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765A -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765A
KR20120134765A KR1020110053907A KR20110053907A KR20120134765A KR 20120134765 A KR20120134765 A KR 20120134765A KR 1020110053907 A KR1020110053907 A KR 1020110053907A KR 20110053907 A KR20110053907 A KR 20110053907A KR 20120134765 A KR20120134765 A KR 2012013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me screen
home
mobile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332B1 (ko
Inventor
정용수
박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332B1/ko
Priority to EP12170215.3A priority patent/EP2530923B1/en
Priority to US13/487,536 priority patent/US9042942B2/en
Priority to CN201210181181.3A priority patent/CN102843643B/zh
Publication of KR2012013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METHOD FOR DISPLYAING HOME-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홈 스크린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단말기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렇게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이 다양해지는 것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많아 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들을 많이 설치하면 할수록, 휴대단말기의 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위한 아이콘들의 개수 또한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으로 인한 표시부의 크기적 제약을 고려해볼 때, 한정된 크기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모든 아이콘들을 하나의 스크린 화면(또는 바탕화면)에 표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에는 스크린 화면을 복수 개 제공하여 제공된 스크린의 화면 별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배치하고, 필요에 따라 스크린을 전환하여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이 제공되었다.
스크린의 화면 별로 6개의 아이콘이 배치가능하며, 사용자가 18개의 아이콘 생성(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함으로써 3개의 스크린이 생성되었다는 가정하에, 도 1을 통해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10의 스크린을 통해 11 내지 16의 아이콘의 배치하여 사용하고, 20의 스크린을 통해 21 내지 26의 아이콘을 30의 스크린을 통해 31내지 36의 아이콘을 배치하여 사용한다. 도 1의 (a)를 통해 설명한 종래 기술은 여러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다수의 스크린(예를 들어, 10 내지 30)별로 배치하여 표시부가 작은 휴대단말기에서도 많은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더욱 증가할 경우,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어떠한 스크린에 배치되어 있는지 기억하기 힘들다. 따라서, 도 1의 (a)를 통해 설명한 종래기술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의 화면들 사이를 계속 전환하면서 해당 아이콘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도 1의 (a)를 통해 설명한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의 (b)에 도시된 종래기술 또한 제공되었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화면이 복수 개 일 경우, 종래기술은 스크린의 전환 키가 입력되거나, 표시중인 스크린 화면에 대한 소정의 방향(예를 들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의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표시중인 스크린의 화면의 이전 또는 다음 스크린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도 1의 (b)를 통해 예를 들면, 사용자는 10의 스크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을 통해 20의 스크린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20의 스크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터치 입력을 입력하여 30의 스크린 화면(20의 스크린 화면을 기준으로 다음 스크린 화면에 해당)으로 전환되거나, 오른쪽으로 터치 입력을 입력하여 10의 스크린 화면(20의 스크린 화면을 기준으로 이전 스크린 화면에 해당)으로 전환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 스크린 화면의 표시 순서는 10의 스크린 화면이 첫 번째이고, 20의 스크린 화면이 두 번째이고, 30의 스크린 화면이 세 번째인데, 도 1의 (b)를 통해 설명되는 종래기술은 표시 순서가 첫 번째인 스크린(또는 스크린 화면)을 홈 스크린(또는 홈 스크린 화면)이라 지칭한다. 홈 스크린의 기능은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배치하여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임의의 스크린이 표시중인 상태에서 홈 스크린의 화면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키 입력이 발생되면 홈 스크린으로 신속하게 전환된다.
예를 들어, 30의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스크린으로의 전환키가 입력되면, 10의 스크린(즉, 홈 스크린)의 화면으로 신속하게 전환된다. 이 때, 도 1의 (b)에 표시된 안내창(40)은 휴대단말기에 생성된 스크린의 개수(예를 들어, 3개)를 표시함과 동시에, 전체의 스크린 중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스크린의 표시 순서 중에 몇 번째 인지를 41, 42 또는 43과 같은 그래픽 효과를 통해 표시한다. 즉, 41의 그래픽 효과는 10의 스크린이 홈 스크린에 해당하기 때문에 표시 순서가 첫 번째임을 나타내고 있고, 42의 그래픽 효과는 20의 스크린의 표시 순서가 두 번째임을 43의 그래픽 효과는 30의 스크린의 표시 순서가 세 번째 임을 나타낸다.
도 1의 (b)를 통해 설명한 종래기술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이 배치된 홈 스크린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하나의 홈 스크린만을 제공하고 홈 스크린에 배치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개수가 한정적이라는 불편함을 고려하면 사용자 측면에서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되는 홈 스크린을 여러 개 제공하는 기능과 같이 종래의 스크린 또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을 보완하는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별로 구분된 홈 스크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스크린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3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으며, 도2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250)는 키입력부(2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27)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키 입력(예를 들어, 소정의 키를 통해 홈 스크린이 표시되도록 하는 키가 입력되는 것)을 통해 표시중인 임의의 스크린에서 홈 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2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30)는 휴대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데, 휴대단말기의 이동 경로의 저장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저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240)은 GPS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에 해당하는 경도값과 위치값 등의 획득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GPS 모듈(24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240)의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부(223)과 기지국들의 연동을 통한 삼각측량법 등을 이용한 위치 확인 기능으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정확한 휴대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위해서 GPS 모듈(24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즉,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표시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2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50)는 스크린별로 아이콘들이 배치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각 스크린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뿐만 아니라, 폴더(folder), 소정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원본 또는 바로가기(shortcut)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여러가지 콘텐츠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5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별(예를 들어, 집, 대중교통 또는 회사 등)로 대응되는 스크린을 표시하며, 각 스크린에는 비슷한 유형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그룹화화여 저장하는 폴더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27) 또는 표시부(2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내용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2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휴대단말기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을 감지하는데,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는 회전하는 휴대단말기의 역학적인 움직임을 관찰하는데, 가속도 센서와 연동되어 휴대단말기의 6축, 즉, 상하, 좌우, 전후방, x축, y축 및 z축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영상의 촬영시 GPS 모듈(240)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위치정보가 촬영된 영상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제1 내지 제3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301 내지 S302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도 4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예를 들어, 집, 대중교통 또는 회사 등)에 대응되는 410, 420 및 430의 스크린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집일 경우, 대중교통일 경우 및 회사일 경우 등으로 구분하고,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휴대단말기의 위치 별로 구분된 스크린에 배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이에 대응되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각 스크린에 대한 설정값을 메모리(2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410의 스크린은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집일 경우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는데, 410의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집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 411, 412 및 413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4의 (a)에 도시된 420의 스크린은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대중교통일 경우에는 대응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으며, 420의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 421, 422 및 423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430의 스크린은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회사일 경우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으며, 430의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 431, 432 및 433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위치 별로 구분된 각 스크린에 대한 아이콘들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어부(210)는 이에 대한 설정들을 메모리(230)에 저장하며, 휴대단말기의 위치 별로 구분되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GPS 모듈(240)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소정의 주기 별로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의 위치 별로 구분되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기능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위치 별로 구분되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되면,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메모리(30)로부터 확인((예를 들어, 스크린의 설정 데이터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4의 (a)를 통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휴대단말기의 위치(예를 들어, 집, 대중교통 및 회사 등)에 대응되는 스크린에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별로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실행 횟수 등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 별로 대응되는(구분되는) 스크린들이 생성될 경우에, 스크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정 횟수 이상 자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스크린에 자동으로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특정 위치에서 일정 횟수 이상 자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에 배치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410의 스크린에 배치된 411, 412 및 413의 아이콘들은 사용자가 직접 배치한 것이 아니라, 휴대단말기가 집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사용자가 자주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이 제어부(210)에 자동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소정의 외부 장치로부터 휴대단말기의 위치별로 대응되는 스크린에 대한 설정값을 수신하여 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410, 420 및 430의 스크린과 각 스크린 아이콘들의 배치에 대한 설정을 웹 서버 또는 사내 서버 또는 타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후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사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경우, 제어부(1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내 서버)로부터 수신한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430의 스크린을 이후 단계들에서 이용(예를 들어, 홈 스크린으로의 설정)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확인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에,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사용자로부터 홈 스크린의 표시가 요청되면, 현재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적합한 홈 스크린을 표시하도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실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집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 제어부(2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410의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한다. 이때,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면, 사용자는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휴대단말기의 전체 스크린 개수(예를 들어, 440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중에서 표시 순서가 제일 첫 번째가 된 것을 도 5의 (a)에 도시된 4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대중 교통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집 또는 회사가 아닌 것으로 확인될 경우로도 이해될 수 있음)에 제어부(2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420의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한다. 이때, 대중 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면, 사용자는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휴대단말기의 전체 스크린 개수(예를 들어, 4개 중에서) 표시 순서가 제일 첫 번째가 된 것을 도 5의 (b)에 도시된 4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회사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 제어부(210)는 도 6에 도시된 회사에 대응되는 430의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한다. 이때,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면, 사용자는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휴대단말기의 전체 스크린 개수(예를 들어, 4개) 중에서 표시 순서가 제일 첫 번째가 된 것을 도 6에 도시된 4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홈 스크린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S304 단계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홈 스크린을 통해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한 후에, 휴대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홈 스크린을 제외한 나머지 스크린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또는 휴대단말기)가 집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회사로 출근하고, 회사에서는 다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집으로 귀가하는 이동 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러한 이동 경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가 GPS 모듈(240) 등을 이용하여 추적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크린의 표시 순서의 변경과 관련하여 도 5의 (a)를 통해 설명하면,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도 4의 (b)에 도시된 이동 경로를 참조하여 집에서 대중교통으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할 것으로 판단하며, 대중교통에 해당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즉, 집에 해당하는 410의 스크린) 다음의 표시 순서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대중교통 이후에는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회사로 이동할 것으로 가정하여, 회사에 해당하는 스크린의 표시 순서를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의 다음 순서 또는 홈 스크린(즉, 집에 해당하는 410의 스크린)으로부터 두 번째의 표시 순서로 배치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추후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410의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어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다음 이동경로(즉, 휴대단말기의 이동 경로로서 대중교통 또는 회사)에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에서는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의 표시 순서가 첫 번째임을 도 5의 (a)에 도시된 4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및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은 각각 표시 순서가 두 번째 및 세 번째 임을 도 5의 (a)에 도시된 442 및 44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표시 순서의 변경과 관련하여 도 5의 (b)를 통해 설명하면,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420의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대중교통에서 회사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할 것으로 가정하여, 회사에 해당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즉, 회사에 해당하는 420의 스크린) 다음의 표시 순서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나머지 집의 위치에 해당하는 스크린의 표시 순서를 회사의 다음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추후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420의 스크린이 홈 스크린이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다음 이동경로(즉, 휴대단말기의 이동 경로로서 회사 또는 집)에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서는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대중교통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의 표시 순서가 첫 번째임을 도 5의 (b)에 도시된 4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회사 및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은 각각 표시 순서가 두 번째 및 세 번째 임을 도 5의 (b)에 도시된 442 및 44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표시 순서의 변경과 관련하여 도 6을 통해 설명하면,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회사에서 다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집으로 귀가할 것으로 가정하여, 대중교통에 해당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즉, 회사에 해당하는 430의 스크린) 다음의 표시 순서로 설정하고, 집에 해당하는 스크린을 대중교통에 해당하는 스크린의 다음에 표시되도록 표시 순서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6에서는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이 홈 스크린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회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의 표시 순서가 첫 번째임을 도 6에 도시된 4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 및 집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은 각각 표시 순서가 두 번째 및 세 번째 임을 도 6에 도시된 442 및 44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는 S303 단계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홈 스크린을 통해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홈 스크린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S304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S305 내지 S306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홈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홈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S301 내지 S304 단계를 통해 홈 스크린의 설정과 홈 스크린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의 표시 순서가 변경된 후에, 제어부(210)는 홈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설정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집인 것으로 확인되고 홈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이동 경로를 참조하여, 제어부(2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410의 홈 스크린(즉, 집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410의 홈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제어부(2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420의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대중교통인 것으로 확인되고 홈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이동 경로를 참조하여, 제어부(2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420의 홈 스크린(즉, 대중교통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420의 홈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제어부(2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430의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회사인 것으로 확인되고 홈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이동 경로를 통해, 제어부(210)는 도 6에 도시된 430의 홈 스크린(즉, 회사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430의 홈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의 표시 요청이 확인되면, 제어부(210)는 도 6에 도시된 420의 스크린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홈 스크린 화면의 표시 요청은, 홈 스크린이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키(예를 들어, 소정키의 더블 입력)가 입력되거나, 절전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있던 휴대단말기가 동작모드로 전환된 후에 표시부(250)가 활성화되어 다수의 스크린 화면 중에서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8)

  1.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에서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스크린을 홈 스크린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홈 스크린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설정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홈 스크린에는 사용자에 의해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적어도 하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홈 스크린에는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 소정 횟수 이상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적어도 하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홈 스크린 다음에 표시될 스크린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표시 순서는 휴대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참조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홈 스크린은 미리 설정된 외부 장치로부터 대응되는 설정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위치에 대응되는 홈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대응되는 설정값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스크린 화면의 표시 방법.
KR1020110053907A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KR10178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07A KR101789332B1 (ko)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EP12170215.3A EP2530923B1 (en) 2011-06-03 2012-05-3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ome screen in mobile terminal
US13/487,536 US9042942B2 (en) 2011-06-03 2012-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home screen in mobile terminal
CN201210181181.3A CN102843643B (zh) 2011-06-03 2012-06-04 用于在移动终端中显示主屏幕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07A KR101789332B1 (ko)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65A true KR20120134765A (ko) 2012-12-12
KR101789332B1 KR101789332B1 (ko) 2017-10-24

Family

ID=4659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907A KR101789332B1 (ko) 2011-06-03 2011-06-03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2942B2 (ko)
EP (1) EP2530923B1 (ko)
KR (1) KR101789332B1 (ko)
CN (1) CN1028436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8755B2 (en) * 2011-05-27 2018-09-18 Apple Inc. Private and public applications
JP5799628B2 (ja) * 2011-07-15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2087B2 (ja) * 2012-03-07 2016-03-09 船井電機株式会社 端末装置、操作キーの表示順変更方法
US20140146074A1 (en) * 2012-11-27 2014-05-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Homescreen for Mobile Devices
US10229258B2 (en)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WO2014157893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US9996246B2 (en)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WO2014157886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WO2014157885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WO2014157897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WO2014157908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WO2014157894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WO2014157903A1 (en) *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KR102183448B1 (ko) 2013-04-26 2020-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354680A1 (en) * 2013-05-31 2014-12-0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Display Data
CN103309618A (zh) * 2013-07-02 2013-09-18 姜洪明 移动操作系统
US20150106202A1 (en) * 2013-10-11 2015-04-16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Dynamic aggregation and management of mobile applications and application data
KR20150071252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화면 구성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117550A (ko) *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36063B2 (en) * 2014-10-09 2018-04-03 Inte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rranging display of mobile applications based on geolocation
US10073599B2 (en) * 2015-01-07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KR20170017280A (ko) 2015-08-06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260210A (zh) * 2015-10-22 2016-01-2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桌面的主屏幕确定方法及装置
US10521070B2 (en) * 2015-10-23 2019-12-31 Oath Inc. Method to automatically update a homescreen
CN106293343B (zh) * 2016-08-09 2020-01-10 深圳市移动力量科技有限公司 快捷操作功能的控制方法和装置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CN109451336B (zh) * 2018-10-09 2021-08-17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相关产品
US11455085B2 (en) 2020-03-10 2022-09-2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EP4273678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570B2 (ja) * 1989-11-08 2001-05-21 富士通株式会社 アイコンパターン自動生成装置および方法
EP1513329A1 (de) * 2003-09-02 2005-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es Endgerät mit orts- und/oder zeitabhängiger Menüstruktur
WO2007131316A1 (en) * 2006-05-16 2007-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reen interface integrating application and system status
KR101295155B1 (ko) * 2006-06-26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행동 분석 결과에 따라 대기화면을 표시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51302B1 (ko) * 2006-11-27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TW200823740A (en) * 2006-11-28 2008-06-01 Inst Information Industry Mobil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for dynamically arranging the display sequence of function options
US8731610B2 (en) * 2006-12-13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daptive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s
CN101344833A (zh) * 2007-07-13 2009-01-1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图形使用者界面及其显示系统与显示方法
EP2060970A1 (en) * 2007-11-12 2009-05-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DE602007006329D1 (de) * 2007-12-21 2010-06-17 Ericsson Telefon Ab L M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enutzerschnittstelle davon
KR101538382B1 (ko) 2008-01-09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12847B2 (en) * 2008-02-05 2017-04-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stination list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launcher
US8412150B2 (en) * 2008-02-21 2013-04-02 Apple Inc. Transitional data sets
US8340726B1 (en) *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EP2175344B1 (en) * 2008-10-06 2020-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KR101549553B1 (ko) 2008-10-20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584058B1 (ko) * 2009-08-07 201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재 상황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10019861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8559931B2 (en) * 2009-11-04 2013-10-15 Cellco Partnership Application sugges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location-based directory information
US8914732B2 (en) 2010-01-22 2014-12-16 Lg Electronics Inc. Displaying home screen profiles on a mobile terminal
CN101957711B (zh) * 2010-05-25 2012-01-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位置显示方法、系统及触控设备
CN101867637A (zh) * 2010-07-02 2010-10-20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动态生成待机界面的方法及终端
CN102541414A (zh) * 2010-12-28 2012-07-04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能自动切换操作模式的移动终端装置
CN102063261A (zh) * 2011-01-19 2011-05-1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移动终端
US9304668B2 (en) * 2011-06-28 2016-04-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isplay screen of a user interface
JP5991320B2 (ja) * 2011-07-14 2016-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67513B1 (ko) * 2012-05-29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01655A1 (en) * 2013-01-16 2014-07-17 Lookout,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laying activity icons on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332B1 (ko) 2017-10-24
US20120309433A1 (en) 2012-12-06
CN102843643A (zh) 2012-12-26
EP2530923B1 (en) 2018-05-23
CN102843643B (zh) 2017-09-29
US9042942B2 (en) 2015-05-26
EP2530923A1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332B1 (ko)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JP6947843B2 (ja)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KR102060155B1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872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80101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US20180288608A9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JP607650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オン・オ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設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1499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thereof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CN105975190B (zh) 一种图形界面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47451A (ko) 메시지 표시방법, 장치, 단말기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50253968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enlarging and displaying contents
JP6068660B2 (ja) 文字選出方法、文字選出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079930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cards
KR20120118830A (ko)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201511540A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WO2019047129A1 (zh) 一种移动应用图标的方法及终端
US201800043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in portable terminal
KR20120047195A (ko)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변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81502A (ko) 아이템의 스크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10529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131056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US10241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ail in electronic device
KR102205842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