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69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691A
KR20150011691A KR1020130086958A KR20130086958A KR20150011691A KR 20150011691 A KR20150011691 A KR 20150011691A KR 1020130086958 A KR1020130086958 A KR 1020130086958A KR 20130086958 A KR20130086958 A KR 20130086958A KR 20150011691 A KR20150011691 A KR 2015001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image
displayed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236B1 (ko
Inventor
이혜인
문윤지
정의균
신용경
박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236B1/ko
Priority to US14/245,623 priority patent/US20150031417A1/en
Priority to EP14165122.4A priority patent/EP2830293B1/en
Priority to DE202014010511.1U priority patent/DE202014010511U1/de
Priority to CN201410212539.3A priority patent/CN104346097B/zh
Publication of KR2015001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36B1/ko
Priority to US15/190,849 priority patent/US97943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을 상기 제2영역에 출력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측면 디스플레이부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줄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알림 및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을 상기 제2영역에 출력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좌영역 및 우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된다.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알림 아이콘에 가해지면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이미지가 생성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까지 이어지면, 상기 이미지의 경계는 상기 다른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경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정보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 아이콘의 길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영역은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터치입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되었던 화면이 계속하여 표시된다.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상기 제2부분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부분에 표시된 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2영역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면, 상기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표시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바가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호신호에 대하여 미응답하였음을 알려주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호연결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 내에서 이동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의 생성과 함께 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을 상대물이 덮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는 유지되며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에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아이콘을 상기 제2영역에 출력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정보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알림이나 상세정보의 출력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단말기의 놓인 상태(status)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준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및 측면 디스플레이부들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3a의 단말기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의 예로서, 측면 디스플레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상태 바(status bar)의 제어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10 내지 도 13은 정보 수신과 관련된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단말기에는 상기 근접센서와 함께, 조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조도센서는 단말기의 주변의 빛의 양을 측정하며, 자이로센서는 가속도센서라고도 하며, 단말기의 움직이는 속도와 위치를 측정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단말기의 전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면 디스플레이 및 측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기를 제시하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하, 전면 디스플레이 및 측면 디스플레이와, 이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252)과, 상기 제1영역(252)에서 연장되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253)을 구비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영역(252)과 제2영역(253)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종류를 달리하는 영역으로서 서로 다른 형태의 유저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가짐에 따라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2영역(253)은 상기 단말기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좌영역(253a) 및 우영역(253b)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2영역(253)은 상기 제1영역(252)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251) 상에는 홈 스크린(home screen page)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페이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홈 스크린 페이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의 제1영역(252)과 제2영역(253)을 합친 영역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 때에,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261)을 상기 제2영역(253)에 출력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 중인 홈 스크린 페이지는 단지 예시일 뿐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출력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아이콘에 대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GUI와 같이 이미지, 텍스트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나,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특정 제어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아이콘(261)은 상기 좌영역(253a) 및 우영역(253b)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될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는 좌영역(253a)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알림 아이콘(261)은 단말기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 형태의 이미지로서 상기 좌영역(253a)의 상단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261)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영역(252)에 표시한다.
본 예시에서는, 상기 알림 아이콘(261)은 메세지의 도착을 알려주며, 사용자가 상기 알림 아이콘(261)에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영역(252)에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메세지 내용의 적어도 일부이며, 이는 미리보기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252)에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이미지(262)가 생성되며, 상기 메세지 내용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미지(262) 내에 표시된다. 즉,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미지(262)가 펼쳐지는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며, 따라서 출력되는 메세지 내용도 점차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종이 등이 말린 형태에서 드래그 입력에 따라 펼쳐지는 효과가 상기 이미지에 부여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알림 아이콘도 상기 드래그 입력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을 가하던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부(251)에서 떨어지면, 상기 이미지(262)가 좌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정보의 내용을 꺼냈다가 내용만 확인하고 다시 넣을 수 있어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또한, 종래에는 여러 개의 종류의 알림이 섞여서 보기에 복잡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는 데 오래 걸리거나, 알림 받은 정보는 화면 전체를 가려서 사용자가 하던 일을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의 예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다.
이와 같이, 측면 디스플레이의 동작 제어를 통하여 단말기는 새로운 형태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휴대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이상 도 3a 및 도 3b 참조)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부(252),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는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의 전면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기의 다른면까지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252)과, 상기 제1영역(252)에서 연장되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253)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의 상면에 배치되는 윈도우는 양측면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 및 측면의 외관은 상기 윈도우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영역(252)과 제2영역(253)은 물리적인 경계면이 없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굽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게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종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또한, 전자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양 측면이 굽혀진 형태의 단말기 본체가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52)와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미도시)와 마이크(222)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전면에 전면 입력부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한 입력조작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와 후술할 후면 입력부(232)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카메라(221,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221,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와 거울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는 카메라 모듈(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 출력부는 전면의 음향 출력부(252, 도 3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리시버로 구성되는 단말기 전면의 음향출력부(252, 제1 음향출력부)와 함께, 상기 후면이나 스피커로 구성되는 제2 음향출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음향출력부는 상기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후면 입력부(232)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232)은,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22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입력부(232)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부(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면 입력부 및 후면 입력부(23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도 언급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로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및 측면을 조합하여,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한다(S100).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벤트의 발생은 예를 들어,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충전(charging),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파워 오프(power off),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한다. 또는 일정 관리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이 있는 경우에, 날짜가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날짜가 되면 이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다음은, 제어부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아이콘을 측면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S200).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영역에 해당한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좌영역 및 우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된다.
상기 알림 아이콘(261)은 단말기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되거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이미지란, 예를 들어, 형상, 길이,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를 의미한다.
다음은, 제어부는 알림 아이콘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300).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영역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반응으로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제1영역)에 출력한다(S400).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메세지 수신, 상기 정보는 메세지의 내용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이벤트는 일정 관리에서 설정된 일정의 알림, 상기 정보는 설정된 일정의 상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이벤트는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의 발생, 상기 정보는 업데이트 대상의 상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예로서, 알림 아이콘에 숏터치가 가해지면 알림 내용의 업데이트가 실행되고, 롱터치가 가해지면 알림 아이콘이 삭제될 수 있다. 본 예시와 관련하여, 제어부는 상기 알림 아이콘에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출력을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처리한다(S500).
이러한 예로서, 제1영역에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이미지가 생성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처리된다. 상기 이이지는, 예를 들어 상태 바(status bar)나, 특정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연결)의 실행화면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래그 입력이 제1영역 내에서 해제되면 상기 이미지 및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사라지나,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기 좌영역에서 우영역까지 이어진 후에 상기 우영역에서 해제되면, 상기 이미지 및 정보의 출력은 유지된다.
상기 이미지 및 정보의 출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새로운 제어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플릭킹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정보는 순차적으로 발생한 이벤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방법은 도 5 내지 도 13과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구체화된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3a의 단말기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의 예로서, 측면 디스플레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을 이용한 상태 바(status bar)의 제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러한 제어의 일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알림 아이콘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순서대로 생성되며, 사용자의 확인이 종료되면 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순서대로, 상기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순서대로 출력된다. 이러한 예로서, 본 도면은 단말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알림 아이콘(261a, 261b, 261c)이 배열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각 알림 아이콘들은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 아이콘(261a)는 메세지 수신, 제2 알림 아이콘(261b)는 일정 관리, 제3 알림 아이콘(261c)은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과 관련된 카테고리로 해당하는 아이콘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림이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알림만을 모아서 한번에 볼 수 있게 된다.
먼저 제2 및 제3 알림 아이콘(261b, 261c)이 제2영역(253)에 출력된 상태에서 메세지가 도착하면, 메세지 도착을 알려주는 제1 알림 아이콘(261a)이 제2영역(253)에 출력된다. 이 경우에, 도 5의 (b)와 같이, 제2 및 제3 알림 아이콘(261b, 261c)은 단말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최상단에 배치되는 알림 아이콘은 최신으로 발생한 이벤트를 알려주게 된다.
본 예시에 의하면, 종래의 단말기에서 새로운 알림이 이전 알림을 덮어써서 이전 알림을 확인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서, 제1 내지 제3 알림 아이콘(261a, 261b, 261c)은 이벤트 발생한 순서대로 각자 지정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알림 아이콘(261a)에 드래그 입력을 가하여 이미지(262)에 있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한 후에 드래그 입력을 해제하면, 도 5의 (d)와 같이 제1 알림 아이콘(261a)은 사라지게 된다. 이 경우에, 이미지(262)는 상태 바가 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알림 아이콘들(261b, 261c)의 위치는 최신의 이벤트와 관련된 아이콘(본 예시에서는 제2 알림 아이콘)이 최상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정된다. 즉, 최상단에 제2 알림 아이콘(261b)이 그 다음에 제3 알림 아이콘(261c)이 배치된다.
다른 제어의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드래그 입력의 해제 지점이 바뀜에 따라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사라지지 않고 화면 위에 계속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이 상기 좌영역(253a) 및 우영역(253b)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까지 이어지면, 상기 이미지의 경계는 상기 다른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이미지의 경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림 아이콘이 출력된 상태(도 6의 (a) 참조)에서, 도 6의 (b) 및 (c)와 같이, 드래그 입력이 좌영역(253a)에서 우영역(253b)까지 이어진 후에 상기 우영역(253b)에서 해제되면, 이미지 및 정보(본 예시에서는 상태 바의 메세지 내용)의 출력은 유지된다. 즉, 상기 상태 바는 단말기의 폭방향을 따라 좌영역(253a)과 우영역(253b) 사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모두 채우게 되며, 알림 아이콘(261)은 좌영역(253a)에서 우영역(253b)으로 이동하여 우영역(253b)에 위치하게 된다.
즉, 화면 끝까지 드래그하면 알림 내용이 사라지지 않고 붙어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태 바를 고정시켜 놓고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스티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티커 기능의 해제는 도 6의 (d)와 같이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영역(253b)에서 좌영역(253a)을 향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면, 상태 바는 좌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점차로 사라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터치 입력, 예를 들어 연속되는 터치 등에 의하여 스티커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티커 기능은 여러가지 제어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스티커 기능의 확장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이미지 및 정보(본 예시에서는 상태 바의 메세지 내용)의 출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및 정보는 알림 아이콘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상하 방향 드래그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이미지를 펼치던 드래그 입력과 수직방향을 알림 아이콘에 가해지는 드래그 입력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나머지 알림 아이콘도 이미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이 상하방향으로 최종적인 이미지의 위치가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하 방향으로 원하는 지점에 상기 이미지 및 정보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플릭킹을 가하면 스크롤링이 되어 장문의 메시지가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제1 메세지가 출력된 이미지(262)가 제2 메세지가 출력된 이미지(264)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스크롤 바가 생기거나, 이미지의 길이가 드래그에 의하여 조절되는 동작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알림 아이콘의 길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크롤 바의 경우에,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제1영역(252)에 표시되면, 상기 제2영역(253)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표시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바가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읽음' 체크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는 내용을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시에서는 도 7의 (b)와 같이, 이미지의 상하 이동 후에 플릭킹 입력을 가하는 동작을 나타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이미지의 상하 이동 동작은 프로세스상에서 삭제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 동작이나 스크롤링 등은 앞선 실시예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추가되는 제어 동작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d)와 같이 좌우 스크롤링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플릭킹을 가하면, 수신한 메세지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이전에 도착했던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제2메세지를 출력하던 이미지(264)가 제3메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265)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스티커 기능에서 아래쪽 화면을 사용할 수 있어서 아래와 같은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영역(252)은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터치입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제1영역(252)에 출력되었던 화면이 계속하여 표시된다. 이 때에,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상기 제2부분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부분에 표시된 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2영역(253)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감지하게 된다.
구체적 예를 살펴보면, 도 8A와 같이, 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아래쪽 화면은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홈 스크린 페이지 상의 어느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이러한 예로서, 도 8A에서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아래쪽 화면에 실행화면이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메세지 내용에 일정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이를 구동시키면, 실행화면상에 메세지 내용의 일정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이미지가 투명한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실행화면이 상기 이미지에 오버랩되며, 상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중 일부가 보여지더라도, 상기 이미지에 대한 터치입력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제어명령의 결과가 상기 실행화면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모바일 뱅킹이 구동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입력할 내용이 상기 이미지에 출력된 정보 내용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된 정보 내용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복사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사용자가 출력된 텍스트나 숫자에 롱터치를 가하면, 상기 텍스트나 숫자가 복사되며, 그 후에 사용자가 실행화면에 롱터치를 가하면 붙여넣기 기능이 실행된다. 롱터치가 가해지는 실행화면 부분은 입력이 가능하도록 실행화면에서 활성화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태 바와 메인 화면과의 copy-paste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시지를 보면서 다른 활동을 해야 할 때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할 필요 없으며, 상태 바의 텍스트/이미지 등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바로 옮길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제어의 예로서, 메시지를 카테고리 별로 한번에 관리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도 9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알림 아이콘을 화면 끝까지 드래그하면 알림 내용이 사라지지 않고 붙어있으며, 이때 X 표시가 생성된다. 이 경우에, X 표시를 터치하면 특정 메세지가 삭제된다. 즉, 이미지가 고정될 때에, 특정 아이콘이 생성되며, 상기 특정 아이콘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해당 메세지가 삭제되는 것이다. 이 때에도 이미지는 계속해서 고정되며, 다음 메세지의 내용이 출력된다.
다른 예로서, 우영역(253b)을 더블 탭하면, 현재까지 누적된 모든 알림 메세지가 사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영역(253b)의 알림 아이콘에 연속되는 터치를 가하면, 누적 메세지가 모두 삭제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메시지를 카테고리 별로 한번에 모두 지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알림의 경우와 같은 특정 알림만 한꺼번에 없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세지 알림은 하나씩 삭제되나,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알림은 한꺼번에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삭제명령은 우영역(253b)의 더블 탭이나, 특정 아이콘에 대한 터치입력 중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 디스플레이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정보 수신과 관련된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측면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에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제2영역(253)에 표시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영역(252)과 제2영역(253)에 걸쳐서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실행화면이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호신호가 수신되면, 도 10의 (b)와 같이 제2영역(253)에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263)가 출력된다. 상기 인디케이터(263)는 예를 들어, 호신호를 송신한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상대방 이름이 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263)는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 제2영역(253) 내에서 이동되며, 알림 아이콘의 생성과 함께 사라진다.
예를 들어,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제2영역(253)에 스크롤링(Scrolling)되면서 표시된다. 상기 스크롤링 표시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를 화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롤링 표시는 좌영역(253a)에서 우영역(253b)으로 연속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는 좌영역(253a)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스크롤링 된 후에 우영역(253b)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스크롤링 될 수 있다.
도 10의 (c)와 같이, 사용자가 호신호에 대하여 미응답하면, 부재중 전화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261)이 제2영역(253)에 출력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부재중 전화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알림 아이콘(261)에 대하여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앞선 실시예와 같이 상태 바가 제1영역(252)에 출력되며, 상기 상태 바에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1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263)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253)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호연결(Incoming call)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도 11의 (b)와 같이, 제2영역(253)에 상대방 단말기의 정보가 스크롤링되는 도중에, 도 11의 (c) 및 도 (d)와 같이, 상기 제2영역(253)에 일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킹 입력이 가해지면 호신호 연결이 수행된다. 호신호 연결의 수행과 함께 제1영역(252)에는 호신호 연결의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영역(253)에 타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킹 입력이 가해지면 연결 거절(즉, 전화 끊기)의 제어명령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제2영역(253)에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제2영역(253)에 가해지는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전화를 받거나 끊거나 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현재하던 행동을 하면서 전화수신 여부를 동시에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예시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을 때 전화가 오면 측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전화가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며, flicking in/ out을 통해서 전화를 받거나 끊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가 뒤집혀 있는 상태에서도 전화를 쉽게 끊을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하여 예시한다.
본 예시에서는 단말기가 제1상태, 제2상태 및 제3상태 중 어느 상태에 놓여 있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는 다르게 동작하게 된다.
제1상태 및 제2상태는 각각, 단말기가 전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인 상태와 후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인 상태이다. 이에 반해, 제3상태는 상기 단말기의 본체가 별도의 케이스(파우치) 등에 의하여 덮인 상태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상태의 판단은, 근접센서, 조도센서,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상태 및 제3상태에서의 단말기 동작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전면을 상대물이 덮고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는 유지되며 상기 제2영역(253)에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263)가 출력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대방 단말의 정보가 되거나, 라이팅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가 뒤집혀 있을 때 전화가 오면 측면으로 수신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에, 사용자가 상기 제2영역(253)에 터치입력을 가하면, 연결 거절(즉, 전화 끊기)의 제어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터치입력은 터치, 플릭킹, 드래그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드래그 입력의 경우에는 드래그 되는 방향에 따라 전화연결 또는 거절의 제어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화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최신 정보를 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이와 관련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의 (a)에 따르면, 파우치로 전면이 덮인 경우에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영역(253)에는 상기 수신된 정보(266)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된다. 만약, 사용자가 아무런 제어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앞선 실시예와 같이, 수신된 정보(266)의 출력은 사라지면서 알림 아이콘(261)이 출력하게 된다.
이 때에,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253)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영역(252)에 상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제2영역(253)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를 열면 단말기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1영역(252)에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도 13의 (b)에 의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253)에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영역(253)에 출력되는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측면 디스플레이에 뉴스/날씨 등이 정보가 나오며, 측면 디스플레이를 태핑(Tapping)할 때마다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된다. 즉, 뉴스, 날씨 등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한 위젯이 측면에 보이며,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마다 측면을 태핑(Tapping) 하면 메인 화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면 및 측면 디스플레이부들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을 상기 제2영역에 출력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좌영역 및 우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알림 아이콘에 가해지면 상기 정보는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경로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이미지가 생성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기 좌영역 및 우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까지 이어지면, 상기 이미지의 경계는 상기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경계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아이콘의 길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제1부분 및 제2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터치입력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되었던 화면이 계속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상기 제2부분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부분에 표시된 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2영역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면, 상기 제2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표시된 정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바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은 상기 호신호에 대하여 미응답하였음을 알려주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호연결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 내에서 이동되며, 상기 알림 아이콘의 생성과 함께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을 상대물이 덮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비활성화는 유지되며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호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수신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에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전면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며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아이콘을 상기 제2영역에 출력하며, 상기 알림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정보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86958A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KR101504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958A KR101504236B1 (ko)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US14/245,623 US20150031417A1 (en) 2013-07-23 2014-04-04 Mobile terminal
EP14165122.4A EP2830293B1 (en) 2013-07-23 2014-04-17 Mobile terminal with additional display on the side surface
DE202014010511.1U DE202014010511U1 (de) 2013-07-23 2014-04-17 Mobiles Endgerät
CN201410212539.3A CN104346097B (zh) 2013-07-23 2014-05-20 移动终端
US15/190,849 US9794394B2 (en) 2013-07-23 2016-06-23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958A KR101504236B1 (ko)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302A Division KR102023992B1 (ko) 2015-03-02 2015-03-02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91A true KR20150011691A (ko) 2015-02-02
KR101504236B1 KR101504236B1 (ko) 2015-03-19

Family

ID=5073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958A KR101504236B1 (ko) 2013-07-23 2013-07-2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50031417A1 (ko)
EP (1) EP2830293B1 (ko)
KR (1) KR101504236B1 (ko)
CN (1) CN104346097B (ko)
DE (1) DE202014010511U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382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40643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7523A (ko) * 2016-02-18 201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90166247A1 (en) * 2015-02-27 2019-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2039294A1 (ko) * 2020-08-19 202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TWD161258S (zh) * 2013-01-03 2014-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之圖形化使用者介面
USD744973S1 (en) * 2013-06-14 2015-12-08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741281S1 (en) * 2013-06-28 2015-10-2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JP1519345S (ko) * 2013-06-28 2015-03-16
USD739368S1 (en) * 2013-07-09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phone
WO2015050345A1 (en) * 2013-10-01 2015-04-09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10251B2 (en) 2013-12-31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l handoff initiation in hybrid networks
US9560185B2 (en) * 2014-03-1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indicator
KR101659028B1 (ko) 2014-06-17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D775597S1 (en) * 2014-10-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D832230S1 (en) * 2014-12-3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84279S1 (en) 2014-12-3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4571832A (zh) * 2015-01-19 2015-04-2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移动终端、及其操控系统和方法
KR102252619B1 (ko) * 2015-02-03 2021-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7407963A (zh) * 2015-02-25 2017-11-28 意美森公司 用于与弯曲显示器的用户交互的系统和方法
KR101596848B1 (ko) * 2015-03-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 단말기
KR102326664B1 (ko) * 2015-03-09 2021-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통지 바 운용 방법
CN106163168A (zh) * 2015-04-22 2016-11-23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壳体及采用该壳体的电子装置
KR102307303B1 (ko) 2015-05-20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4866B1 (ko) 2015-05-26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78570B1 (ko) * 2015-06-08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KR20160147441A (ko) * 2015-06-15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010780A1 (en) * 2015-07-06 2017-01-12 Hand Held Products, Inc. Programmable touchscreen zone for mobile devices
KR20170006557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129261B2 (ja) * 2015-09-15 2017-05-17 Line株式会社 通知制御方法、ユーザ端末装置及び通知制御プログラム
KR102423447B1 (ko)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4080A (ko) * 2015-11-09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27833B1 (ko) * 2015-11-30 202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76489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운용 방법
US11717256B2 (en) 2016-01-08 2023-08-0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Motion independence in acoustic radiation force impulse imaging
CN108700997B (zh) * 2016-02-29 2021-07-27 夏普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显示系统及显示控制方法
CN107479810B (zh) * 2016-06-07 2021-08-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辅助显示区域的操作方法及终端设备
KR102545665B1 (ko) * 2016-07-20 202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7885445A (zh) * 2016-09-29 2018-04-06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隐藏区域的显示方法及装置
KR102606119B1 (ko) * 2016-12-05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8205405B (zh) * 2016-12-20 2021-06-01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显示装置的显示方法及存储介质
JP6776113B2 (ja) * 2016-12-20 2020-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45883B1 (ko) 2017-04-28 2022-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표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USD863122S1 (en) * 2017-05-04 2019-10-1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297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302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86814S1 (en) * 2017-05-04 2020-06-09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299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300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296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298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304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3121S1 (en) * 2017-05-04 2019-10-1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295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86815S1 (en) * 2017-05-04 2020-06-09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301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D862303S1 (en) * 2017-05-04 2019-10-08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CN107688422B (zh) * 2017-09-05 2020-06-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知消息显示方法及装置
WO2019047189A1 (zh) * 2017-09-08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7766022A (zh) * 2017-10-19 2018-03-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画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255378B (zh) * 2018-02-09 2020-05-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215488B (zh) * 2018-10-10 2023-09-22 孟欣艾 课程表
US11550394B2 (en) 2018-11-08 2023-01-10 Goto Group, Inc. Force-based control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non-linear surface
CN115629730A (zh) * 2019-07-23 2023-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JPWO2021033221A1 (ko) * 2019-08-16 2021-02-25
USD976225S1 (en) * 2019-09-24 2023-01-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7805S1 (en) * 2019-09-24 2022-04-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737375A (zh) * 2019-09-29 2020-01-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
EP4095670A4 (en) * 2020-01-20 2023-10-2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CONTENT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49795A1 (ja) * 2020-09-07 2022-03-10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
CN114610194A (zh) * 2020-11-23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触控方法、装置及介质
CN113476842A (zh) * 2021-07-21 2021-10-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信息提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022357A (zh) * 2021-10-29 2022-02-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图像重建方法、图像重建模型的训练方法、装置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475B2 (ja) * 2000-09-2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7669134B1 (en) * 2003-05-02 2010-02-23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during an instant messaging session
US7912508B2 (en) * 2006-12-15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US20080316180A1 (en) * 2007-06-19 2008-12-25 Michael Carmody Touch Screen Keyboard With Tactile Feedback, and Associated Method
KR101716401B1 (ko) * 2008-01-30 2017-03-1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 이벤트의 통지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56887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Extended user interface
KR20100123108A (ko) * 2009-05-14 201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이동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443830B2 (ja) * 2009-05-26 2014-03-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スライド制御プログラム
KR101646508B1 (ko) * 2009-09-18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8638302B2 (en) * 2009-12-22 2014-01-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multiple displays
US8195254B2 (en) 2009-12-22 2012-06-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liding display part
KR101673925B1 (ko) * 2010-05-26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423878B2 (en) * 2011-01-06 2016-08-2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2148717B1 (ko) * 2011-12-05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ES2691471T3 (es) * 2011-12-19 2018-11-27 Orange Método para notificación de eventos en un dispositivo que ejecuta identidades de múltiples usuarios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6247A1 (en) * 2015-02-27 2019-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616397B2 (en) * 2015-02-27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60148382A (ko) * 2015-06-1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40643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61584B2 (en) 2015-10-05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displays enclosing multiple sid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70097523A (ko) * 2016-02-18 201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2039294A1 (ko) * 2020-08-19 202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635882B2 (en) 2020-08-19 2023-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236B1 (ko) 2015-03-19
US9794394B2 (en) 2017-10-17
EP2830293B1 (en) 2019-07-03
EP2830293A1 (en) 2015-01-28
DE202014010511U1 (de) 2015-11-26
US20150031417A1 (en) 2015-01-29
US20160309017A1 (en) 2016-10-20
CN104346097A (zh) 2015-02-11
CN104346097B (zh)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2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62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삭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50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101608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26621B1 (ko)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00091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742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762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7707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5418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20150009119A (ko) 이동 단말기
KR20120125086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31072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132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2910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909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79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25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485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