko) | 슬리브 단자대 | |
KR102349749B1 (ko) | Bdu용 조립식 케이스 | |
JP6466167B2 (ja) | 現場で交換可能な端子台デバイダ | |
KR20180091260A (ko) |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장치 | |
EP3609029A1 (en) | Clamp for a wire of an overhead line and method for tightening a wire of an overhead line | |
KR200405196Y1 (ko) | 단자 및 리어홀더의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구조 | |
KR101163741B1 (ko) | 부스바 체결장치 | |
KR200449714Y1 (ko) | 분전반용 핸디툴 및 이를 이용한 분전반 | |
KR200198502Y1 (ko) |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 |
JP7249889B2 (ja) | 分電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