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250A - 부품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부품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250A
KR20220083250A KR1020200173308A KR20200173308A KR20220083250A KR 20220083250 A KR20220083250 A KR 20220083250A KR 1020200173308 A KR1020200173308 A KR 1020200173308A KR 20200173308 A KR20200173308 A KR 20200173308A KR 20220083250 A KR20220083250 A KR 2022008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ush block
seating space
seat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250A/ko
Publication of KR2022008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분리장치이다.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커버(12)의 일측에 부품안착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6)에는 부품(4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20)은 구획측벽(18)에 의해 외부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20)의 바닥에는 이동채널(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채널(26)은 상기 안착공간(20)의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채널(26)에 분리구(30)의 푸쉬블럭(32)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은 이동채널(26)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부품(40)을 안착공간(20) 외부로 밀어 올릴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분리장치{Parts detaching device}
본 발명은 부품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럭에는 퓨즈, 릴레이 등 각종 부품들이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들은 유지보수를 위해 블럭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와 같이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는 것은 작업자가 자동차용 블럭에서 분리할 때,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릴레이와 같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부품들을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공구나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 내에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공구나 지그가 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공구나 지그가 비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분실의 우려가 있고, 어디에 이런 공구나 지그가 있는지를 작업자가 알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많다.
그리고 해당 부품에 적절한 공구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품의 외관에 흠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770742 호 한국 등록특허 제 10-1545895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안착부에 장착된 부품을 분리할 수 있는 부품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에 장착되는 부품안착부 자체에 부품의 분리를 위한 구성을 두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구획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안착공간을 가지는 부품안착부와, 상기 구획측벽의 측벽개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있는 부품의 저면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푸쉬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블럭이 상기 측벽개방부를 통해 안착공간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분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분리구가 위치되는 이동채널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동채널은 상기 안착공간의 외부로 상기 측벽개방부를 통과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채널에는 도피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피홈 바닥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푸쉬블럭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채널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요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구의 푸쉬블럭은 탄성변형 가능한 연결스트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스트랩의 표면에는 절곡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홈은 상기 연결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분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품의 하부 양단을 분리구의 경사면이 안내하면서 안착공간 내에서 부품이 밀어 올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분리구의 푸쉬블럭을 부품의 양측에서 눌러주면 부품이 부품안착부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부품을 밀어올려주는 분리구가 부품안착부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채널 내에 설치되어 있어 부품이 장착되었을 때에 항상 부품안착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언제라도 쉽게 분리구를 사용하여 부품의 분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착공간의 바닥에 도피홈을 두어서 분리구의 연결스트랩이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분리구를 눌러서 부품을 부품안착부에서 분리하는 작업 시에 연결스트랩의 탄성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자동차의 블럭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D3-D3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분리구가 눌러져서 부품이 상승되기 시작하는 초기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분리구에 의해 부품이 부품안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분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부품분리장치가 자동차용 블럭에 적용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부품분리장치는 자동차용 블럭 외에도 릴레이, 퓨즈, 저항 등의 부품이 사용되는 각종 전장유니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분리장치는 자동차용 블럭의 하우징(10) 일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블럭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일측을 덮는 커버(12)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커버(12)의 외면 일측에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안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기판, 버스바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의 내부는 상기 커버(1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와 커버(12)의 결합을 위해 상기 본체(11)의 외부 측면을 둘러서는 체결턱(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1')에 결합되는 체결편(13)이 상기 커버(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13)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체결턱(11')이 안착되는 체결홈(1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12)의 외면 일측에 부품안착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6)에는 부품(4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6)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커버(12)에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6)의 위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안착부(16)는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6)는 구획측벽(18)에 의해 외부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측벽(18)은 부품(40)의 외부 측면과 마주보는 것으로, 부품(40)이 부품안착부(16)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구획측벽(18)에 의해서는 외부와 구획되게 안착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20)에는 부품(4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20)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측벽(18)의 상단 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20)의 바닥에는 부품(40)의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단자슬릿(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슬릿(22)을 통해 단자가 본체(11)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구획측벽(18)은 상기 안착공간(20)을 외부와 완전히 구획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획측벽(18)의 일부 구간에는 측벽개방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개방부(24)외에도 상기 구획측벽(18)은 높이가 다르거나 일부 개방된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측벽개방부(24)는 서로 마주보는 구획측벽(1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측벽(18)의 측벽개방부(24)를 통과하게 상기 안착공간(20)의 바닥에는 이동채널(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채널(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구(3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채널(26)은 상기 안착공간(20) 바닥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측벽(18)에 의해 구획된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안착공간(20)에 있는 부품(40)의 저면에 부품(40)의 측면 방향을 통해 분리구(30)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채널(26)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도피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피홈(28)의 이동채널(26) 내에서의 위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도피홈(28)이 여러 군데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피홈(28)은 상기 이동채널(26)의 바닥보다 더 낮게 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피홈(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구(30)의 연결스트랩(33)이 탄성변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피홈(28)은 다르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피홈(28)은 바닥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도피홈(28)의 바닥면의 곡률반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스트랩(33)이 탄성변형되어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값을 가진다.
분리구(30)는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부품(40)을 안착공간(20)에서 밀어올려 부품안착부(16)에서 부품(40)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구(30)의 양측에는 푸쉬블럭(32)이 있다. 상기 푸쉬블럭(32) 사이를 연결스트랩(33)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스트랩(33)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구(30)와 연결스트랩(33)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다르게는 상기 분리구(30)와 연결스트랩(33)은 다른 재질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구(3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연결스트랩(33)은 탄성변형과 탄성복원력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스트랩(33)의 표면에는 절곡을 돕도록 절곡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홈(33')은 상기 연결스트랩(33)의 탄성변형이 보다 쉽게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홈(33')은 상기 연결스트랩(33)에서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절곡홈(33')이 형성됨에 의해 그 부분은 다른 연결스트랩(33)의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피홈(28)에 대응되는 연결스트랩(33)의 부분에 절곡홈(33')이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홈(33')의 형성방향은 상기 연결스트랩(33)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은 쐐기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은 상기 이동채널(26)의 바닥과 부품(40)의 저면 사이로 들어가서 부품(40)을 밀어올리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쐐기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에는 경사면(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4)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푸쉬블록(32)의 상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4)은 상기 분리구(30)가 이동채널(26)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이동채널(26)의 중간부분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34)의 경사를 따라 부품(40)의 저면 가장자리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에서 상기 연결스트랩(33)과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 면이 누름면(36)이 될 수 있다. 상기 누름면(36)은 작업자가 분리구(30)에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면(36)은 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누름면(36)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작업자의 손가락과 푸쉬블럭(32)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리구(30)의 푸쉬블럭(32)은 상기 이동채널(26)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구(30)를 사용하여 부품(40)을 분리할 때는 상기 이동채널(26)을 따라 상기 푸쉬블럭(32)이 이동하면서 부품(4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분리구(30)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동채널(26)에 위치되는데, 상기 분리구(30)가 상기 이동채널(26)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이동가능하게 걸어주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푸쉬블럭(32)의 양측면과 이와 마주보는 상기 이동채널(26)의 폭 방향 양측 내면에 서로 대응되는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 서로 대응되는 요철은 상기 이동채널(26)의 연장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푸쉬블럭(32)이 이동채널(26) 내에서 이동되면서도 이동채널(26)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연결스트랩(33)이 없이 상기 분리구(30)가 2개의 푸쉬블럭(3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푸쉬블럭(32)이 안착공간(22)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가 반대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없다. 하지만, 부품(40)을 상기 안착공간(22)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부품(40)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푸쉬블럭(32)의 경사면(34)을 따라 안내되면서 푸쉬블럭(32)이 상기 이동채널(26)을 따라 도 3의 화살표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미리 상기 푸쉬블럭(32)을 이동시켜 둘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분리장치의 실시례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부품(40)은 상기 부품안착부(16)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공간(22)에 일부가 위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품(40)의 하부 측면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획측벽(18)과 마주볼 수 있다. 참고로 도 1과 도 4에서는 부품안착부(16) 중 하나에만 부품(4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부품(40)은 상기 안착공간(22)에 안착되어 그 단자가 상기 단자슬릿(22)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대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품(40)의 단자와 상대 단자 사이의 결합력보다 큰 힘을 상기 부품(40)에 가해야 상기 부품(40)을 안착공간(22)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부품(40)의 단자 갯수가 많으면 상대적으로 큰 힘이 부품(40)의 분리를 위해 필요하다.
상기 부품(40)을 부품안착부(16)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블럭(32)의 누름면(32)에 각각 힘을 가한다. 상기 누름면(32)은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분리구(30)의 푸쉬블럭(32)은 상기 이동채널(2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은 상기 부품(40)의 저면 가장자리로 들어가면서 상기 경사면(34)을 따라 상기 부품(40)의 저면이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부품(40)의 저면이 상기 푸쉬블럭(32)의 경사면(34)을 따라 안내되면, 작업자가 상기 누름면(36)에 가한 힘 중에서 상기 연직방향 분력이 상기 부품(40)을 밀어 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누름면(36)에 가한 힘 중에서 수평방향 분력은 상기 연결스트랩(33)을 탄성변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푸쉬블럭(32)이 상기 부품(40)의 저면과 이동채널(26)의 사이로 들어가면서 상기 푸쉬블럭(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트랩(33)은 탄성변형되고, 상기 도피홈(28)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도피홈(28)으로 연결스트랩(33)이 탄성변형된 것 외에도 상기 연결스트랩(33)과 상기 부품(40)의 저면 사이의 간격이 발생함에 따라 이 간격으로도 상기 연결스트랩(33)이 탄성변형된 것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푸쉬블럭(32)에 계속해서 힘을 가하면, 상기 부품(40)은 더 상승하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40)이 상기 푸쉬블럭(32)의 경사면(34)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부품(40)의 단자와 상대 단자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부품(40)의 상부를 잡고 들어올리면 상기 부품(40)이 부품안착부(16)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품(40)이 분리되고, 상기 푸쉬블럭(32)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스트랩(33)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연결스트랩(33)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 상기 푸쉬블럭(32)은 상기 이동채널(26)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측벽개방부(24)를 지나 안착공간(22)의 외부에 있는 이동채널(25)의 부분에 있게 된다. 이 위치는 도 1에서 상기 부품(40)이 장착된 부품안착부(16)에 있는 분리구(30)의 푸쉬블럭(32)이 있는 곳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본체
11': 체결턱 12: 커버
13: 체결편 14: 체결홈
16: 부품안착부 18: 구획측벽
20: 안착공간 22: 단자슬릿
24: 측벽개방부 26: 이동채널
28: 도피홈 30: 분리구
32: 푸쉬블럭 33: 연결스트랩
33': 절곡홈 34: 경사면
36: 누름면 40: 부품

Claims (8)

  1.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고 구획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안착공간을 가지는 부품안착부와,
    상기 구획측벽의 측벽개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있는 부품의 저면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푸쉬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블럭이 상기 측벽개방부를 통해 안착공간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분리구를 포함하는 부품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분리구가 위치되는 이동채널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동채널은 상기 안착공간의 외부로 상기 측벽개방부를 통과해서 연장되는 부품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채널에는 도피홈이 더 형성되는 부품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홈 바닥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부품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블럭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푸쉬블럭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에 형성된 이동채널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요철과 상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요철이 구비되는 부품분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구의 푸쉬블럭은 탄성변형 가능한 연결스트랩에 의해 연결되는 부품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트랩의 표면에는 절곡홈이 더 형성되는 부품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은 상기 연결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부품분리장치.
KR1020200173308A 2020-12-11 2020-12-11 부품분리장치 KR20220083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08A KR20220083250A (ko) 2020-12-11 2020-12-11 부품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308A KR20220083250A (ko) 2020-12-11 2020-12-11 부품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50A true KR20220083250A (ko) 2022-06-20

Family

ID=8225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308A KR20220083250A (ko) 2020-12-11 2020-12-11 부품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2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42B1 (ko) 2006-12-15 2007-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분리용 풀러
KR101545895B1 (ko) 2014-06-30 2015-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42B1 (ko) 2006-12-15 2007-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분리용 풀러
KR101545895B1 (ko) 2014-06-30 2015-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pra 박스용 멀티 풀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746A (en) Female terminal for receiving plate-shaped male terminal
US6116939A (en) Connector lock mechanism
JP6119670B2 (ja) コネクタ
US7399208B2 (en) Device for an axially slidable cable in a connector housing
US692654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with a lower cover for holding and mounting a connector
US5554052A (en) Locking connector
KR100219361B1 (ko) 맞물림검출장치를 갖는 커넥터
US8292330B2 (en) Insertable tube system for a vacuum cleaner
EP3275736A1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JP4291341B2 (ja) 接続装置
US4531792A (en) IC Connector
US20120048693A1 (en) Mode Switch For Vehicle
KR20120127167A (ko) 압접형 커넥터
US5558535A (en) Locking construction
KR20220083250A (ko) 부품분리장치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KR10223424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11196208B2 (en) Terminal protection device of connector
EP1501158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US20180026390A1 (en) Connector
JP6634305B2 (ja) コネクタ保持具
KR20180037485A (ko) 자동차용 블럭
JP2019205222A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KR20200143876A (ko)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