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902A -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902A
KR20150010902A KR20130085687A KR20130085687A KR20150010902A KR 20150010902 A KR20150010902 A KR 20150010902A KR 20130085687 A KR20130085687 A KR 20130085687A KR 20130085687 A KR20130085687 A KR 20130085687A KR 20150010902 A KR20150010902 A KR 20150010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creen
information
component
configur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684B1 (ko
Inventor
최광표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8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68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6105433A priority patent/RU2687709C2/ru
Priority to PCT/KR2014/004439 priority patent/WO2015008928A1/en
Priority to JP2016527908A priority patent/JP6360170B2/ja
Priority to CA2918611A priority patent/CA2918611C/en
Priority to CN201480051894.5A priority patent/CN105556458B/zh
Priority to EP14825870.0A priority patent/EP3022636B1/en
Priority to AU2014291113A priority patent/AU2014291113B2/en
Priority to US14/285,817 priority patent/US10635270B2/en
Publication of KR2015001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고, 구성된 홈 스크린에 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홈 스크린은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은 디바이스를 온(on) 시켰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화면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위젯이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기존의 대기화면은 시간이나 배경 화면 등의 간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였으나, 최근 도입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은 다양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홈 스크린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가장 처음 접할 수 있는 점에서, 홈 스크린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디바이스 활용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은 좀 더 쉽게 구성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스크린 구성 방법은,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홈 스크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이외의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이외의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독바, 상태바, 바탕 화면 및 출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서의 각 컴포넌트 별로 배열 방법, 크기, 모양 및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컴포넌트의 배열, 위치, 모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컴포넌트의 배열, 위치, 모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컴포넌트가 변형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스크린 구성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홈 스크린에 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 또는 설치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의 배열, 위치, 모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스크린 구성 방법은,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컴포넌트의 크기, 위치, 모양,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독바, 상태바, 바탕 화면 및 출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컴포넌트는 각 컴포넌트 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서의 배열 방법, 크기, 모양 및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컴포넌트의 크기, 위치, 모양,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 혹은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함으로써, 각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쉽게 구성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편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각각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하나의 기기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때, 다른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홈 스크린 컴포넌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의 변경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제1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스처"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짓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스처에는 드래그가 있을 수 있다.
"드래그"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홈 스크린"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를 온 시켰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화면을 의미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위젯이나 아이콘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비해 고성능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은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 아이콘이나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을 편집 또는 삭제하거나 새로운 컴포넌트를 홈 스크린에 추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홈 스크린을 관리하는 것은 홈 스크린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TV와 같이 고성능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가지는 디바이스일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에 비해 활용도나 크기의 제한이 있어, 그 성능이 제한적인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쉬운 디바이스일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와 같이 화면의 크기나 입력 방법의 제한이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비교적 어려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은 각각 주로 디지털 방송이나 길안내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은 각각 주로 제공하는 기능을 최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TV에 비해 그 이외의 기능을 제공하는 데는 그 성능이 제한적일 수 있다.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글래스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나 무게가 제한적이므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TV에 비해 저성능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비교적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각각의 제2 디바이스(200)에서 자신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거나 관리하는 것보다 편리하게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관리하는 주체는 고성능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100)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정해지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편집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정해져도,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디바이스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자신의 홈 스크린이 구성되거나 관리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200)도 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00)와 다수의 디바이스(200, 300, ... n)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200, 300, ... n)는 도 1a의 제2 디바이스(200)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디바이스(200, 300, ...n)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제2 디바이스(200)뿐만 아니라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홈 스크린을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와 다수의 디바이스(200, 300, ... n)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거나, 동일한 사용자 소유의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110)을 컴포넌트들(120)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에서 구성되거나 관리될 수 있는 홈 스크린(110)은 다수의 컴포넌트들(120)을 포함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홈 스크린(110)에 포함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120)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로서,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독바(dockbar), 상태바(statusbar), 바탕화면 및 홈 스크린의 출력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의 위젯은 웹 브라우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얻을 수 있는 각종 정보 또는 날씨, 계산기, 시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홈 스크린에서 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은 홈 스크린에 추가되어 홈 스크린에서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의 독바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의 상태바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나 단말 장치의 현재 상태(예를 들면, 배터리, 알림 메시지 수신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탕화면은 홈 스크린의 배경으로 디자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바탕화면은 홈 스크린의 화면을 전환하면서 바뀌거나 출력 위치가 바뀌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탕화면은 디자인적인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정에 따라 날씨나 주가, 뉴스와 같은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효과는 홈 스크린에서 제스처가 입력될 때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스크린에서 드래그하는 제스처가 입력되었을 때 화면이 전환될 수 있는데, 화면 전환 시 다양한 방법으로 화면 전환 효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화면 전환 효과는 시각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인 효과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GUI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 S301에서 구성될 수 있는 홈 스크린은 GUI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제2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컴포넌트들은 제2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것과 상관이 없는 심미적 효과나 청각적인 효과만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301에서 구성된 홈 스크린에 관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홈 스크린 구성 정보는, 단계 S301에서 홈 스크린을 구성한 결과로서,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의 식별정보, 위치, 기능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된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홈 스크린 구성 정보는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들, 즉, 각 컴포넌트의 타입이나 위치, 모양, 식별정보 등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두고, 단계 S401에서 메모리에 저장해 둔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불러옴으로써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디바이스(100)는 획득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주기적으로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요청하여 수신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디바이스 내에서 홈 스크린 구성정보가 변경되어 각각의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가 단계 S401에서 변경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단계 S401에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가 수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지 일정 시간 이상이 지난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을 단계 S401에서 획득된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각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썸네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홈 스크린 구성 정보는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의 위치, 배열, 크기, 식별 정보 등의 정보와, 각 컴포넌트들의 기능 수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수행 정보는 각 컴포넌트들이 홈 스크린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뉴스, 날씨,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지 또는 만보계, 메모리 최적화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해당 컴포넌트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인 경우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홈 스크린에서 컴포넌트를 추가할 지 삭제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컴포넌트를 추가하는 경우, 단계 S405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추가하고자 하는 컴포넌트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컴포넌트의 타입은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독바, 상태바, 바탕화면, 출력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타입별로, 다양한 기능 또는 디자인을 가지는 컴포넌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405에서, 사용자가 컴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의 타입과, 각 타입에 속하는 컴포넌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를 단계 S405에서 선택된 컴포넌트의 타입에 포함된 컴포넌트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405 및 단계 S407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은 제1 디바이스(100)의 홈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407에서 선택된 컴포넌트가 추가될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홈 스크린 설정 정보는 제2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를 고려한 각 컴포넌트의 타입 별로 컴포넌트의 배열 방법이나 크기, 모양이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는 제2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부의 해상도, 크기 또는 성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타입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홈 스크린에서 위치 가능한 영역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크기, 배열 방법(예를 들면, 한 줄 당 몇 개의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는지)이 설정된 정보가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타입이 독바인 경우, 독바가 홈 스크린에서 위치 가능한 영역과, 독바 또는 독바에 포함될 수 있는 아이콘의 크기, 배열 방법, 독바의 페이지 전환을 위한 드래그 가능 여부가 설정된 정보가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타입이 상태바인 경우, 상태바에 포함될 수 있는 기본 정보(예를 들면, 현재 시각, 날짜, 날씨 등의 정보들)나, 상태바가 홈 스크린에서 위치 가능한 영역이나, 상태바에 포함될 수 있는 아이콘의 크기가 설정된 정보가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타입이 바탕 화면인 경우, 바탕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는 이미지의 크기 비율에 관한 정보나 라이브 바탕화면 실행 시의 적절한 CPU 점유율이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타입이 출력 효과인 경우, 홈 스크린이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되었을 때, 페이지 넘김 시의 출력 효과가 출력될 수 있는지 혹은 홈 스크린에서 어느 경우에 출력 효과가 출력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가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출력 효과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화면 전환의 인식률을 좋게 하기 위한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스크린 설정 정보는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예를 들면, 표시 가능한 해상도 또는 화면 크기 등)가 다르므로, 최적으로 컴포넌트들을 표시하기 위한 설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S41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409에서 획득한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407에서 선택된 컴포넌트를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컴포넌트를 위치시키거나, 컴포넌트의 모양을 설정하여 컴포넌트를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405 및 단계 S407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단계 S41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컴포넌트와 대응되고, 제2 디바이스(200)에서 추가될 수 있도록 변형된 컴포넌트를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 마다 해상도나, 디스플레이 부의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변형된 컴포넌트는 제2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형태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컴포넌트를 홈 스크린에 추가하는 단계 이후에, 제1 디바이스(100)는 컴포넌트의 위치나 모양, 디자인,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르거나, 자동으로 제1 디바이스(100)가 컴포넌트의 위치나 모양, 디자인,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컴포넌트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편집이 완료되면, 단계 S415에서 편집이 완료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415에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해둘 수 있다.
한편, 제1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관리하는 경우에 편집이 완료될 때마다 각 디바이스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부하가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413에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주기적으로 각 디바이스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전송하거나, CPU 부하가 적을 때 각 디바이스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단계 S41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편집이 아직 완료되지 않으면, 단계 S404로 돌아가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컴포넌트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4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서 컴포넌트를 추가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경우, 단계 S416에서 컴포넌트를 삭제할 것인지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416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컴포넌트를 삭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단계 S417에서 삭제할 컴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삭제할 컴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419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417에서 선택된 컴포넌트를 홈 스크린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컴포넌트가 삭제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따라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나 위젯이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삭제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제2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단계 S416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컴포넌트를 삭제하거나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컴포넌트가 홈 스크린에서 어떻게 디스플레이 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컴포넌트의 위치, 크기와 같은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컴포넌트를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42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컴포넌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로 변경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컴포넌트의 추가, 삭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의 구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의 구성이 완료되면, 단계 S415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110, 111, ... n)을 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의 홈 스크린(110)도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들과 마찬가지로 홈 스크린이 구성되거나 관리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110, 111, ... n)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리 선택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100)에서 홈 스크린이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100)의 그룹에 속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디바이스의 사용자 별로 디바이스를 그룹화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사용자 별로 디바이스가 그룹화될 수 있다. 각 그룹에 속한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정하여져, 제1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100)의 그룹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물론, 제1 디바이스(100)는 그룹 내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되지 않고, 그룹 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홈 스크린을 관리할 디바이스들을 직접 선택하여, 선택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 제1 디바이스(100)에서 편집되거나 관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홈 스크린(110, 111, ... n) 중 하나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110, 111, ... n)에 추가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되어 있는 각 디바이스별로 추가 가능한 컴포넌트들(120)뿐만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110, 111, ... n)에 포함되어 있는 컴포넌트들을 선택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111, ... n)에 추가할 수 있다.
컴포넌트를 추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홈 스크린(110, 111, ... n)에 포함된 컴포넌트를 선택하여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홈 스크린(110, 111, ... n) 중 하나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선택된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컴포넌트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 표시된 홈 스크린(110, 111, ... n) 중 하나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위치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의 변경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1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서 이벤트가 발생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가 변경되면 제1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에 속한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를 상기 변경된 컴포넌트와 대응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의 변경 또는 컴포넌트의 변경은, 컴포넌트의 추가, 삭제,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정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0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컴포넌트의 정보가 변경된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관리되거나 구성될 수 있는 홈 스크린을 가진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컴포넌트의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고, 컴포넌트와 연관된 이벤트 발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인 경우, 컴포넌트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2 디바이스(200)에서 삭제 또는 설치되었을 때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상기 컴포넌트가 삭제되거나 새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가 위젯, 독바, 상태바인 경우, 각각의 디자인이 변경되었을 때, 제2 디바이스(200)와 연관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상기 변경된 위젯, 독바, 상태바와 대응되는 컴포넌트가 존재한다면, 변경된 디자인에 따라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바탕화면이 변경되었을 때, 제2 디바이스(200)와 연관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바탕화면을 상기 변경된 바탕화면과 대응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해상도나 화면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홈 스크린의 바탕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제2 디바이스(200)와 연관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위치가 상기 변경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컴포넌트의 정보에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컴포넌트의 정보를 반영하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701에서 정보가 변경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의 제2 디바이스(200)와 연관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관된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거나,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사용자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관된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과 상기 연관된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이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컴포넌트의 정보가 변경된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를 제3 디바이스(300)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3 디바이스(300)는 제2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3 디바이스(300)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관리되거나 구성될 수 있는 홈 스크린을 가진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제3 디바이스(300)는 제1 디바이스(100)일 수도 있다. 즉,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의 컴포넌트 변경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의 홈 스크린의 컴포넌트가 변경될 수도 있다.
단계 S707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3 디바이스(300)가 존재하는 경우,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 중 단계 S701에서 컴포넌트 정보가 변경된 컴포넌트와 대응되는 컴포넌트가 존재하거나 대응되도록 컴포넌트를 변경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홈 스크린에서 삭제된 경우,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과 대응되는 컴포넌트가 존재한다면, 제1 디바이스(100)는 이를 상기 홈 스크린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홈 스크린에 추가된 경우,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과 대응되는 컴포넌트가 존재한다면, 제1 디바이스(100)는 이를 상기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는 제3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3 디바이스(300)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지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홈 스크린에 추가할 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컴포넌트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경된 컴포넌트와 대응되는 컴포넌트가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에 존재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상기 대응되는 컴포넌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변경된 컴포넌트와 대응되는 컴포넌트가 존재하고 제3 디바이스(300)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상기 대응되는 컴포넌트를 상기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3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수신한 제3 디바이스(300)는 수신된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홈 스크린에 속한 컴포넌트가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일부분이 변경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각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전체적인 통일을 위해 변경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각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런쳐 프로그램에 의해 홈 스크린이 설정된 테마에 따라 전체적으로 통일된 디자인으로 바뀌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각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을 획득하여, 바뀐 테마와 대응되도록 각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200)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의 컴포넌트들이 편집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홈 스크린의 컴포넌트를 편집하고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관리하고 구성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즉,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디바이스(200)에서 수신되거나 발생된 입력 신호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면,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처리는 제2 디바이스(200) 대신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제2 디바이스(200)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을 수신받을 수도 있으나, 제2 디바이스(200)에서 발생된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도 상기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디바이스(200)에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설치로 인해 홈 스크린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을 추가하고자 하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디바이스(200)에서 어플리케이션 삭제로 인해 홈 스크린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을 삭제하고자 하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단계 S901에서 수신한 입력을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따라 홈 스크린이 구성될 수 있다. 홈 스크린 설정 정보는 제2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각 컴포넌트의 타입 별로 홈 스크린에서 위치 가능한 영역에 관한 정보와, 컴포넌트의 배열 방법, 크기, 모양, 디자인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홈 스크린이 구성되면, 새로 구성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는 제1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200)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제2 디바이스(200)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를 이동시키거나 삭제 또는 추가,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단계 S1001에서 수신된 입력을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05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003에서 전송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7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메모리로부터 획득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현재 사용중인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007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홈 스크린 설정 정보는, 각 컴포넌트의 타입 별로 배열 방법이나 크기, 모양이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9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011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007에서 홈 스크린이 구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의 메모리에 저장해둘 수 있다.
단계 S1013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015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을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 단계 S1001로 돌아가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편집하거나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거나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의 내부 구조를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제1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와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제2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또는 제1 디바이스(11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인터넷 모듈은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FD(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에 의해 구성된 제2 디바이스(200)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를 제2 디바이스(200)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의 제어부(110)와 통신부(120)는 도 11a의 제어부(110) 및 통신부(12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메모리(15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에서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관리하거나 구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에서 관리하는 홈 스크린 중 하나가 변경되면, 제어부(110)는 변경된 홈 스크린에 대응하여 다른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도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스크린의 변경은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 정보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또는 제1 디바이스(11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제1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디바이스(200) 또는 제1 디바이스(11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의 추가, 삭제, 이동, 크기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H/W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제2 디바이스(200), 또는, 제1 디바이스(110)와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디바이스들의 홈 스크린이 입력 또는 제어 신호에 의해 변경된 경우, 변경된 결과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스타일러스 팬, 손가락 등이 있다.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10)에 의해 구성된 제2 디바이스(200), 또는 제1 디바이스(100),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2 디바이스(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제2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통신부(220)와 디스플레이부(2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제1 디바이스(100)와 제2 디바이스(200) 간에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2 디바이스(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30)는 수신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내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제2 디바이스(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40)는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의 추가, 삭제, 이동, 크기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H/W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23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바이스(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제1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50)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2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200)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Claims (22)

  1.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홈 스크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독바, 상태바, 바탕 화면 및 출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서의 각 컴포넌트 별로 배열 방법, 크기, 모양 및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컴포넌트의 배열, 위치, 모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컴포넌트의 배열, 위치, 모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컴포넌트가 변형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홈 스크린에 관한 정보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제2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 또는 설치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컴포넌트의 배열, 위치, 모양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11.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컴포넌트의 크기, 위치, 모양,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독바, 상태바, 바탕 화면 및 출력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각 컴포넌트 별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에서의 배열 방법, 크기, 모양 및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컴포넌트의 크기, 위치, 모양, 디자인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구성 방법.
  14. 외부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성된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장치에서 상기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홈 스크린에 포함된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컴포넌트가 변형된 상기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에 추가될 수 있는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장치에서 상기 외부 장치의 홈 스크린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의 구성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변경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20.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21.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입력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수신된 입력 정보에 따라 구성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 스크린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22.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85687A 2013-07-19 2013-07-19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16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687A KR102163684B1 (ko) 2013-07-19 2013-07-19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4439 WO2015008928A1 (en) 2013-07-19 2014-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home screen of device
JP2016527908A JP6360170B2 (ja) 2013-07-19 2014-05-19 デバイスのホームスクリーン構成方法及び装置
CA2918611A CA2918611C (en) 2013-07-19 2014-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home screen of device
RU2016105433A RU2687709C2 (ru) 2013-07-19 2014-05-19 Способ и прибор для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домашнего экрана устройства
CN201480051894.5A CN105556458B (zh) 2013-07-19 2014-05-19 用于配置设备的主屏幕的方法和装置
EP14825870.0A EP3022636B1 (en) 2013-07-19 2014-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home screen of device
AU2014291113A AU2014291113B2 (en) 2013-07-19 2014-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home screen of device
US14/285,817 US10635270B2 (en) 2013-07-19 2014-05-2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home screen o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687A KR102163684B1 (ko) 2013-07-19 2013-07-19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902A true KR20150010902A (ko) 2015-01-29
KR102163684B1 KR102163684B1 (ko) 2020-10-12

Family

ID=5234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687A KR102163684B1 (ko) 2013-07-19 2013-07-19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35270B2 (ko)
EP (1) EP3022636B1 (ko)
JP (1) JP6360170B2 (ko)
KR (1) KR102163684B1 (ko)
CN (1) CN105556458B (ko)
AU (1) AU2014291113B2 (ko)
CA (1) CA2918611C (ko)
RU (1) RU2687709C2 (ko)
WO (1) WO20150089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09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0270B2 (en) 2012-05-09 2021-04-27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20150205396A1 (en) * 2012-10-19 2015-07-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JP6092702B2 (ja) * 2013-04-25 2017-03-0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情報送信方法
US10270898B2 (en) 2014-05-30 2019-04-23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KR102108069B1 (ko) * 2014-01-22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E112015002061B4 (de) * 2014-04-30 2021-07-22 Borgwarner Inc. Blockierungsverhinderungsschaufel für einen turbolader mit verstellbarer geometrie
KR102173110B1 (ko) * 2014-05-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14601A2 (en) 2014-07-21 2016-01-28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WO201603660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WO201603641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lti-dimensional object rearrangement
JP6501893B2 (ja) * 2015-01-06 2019-04-1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スクトップ共有方法及びモバイル端末
EP3998762A1 (en) 2015-02-02 2022-05-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JP2016157156A (ja) * 2015-02-23 2016-09-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144385A1 (en) *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10275116B2 (en) 2015-06-07 2019-04-30 Apple Inc. Browser with docked tabs
EP3337583B1 (en) 2015-08-20 2024-01-17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209851B2 (en) * 2015-09-18 2019-02-19 Google Llc Management of inactive windows
US10891106B2 (en) 2015-10-13 2021-01-12 Google Llc Automatic batch voice commands
US10572213B2 (en) * 2016-04-04 2020-0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versal application pinning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873786B2 (en) 2016-06-12 2020-12-22 Apple Inc. Recording and broadcasting application visual output
US10820154B2 (en) 2016-06-13 2020-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on-based home screen customization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DK180171B1 (en) 2018-05-07 2020-07-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DE102019206337A1 (de) * 2019-05-03 2020-11-05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und System mit einem Haushaltsgerät
CN113157190A (zh) 2019-05-06 2021-07-23 苹果公司 电子设备的受限操作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CN110515579A (zh) 2019-08-28 2019-11-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投屏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KR20220047293A (ko) * 2019-09-11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스크린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4008100A4 (en) * 2019-10-04 2022-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YNCHRONIZING CHANGE BETWEEN SCREEN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K181103B1 (en) 2020-05-11 2022-1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CN115552375A (zh) 2020-05-11 2022-12-30 苹果公司 用于管理用户界面共享的用户界面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CN111752721B (zh) * 2020-05-14 2024-05-24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20220013965A (ko) 2020-07-28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20220083183A1 (en) * 2020-09-14 2022-03-17 Apple Inc. Device management user interface
CN114610419B (zh) * 2020-12-07 2023-04-14 荣耀终端有限公司 添加widget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EP4323992A1 (en) 2021-05-15 2024-02-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CN113515252B (zh) * 2021-07-14 2022-04-26 亿咖通(湖北)技术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及装置
US11893231B2 (en) * 2022-05-10 2024-02-0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pplication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8548A1 (en) * 2010-10-06 2012-04-12 Chanphill Yu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159472A1 (en) * 2010-12-20 2012-06-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190326A (ja) * 2011-03-11 2012-10-04 Ricoh Co Ltd 編集制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編集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0577B2 (ja) * 2000-10-02 2010-06-30 株式会社キーエンス Plcシステム構築支援ツール
US10444964B2 (en) * 2007-06-12 2019-10-15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7747086B1 (en) 2005-07-28 2010-06-29 Teradici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shared drawing memory
US20080010664A1 (en) 2004-08-30 2008-01-10 Maurizio Pelizz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in Digital Television
US20060235944A1 (en) * 2005-04-15 2006-10-19 Haslam Andrew D M Method and system for a home screen editor in smartphone devices
US20060277577A1 (en) 2005-06-07 2006-12-07 Nokia Corporati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operations with respect to broadcast content
US8239760B2 (en) * 2007-06-26 2012-08-07 Sap Ag Multi-user document editing system and method
CN101953162A (zh) * 2008-02-22 2011-01-19 夏普株式会社 集成接口装置及集成接口装置的控制方法
JP4516146B2 (ja) 2008-12-22 2010-08-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7870496B1 (en) 2009-01-29 2011-01-11 Jahanzeb Ahmed Sherwani System using touchscreen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to remotely control a host computer
US20100223563A1 (en) * 2009-03-02 2010-09-02 Apple Inc. Remotely defining a user interface for a handheld device
KR101613838B1 (ko) *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81106B2 (en) * 2009-06-07 2014-03-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US20110225553A1 (en) 2010-03-15 2011-09-15 Abramson Robert W Use Of Standalone Mobile Devices To Extend HID Capabilities Of Computer Systems
KR101742986B1 (ko) * 2010-07-26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133600A1 (en) * 2010-11-26 2012-05-31 Hologic, Inc. User interface for medical image review workstation
JP5691605B2 (ja) * 2011-02-17 2015-04-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面制御方法、画面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57563B1 (ko) * 2011-05-11 2018-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전자기기들 간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US9268481B2 (en) * 2011-08-29 2016-02-23 Kyocera Corporation User arrangement of objects on home screen of mobile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101514044B1 (ko) * 2011-08-31 2015-04-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홈 스크린 설정 및 전환 방법
US8176435B1 (en) * 2011-09-08 2012-05-08 Google Inc. Pinch to adjust
US10248293B2 (en) * 2011-09-30 2019-04-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US10192523B2 (en) * 2011-09-30 2019-01-2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verview of a plurality of home screens
EP2587771B1 (en) * 2011-10-28 2014-11-12 Doro AB Improved handling and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JP2013105202A (ja) * 2011-11-10 2013-05-30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02012B2 (ja) * 2011-11-28 2016-10-05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086710A1 (en) * 2011-12-14 2013-06-20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different visual variants of objects via user interfaces
JP5809963B2 (ja) * 2011-12-22 2015-11-11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37669A (ja) * 2011-12-28 2013-07-11 Ntt Docomo Inc 画面共有装置及び画面共有方法
KR101819513B1 (ko) * 2012-01-20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08745A (ko) * 2012-03-26 2013-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59016B2 (en) * 2012-09-07 2018-05-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igital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9104313B2 (en) * 2012-09-14 2015-08-11 Cellco Partnership Automatic adjustment of selectable function presentation on electronic device display
KR101990035B1 (ko) * 2012-10-31 2019-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40189596A1 (en) * 2012-12-27 2014-07-03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creen control program and screen control method
US9946427B1 (en) * 2013-12-03 2018-04-17 Google Llc Dynamic home scre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8548A1 (en) * 2010-10-06 2012-04-12 Chanphill Yu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159472A1 (en) * 2010-12-20 2012-06-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190326A (ja) * 2011-03-11 2012-10-04 Ricoh Co Ltd 編集制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編集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09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2636A1 (en) 2016-05-25
CA2918611A1 (en) 2015-01-22
KR102163684B1 (ko) 2020-10-12
JP6360170B2 (ja) 2018-07-18
AU2014291113B2 (en) 2019-10-31
CN105556458B (zh) 2019-05-14
US20150026615A1 (en) 2015-01-22
RU2016105433A (ru) 2017-08-23
EP3022636B1 (en) 2021-04-07
RU2016105433A3 (ko) 2018-05-15
JP2016534434A (ja) 2016-11-04
EP3022636A4 (en) 2017-03-01
US10635270B2 (en) 2020-04-28
RU2687709C2 (ru) 2019-05-15
WO2015008928A1 (en) 2015-01-22
AU2014291113A1 (en) 2016-02-11
CA2918611C (en) 2021-10-19
CN105556458A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684B1 (ko)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EP28871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osition of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069439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ustomized navigation
US20160110152A1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EP294057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isplay objects
US10824291B2 (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by using work group
JP5961750B2 (ja) 携帯情報端末
CN105320425A (zh) 基于场境的用户界面的呈现
KR102162828B1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EP2753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20160031233A (ko) 날짜에 따른 특화 모드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60128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4915367A (zh) 用于提供显示文档的工作历史的日历的方法和装置
KR20140038245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8878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201403595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AU2015297290B2 (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by using work group
KR20180108182A (ko)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비율 변경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JP2016086269A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205842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26657A (ko) 전자 장치들간의 연동에 따른 화면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