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529B1 -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529B1
KR102231529B1 KR1020197012493A KR20197012493A KR102231529B1 KR 102231529 B1 KR102231529 B1 KR 102231529B1 KR 1020197012493 A KR1020197012493 A KR 1020197012493A KR 20197012493 A KR20197012493 A KR 20197012493A KR 102231529 B1 KR102231529 B1 KR 10223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bar holder
holder
receptacle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234A (ko
Inventor
미하엘 셸
스펜 찌르클러
크리스티안 모리츠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5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아 홀더(1)에 관한 것으로, 버스바아 홀더는 하부 부분(2) 및 하부 부분(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부분(3)을 갖고, 이들 하부 및 상부 부분 사이에는, 이들이 함께 연결될 때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 통로(4)가 형성되고,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은 서로 대향하는 지지면들(5) 상에 활주면(6)을 가지며, 이 활주면을 따라 상부 및 하부 부분은 서로 지지되고 상부 부분(3)이 하부 부분(2)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상부 부분(3)이 텅 앤 그루브 연결부(7)를 통해 하부 부분(2)에 고정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해제 가능한 래칭 폴(8)이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을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버스바아 홀더와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로 구성된 대응 장치가 또한 설명된다.

Description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본 발명은 하부 부분 및 하부 부분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부분을 갖고, 이들 하부 및 상부 부분 사이에는, 이들이 서로 연결될 때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 통로가 형성되는 버스바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버스바아 통로는 DE 10 2005 044 127 B4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유사한 버스바아 홀더가 또한 EP 1 193 822 B1호, DE 36 01 988 C2호, DE 82 30 599 UI호 및 DE 86 09 413 UI호에 설명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버스바아 홀더는 이들이 사용하기가 비교적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 단점은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 사이에 형성된 버스바아 통로 내로의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의 삽입 후에, 버스바아를 버스바아 통로 내에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부 부분이 다수의 볼트에 의해 상부 부분에 나사 결합되어야 하는 사실에 의해 특히 유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용이하도록 전술된 유형의 버스바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버스바아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부수적인 청구항 11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버스바아 홀더와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의 대응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종속항은 각각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관련된다.
이에 따라,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대향하는 지지면들 상에 활주면을 가지며, 이 활주면을 따라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서로 지지되고,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상부 부분이 텅 앤 그루브 연결부(tongue-and-groove connection)를 통해 하부 부분에 고정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해제 가능한 래칭 폴(latching pawl)이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폐쇄 위치에 장착하는, 버스바아 홀더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은 규정된 선형 운동으로, 예를 들어 버스바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따라서, 버스바아 홀더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의 나사 연결부의 형성 대신에,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 텅 앤 그루브 연결부와 해제 가능한 래칭 연결부의 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버스바아 홀더 내의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의 장착은 공구 없이 가능하다.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래칭 폴의 재해제는 폐쇄 위치로부터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의 부주의한 재해제를 회피하기 위해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텅 앤 그루브 연결부의 하나의 그루브는 T형 또는 L형 돌출부를 갖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의 부분의 지지면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T형 또는 L형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지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는 자유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 후크를 가질 수 있다. 후크는 지지면에 평행하게, 예를 들어 버스바아 홀더의 종방향으로, 특히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의 종방향으로 또는 이들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는, 지지면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지지면 상에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가지며 버스바아 홀더의 종방향으로 또는 그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대(crosspiece)를 가질 수 있다. 텅 앤 그루브 연결부의 형성, 특히 텅 앤 그루브를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의 형성의 성질은 이들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서로 고정되거나 서로로부터 해제되는 서로에 대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의 조정 방향에 의존한다는 것이 이해 가능하다.
T형 또는 L형 돌출부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의 각각의 다른 부분의 리세스 내로 연장할 수 있고, 돌출부는 폐쇄 위치에서 리세스의 언더컷(undercut)에 결합하고, 돌출부는 개방 위치에서 언더컷에 관하여 격리되어, 개방 위치에서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에 고정되게 된다.
외측면 상에 리세스를 갖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의 부분은 언더컷에서 종료하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은 돌출부가 언더컷과 적절하게 결합하여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서로 확실하게 고정되게 되는지 여부를 폐쇄 위치에서 검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뷰잉 윈도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래칭 폴은 2개의 대향하는 지지면 중 제1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2개의 대향하는 지지면 중 제2 지지면 내의 래칭 리셉터클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외측면 상에 래칭 리셉터클을 갖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의 부분은 래칭 리셉터클 내로 개방하여 종료하는 공구 삽입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공구 삽입 개구를 통해, 예를 들어 스크류 드라이버의 도움으로,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위치로 2개의 부분을 이동하기 위해,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에 대해 변위 가능하도록 래칭 리셉터클에 더 이상 결합하지 않게 충분히 버스바아 홀더의 폐쇄 위치에서 래칭 폴에 예비 응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부분은 베이스 상에 하부 부분의 장착을 위해 그 지지면에 대향하는 장착면을 가질 수 있고, 나사 채널이 지지면과 장착면 사이에서 연장하며, 나사 채널은 장착면 상에서 나사 채널로부터 돌출하고 장착면 위로 돌출하는 위치설정 핀에 의해 폐쇄된다. 위치설정 핀은 버스바아 홀더가 장착될 베이스에 관하여, 버스바아 홀더, 특히 버스바아 홀더의 하부 부분을 정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예를 들어 하부 부분 내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 채널이 버스바아 홀더가 장착되어야 하는 베이스 내의 대응 보어 또는 통로와 정렬되게 된다.
위치설정 핀은 장착면에 탈착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미리결정된 해체점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버스바아 홀더를 베이스에 관하여 정렬한 후에, 나사 채널이 볼트 등의 통과를 위해 노출되도록 나사 채널로부터 위치설정 핀을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스바아 홀더의 하부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나사 채널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나사 채널 중 하나는 전술된 유형의 위치설정 핀을 갖는다. 제1 단계에서, 위치설정 핀의 도움으로, 버스바아 홀더의 하부 부분은 버스바아 홀더가 장착되어야 하는 베이스에 관하여 미리 정렬될 수 있다. 일단 미리 정렬이 완료되면, 버스바아 홀더의 하부 부분은 위치설정 핀을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채널을 통해 볼트 등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단계에서, 위치설정 핀은 다른 나사 채널에서 해체하여 - 따라서 비워지게 된 나사 채널을 통해 - 베이스 상의 다른 장착점을 통해 버스바아 홀더의 하부 부분을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핀은, 나사 채널 내부에 배열되어 장착면과 경계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장착면과 정렬되는 환형 플랜지의 내주부에 미리결정된 해체점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 통로의 단면은 하부 부분 내의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아 리셉터클은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 서로 연결되면 상부 부분의 지지면으로부터 밀봉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스바아는 따라서 버스바아 홀더의 하부 부분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부 부분은 단지 하부 부분에 형성된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다른 상부 커버를 형성한다. 그 결과, 상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평 지지면을 갖는 비교적 간단한 상부 부분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를 통해, 버스바아가 하부 부분의 버스바아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상태로, 인접한 활주면을 갖는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또한 대향하는 지지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부분 내의 버스바아 리셉터클 내로 삽입된 버스바아의 종방향 측면이 하부 부분의 활주면과 정렬할 수 있어, 하부 부분의 활주면과 버스바아의 종방향 측면의 활주면이 수평 활주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 활주면을 따라 상부 부분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다.
상부 부분은 각각의 버스바아 리셉터클에 대해 그 외측면에,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위치를 식별하는 마크를 가질 수 있다. 마크는 상부 부분의 상부면 내의 리세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제한이 주어지면, 버스바아 통로 및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기하학 구조는 임의의 특정 기하학 구조에 한정될 수 없고, 본 발명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의 간단한 디자인에 기인하여, 수용 버스바아의 기하학 구조에 맞추어질 수 있는데, 이는 버스바아 통로 및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기하학 구조가 수용 버스바아의 외부 기하학 구조에 대응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버스바아 통로 및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기하학 구조는 직사각형이며, 예를 들어, 버스바아 통로 및 버스바아 리셉터클의 긴 측면은 버스바아 홀더의 종방향으로 또는 그에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된 유형의 버스바아 홀더와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의 장치가 주어지면, 버스바아는 하부 부분 내의 버스바아 리셉터클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버스바아의 외부 프로파일 측면은 하부 부분의 활주면과 정렬하고,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 서로 연결될 때 상부 부분의 활주면 상에 놓인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예시된다.
도 1은 2개의 버스바아가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버스바아 홀더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버스바아 홀더 상부 부분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지지면에 관하여 도 2에 따른 상부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하부 부분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지지면에 관하여 도 4에 따른 하부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하부 부분의 사시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버스바아 홀더의 실시예를 사시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버스바아 홀더(1)에 수용된 2개의 버스바아(100)의 예시적인 배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버스바아 홀더(1)는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으로 구성되고, 버스바아(100)는 버스바아 홀더(1)를 통해 버스바아 홀더(1)의 종방향(x)에 수직으로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2) 사이에 형성된 버스바아 통로(4)를 통해 각각 연장한다. 버스바아 통로(4)는 버스바아(100)가 버스바아 리셉터클(22)에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상부 부분(3)에 의해 위로부터 커버된 버스바아 홀더(1)의 하부 부분(2) 내의 버스바아 리셉터클(22)에 의해 형성된다. 버스바아 리셉터클(22) 내의 버스바아(100)의 압입 끼워맞춤을 위해, 버스바아(100)는 그 내주부에 압착 리브(23)(도 4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버스바아(100)는 그 직사각형 단면의 긴 측면이 홀더(1)의 종방향(x)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이 버스바아는 또한 홀더(1)의 종방향(x)으로 연장할 수 있고, 이 경우에 통로(4) 및 리셉터클(22)의 기하학 구조는, 각각의 버스바아가 그 각각의 리셉터클(22) 내에 삽입될 때 버스바아(100)의 긴 단면 측면 중 하나가 활주면(5)과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2)은 도 1에는 가시화되어 있지 않은 텅 앤 그루브 연결부 통해 서로 연결되고, 여기서 2개의 부분(2, 3)은 종방향(x)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래칭 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공되는 래칭 연결부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서로 장착된다. 래칭 폴은 예를 들어 스크류 드라이버의 도움으로 공구 삽입 개구(15)를 통해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어, 도시된 종방향(x)에서 부분(2, 3)이 서로에 대해 변위될 수 있게 되어, 특히 부분(2, 3)이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상부 부분(3)이 하부 부분(2)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상부 부분(3)의 상부 외측면(12) 상의 통로(13)는 버스바아 홀더(1) 내로의 그리고 텅 앤 그루브 연결부(도시되지 않음)의 뷰를 허용하여, 폐쇄 위치에서 사용자가 텅 앤 그루브 연결부의 적절한 결합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은 대향하는 지지면(5)을 따라 서로 경계를 형성하는데, 이 지지면은 부분(2, 3)이 도시된 종방향(x)으로 그를 따라 서로에 대해 변위할 수 있는 활주면을 즉시 형성한다. 게다가, 그 외측면(13)에서, 각각의 버스바아 리셉터클(22) 상의 각각의 상부 부분은 버스바아 리셉터클(22)의 위치를 식별하는 마크(25)를 갖는다.
상부 부분(3)의 외측면(12)에 수직인 방향에서 버스바아 리셉터클(22)의 수직 깊이는 버스바아(100)의 수직 치수에 정확히 대응하므로, 버스바아(100)가 각각의 버스바아 리셉터클(22) 내에 삽입될 때, 버스바아(100)의 상부 프로파일 측면(101)은 하부 부분(2)의 지지면(5)과 정렬하게 된다는 것을 도 1로부터 또한 알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부분(3)은 또한 텅 앤 그루브 연결부 및 래칭 폴에 의해 형성된 종방향(x)을 따른 운동 범위 내에서 삽입된 버스바아(100)와 함께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하부 부분(2)은 버스바아 홀더(1)가 이를 통해 스위치 캐비닛 하우징의 장착 레일 또는 장착 플레이트와 같은 베이스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16)을 또한 갖는다.
버스바아 홀더의 상부 부분(3)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분(3)은 그 이면에, 수평 활주면(6)을 갖는 지지면(5)을 가지며, 이 활주면 위에는 상부 부분(3)이 종방향(x)에서 하부 부분(도시되지 않음)의 지지면 상의 활주면 상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부 부분(3)은 그 상부 외측면(12) 상에 통로(13)를 갖는데, 이 통로를 통해, 도시된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 사이의 텅 앤 그루브 연결부의 끼워맞춤이 검사될 수 있다. 동일한 외측면(12)에서, 상부 부분(3)은 공구 삽입 개구(15)를 갖고, 이 개구를 통해, 상부 부분(3)이 버스바아 홀더 내로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하부 부분의 래칭 폴이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특히 래칭 폴이 래칭 폴이 지지면(5) 상의 상부 부분(3)의 리세스 내에서 하부 부분과 결합하는 그 휴지 위치로부터 래칭 폴을 다시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부 부분(3)이 텅 앤 그루브 연결부를 느슨하게 하도록 종방향(x)에서 하부 부분에 대해 조정될 수 있게 되고 상부 부분(3)은 따라서 하부 부분(2)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상부 부분(3)의 이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면은 상부 부분(3)이 이를 통해 대응 지지면 및 하부 부분(도시되지 않음)의 활주면 상에서 활주식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는 활주면(6)을 갖는 지지면(5)을 갖는다. 도시된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2) 사이에 텅 앤 그루브 연결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게 하기 위해, 상부 부분(3)은 언더컷(11)을 갖는 지지면(5)을 통해 접근 가능한 리세스(10)를 갖는다. 언더컷(11)은 예를 들어 하부 부분의 지지면 상의 돌출부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파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는 예를 들어, L형 돌출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상부 부분(3)과 관련하여 또한 사용될 수도 있는 하부 부분(2)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하부 부분(2)은 베이스, 예를 들어 장착 레일 상의 하부 부분(2) 또는 버스바아 홀더의 장착을 위한 장착면(16)을 갖는다. 장착면(16)에 대향하는 지지면(5)으로부터 시작하여, 버스바아 통로(4)를 형성하는 그루브형 리세스가 지지면(5)에 수직으로 그리고 종방향(x)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지지면(5)에 수직인 버스바아 통로(4)의 깊이는 종방향에 수직인 버스바아(도시되지 않음)의 치수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어, 버스바아가 버스바아 통로(4)에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지지면(5) 및 활주면(6)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는 L형으로 형성되고, 돌출부(9)는 그 자유 단부 상에 종방향(x)으로 배향된 수평 가로대를 각각 갖는다. 수평 가로대는 수직 가로대를 통해 외부 압착 리브(23)와 지지면(5)에 연결된다.
지지면(5)은 그 자유 단부가 지지면(5) 위에 돌출하는 래칭 폴(8)을 또한 갖는다. 래칭 폴(8)은 가요성 아암에 의해 하부 부분(2)의 본체에 연결되어 래칭 폴(8)의 자유 단부가 지지면(5)에 수직으로 예비 응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보면, 어떻게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2) 사이에 텅 앤 그루브 연결부가 형성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분(3)이 하부 부분(2) 상에 설치될 때, 하부 부분은 그 돌출부(9)가 상부 부분(3)의 리세스(10) 내로 연장한다.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을 종방향(x)으로 시프트함으로써, 돌출부(9)의 자유 단부는 후방으로부터 리세스(10)의 언더컷(11)을 파지하여 상부 부분(3)이 하부 부분(2)에 장착되게 된다. 돌출부(9)가 후방으로부터 언더컷(11)을 파지하는 폐쇄 위치에서, 하부 부분(2)의 래칭 폴(8)은 후방으로부터 상부 부분(3)의 중앙 웨브(24)를 파지할 수 있어 종방향(x)에서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이 서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이 폐쇄 위치에서, 래칭 폴(8)은 래칭 폴(8)을 중앙 웨브(24)로부터 해제하도록 공구 삽입 개구(15)를 통해 미리 인장될 수 있어, 부분(2, 3)이 다시 종방향(x)으로 서로 변위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상부 부분(3)이 하부 부분(2)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돌출부(9)의 외측면 상의 압착 리브(23)는 상부 부분(3)의 지지면(5) 내의 리세스(10)의 내주부에 압입 끼워맞춤하여 안착되어, 또한 미리 개방 위치에 있는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이 이미 고정되어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의 분실에 대한 특정 안전성이 제공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상부 부분(2)의 이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는 하부 부분(2)의 장착면(16)의 뷰를 제공하고 있다. 장착면(16)을 통해, 하부 부분(2)은 장착 플레이트 또는 장착 레일과 같은 랜덤 베이스 상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베이스에 관한 버스바아 홀더 또는 하부 부분(2)의 미리 정렬을 위해, 하부 부분(2)은 장착면(16) 위로 돌출하는 위치설정 핀(18)을 갖는다. 베이스 상에 하부 부분(2)을 장착하기 위해, 위치설정 핀(18)을 갖는 하부 부분(2)은 하부 부분(2)의 이후의 장착을 위한 베이스 내의 제1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어, 다른 나사 채널(17)이 다른 장착 구멍에 관하여 이미 미리 위치설정되게 된다. 하부 부분(2)과 베이스 사이의 제1 나사 연결이 이러한 다른 나사 채널(17)을 통해 생성된 후, 위치설정 핀(18)은 나사 채널(17)로부터 해체될 수 있고 이후에 비워지게 된 나사 채널(17)은 베이스와의 다른 나사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상세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위치설정 핀(18)은 나사 채널(17) 중 하나의 장착면(16)에 대면하는 일 단부 상에 배열된 환형 플랜지(21)의 내주부(20) 상의 미리결정된 해체점(19)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뷰는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버스바아 홀더(1)의 실시예의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2)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부분(2, 3) 사이의 마찰 연결은 2개의 텅 앤 그루브 연결부(7)를 통해 생성된다.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2개의 부분(2, 3)을 고정하기 위해, 하부 부분(2)의 래칭 폴(8)은 후방으로부터 상부 부분(3)의 중앙 웨브(24)를 파지한다. 통로(13)를 통해, 리세스(10)의 언더컷(11)의 영역이 시각적으로 접근 가능하여, 폐쇄 위치에서 하부 부분(2)의 돌출부(9)가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언더컷(11)을 적절히 파지하는지 여부가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어 부분(2, 3)의 확실한 연결이 보장되게 된다. 공구 삽입 개구(15)를 통해, 상부 부분(3) 내의 래칭 리셉터클(14)은 래칭 폴(8)이 그 자유 단부와 결합하게 접근 가능하다.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에 의해, 래칭 폴(8)의 자유 단부는 래칭 폴(8)의 자유 단부가 더 이상 후방으로부터 중앙 웨브(24)를 파지하지 않을 때까지 예비 응력을 받게될 수 있어, 상부 부분(3)이 종방향(x)으로, 더 정확하게는 도 7에 따른 표현에서 좌측으로 하부 부분(2)에 대해 시프트될 수 있게 되어, 2개의 부분(2, 3)이 돌출부(9)가 더 이상 후방으로부터 리세스(10)의 언더컷(11)을 파지하지 않는 개방 위치를 차지하여 상부 부분(3)이 외측면(12)에 수직으로 하부 부분(2)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 개별적 그리고 임의의 조합 모두로 필수적일 수 있다.
1: 버스바아 홀더 2: 하부 부분
3: 상부 부분 4: 버스바아 통로
5: 지지면 6: 활주면
7: 텅 앤 그루브 연결부 8 : 래칭 폴
9: 돌출부 10: 리세스
11: 언더컷 12: 상부 부분/하부 부분의 외측면
13: 통로 14: 래칭 리셉터클
15: 공구 삽입 개구 16: 장착면
17: 나사 채널 18: 위치설정 핀
19: 미리결정된 해체점 20: 내주부
21: 환형 플랜지 22: 버스바아 리셉터클
23: 압착 리브 24: 중앙 웨브
25: 마크 100: 버스바아
101: 프로파일 측면 x: 종방향

Claims (12)

  1. 버스바아 홀더(1)이며, 하부 부분(2) 및 상기 하부 부분(2)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부분(3)을 갖고,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 사이에는, 이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 통로(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은 대향하는 지지면들(5) 상에 활주면(6)을 가지며, 상기 활주면을 따라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이 서로 지지되고, 상부 부분(3)이 하부 부분(2)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상부 부분(3)이 텅 앤 그루브 연결부(7)를 통해 하부 부분(2)에 장착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은 서로에 대해 변위 가능하고, 해제 가능한 래칭 폴(8)이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을 폐쇄 위치에 장착하고, 하부 부분(2)은 베이스 상에 하부 부분(2)의 장착을 위해 그 지지면(5)에 대향하는 장착면(16)을 갖는, 버스바아 홀더(1)에 있어서, 나사 채널(17)이 지지면(5)과 장착면(16)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나사 채널은 장착면(16) 상에서 나사 채널(17)로부터 돌출하고 장착면(16) 위로 돌출하는 위치설정 핀(18)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아 홀더(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 앤 그루브 연결부(7)의 그루브는 T형 또는 L형 돌출부(9)를 갖는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의 부분의 지지면(5)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T형 또는 L형 돌출부(9)로서 형성되는, 버스바아 홀더(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또는 L형 돌출부(9)는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의 각각의 다른 부분의 리세스(10) 내로 연장하고, 폐쇄 위치에서 T형 또는 L형 돌출부(9)는 후방으로부터 리세스(10)의 언더컷(11)을 파지하고, 개방 위치에서 T형 또는 L형 돌출부(9)는 언더컷(11)에 대해 격리되어 있는, 버스바아 홀더(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0)를 갖는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의 부분은 외측면(12) 상에 상기 언더컷(11) 내로 개방되는 통로(13)를 갖는, 버스바아 홀더(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가능한 래칭 폴(8)은 2개의 대향하는 지지면(5) 중 제1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폐쇄 위치에서 2개의 대향하는 지지면(5) 중 제2 지지면 내의 래칭 리셉터클(14) 내에 수용되는, 버스바아 홀더(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12) 상에 래칭 리셉터클(14)을 갖는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의 부분은 래칭 리셉터클(14) 내로 개방하는 공구 삽입 개구(15)를 갖는, 버스바아 홀더(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핀(18)은 장착면(16)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미리결정된 해체점(19)을 통해 장착되는, 버스바아 홀더(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핀(18)은 환형 플랜지(21)의 내주부(20) 상에 미리결정된 해체점(19)을 통해 장착되고, 환형 플랜지는 나사 채널(17) 내부에 배열되어 장착면(16)과 경계를 형성하고 장착면(16)과 정렬되는, 버스바아 홀더(1).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버스바아 리셉터클(22)에 대한 그 외측면(13) 상의 상부 부분(3)은 버스바아 리셉터클(22)의 위치를 식별하는 마크(25)를 갖는, 버스바아 홀더(1).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아 통로(4)의 단면은 하부 부분(2) 내의 버스바아 리셉터클(22)의 단면에 의해 형성되고, 버스바아 리셉터클(22)은 상부 부분(3)과 하부 부분(2)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부 부분(3)의 지지면(5)에 의해 폐쇄되는, 버스바아 홀더(1).
  11. 제10항에 따른 버스바아 홀더(1)와 하부 부분(2) 내의 버스바아 리셉터클(22) 내로 삽입되는 버스바아(100)의 장치이며, 상기 버스바아(100)의 외부 프로파일 측면(101)은 하부 부분(2)의 활주면(6)과 정렬되고, 상부 부분(3) 및 하부 부분(2)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부 부분(3)의 활주면(6) 상에 놓이는, 장치.
  12. 삭제
KR1020197012493A 2016-11-04 2017-09-12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KR102231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1074.9A DE102016121074B3 (de) 2016-11-04 2016-11-04 Sammelschienenhalter und eine entsprechende Anordnung
DE102016121074.9 2016-11-04
PCT/DE2017/100769 WO2018082728A1 (de) 2016-11-04 2017-09-12 Sammelschienenhalter und eine entsprechende 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234A KR20190055234A (ko) 2019-05-22
KR102231529B1 true KR102231529B1 (ko) 2021-03-23

Family

ID=5996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493A KR102231529B1 (ko) 2016-11-04 2017-09-12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1629B2 (ko)
EP (1) EP3535824B1 (ko)
KR (1) KR102231529B1 (ko)
CN (1) CN109891699B (ko)
DE (1) DE102016121074B3 (ko)
WO (1) WO2018082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4250B (zh) * 2018-11-23 2022-10-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电连接器组件和电气设备
US20220231486A1 (en) * 2021-01-19 2022-07-21 Divergent Technologies, Inc. Bus bars for printed structural electric battery modu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08760U1 (de) 1982-03-27 1982-07-01 Striebel & John Kg, 7591 Sasbach TRàGER FüR SAMMELSCHIENEN
DE4005138A1 (de) * 1989-04-08 1990-10-11 Loh Kg Rittal Werk Halter fuer stromsammelschienen
DE102005044127A1 (de) * 2005-09-15 2007-03-22 Bruchmann, Klaus Trägerteil für einen Sammelschienenträger sowie Sammelschienenträg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6307A1 (de) 1975-12-13 1977-06-23 Licentia Gmbh Halter zur befestigung wenigstens einer stromschiene
DE8230599U1 (de) 1982-10-30 1983-02-17 Alfred Wöhner GmbH, 8633 Rödental Halter oder Träger zur Festlegung stromführender Sammelschienen
DE3601988A1 (de) 1986-01-23 1987-07-30 Loh Kg Rittal Werk Vorrichtung zum abdecken von auf sammelschienen befestigten elektrischen geraeten
DE8609413U1 (de) 1986-04-08 1986-08-07 Lindner Gmbh, Fabrik Elektrischer Lampen Und Apparate, 8600 Bamberg Halter für stromführende Sammelschienen
ES2130717T3 (es) * 1995-09-04 1999-07-01 Rockwell Automation Ag Adaptador para sistemas de barras colectoras.
JPH11168813A (ja) * 1997-12-03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プレート
ATE238622T1 (de) * 1998-10-30 2003-05-15 Abb Service Srl Vorrichtung zum halten und zur befestigung von stromschienen
CN2381051Y (zh) * 1999-07-12 2000-05-31 卢彩五 连接式汇流排座盖组
DE10048806C1 (de) 2000-09-29 2002-06-20 Mueller Jean Ohg Elektrotech Sammelschienenträger
US20030036297A1 (en) * 2001-08-01 2003-02-20 Kilkenny Stephen W. Snap-in assembly for multiple high current conductive lines
CN201206173Y (zh) * 2008-04-29 2009-03-11 东北大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铝母线导向支架防位移结构
CN203751747U (zh) * 2014-04-14 2014-08-06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燃气轮机动力涡轮轮盘榫槽拉削夹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08760U1 (de) 1982-03-27 1982-07-01 Striebel & John Kg, 7591 Sasbach TRàGER FüR SAMMELSCHIENEN
DE4005138A1 (de) * 1989-04-08 1990-10-11 Loh Kg Rittal Werk Halter fuer stromsammelschienen
DE102005044127A1 (de) * 2005-09-15 2007-03-22 Bruchmann, Klaus Trägerteil für einen Sammelschienenträger sowie Sammelschienen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5824A1 (de) 2019-09-11
CN109891699B (zh) 2020-09-15
US11101629B2 (en) 2021-08-24
DE102016121074B3 (de) 2018-05-09
US20190280471A1 (en) 2019-09-12
WO2018082728A1 (de) 2018-05-11
CN109891699A (zh) 2019-06-14
EP3535824B1 (de) 2020-07-01
KR20190055234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771B1 (ko) 두 프로파일부의 해제가능한 연결을 위한 클램핑 장치
KR102231529B1 (ko)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CA2974291C (en) Arrangement of multiple latching feet for an assembly, and assembly
ITMI20121974A1 (it)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perfezionato con contatti a molla
EP2053910A1 (en) Mounting and fixing apparatus of analog-to-digital electrical equipment
CN109699142B (zh) 电器的德国工业标准导轨安装部结构及插座
DE102013114519A1 (de) Türöffner mit elektrischem Anschlussblock
CA2978219C (en) Plate holder for holding a license plate
US20190386405A1 (en) Sprung busbar tapping clip
US9385486B2 (en) Socket module, electrosurgical device, and set with a socket module
CN108604783A (zh) 将通信和/或自动化设备紧固在安装轨上的装置以及通信和/或自动化设备
KR102647786B1 (ko) 전력선 고정용 클램프장치
US11631956B2 (en) Fastening device for a conductor line and conductor line system
DE102012007298B4 (de) Vorrichtung zum höhenverstellbaren Abhängen eines elektrischen Gerätes
US3740696A (en) Locking mechanism
CN108110446B (zh) 导线固定用接线端子
US4195901A (en) Electrical device with terminal retainer
CN211168496U (zh) 一种传输带组合模块的滚珠安装器
KR101389228B1 (ko)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EP2344011A1 (de) Beleuchtungselement in ladenbau-bzw. präsentationssystemen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JP6529672B2 (ja) 配電盤の組立設備および配電盤の組立方法
KR20080003684U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EP2306591A1 (en) Connector module and plug-in module system
WO2018210599A1 (de)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ssen zumindest eines elektrischen leiters an eine bolzenklem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