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842B1 -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842B1
KR102205842B1 KR1020130094760A KR20130094760A KR102205842B1 KR 102205842 B1 KR102205842 B1 KR 102205842B1 KR 1020130094760 A KR1020130094760 A KR 1020130094760A KR 20130094760 A KR20130094760 A KR 20130094760A KR 102205842 B1 KR102205842 B1 KR 10220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sub
main
main item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919A (ko
Inventor
김규철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8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 아이템들이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서브 아이템에서 제스처 감지 시, 상기 메인 아이템에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서브 아이템을 이동하는 제스처 감지 시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TEM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및 재생, 게임, 문서 및 이메일 작성 기능,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으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에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홈 화면 및/또는 메인 메뉴 화면에 추가되어 표시된다.
한편, 전자 장치는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아짐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카테고리 별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폴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써 전자 장치는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폴더로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전자 장치는 폴더에 아이콘을 배치할 경우 폴더 이미지에 배치될 영역에 대한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아이템으로 표시하며,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메인 아이템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아이템은 관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서브 아이템으로 하여 그룹핑할 수 있으며,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메인 아이템에 새로운 서브 아이템을 추가 시,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에 대한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브 아이템들이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서브 아이템에서 제스처 감지 시, 상기 메인 아이템에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서브 아이템을 이동하는 제스처 감지 시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브 아이템들이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서브 아이템에서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서브 아이템들이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아이템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아이템에서 제스처 감지 시 상기 메인 아이템에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브 아이템을 이동하는 제스처 감지 시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추가되는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을 표시해줌으로써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기 전에 배치될 영역을 미리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아이템 이미지를 통해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표시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4a - 도 4b는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5a - 도 5b는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아이템(item)"은 홈 화면 및/또는 메인 메뉴 화면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템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 폴더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브 아이템"은 메인 아이템에 그룹핑되는 아이템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웹 페이지 즐겨찾기 아이콘, 파일 및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아이템을 카테고리 별로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분류된 아이템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메인 아이템을 선택하면, 선택된 메인 아이템으로 분류된 서브 아이템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메인 아이템 이미지"는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 중 일부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 이미지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아이템 이미지는 표시될 수 있는 설정된 개수에 따라 서브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Personnel Computer),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Notebook PC, laptop computer)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13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변조기 및 복조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 및 복조기는 CDMA, WCDMA, LTE, Wi-Fi, WIBRO, Bluetooth 및 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모듈, 인터넷 통신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전자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30)은 표시부(131)와 터치패널(132)을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전자 장치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화면은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131)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그룹핑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메인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32)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131)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에서 아이템은 메인 아이템, 서브 아이템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패널(132)을 통해 상기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 감지 시 표시부(131)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메인 아이템 이미지의 기 설정한 위치에 새로운 서브 아이템을 배치 및 포함된 서브 아이템을 일정한 패턴에 의해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에서 메인 아이템에서 서브 아이템을 추가, 삭제 또는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은 삭제 버튼을 구비하는 서브 아이템 및 메인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상기 서브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기 설정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1)에 표시되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터치패널(132)을 통해 감지되는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는 제스처 또는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스처를 분석하여 각 제스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표시되는 새로운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 후 배치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하나 이상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전자 장치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피사체의 정적 영상 및 동적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하드 키(Hard Key)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표시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도 3a와 같이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은 메인 아이템(301)과 서브 아이템(303)으로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함된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아이템은 폴더로, 상기 서브 아이템은 아이콘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부(131)에 표시되는 아이템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모드는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 삭제 또는 서브 아이템의 위치 변경 등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관리 모드로의 진입은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가 터치패널(132)을 통해 특정 제스처를 수행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이템 화면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편집 버튼(도 3a의 305)에서 터치 입력 감지 시,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표시되는 화면에서 특정 아이템의 롱 프레스 감지 시,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으로 전환 여부는 상기 아이템 화면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편집 버튼(도 3a의 305)에서의 터치 입력 감지 여부로 전환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아이템 화면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편집 버튼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에서 도 3b와 같이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도 3b)은 307과 같이 삭제 버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아이템 및/또는 메인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도 3b)에서 아이템을 삭제, 이동,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1)에 표시되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도 3b)에서 제어부(140)는 207단계에서 아이템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이템(예컨대, 서브 아이템 또는 메인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아이템 선택 후 감지되는 제스처를 분석하여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기 위한 제스처인지,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한 제스처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 3c의 309와 같이 상기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1단계에서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새로운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 개수는 4개, 13개로 가정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새로운 아이템이 추가되면 기존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일정한 배열에 따라 재배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될 수 있는 아이템 개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개수가 초과되면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한정된 개수가 초과된 메인 아이템에 서브 아이템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에러를 시각적 효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기 위한 제스처 즉,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메인 아이템에 상기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면 상기 메인 아이템의 크기는 작아졌다가 원래 크기로 돌아오고 크기가 작아지면서 발광 등으로 서브 아이템이 추가될 수 없는 것을 시각적 효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아이템은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온다.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될 서브 아이템이 배치되는 위치를 확인 후, 제어부(140)는 215단계에서 상기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된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아이템에 새로운 아이템이 추가되면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기존의 서브 아이템은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배치되는 방법으로 대칭 이동, 회전 이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대칭 이동은 대각 대칭 이동, 좌우 대칭 이동 및 상하 대칭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이동은 시계 방향 회전 이동 및 반 시계 방향 회전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는 서브 아이템 개수에 따라 기존에 배치된 아이템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아이템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 개수를 4개로 가정하면,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된 4번째 아이템까지 일정한 패턴에 의해 배치된 형태로 모두 표시될 수 있지만, 5번째의 아이템을 추가 시 기존 1번째의 아이템은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서 사라져 표시되지 않거나 상기 아이템의 일부만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1번째의 아이템은 메인 아이템이미지에 표시되지 않을 뿐 메인 아이템 내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메인 아이템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 개수를 13개로 가정하면,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된 13번째 아이템까지 일정한 패턴에 의해 배치되어 모두 표시될 수 있지만, 14번째 아이템을 추가 시 기본 1번째의 아이템은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서 사라져 표시되지 않거나 상기 아이템의 일부만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때 1번째의 아이템은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되지 않을 뿐 메인 아이템 내에 존재한다.
이하 도 4a - 도 5b의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 도 4b는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5a ?? 도 5b는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하 상기 도 4 a - 도 5b는 서브 아이템을 설명하기 쉽도록 메인 아이템을 확대 및 서브 아이템을 A, B, C … 등 알파벳으로 설정한 예시도이며, 실제 전자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메인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폴더, 상기 서브 아이템은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파일, 이미지 등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a -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 - 도 4b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의 개수가 4개일 경우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에서 각각의 아이템은 삭제, 이동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삭제 버튼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템 중에서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도 4a의 421)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아이템에 추가할 수 있는 서브 아이템 개수는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되어 있는 아이템 개수가 초과되면 메인 아이템에 배치될 위치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아이템(301)에 A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401(도 4a)과 같이 상기 A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의 왼쪽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으로 진입 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설정된 위치는 왼쪽 상측 영역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오른쪽 상측 영역, 왼쪽 하측 영역, 오른쪽 하측 영역 등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B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301)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상기 B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공간을 확인 후 405와 같이 왼쪽 상측 영역(421)에 배치하고, 기존의 A 서브 아이템을 오른쪽으로 이동, 즉, 재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C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C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 후 407과 같이 왼쪽 상측 영역에 배치하고 기존의 A, B 서브 아이템은 기 설정된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D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D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 후 409와 같이 왼쪽 상측에 배치하고 기존의 A, B, C 서브 아이템은 기 설정된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 개수가 4개일 경우 411과 같이 5번째 서브 아이템(즉, E 서브 아이템)를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상기 새로운 E 서브 아이템은 왼쪽 상측 영역에 배치되며, 기존의 추가된 A, B, C, D 서브 아이템은 기 설정된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배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처음 추가된 A 서브 아이템은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서 사라져 표시되지 않거나, 아이템의 일부만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 발생 시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을 재배치하는 패턴은 413(도 4b)과 같이 역 에스(S) 방향, 415(도 4b)와 같이 에스(S)방향, 417(도 4b)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 419(도 4b)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으로 재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브 아이템을 재배치하는 패턴은 역 에스(S) 방향(도 4b의 413)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a - 도 5b는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의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도 5a -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도 5a - 도 5b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는 아이템의 개수가 13개일 경우 아이템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에서 제어부(140)는 각각의 아이템을 삭제, 위치 이동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삭제 버튼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템 중에서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도 5a의 503)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아이템에 추가할 수 있는 서브 아이템 개수는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되어 있는 아이템 개수가 초과되면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배치될 위치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메인 아이템(301)에서 4번째까지 추가되는 서브 아이템(즉, A, B, C, D 서브 아이템)은 상기 도 4와 같은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의 501과 같이 새로운 5번째 서브 아이템(즉, E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서브 E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 후 메인 아이템505와 같이 중심 영역(도 5a의 503)에 배치하고, 기존에 추가된 서브 아이템들(즉, A ?? D 서브 아이템)은 일정한 패턴으로 재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으로 진입 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서브 아이템이 배치되도록 설정된 위치는 중심 영역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좌측 영역, 우측 영역, 상단 영역, 하단 영역 등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F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301)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F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 후, 511과 같이 새로운 F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503)에 배치하고 기존에 추가된 E 서브 아이템은 왼쪽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G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301)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상기 G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위치(즉, 중심 영역)를 확인 후, 513과 같이 새로운 G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기존에 추가된 F 서브 아이템은 오른쪽 하단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513과 같은 메인 아이템에 H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515와 같이 상기 새로운 H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F 서브 아이템과 G 서브 아이템이 아래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F 서브 아이템은 아래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아이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I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517과 같이 상기 새로운 I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A 서브 아이템과 H 서브 아이템이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서브 아이템은 이동하면서 아이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새로운 J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519와 같이 새로운 J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C 서브 아이템과 I 서브 아이템이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서브 아이템은 이동하면서 아이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K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521과 같이 새로운 K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D 서브 아이템과 J 서브 아이템이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 서브 아이템은 이동하면서 아이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L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523과 같이 새로운 L 서브 아이템을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B 서브 아이템과 K 서브 아이템이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서브 아이템은 이동하면서 아이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M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525와 같이 새로운 M 서브 아이템은 중심 영역에 배치하고 E 서브 아이템과 L 서브 아이템이 이동하면서 재배치된 위치를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E 서브 아이템은 이동하면서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메인 아이템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 개수가 13개일 경우 14번째 서브 아이템(즉, N 서브 아이템)이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상기 새로운 N 서브 아이템은 중심 영역(503)에 배치되며, 기존의 추가된 A - M 서브 아이템은 기 설정된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배치되며, F 서브 아이템은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에서 사라져 표시되지 않거나 아이템의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서브 아이템 추가 시 서브 아이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패턴에 따라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531(도 5b)과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 또는 533(도 5b)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209단계에서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는 제스처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217단계에서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d와 같이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2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9단계에서 메인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131)에 표시되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도 3b)에서 311과 같이 서브 아이템을 탭하면 도 3e의 313과 같이 새로운 메인 아이템 이 생성되며, 탭 제스처가 발생한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면 도 3f의 315와 같이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메인 아이템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브 아이템을 탭하여 새로운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브 아이템을 선택하여 다른 서브 아이템에 겹쳤을 시 또한 새로운 메인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아이템이 생성되면, 제어부(140)는 209단계로 분기하여 이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17단계에서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는 제스처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221단계에서 서브 아이템 삭제, 메인 아이템 내에서 서브 아이템 위치 이동 등의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아이템 위치 이동이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이동된 위치에 따라 메인 아이템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아이템을 추가 및 표시하는 동작 수행 후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를 종료하는 명령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종료 명령이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종료 명령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관리 모드의 아이템 화면을 표시하는 205단계로 분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터치스크린
131: 표시부
132: 터치패널
140: 제어부

Claims (13)

  1.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브 아이템들이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기 위한 제스처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위치를 재배치하고, 상기 메인 아이템을 나타내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 내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템에 상기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며, 상기 추가된 서브 아이템을 상기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 내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의 제1 영역을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으로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의 제2 영역을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
    관리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선택되는 서브 아이템에 기반하여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생성된 메인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된 서브 아이템 중 일부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위치는 지정된 패턴에 기반하여 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패턴은,
    회전 이동, 대칭 이동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기 위한 제스처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상기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 내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을 표시하지 않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8. 삭제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서브 아이템들이 그룹핑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기 위한 제스처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위치를 재배치하고, 상기 메인 아이템을 나타내는 메인 아이템 이미지 내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메인 아이템에 상기 서브 아이템을 추가하며, 상기 추가된 서브 아이템을 상기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의 제1 영역을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의 제2 영역을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선택되는 서브 아이템에 기반하여 메인 아이템을 생성하고, 상기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생성된 메인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메인 아이템에 추가하기 위한 제스처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메인 아이템 내 포함된 상기 서브 아이템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 내 상기 서브 아이템이 배치될 영역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아이템에 추가된 서브 아이템 중 일부 서브 아이템을 상기 메인 아이템 이미지로 구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아이템에 포함된 서브 아이템들의 위치를 재배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94760A 2013-08-09 2013-08-09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0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60A KR102205842B1 (ko) 2013-08-09 2013-08-09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760A KR102205842B1 (ko) 2013-08-09 2013-08-09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919A KR20150018919A (ko) 2015-02-25
KR102205842B1 true KR102205842B1 (ko) 2021-01-22

Family

ID=5257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760A KR102205842B1 (ko) 2013-08-09 2013-08-09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8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2384A (ja) * 2011-05-31 2012-12-20 Camelot:Kk 画面制御システム、画面制御方法、及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5458B2 (en) * 2010-04-07 2018-07-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KR101728728B1 (ko) * 2011-03-18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2384A (ja) * 2011-05-31 2012-12-20 Camelot:Kk 画面制御システム、画面制御方法、及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919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003B2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1020385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a variable content movable control
RU2677595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ур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терфейса приложения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1297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01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28540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lock screen in electronic device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70199662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US20150020013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KR20120134765A (ko)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US20150169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on a mobile terminal
KR102102157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KR20130039586A (ko) 터치 디바이스의 잠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70045A (ko)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34100A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40124499A (ko) 터치 디바이스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30111405A1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772889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15707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2205842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241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ail i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