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741B1 - 부스바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바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741B1
KR101163741B1 KR1020110067663A KR20110067663A KR101163741B1 KR 101163741 B1 KR101163741 B1 KR 101163741B1 KR 1020110067663 A KR1020110067663 A KR 1020110067663A KR 20110067663 A KR20110067663 A KR 20110067663A KR 101163741 B1 KR101163741 B1 KR 10116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 bar
charity
insulation body
bus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한철
Original Assignee
양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한철 filed Critical 양한철
Priority to KR102011006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구비되는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상호 안정적으로 접속 연결되도록 체결하는 부스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작업자가 이들에 접촉되어 전기 감전 등과 같은 전기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전기적 접속 연결을 위해 볼트와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별도로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접속 연결되고, 모선 부스바는 별도의 공구 없이 간편하게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는 자선 부스바의 개수도 간편하게 늘릴 수 있는 부스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는 모선 부스바가 삽입 배열되는 배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선절연몸체;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선 부스바를 내장하는 자선절연몸체; 외측 일부 구간이 상기 배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열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자선절연몸체와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조립결합 시에 삽입 전진하는 상기 자선 부스바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자선 부스바의 삽입 전진이 용이하도록 하며, 삽입 전진된 상기 자선 부스바의 외면을 상기 모선 부스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밀착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스바 체결장치{Coupler for bus bar}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구비되는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상호 안정적으로 접속 연결되도록 체결하는 부스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작업자가 이들에 접촉되어 전기 감전 등과 같은 전기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전기적 접속 연결을 위해 볼트와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별도로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접속 연결되고, 모선 부스바는 별도의 공구 없이 간편하게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는 자선 부스바의 개수도 간편하게 늘릴 수 있는 부스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수배전반은 건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옥내의 각 전기 파트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전력 상황에 따라 각 파트로의 전력 공급을 개폐하는 기기이다.
수배전반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황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메인차단기와, 상기 메인차단기로부터 전력을 분배받아 옥내의 전기 파트로 공급하고 상황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분기차단기 다수와, 상기 메인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 부스바와, 상기 모선 부스바에 일단이 연결 접속되고 상기 분기차단기에 타단이 연결 접속되어 모선 부스바에서 분배받은 전력을 분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 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는 일반적으로 도전률이 우수하고 표면적이 넓은 동판을 주로 사용한다.
수배전반에서 부스바(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 ; 이하 '부스바'라고 함)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들이 많다. 부스바에는 일반적으로 고압의 전기가 흐르므로, 수배전반의 유지 보수 작업 중에 부주의로 작업자가 노출된 부스바에 접촉되어 전기 감전 등과 같은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부스바를 절연체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부주의한 접촉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부스바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869222호 "배전반용 절연 부스바 다용도 단자", 등록특허 제0635102호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등이 있다.
상기 전자의 등록특허는 다수의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 차단기에 연결될 단부만을 노출시키며 부스바를 감싸 덮는 절연커버,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 내부에서 모선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일대일로 접속 연결시키는 직교바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접촉할 위험이 있는 부스바를 최소화한다.
상기 전자의 등록특허는 모선 부스바와 자선부스바가 절연커버에 덮인 규격화된 모듈로 구성된다. 즉,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위치가 고정되어 불변되는 구조이다. 그래서 수배전반에서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의 위치를 모듈화된 부스바에 맞춰서 장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상기 전자의 등록특허를 포함해서 종래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볼트와 볼트를 조이는 드라이버를 접속 연결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접속 연결에 볼트와 드라이버라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접속 연결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장기간이 소요되면서 볼트의 조임이 약해지면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접속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후자의 등록특허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수용되어 있는 탄성클립을 도입하고, 탄성클립 내측에 자선 부스바가 안치된 상태에서 모선 부스바를 탄성클립 내측으로 밀어 넣어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탄성클립의 탄성력으로 상호 긴밀히 밀착되어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부스바의 접속 연결에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고, 접속 연결 작업이 간이 신속하게 행해지고, 장기간 경과하여도 탄성클립의 탄성력에 의해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접속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후자의 등록특허는 탄성클립을 이용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데, 탄성클립은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우발적인 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접속력이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강한 탄성력을 갖는다. 그래서 상기 후자의 등록특허는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접속 연결함에 있어 부스바를 탄성클립 내측으로 강한 힘으로 밀어 넣어야 하고,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분리할 때에도 부스바를 탄성클립 내측에서 강한 힘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즉, 부스바를 탄성클립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며, 이 과정에서 부스바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훼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수배전반에서 메인차단기에 연결되는 모선 부스바는 한세트(전력이 단상, 삼상3선식, 삼상4선식 이냐에 따라 2개 또는 3개 또는 4개가 한세트를 형성한다.)이지만 자선 부스바는 분기차단기의 수량에 해당하는 세트수를 갖는다. 그리고 한세트의 모선 부스바에 연결될 수 있는 자선 부스바의 수량에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분기차단기는 옥내 전력 수요의 증가가 전기설비의 증설 등에 따라 추가되는 일이 많다. 즉, 수배전반에서 분기차단기의 수량이 늘어나면 메인차단기에 연결되는 모선 부스바의 길이를 연장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모선 부스바의 길이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기설치되어 있는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모선 부스바에서 분리시킨 후에 부스바의 길이를 늘리고, 다시 분리한 다양한 기기들을 연결시키고 있다. 그래서 종래기술에서는 모선 부스바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이 쉽지 않은 작업이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참고로, 여기서 모선 부스바의 길이를 연장한다는 것은 모선 부스바를 길이가 좀더 긴 것으로 교체하거나, 기존 모선 부스바에 새로운 모선 부스바를 접속 연결하여 길이를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모선절연몸체와 자선절연몸체가 부스바를 감싸 부스바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스바 접촉에 의한 전기사고를 예방하고, 볼트와 드라이버 등의 공구 없이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접속 연결되고,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서로 긴밀히 밀착 접촉시켜 접속시키거나 서로 분리시킴에 있어 가이드드롤러가 자선 부스바의 삽입 전진이나 후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부스바가 상호 접속 연결되거나 분리되고,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긴밀히 밀착되어 접속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롤러가 자선 부스바를 모선 부스바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의 접속력이 장기간 견고히 유지되고 우발적인 충격에 의해 부스바가 서로 분리될 위험이 적고, 모선 부스바가 구비되는 모선절연몸체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연장될 수 있으므로 각 모선절연몸체에 구비되는 모선 부스바 역시 간편하게 연결되어 연장 가능한 부스바 체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는
모선 부스바가 삽입 배열되는 배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선절연몸체;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선 부스바를 내장하는 자선절연몸체;
외측 일부 구간이 상기 배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열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자선절연몸체와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조립결합 시에 삽입 전진하는 상기 자선 부스바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자선 부스바의 삽입 전진이 용이하도록 하며, 삽입 전진된 상기 자선 부스바의 외면을 상기 모선 부스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밀착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른 모선절연몸체의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모선절연몸체는 다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연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배열부에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삽입된 상기 모선 부스바의 양표면을 밀착 가압하는 쐐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호 연결되어 연장되는 두 모선절연몸체에 각각 구비되는 두 모선 부스바를 접속 연결시키는 연결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배열부 바닥에는 상기 모선 부스바의 단부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는 부스바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부주의하게 부스바에 접촉되어 전기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적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접속 연결되고, 가이드롤러를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상호 밀착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킴에 있어 강한 힘이 필요 없으면서도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결합접촉된 상태에서는 강한 힘으로 접촉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고, 모선 부스바의 길이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어 분기차단기의 증설이 편리한 부스바 체결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수배전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도2에 도시된 부스바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의 a,b는 가이드롤러의 종류에 따른 모선절연몸체의 종횡방향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체결장치는 모선절연몸체(10), 자선절연몸체(20), 가이드롤러(40), 연결클립부재(30)라고 하는 대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선절연몸체(10)에는 한 세트의 모선 부스바(5)가 구비되고, 이 모선 부스바(5)는 외부 전력이 입력되는 메인차단기(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자선절연몸체(20)에는 한 세트의 자선 부스바(7)가 구비되고, 이 자선 부스바(7)는 일단은 상기 모선 부스바(5)에 접속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차단기(3)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모선 부스바(5)의 전력을 분배받아 분기차단기(3)를 통해 옥내의 해당 전기 파트로 전력을 공급한다.
수배전반에서 메인차단기(1)와 한 세트의 모선 부스바(5)는 통상 한개가 구비되고, 분기차단기(3)와 한 세트의 자선 부스바(7)는 옥내의 전력 상황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선 부스바(5)와 자선 부스바(7)의 한 세트는 수배전반에서 취급하는 전력이 단상 전력, 3상 전력으로 3선식 또는 4선식에 따라 2개 또는 3개 또는 4개의 부스바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4개의 부스바를 한 세트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모선절연몸체(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성과, 고압 전류가 흐르는 모선 부스바(5)에서 발생되는 열에 녹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난연성과, 모선 부스바(5)의 삽입결합과 가이드롤러(40)의 삽입결합 시에 파손되지 않고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약간의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선절연몸체(20) 역시 이러한 절연성, 난연성, 신축성을 갖는다.
상기 모선절연몸체(10)는 전체적으로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도면을 기준으로 하부면)에는 모선 부스바(5)가 삽입 배열되는 배열부(11) 다수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열부(11)의 폭은 삽입 배열되는 모선 부스바(5)와 자선 부스바(7)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길다.
상기 모선절연몸체(10) 배열부(11)의 바닥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13)의 상부에는 직경이 점차 길어지는 경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3)은 상기 모선 부스바(5)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져, 단부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상기 모선 부스바(5)의 양면이 가압되어 걸리도록 하고, 상기 경사부(14)는 상기 모선 부스바(5)가 상기 걸림홈(13)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모선절연몸체(10)의 배열부(11) 양측 또는 일측 바닥면에는 상기 연결클립부재(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선절연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돌기(17)와 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모선절연몸체(10)의 삽입돌기(17)가 다른 모선절연몸체(10)의 삽입홈(1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모선절연몸체(10)들이 조립 연결되어 모선절연몸체(10)의 전체 길이는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모서절연몸체(10)들을 조립 연결시에 각 모선절연몸체(10)에 구비되는 모선 부스바(5)는 역시 연결클립부재(30)를 통해 상호 접속 연결되어 그 길이가 연장된다.
모선 부스바(5)는 일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 들어와 배치되도록 모선절연몸체(10)의 배열부(11)에 삽입 배열되고, 모선 부스바(5)를 삽입 배열시키기 전에 모선절연몸체(10)의 안착부(15)에는 연결클립부재(30)가 안착되어 삽입되는 모선 부스바(5)의 타측 단부가 연결클립부재(30)에 약 반을 차지하며 삽입된다. 그리하여 두 모선절연몸체(10)를 조립 연결시키면 외부로 노출된 모선 부스바(5)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다른 모선절연몸체(10)에 구비된 연결클립부재(30)의 나머지 반을 차지하며 삽입되고, 도전성을 갖는 연결클립은 두 모선 부스바(5)를 접속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클립부재(30)는 'ㄷ'자 형상의 탄성부(31)와, 상기 탄성부(31)의 양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된 모선 부스바(5)의 양면을 접촉 가압하는 쐐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상기 모선절연몸체(10)의 배열부(11)를 형성하는 격벽(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일부 구간이 상기 배열부(11)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격벽(12)에 결합되어 마주보는 두 가이드롤러(40)의 이격 거리는 삽입 배열되는 모선 부스바(5)와 자선 부스바(7)의 두께를 합한 길이 보다 약간 짧다. 그리하여 배열부(11)에 삽입된 자선 부스바(7)의 외면을 모선 부스바(5) 측으로 가압하면서 밀어 모선 부스바(5)와 자선 부스바(7)가 지속적으로 긴밀히 밀착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모선 부스바(5)와 자선 부스바(7)의 전기적 접속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40)는 모선 부스바(5)가 모선절연몸체(10)의 배열부(11)에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자선 부스바(7)가 배열부(11)에 삽입 전진되는 과정에서 자선 부스바(7)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자선 부스바(7)의 삽입 전진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줄여 자선 부스바(7)가 용이하게 삽입 전진되도록 한다. 물론, 자선 부스바(7)가 배열부(11)에서 분리 이탈시에도 가이드롤러(40)는 자선 부스바(7)의 후진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양측 중앙에는 회전축(41)이 구비되고, 상기 모선절연몸체(10)의 격벽(12) 하부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4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8)의 양측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회전축(41)에 삽입되는 축홈(1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1)을 축홈(19)에 삽입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격벽(12)에 상기 축홈(19)에 연결되되 회전축(41)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연결홈(19a)을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축(41)이 가이드롤러(40)에 인입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연결홈(19a)을 형성한 때에는 상기 회전축(41)을 연결홈(19a)으로 강제로 밀어 넣어 회전축(41)이 축홈(19)에 삽입 배치되고, 회전축(41)이 가이드롤러(40)에 인입출이 가능할 때에는 회전축(41)을 눌러 인입시킨 상태로 가이드롤러(40)를 수용부(18)에 배치시킨 후에 회전축(41)의 누름을 해제하여 회전축(41)이 인출되어 수용부(18)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이드롤러(40)를 움직여 회전축(41)이 축홈(19)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축(41)이 인출되어 축홈(19)에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축홈(19)의 내측에는 축홈(19)에 삽입 배치된 회전축(41)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체(19b)가 구비되어, 배열부(11)에 자선 부스바(7)가 삽입될 때에는 가이드롤러(40)가 격벽(12) 내측으로 후퇴하여 자선 부스바(7)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자선 부스바(7)가 삽입된 후에는 탄성체(19b)가 가이드롤러(40)를 배열부(11) 측으로 밀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모선 부스바(5)와 자선 부스바(7)의 접속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하나의 격벽(12) 양측으로 외측이 돌출된다. 즉, 배열부(11)에는 양측에 가이드롤러(40)가 구비된다. 물론, 모선절연몸체(10)의 양 사이드면을 형성하는 외각 격벽(12)의 외면으로는 배열부(11)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가이드롤러(40)가 돌출될 필요는 없다.
격벽(12) 양측으로 가이드롤러(40)의 외측이 돌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격벽(12)의 두께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롤러(40)를 사용하거나, 격벽(12)의 두께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나란히 배열되어 각각 격벽(12) 양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40)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격벽(12)의 두께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가이드롤러(40)를 사용할 때에는 배열부(11)에 노출된 양측에서 동시에 자선 부스바(7)가 접촉되어 삽입되면 가이드롤러(40)는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려는 힘이 충돌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양측에서 자선 부스바(7)가 동시에 접촉되지 않도록 다수의 가이드롤러(40)가 하나의 격벽(12) 길이방향에 구간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2)의 두께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40)를 사용할 때에는 양측에서 동시에 자선 부스바(7)가 접촉되어 삽입되더라도 한 쌍의 가이드롤러(40)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위와 같은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의 격벽(12)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4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에는 격벽(12)의 두께가 두 회전축(41)의 이격 거리를 충분하게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회전축(41)의 격벽(12)의 가장자리가 아닌 내측에 배치되어 결합력을 안정화시켜야 한다.
격벽(12)의 두께를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두 회전축(41)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롤러(40)가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두 회전축(41)의 이격 거리는 최소한 가이드롤러(40)의 직경 이상이 되어야 한다. 가이드롤러(40)의 직경을 줄이면 두 회전축(41)의 이격 거리를 줄일 수 있지만, 이때에는 배열부(11)로 노출되는 가이드롤러(40)의 노출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거나, 노출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회전축(41)이 격벽(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결합력의 약해진다. ]
따라서 가이드롤러(40)의 노출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롤러(40)의 직경을 최대하화면서, 두 회전축(41)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여 회전축(41)이 격벽(12)의 내측에 배치되어 결합되고, 또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40)가 독립적으로 회전(즉, 서로 비접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롤러(40)의 표면에 오목부(43)와 볼록부(45)를 연속하여 형성하였고, 한 쌍의 가이드롤러(40)는 서로 오목부(43)에 볼록부(45)가 비접촉 상태로 안치되도록 배열함으로써, 한 쌍의 가이드롤러(40)의 두 회전축(41)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면서도 가이드롤러(40)의 직경은 늘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자선절연몸체(20)는 상기 모선절연몸체(10)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난연성, 약간의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선절연몸체(20)에는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선 부스바(7)가 내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자선 부스바(7)의 양측 단부는 각각 모선 부스바(5)와 분기차단기(3)의 입력단자에 접속 연결된다.
상기 자선 부스바(7)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자선절연몸체(2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자선 부스바(7)와 자선절연몸체(20)를 별개로 생산한 후에 조립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자선 부스바(7)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단부는 자선절연몸체(20)의 상부면으로 노출되어 모선 부스바(5)에 접속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자선절연몸체(20)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분기차단기(3)에 접속 연결된다. 그리고 자선 부스바(7)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하나의 자선절연몸체(20)는 한 쌍의 자선 부스바(7)를 통해 두개의 분기차단기(3)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과 자선 부스바(7)와 분기차단기(3)의 설치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모선절연몸체(10)의 모선 부스바(5)는 직접 메인차단기(1)의 출력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자선절연몸체(20)의 분기 부스바(7)를 통해 간접적으로 메인차단기(1)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선절연몸체(10)와 자선절연몸체(20)는 각각 부스바(5 or 7)를 4개(3상4선식 전력용)가 구비되는 것을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으나, 3개(3상3선식 전력용) 또는 2개(단상 전력용)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부스바(5 or 7)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부스바(5 or 7)를 하나만 구비한 모선절연몸체(10)들과 자선절연몸체(20)들이 암수결합방식으로 조립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의 종류와 차단기에 따라 부스바를 2개, 3개, 4개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부스바 체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메인차단기 3 : 분기차단기
5 : 모선 부스바 7 : 자선 부스바
10 : 모선절연몸체 11 : 배열부
12 : 격별 13 : 걸림홈
14 : 경사부 15 : 안착부
16 : 삽입홀 17 : 삽입돌기
18 : 수용부 19 : 축홈
20 : 자선절연몸체 30 : 연결클립부재
40 : 가이드롤러 41 : 회전축
43 : 오목부 45 : 볼록부

Claims (4)

  1. 모선 부스바가 삽입 배열되는 배열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선절연몸체;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선 부스바를 내장하는 자선절연몸체;
    외측 일부 구간이 상기 배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열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자선절연몸체와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조립결합 시에 삽입 전진하는 상기 자선 부스바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자선 부스바의 삽입 전진이 용이하도록 하며, 삽입 전진된 상기 자선 부스바의 외면을 상기 모선 부스바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가 밀착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른 모선절연몸체의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모선절연몸체는 다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연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체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배열부에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삽입된 상기 모선 부스바의 양표면을 밀착 가압하는 쐐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호 연결되어 연장되는 두 모선절연몸체에 각각 구비되는 두 모선 부스바를 접속 연결시키는 연결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절연몸체의 배열부 바닥에는 상기 모선 부스바의 단부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체결장치.
KR1020110067663A 2011-07-08 2011-07-08 부스바 체결장치 KR10116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63A KR101163741B1 (ko) 2011-07-08 2011-07-08 부스바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663A KR101163741B1 (ko) 2011-07-08 2011-07-08 부스바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741B1 true KR101163741B1 (ko) 2012-07-09

Family

ID=4671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663A KR101163741B1 (ko) 2011-07-08 2011-07-08 부스바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80A (ko) * 2020-12-17 2022-06-24 (주)메티스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분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35Y1 (ko) 2004-12-23 2005-03-23 형제전기주식회사 분전반용 부스바 안전커버 고정장치
KR100566662B1 (ko) 2005-07-20 2006-03-31 김선배 조립식 분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35Y1 (ko) 2004-12-23 2005-03-23 형제전기주식회사 분전반용 부스바 안전커버 고정장치
KR100566662B1 (ko) 2005-07-20 2006-03-31 김선배 조립식 분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80A (ko) * 2020-12-17 2022-06-24 (주)메티스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분배장치
KR102502518B1 (ko) * 2020-12-17 2023-02-23 (주)메티스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642B2 (en) Busbar system
US7713072B2 (en) Adapter device for a low voltage switching device
EP2181487B1 (en) Panelboard
KR101553946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120047776A (ko) 전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
KR20170033720A (ko) 부스바용 포크형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된 절연결합체
US11670899B2 (en) Current bar module and corresponding connection module
US7619902B2 (en) Connection module for a power switch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KR20170029877A (ko) 부스바용 도어형 절연블록
KR101625153B1 (ko) 멀티 부스바 시스템을 적용한 전동기 제어반
KR20090115452A (ko)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US9673602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KR101163741B1 (ko) 부스바 체결장치
US20120218686A1 (en) interior assembly for a three phase load center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US7121856B2 (en) Device for connection of busbars to equipment of an electrical switchboard
KR101615602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KR101806242B1 (ko) 배전반
US2795766A (en) Terminal construction for circuit breaker
KR20170034666A (ko)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0323651Y1 (ko) 플러그인 브러쉬 결합 장치
KR20170029878A (ko) 부스바용 분기형 절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