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033A -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033A
KR20150011033A KR1020130070972A KR20130070972A KR20150011033A KR 20150011033 A KR20150011033 A KR 20150011033A KR 1020130070972 A KR1020130070972 A KR 1020130070972A KR 20130070972 A KR20130070972 A KR 20130070972A KR 20150011033 A KR20150011033 A KR 20150011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martphone
user
sig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147B1 (ko
Inventor
신상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던 LF 통신 대신 차량과 스마트폰의 GPS 정보와 RF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와 기설정된 임계값과의 크기 비교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을 실행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Device of door opening for vehicle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과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인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포브 위치 확인과 암호 인증 방법은 LF 통신과 RF 통신을 통해 구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키 시스템은 포브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 (ID, 첼린지 신호)를 LF 통신(Low Frequency, 보통 125 / 134.2 Khz를 사용)을 통해 송신하고, 이것을 수신한 포브는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를 RF 통신 (Radio Frequency, 보통 315 / 433 Mhz를 사용)을 통하여 송신한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수신된 RF 데이터를 해독하여 포브 존재 유무와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은, 포브 키 기능을 스마트폰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용 LF-RF Block이 스마트폰 내부에 있어야 하는데,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LF 노이즈로 인하여, 차량에서 송신되는 LF 인증 요청 신호의 실패율이 높아 '사용자 인증용 LF-RF Block'을 스마트폰에 실제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던 LF 통신 대신, 차량과 스마트폰의 GPS 정보와 RF 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측정된 상기 거리와 기설정된 임계값과의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도어 개방 또는 상기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여부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방법은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도어 개방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부터 GPS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과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한 뒤,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LF 통신을 GPS 정보 사용과 RF 통신으로 대체할 수 있어, 사용자 인증을 위한 블록을 스마트폰에 실제로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LF 통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스마트폰 및 주변의 전자기기로부터 LF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LF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적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 있어, 제품 구현시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브를 별도로 소지하는 것을 사용자가 상시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대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인 RF 통신과 LF 통신을 사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는 거리측정부(110), 수신부(120), 제어부(130), 경고부(140), GPS 수신부(150) 및 NFC용 메모리(160)를 포함한다.
거리측정부(110)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스마트폰(20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기준거리는 운전자가 차량 주변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는 거리로, 20 m 내외의 거리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부(120)는 측정된 거리와 기설정된 기준거리와의 크기 비교에 따라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20)는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거리 초과이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고,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하이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120)는 RF 통신을 통해서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여부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수신된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폐쇄 명령을 실행하고, 수신된 도어 개방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RF 통신을 통해 수신된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 아이디(hong-gildong)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가 기설정된 인증 아이디(hong-gildong)와 동일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한다.
경고부(140)는 제어부(130)가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 인증 확인을 실패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경고부(140)는 경고음, 점멸등 형식의 경고등 및 안내 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GPS 수신부(150)는 차량에서 GPS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30)로 GPS 정보를 전달한다.
NFC용 메모리(160)는 GPS 수신부(150)가 수신한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스마트폰(200)의 NFC 리더(240)가 NFC 통신을 통하여 GPS 위치 정보를 읽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개방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은 거리측정부(210), 송신부(220), 제어부(230) 및 NFC 리더(240) 및 GPS 수신부(250)를 포함한다.
거리측정부(210)는 GPS 정보를 통하여 차량과 사용자 스마트폰(2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송신부(220)는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부(220)는 RF 통신을 통하여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230)는 측정한 거리와 기설정한 기준거리와 크기 비교에 따라 송신부(2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거리가 기설정한 기준거리 초과인 경우 송신부(220)가 도어 폐쇄 신호를 송신하고, 거리가 기설정한 기준거리 이하인 경우 송신부(220)가 도어 개방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NFC 리더(240)는 NFC용 메모리(150)에 저장된 GPS 위치 정보를 읽는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200)은 차량 실내의 NFC 리더의 패드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차량이 정차한 경우, NFC용 메모리(150)는 차량의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스마트폰(200)의 NFC 리더(240)는 NFC 통신을 통하여 NFC용 메모리(150)에 저장된 차량 GPS 정보를 읽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200)이 차량에서 멀어졌다가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스마트폰(200)은 도어 개방 신호를 RF 통신을 통하여 송신한다. 반대로, 스마트폰(200)이 차량에서 기준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스마트폰(200)은 도어 폐쇄 신호를 RF 통신을 통하여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개방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한다(S310).
구체적으로, GPS 정보를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획득한다.
다음으로, 획득된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스마트폰(20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S320). 구체적으로, 거리측정부(210)를 통해 차량과 스마트폰(20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거리 초과이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한다(S332). 구체적으로, 수신부(120)를 통해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한다.
계속하여, 수신된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한다(S334).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한다(S336). 사용자 아이디 인증이 확인되면, 도어 폐쇄 명령을 실행한다(S338).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해,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고 사용자 아이디 인증이 확인되면 도어 폐쇄 명령을 실행한다.
측정된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하이면(S330),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한다(S340). 구체적으로, 수신부(120)를 통해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한다.
이어, 수신된 도어 개방 신호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한다(S350).
끝으로,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한다(S360). 사용자 아이디 인증이 확인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한다(S370).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통해, 추출된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고 사용자 아이디 인증이 확인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한다.
또한, 사용자 아이디 인증 확인 후, 운전자로부터 도어 핸들 입력 또는 도어 핸들 토글 버튼 입력을 획득한 경우,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부터 GPS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과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가 기준거리 이하이면,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한 뒤,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LF 통신을 GPS 정보 사용과 RF 통신으로 대체할 수 있어, 사용자 인증을 위한 블록을 스마트폰에 실제로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LF 통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스마트폰 및 주변의 전자기기로부터 LF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LF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적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 있어, 제품 구현시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브를 별도로 소지하는 것을 사용자가 상시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대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거리측정부 120 : 수신부
130 : 제어부 140 : 경고부
150 : GPS 수신부 160 : NFC용 메모리
200 : 스마트폰
210 : 거리측정부 220 : 송신부
230 : 제어부 240 : NFC 리더
250 : GPS 수신부

Claims (11)

  1.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측정된 상기 거리와 기설정된 임계값과의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어 개방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도어 개방 또는 상기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여부를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 초과이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폐쇄 명령을 실행하고,
    수신된 상기 도어 개방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RF 통신을 통해서 상기 도어 개방 또는 상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개방 신호 또는 상기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 확인을 실패하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6. GPS 정보를 통하여 차량과 사용자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측정한 상기 거리와 기설정한 임계값과 크기 비교에 따라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기설정한 임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송신부가 도어 폐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거리가 기설정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송신부가 도어 개방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RF 통신을 통하여 상기 도어 개방 신호 또는 상기 도어 폐쇄 신호를 송신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9.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GPS 정보를 통해 차량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도어 개방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개방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개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GPS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획득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값 초과이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도어 폐쇄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사용자 아이디 인증을 확인하면 도어 폐쇄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도어 개방 방법.
KR1020130070972A 2013-06-20 2013-06-20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72A KR102037147B1 (ko) 2013-06-20 2013-06-20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72A KR102037147B1 (ko) 2013-06-20 2013-06-20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033A true KR20150011033A (ko) 2015-01-30
KR102037147B1 KR102037147B1 (ko) 2019-11-26

Family

ID=5248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972A KR102037147B1 (ko) 2013-06-20 2013-06-20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91A (ko) * 2015-10-19 2017-04-27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Avm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9650A (ko) * 2016-04-19 2017-10-2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패시브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KR20180115783A (ko) * 2016-03-23 2018-10-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자동차를 위한 무열쇠 접근 시스템, 및 접근 시스템의 신호 변환기를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
CN110758319A (zh) * 2019-09-26 2020-02-07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无钥匙启动方法及汽车
EP3903069B1 (fr) * 2018-12-28 2023-06-07 Vulog Procédé et système de planification d'un traj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188B2 (ja) * 2000-04-03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装置
KR20060070980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 개폐 방법 및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188B2 (ja) * 2000-04-03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装置
KR20060070980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자동 개폐 방법 및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591A (ko) * 2015-10-19 2017-04-27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Avm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5783A (ko) * 2016-03-23 2018-10-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자동차를 위한 무열쇠 접근 시스템, 및 접근 시스템의 신호 변환기를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
KR20170119650A (ko) * 2016-04-19 2017-10-27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패시브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EP3903069B1 (fr) * 2018-12-28 2023-06-07 Vulog Procédé et système de planification d'un trajet
CN110758319A (zh) * 2019-09-26 2020-02-07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无钥匙启动方法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47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560B2 (en)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by a vehicle
US114271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mart control of vehicle while defending against RSA by using mobile device
KR20150011033A (ko) 차량용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JP6356468B2 (ja) 通信エリア調整装置
JP6742990B2 (ja) 自動車両を始動させるための識別子を検出する方法
US20210120407A1 (en) Method for operating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system
MX2016008339A (es) Metodo para utilizar una conexion inalambrica para bloquear una abertura.
RU2016100440A (ru) Определение уда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их с медиа устройствами
RU2015133909A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бор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вязи
US1040050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21505801A5 (ko)
US10279634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in-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TWI633026B (zh) 車輛防盜系統及其防盜方法
JP2015094133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6196814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CN103310518A (zh) 一种开启车辆车门的方法和系统
JP2015055922A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車載制御装置、及び施設側装置
JP2016171517A5 (ko)
JP6484412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
JP5437940B2 (ja) 電子キーの通信対象特定システム
CN113661684A (zh) 防止非法通信系统及防止非法通信方法
KR20150031009A (ko) 스마트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11031A (ko) 스마트 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272721B2 (ja) 携帯端末キーシステム
JP2016056667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