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100A -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100A
KR20140034100A KR1020130108759A KR20130108759A KR20140034100A KR 20140034100 A KR20140034100 A KR 20140034100A KR 1020130108759 A KR1020130108759 A KR 1020130108759A KR 20130108759 A KR20130108759 A KR 20130108759A KR 20140034100 A KR20140034100 A KR 20140034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creen
window
external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146B1 (ko
Inventor
강도연
박성진
이광림
이상진
박보람
임수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346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34025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가상화(desktop virtualization) 기능,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기능, 사용자 입력 대응 외부 표시 장치의 데이터 표시 기능과 관련한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Operating Method associated with connected Electronic Device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연결한 상태에서의 연결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단말은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이메일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촬영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메신저 기능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최근 휴대단말은 외부 표시장치와 연결하여 휴대단말의 데이터를 외부 표시장치(예컨대, LCD 모니터 등)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은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경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외부 표시장치에 그대로 전달하여 외부 표시장치에 의한 표시를 제공하고 있다(클론 모드(clone mode)). 또는 휴대단말은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경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는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컨대, 동영상 재생에 따른 비디오 화면)만을 외부 표시장치로 전달하여 외부 표시장치에 의한 표시를 제공하고 있다(비디오 온리 모드(video only mod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들은, 휴대단말에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화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클론 모드나 비디오 온리 모드와 같이 제한적인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에 관계된 하나의 레이아웃(layout)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외부 표시장치에서도 휴대단말의 레이아웃에 따른 동일한 모습의 레이아웃 화면만이 제공된다. 다만, 종래에서는 외부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에 비례하여 동일한 레이아웃을 단순 확대하여 표시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서는 휴대단말에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경우 서로 다른 화면 크기를 가지는 표시장치별로 효과적인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듀얼 표시 시스템은 외부입력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 면에서 단점이 있다. 물론 외부입력장치 대신 휴대 단말의 입력부가 사용될 수 있다. 단 휴대 단말의 입력부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스크린과 외부표시장치를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동 시 휴대단말을 통해 데스크톱 환경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단일 시스템에서 외부 표시장치를 통한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외부 표시장치를 통한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휴대단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에 의해 표시장치별 다른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표시장치들이 존재할 경우 각 표시장치들 별로 서로 다른 모습의 다양한 윈도우 레이아웃의 화면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표시장치에 따라 다른 모습의 윈도우 레이아웃을 가지는 화면 표시를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별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 지원을 통해, 사용자에게 각 표시장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모습의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에 따라 보다 다양한 정보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표시장치별로 가장 적합한 화면 출력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휴대단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이 외부입력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표시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표시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과정; 제어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이벤트가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의 제어를 위한 외부 이벤트이면 상기 데스크톱 영역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 이벤트가 상기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의 제어를 위한 내부 이벤트이면 상기 기본 영역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 따른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기반의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따른 화면으로 표시하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 및 외부 입력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에 맞는 레이아웃에 따른 윈도우 화면을 표시하고,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의 데스크톱 환경 제어를 위한 가상 입력장치를 표시하며, 상기 가상 입력장치에 의한 제어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와 연동 시 휴대단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환경에 대응하는 표시 및 작업이 가능한 데스크톱 가상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휴대단말이 외부 표시장치와 연결될 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 따른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기반의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이 운용되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 생성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 생성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resource)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은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의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윈도우 생성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상기 외부 표시장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의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window layout policy)을 설정하는 과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윈도우 생성 시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및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 표시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며, 연결된 외부 표시장치의 자원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윈도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출력되는 윈도우를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표시하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window layout policy)을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윈도우 생성 시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 생성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윈도우 생성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resource)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가지고 외부표시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 수행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표시장치의 제 1 화면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2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외부표시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표시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터치패널과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표시장치의 제 1 화면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2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테스크톱 가상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의 연동 시 휴대단말을 통해 데스크톱 환경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휴대단말의 단일 시스템에서 외부 표시장치를 통한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더 많은 정보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협소한 화면에서의 불편한 작업에서 벗어나, 보다 큰 화면의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휴대단말에서의 작업을 데스크톱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각 표시장치들에 맞는 다양한 모습의 윈도우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 표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표시장치들의 크기에 따라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표시장치들이 존재할 경우, 각 표시장치별로 서로 다른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표시장치에 따른 레이아웃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 이상의 표시장치들이 존재할 때, 각각의 표시장치들 마다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표시장치에 따라 다른 모습의 레이아웃을 구성하여 표시장치 별로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른 모습의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협소한 화면에서의 불편한 작업에서 벗어나, 보다 큰 화면의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휴대단말에서의 작업을 데스크톱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표시장치 별로 가장 적합한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입력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표시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표시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의 동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의 연결 시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및 외부 표시장치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운용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가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외부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을 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동 시 동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동 시 표시장치 별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22는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3은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24는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데스크톱 가상화(desktop virtualization)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스크톱 가상화는 휴대단말이 외부 표시장치와 연동 시 휴대단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외부 표시장치는 모니터(monitor),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표시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되는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표시하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에 추가적으로, 상기 휴대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된 각 윈도우들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예컨대, 유/무선 외부 키보드 및 유/무선 외부 마우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window layout)에 의해 표시장치별 다른 형태의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때, 동일한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휴대단말의 표시장치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표시장치들을 각 표시장치의 자원(resource)(예컨대, 표시장치의 종류, 화면 크기 등)에 따라 구분하고, 각 표시장치들 별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window layout policy)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은 표시장치의 자원(특히, 화면 크기)에 따라 실행화면의 윈도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스크린(multi screen) 기능을 지원하고, 외부 표시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휴대단말과, 상기 휴대단말에서 결정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휴대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설정하는 구성, 각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구성, 그리고 각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윈도우 레이아웃을 적용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외부 표시장치의 연결 유무에 관계없이, 표시장치의 자원에 따라 각각의 표시장치를 구분하고, 각 표시장치별로 적용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은 프로바이더(provider) 등으로부터 기본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에 따라 윈도우(window)를 생성할 시, 상기 윈도우가 생성되는 표시장치의 영역을 구분하고, 미리 설정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부터 상기 윈도우가 생성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가 위치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존재하면 해당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적용하고,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적용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의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의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저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CONTROLLER)(170), 그리고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일부 구성(예컨대, 이동통신 모듈)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단말(100)과 다른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5), 위치 산출 모듈(117),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1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다양한 서버들(예컨대, 통합 서버(integration server), 프로바이더 서버(provider server), 컨텐츠 서버(content server) 등)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양한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하여 휴대단말 윈도우 환경 및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단말 윈도우 환경은 휴대단말(100)의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윈도우 크기로 운용하는 환경을 나타낸다.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은 휴대단말(100)의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외부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윈도우 크기로 데스크톱 환경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을 나타낸다.
한편, 이동통신 모듈(111)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양한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하여 다양한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window layout policy)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internet) 접속 및 다른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단(100)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 랜(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그리고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양한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하여 휴대단말 윈도우 환경 및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모듈(113)은 다른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될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휴대단말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모듈(113)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양한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하여 다양한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모듈(113)은 다른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가 형성될 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저장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다른 휴대단말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다른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이 연결될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휴대단말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외부의 무선 입력 장치(예컨대, 블루투스 키보드, 블루투스 마우스)와 연결을 지원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다른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이 연결될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다른 휴대단말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5)은 휴대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5)은 3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산출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휴대단말(100)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9)은 방송 채널(예컨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예컨대,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 및/또는 상기 방송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 등)를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휴대단말(1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들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20)의 키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가상의(virtual) 키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휴대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휴대단말(100)이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휴대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상기 실행화면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가상 입력 장치(예컨대, 가상의 터치패드)를 활성화하여 나타내고, 상기 가상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단말(100)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실행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가상 입력장치의 화면으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휴대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휴대단말(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운용되는 표시부(130)의 화면 예시에 대해 후술될 것이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상호 레이어(layer)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touchscreen)'이라 칭함)에, 표시부(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13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3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표시부(130)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널은 표시패널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은 표시패널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표시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터치 좌표(x, y)를 포함한다. 즉 터치패널은 표시부(130)에서 터치 영역(즉,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 등에 의해 터치된 영역)에 포함된 좌표들 중 하나를 터치 좌표로 결정하고 터치 좌표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 좌표는 픽셀 단위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30)의 해상도가 640*480인 경우, X축 좌표는 0에서 640이고 Y축 좌표는 0에서 480일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은 터치 영역의 좌표들을 포함하는 터치이벤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어부(170)는 전달된 좌표들 중 하나를 터치 좌표로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될 경우 터치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패널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 기구의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터치패널로부터 터치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즉 터치 좌표가 예컨대, (x1, y1)에서 (x2, y2)로 변화된 경우 제어부(170)는 터치가 이동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터치의 위치변화량(dx, dy)을 산출한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으로 분류된다.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멀티 터치는 여러 지점에 다수의 터치 기구(예, 엄지와 검지)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탭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가 터치된 후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해제(touch-off)되는 사용자 입력이고,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기구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기구를 터치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탭 앤 터치는 화면의 어느 지점을 탭한 후 해당 지점을 소정 시간(예, 0.5초)이내에 다시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기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이며, 플릭은 드래그에 비해 터치 기구를 빠르게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프레스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고, 핀치 인은 두 개의 터치 기구로 두 지점을 동시에 멀티 터치한 후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좁히는 사용자 입력이고, 핀치 아웃은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넓히는 사용자 입력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그 밖의 사용자 입력들은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30)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한다.
터치패널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된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표시패널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렌더링(rendering)하여 버퍼에 저장한다. 표시패널은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패널은 휴대 단말(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들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줄여서 '앱(App)') 실행 화면, 키패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이 켜지면,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다.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이미지를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changing)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배경 이미지와, 이 위에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들 각각은 앱들에 대응된다.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아이콘을 탭)된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앱(예, 브라우저)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패널에 표시한다. 표시패널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하나 예컨대, 앱 실행 화면을 배경(background)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 예컨대, 키패드를 전경(foreground)으로써 상기 배경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1 이미지를 제 1 스크린 영역에 표시하고 제 2 이미지를 제 2 스크린 영역에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141)로 전송하고, 마이크(MIC, microphone)(1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1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통화 모드, 녹음(녹화) 모드, 미디어 컨텐츠 재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그리고 촬영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휴대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컨대, 통화 연결 수신, 통화 연결 발신, 음악 파일 재생, 동영상 파일 재생, 촬영, 외부 출력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 모드, 녹음(녹화) 모드, 음성인식 모드, 그리고 촬영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전화번호, 메시지, 오디오, 미디어 컨텐츠(예컨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에는 휴대단말(100) 기능 운용에 따른 사용 빈도(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사용 빈도, 미디어 컨텐츠 재생 빈도, 그리고 전화번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 빈도 등), 중요도, 우선순위 및 선호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5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pattern)의 진동 및 음향에 관현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 운용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은 휴대단말 윈도우 환경 및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동작을 제공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 윈도우 환경에 따른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본 모드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따른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데스크톱 모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본 발명에서 표시장치별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에 의한 화면을 제공하는 기능의 운용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은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들의 각 자원별로 미리 매핑되어 매핑테이블 형태로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50)는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및 가상 컨트롤러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가상 컨트롤러는 가상의 터치스크린의 생성을 운영체제에 요청하고, 가상의 터치스크린에 대응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운영체제의 커널(kernel)은 유입력(Uinput)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입력 모듈은 가상 컨트롤러의 요청에 응답하여 가상의 터치스크린을 생성하고, 가상 컨트롤러로부터 터치이벤트를 수신하고, 터치이벤트를 가상의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한다. 미들웨어는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 사이 또는 다른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한다. 본 발명에서 엑스서버는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미들웨어로써, 가상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예, 터치의 위치 변화량(dx, dy))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예, 외부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위치변화량에 비례하여 이동)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가상 컨트롤러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 단말(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매우 다종다양하다. 이러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거가 자유롭다. 휴대 단말(100)이 켜지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7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100)가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 및 미들웨어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부팅 및 로딩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인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시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포트(data por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표준형 HDMI, 미니 HDMI, 마이크로 HDMI) 및/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가 무선 랜(Wi-Fi)으로 연결될 시 상기 무선 랜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고, 휴대단말(100)과 외부 입력장치가 블루투스로 연결될 시 상기 블루투스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데스크톱 가상화, 외부 출력 등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데스크톱 가상화 및 외부 출력 등과 관련된 기능 운용을 위한 별도의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은 제어부(17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스크톱 가상화를 지원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동 시 휴대단말(1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환경에 대응하게 표시 및 작업이 가능한 데스크톱 가상화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휴대단말(100)이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될 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 따른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상기 데스크톱 가상화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을 다른 레이아웃으로 별도로 운용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로 출력하고,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서 입력되는 제어 이벤트를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어 이벤트가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의 제어를 위한 외부 이벤트이면 상기 데스크톱 영역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 이벤트가 상기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의 제어를 위한 내부 이벤트이면 상기 기본 영역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 획득은 상기 휴대단말(100)에 의한 폴링(polling)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의한 푸시(push)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상기 데스크톱 환경의 레이아웃(layout)을 가지는 윈도우 환면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데스크톱 영역을 통한 상기 윈도우 화면 표시 시 상기 윈도우의 프레임 상단에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이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동 시 휴대단말(1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을 다른 레이아웃으로 별도로 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설정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윈도우 생성 시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표시장치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결정 시 표시장치들에 자원을 획득하고, 표시장치별 자원 및 상기 자원에 매핑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검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대한 자원 획득 시, 상기 휴대단말(100)에 의한 폴링(polling)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의한 푸시(push)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응용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와, 저장부(15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부(15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저장하는 캐시메모리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즉, 운영체제는 휴대 단말(100)를 동작시키고 작업(task)의 순서를 정하며 CPU의 연산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과,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100)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록 매체는 휴대단말(100)이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될 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 따른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기반의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이 운용되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 생성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윈도우 생성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resource)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예컨대, MP3(MPEG Audio Layer 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외부 표시장치는 모니터(monitor),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한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휴대 단말(10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모듈,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모듈, 진동 모터, 카메라, 액세서리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100)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표시부(130)에 터치를 위한 펜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데스크톱 가상화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외부 기기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외부 표시장치(200)와의 연결을 통해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100) 및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따른 화면으로 표시하는 외부 표시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100)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100) 또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각 윈도우들을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입력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HDMI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Wi-Fi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100)에서 생성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 표시장치(200)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유선 인터페이스(예컨대, HDMI)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예컨대, Wi-Fi)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는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의 제어신호를 유선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예컨대, 블루투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표시된 윈도우 화면을 제어하는 신호이거나,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윈도우 화면을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100)이 외부 표시장치(200) 및 외부 입력장치(30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이용한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를 통해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윈도우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시 휴대단말(100)에 표시된 윈도우 화면은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윈도우 화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200) 간의 동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200) 간의 연결 시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되면(301단계), 데스크톱 모드를 자동 실행하고,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외부 표시장치(200)로 전달한다(303단계). 이때, 휴대단말(100)은 상기 데스크톱 모드 실행 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의 현재 표시는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적으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 획득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폴링(polling)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푸시(push) 방식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연결된 후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전달되면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표시한다(305단계). 여기서,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배경 화면(230)과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대응하는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데스크톱용 바로가기 아이콘(250)(또는 아이콘 리스트)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대응하는 작업을 위한 제어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면을 외부 표시장치(200)로 전달한다(307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단말(100) 또는 외부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표시된 데스크톱용 바로가기 아이콘(2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 이벤트를 입력하면,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아이콘(250)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아이콘(250)의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어플리케이션을 데스크톱 모드로 실행하여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따른 화면(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로 전달한다. 즉,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와 같이 데스크톱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 선택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검출할 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을 처리한다.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전달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표시한다(309단계).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에서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는 달리,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된다. 이때,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휴대단말(100)에 표시되는 실행화면과는 달리,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대응하여 각 윈도우의 프레임 상단에 상태바(550)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바(550)는 실행화면(또는 해당 윈도우)에 대한 상태정보(어플리케이션 이름 등)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태바(550)는 실행된 윈도우의 최소화, 최대화, 그리고 닫기와 같이 윈도우 크기 조절과 관련된 최소화 버튼, 최대화 버튼, 그리고 닫기 버튼과 같은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55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200) 간의 입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은 휴대단말(100)을 외부 표시장치(200)의 입력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7은 휴대단말(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300)를 외부 표시장치(200)의 입력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가상의 입력장치(예컨대, 가상의 터치패드)를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단말(100)에 표시된 상기 가상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제어 이벤트를 입력하여,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데스크톱 영역의 포인터(750) 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실행된 윈도우 화면에 대한 이동, 윈도우 크기 확대/축소, 크기 최소화, 크기 최대화, 그리고 윈도우 닫기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의 입력장치는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윈도우의 프레임 상단에 제공되는 상태바(550)의 최소화 버튼, 최대화 버튼, 그리고 닫기 버튼에 대응하게 할당되어 각 버튼들의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크기 조절 영역(630),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제공되는 포인터(750)의 이동, 아이콘 선택, 싱글터치 이벤트 입력, 그리고 멀티터치 이벤트 입력 등을 지원하는 터치패드 영역(650), 그리고 마우스의 좌 클릭 및 우 클릭에 대응하는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버튼 영역(670)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입력장치는 휴대단말(100)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영역(610)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 크기 조절 영역(630)에는 가상의 터치 키패드 실행을 위한 키패드 실행 버튼이 할당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은 외부 입력장치(300)(예컨대, 키보드 및 마우스)와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 연결되거나 또는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제어 이벤트를 입력하여,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데스크톱 영역의 포인터(750) 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실행된 윈도우 화면에 대한 이동, 윈도우 크기 확대/축소, 크기 최소화, 크기 최대화, 그리고 윈도우 닫기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 및 외부 표시장치(200)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운용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8은 휴대단말(100)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윈도우의 경우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555)을 가지는 상태바(550)가 윈도우 프레임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의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에 외부 입력장치(300)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를 통해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윈도우를 조작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며,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에 의한 입력 모드에 따라 포인터(750)가 데스크톱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와 같이 데스크톱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 선택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검출할 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을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전달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에서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는 달리,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으로 제공된다. 이때,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 9는 휴대단말(10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복수개의 실행 윈도우들의 경우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555)을 가지는 상태바(550)가 각 윈도우 프레임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 윈도우들의 상태바(55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실행화면의 상태정보가 각각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9의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에 외부 입력장치(300)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를 통해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윈도우를 조작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며,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에 의한 입력 모드에 따라 포인터(750)가 데스크톱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은 휴대단말(1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윈도우를 확장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부 입력장치(300)를 통해 포인터(750)를 윈도우 프레임의 우측 가장자리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750)가 윈도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시 상기 포인터(750)는 윈도우 크기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자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지시자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를 조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어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가 확장되고 그에 따른 윈도우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윈도우에서 갤러리 리스트만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가 확장될 시 갤러리 리스트의 사진들에 대한 상세정보(확대 사진)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까지 포함하는 윈도우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 11은 휴대단말(1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윈도우를 이동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부 입력장치(300)를 통해 포인터(750)를 윈도우 프레임의 상단 즉, 상태바(550)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750)가 상기 상태바(550)의 어느 일 영역에 위치할 시 상기 포인터(750)는 윈도우를 이동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지시자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지시자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를 조작하여 외부 표시장치(200)의 표시 영역 중 어느 일 방향(예컨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어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되고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윈도우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2는 휴대단말(1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윈도우의 경우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555)을 가지는 상태바(550)가 윈도우 프레임 상단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12에서는 상기 도 8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단말(100)의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콜 수신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검출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100)의 실행 이벤트에 따른 윈도우 화면(예컨대, 콜 수신 상태 화면)을 휴대단말(100) 상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포인터(750)가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현재 조작이 휴대단말(100)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와 같이 데스크톱 영역에 위치한 아이콘 선택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검출할 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을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전달되면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100)의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의 레이아웃에 맞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도 8 내지 도 12에서는 휴대단말(100)에 외부 입력장치(300)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도 8 내지 도 12와 같은 동작에서 외부 입력장치(300)의 구성은 생략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입력장치를 통해 외부 표시장치(200)의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특정 모드(예컨대, 대기 모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드 등)를 수행하는 중에(1301단계), 외부 표시장치(200)의 연결을 검출할 수 있다(13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특정 모드 수행 중에 유선(HDMI) 또는 무선(W-Fi)를 통해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데스크톱 모드를 자동 실행하고,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200) 간에 연결된 연결 방식을 식별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1305단계). 여기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 획득은 상기 휴대단말(100)이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폴링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푸시 방식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획득된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의 크기를 결정하고(1307단계), 결정된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출력할 수 있다(1309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된 방식에 따라 유선(HDMI) 또는 무선(WI-FI)에 의한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데스크톱 모드 운용을 위한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제어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면(1311단계), 상기 제어 이벤트가 휴대단말(100)의 기본 영역을 제어하는 내부 제어 이벤트인지, 또는 외부 표시장치(200)의 데스크톱 영역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 이벤트인지 판단한다(1313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 이벤트가 외부 제어 이벤트가 아니면(1313단계의 NO), 즉 내부 제어 이벤트에 해당하면,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유지한 채로, 휴대단말(100)의 기본 영역에서 휴대단말(100)의 레이아웃에 맞는 상기 내부 제어 이벤트에 따른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1315단계). 즉,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본 영역의 윈도우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 이벤트가 외부 제어 이벤트이면(1313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유지한 채로, 외부 표시장치(200)의 데스크톱 영역에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1317단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4에서는 휴대단말(100)에 외부 입력장치(3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고, 휴대단말(100)을 이용하여 외부 표시장치(200)의 데이터 영역을 조작하기 위한 가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데스크톱 모드 실행(1401단계) 중에 가상 입력장치의 실행이 요청되면(1403단계), 가상 입력장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14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되어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표시하는 중에 휴대단말(100)의 조작(예컨대, 메뉴 조작, 단축키 입력 등)에 의해 가상 입력장치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은 유지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100)의 기본 영역에서 가상 입력장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가상 입력장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가상 입력장치를 휴대단말(100)의 기본 영역의 레이아웃에 맞게 출력하고,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데스크톱 영역에 포인터(750) 출력을 제어한다(1407단계).
제어부(170)는 가상 입력장치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가상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데스크톱 영역을 제어한다(14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앞서 도 8 내지 도 1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예시에 따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데스크톱 영역의 포인터(750) 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실행된 윈도우 화면에 대한 이동, 윈도우 크기 확대/축소, 크기 최소화, 크기 최대화, 그리고 윈도우 닫기 등의 데스크톱 환경에 따른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데스크톱 가상화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5에서는 휴대단말(100)에 외부 입력장치(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로부터의 입력에 대한 처리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데스크톱 모드 실행(1501단계) 중에 외부 입력장치(300)로부터 제어 이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503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서 외부 입력장치(300)로부터 제어 이벤트 입력이 수신되면, 휴대단말(100)의 기본 영역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1505단계),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의 제어 이벤트를 구분한다(15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외부 입력장치(300)에 의한 제어 이벤트가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떠한 수단에 의한 제어 입력인지 구분할 수 있고, 해당 수단에서 어떠한 작업 수행을 위한 입력인지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구분된 제어 이벤트에 따른 데스크톱 영역의 출력을 제어한다(15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데스크톱 영역의 포인터(750) 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실행된 윈도우 화면에 대한 이동, 윈도우 크기 확대/축소, 크기 최소화, 크기 최대화, 그리고 윈도우 닫기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기능과 관련한 실시예들을 도 16 내지 도 19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감지되면(1601단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표시장치의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16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검출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표시장치를 구분하고, 상기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은 휴대단말(100)과 현재 연결된 표시장치들(예컨대,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 휴대단말(100)에 연결된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으로, 휴대단말(100)의 저장부(150)로부터 획득하거나, 외부 표시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표시장치의 자원이 획득되면, 획득된 자원에 설정되어 있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한다(16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저장부(150)의 매핑테이블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레이아웃을 데코레이션(decoration)한다(1607단계). 즉, 제어부(1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된 윈도우의 레이아웃을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데코레이션에 따른 윈도우 레이아웃의 윈도우를 상기 표시장치에 생성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한다(1609단계).
상기 도 1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현재 휴대단말(100)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을 획득하고, 각 표시장치의 자원별로 설정되어 있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서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해당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레이아웃을 데코레이션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표시장치별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을 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윈도우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시(1701단계), 현재 연결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자원을 획득한다(17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검출될 시 새로운 윈도우를 생성하는 윈도우 생성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예컨대,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 휴대단말(100)에 연결된 외부 표시장치)를 구분하고, 구분된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은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에 대한 자원 및 상기 휴대단말(1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검색하고(1705단계), 검색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있는지 판별한다(17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 미리 설정된 매핑테이블로부터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되는 표시장치별 자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자원에 매핑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표시장치 별로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부터 상기 획득된 자원의 표시장치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검색하여 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장치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존재하면(1707단계의 YES), 검색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에 생성할 윈도우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 결정한다(1709단계). 제어부(170)는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에 생성할 윈도우에 적용하고(1711단계),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적용된 윈도우를 생성하여 나타낸다(1713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장치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존재하지 않으면(1707단계의 NO),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에 생성할 윈도우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 결정한다(1715단계). 제어부(170)는 결정된 기본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에 생성할 윈도우에 적용하고(1717단계),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적용된 윈도우를 생성하여 나타낸다(1713단계).
상기 도 1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생성할 때, 상기 윈도우가 생성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검색되면 검색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 적용하고,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검색되지 않으면 기본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적용된 윈도우를 상기 표시장치에 생성하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상기 윈도우의 레이아웃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동 시 동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동 시 표시장치 별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8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1801단계).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은 특정 모드(예컨대, 대기 모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드 등)를 수행하는 중에 유선(예컨대, HDMI 등) 또는 무선(예컨대, Wi-Fi 등)을 통해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대한 자원을 획득한다(1803단계).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 등에 대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대한 자원은 휴대단말(100)이 연결된 외부 표시장치(200)에게 자원 전송을 요청하고, 외부 표시장치(200)는 휴대단말(100)의 자원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휴대단말(100)에게 자신의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외부 표시장치(200)는 휴대단말(100)과 연결될 시 자신의 자원을 휴대단말(100)에게 자동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대한 자원 획득은 휴대단말(100)이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되는 시점에서 폴링(polling)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가 외부 표시장치(200)의 화면 크기에 대한 자원을 푸시(push) 방식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에게 전송하는 것에 획득될 수도 있다. 휴대단말(100)은 획득된 자원에 대해 휴대단말(100)의 저장부(150)를 통해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고,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원을 제공하는 주체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마스터의 제어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슬레이브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터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휴대단말(100)(특히, 제어부(170))이 될 수 있고, 상기 슬레이브는 휴대단말(100)에서 제공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외부 표시장치(200) 및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 등이 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로부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한다(1805단계).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은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미리 설정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예컨대, 배경 화면 등)을 외부 표시장치(200)에게 출력한다(1807단계). 휴대단말(100)은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 출력 시 상기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의 현재 표시(예컨대, 수행 중인 특정 모드의 화면 표시)는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적으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생성된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게 전달한다.
외부 표시장치(200)는 휴대단말(100)과 연결된 후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이 전달되면,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표시한다(1809단계). 여기서,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은 상기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배경 화면(230)과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로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미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데스크톱용 바로가기 아이콘(250)(또는 아이콘 리스트)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81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100)을 조작하여 휴대단말(100)의 표시장치(즉, 표시부(130))에 현재 표시된 화면(예컨대, 도 19a에서 휴대단말(100)에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휴대단말(100)을 조작하여 외부 표시장치(200)에 현재 표시된 화면(예컨대, 도 19a에서 외부 표시장치(100)에 현재 표시된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예컨대, 데스크톱용 바로가기 아이콘(250))을 선택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윈도우 생성 영역을 결정한다(1813단계). 즉, 휴대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검출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표시장치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에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검출될 시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휴대단말(100)의 표시장치(즉, 표시부(13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외부 표시장치(200)에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검출될 시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외부 표시장치(20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시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자와 같이 휴대단말(100)의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검출되더라도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외부 표시장치(200)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운용될 수 있다.
휴대단말(100)은 윈도우 생성 영역이 결정되면,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의 표시장치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한다(1815단계).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은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미리 설정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윈도우가 생성되는 영역의 표시장치(예컨대,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 또는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18에서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윈도우의 생성 영역이 외부 표시장치(200)인 것으로 설명한다.
휴대단말(100)은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외부 표시장치(200)에게 출력한다(1817단계). 즉, 휴대단말(100)은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윈도우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적용된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100)은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표시된 아이콘(250)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아이콘(250)의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외부 표시장치(200)에게 전달한다. 즉, 휴대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생성 영역을 외부 표시장치(200)로 결정할 시 해당 표시장치(즉,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외부 표시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전달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한다(1819단계).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상기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100)의 표시장치(즉, 표시부(130))에서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는 달리,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윈도우 화면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은 휴대단말(100)에 표시되는 실행화면과는 달리,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따라 데스크톱 형태의 윈도우 레이아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19b를 예시로 살펴보면, 휴대단말(1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윈도우의 크기보다 큰 윈도우 크기를 가지면서 추가적인 상세 정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의 프레임(frame) 상단에 상태바(550)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바(550)는 해당 윈도우(즉, 실행화면)에 대한 상태정보(어플리케이션 이름 등)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태바(550)는 실행된 윈도우의 최소화, 최대화, 그리고 닫기와 같이 윈도우 크기 조절과 관련된 최소화 버튼, 최대화 버튼, 그리고 닫기 버튼과 같은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5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100)의 화면은 현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표시장치 별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시장치(200)와의 연결을 통해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100) 및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윈도우 레이아웃의 윈도우 화면으로 표시하는 외부 표시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9c에서는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는 유선 인터페이스(예컨대, HDMI)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예컨대, Wi-Fi)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100)에서 생성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 표시장치(200)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유선 인터페이스(예컨대, HDMI)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예컨대, Wi-Fi)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9c에서는 휴대단말(100)의 제어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표시장치(200)를 통해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상태이고, 휴대단말(100)의 영역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휴대단말(100)의 표시장치(즉, 표시부(130))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9c를 참조하면, 휴대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외부 표시장치(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표시장치(200)에는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제공될 수 있고, 휴대단말(100)에는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의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예컨대, 기본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즉,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각 표시장치에 맞는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으로 구성된 다른 모습의 실행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즉,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의 영역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검출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맞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 기반의 윈도우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을 처리한다. 또한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의 영역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검출할 시 상기 표시부(130)의 자원에 맞는 기본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 기반의 윈도우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을 처리한다. 따라서 휴대단말(100)은 외부 표시장치(200)의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를 생성하는 경우 외부 표시장치(200)의 자원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표시를 처리한다. 또한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100)의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를 생성하는 경우 표시부(130)의 자원에 맞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표시를 처리한다.
도 19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에서 표시장치 별로 서로 다른 윈도우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9d를 참조하면, 상기 도 19d는 휴대단말(100)과 외부 표시장치(200)가 유선(예컨대, HDMI) 또는 무선(예컨대, Wi-Fi)을 통해 연결된 상태이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휴대단말(100)의 영역과 외부 표시장치(200)의 영역에 걸쳐 모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외부 표시장치(200)의 영역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윈도우 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휴대단말(100)의 영역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일부가 휴대단말(100)의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해, 휴대단말(100)의 영역에서는 휴대단말(100)의 표시부(130)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레이아웃이 데코레이션된 실행화면의 일부가 제공될 수 있고, 외부 표시장치(200)의 영역에서는 외부 표시장치(200)에 맞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레이아웃이 데코레이션된 실행화면의 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즉,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각각의 영역에 다른 모습의 레이아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외부 표시장치(200) 영역에서는 사진들에 대한 리스트와 관련 상세정보(예컨대, 확대 사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레이아웃으로 표시되고, 휴대단말(100) 영역에서는 사진들에 대한 리스트만 표시할 수 있는 레이아웃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9d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어느 하나의 표시장치의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윈도우가 다른 표시장치의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전의 영역에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의 레이아웃으로 표시되던 윈도우는 이동되는 영역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9d와 같이 외부 표시장치(200) 영역에 표시되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휴대단말(100)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될 시, 표시부(130)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의 윈도우로 데코레이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휴대단말(100) 영역에 표시되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표시장치(200) 영역으로 완전히 이동될 시, 외부 표시장치(200)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의 윈도우로 데코레이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가 생성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해당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으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지라도 다른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외부 표시 장치의 표시 기능과 관련한 실시예들을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2010에서 제어부(170)는 싱글 표시 모드로 휴대 단말(100)을 운영한다. 단계 2015에서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100)에 외부표시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외부표시장치는 무선통신부(150) 또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제어부(170)와 연결된다.
외부표시장치와 연결된 경우 단계 2030에서 제어부(170)는 듀얼 표시 모드로 휴대 단말(100)을 운영한다. 단계 2030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표시장치와 연결되면 제어부(170)는 외부표시장치로 화면 크기 정보(예, 해상도)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외부표시장치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외부표시장치는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가상 컨트롤러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1 홈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외부표시장치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2 홈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제 2 홈 화면의 해상도는 외부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된 화면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외부표시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제 2 홈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 1 홈 화면에서 가상 컨트롤러의 아이콘을 탭 하면 표시부(130)는 탭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표시부(130)로부터 터치이벤트를 검출하고, 터치이벤트에 응답하여 가상 컨트롤러를 실행한다. 가상 컨트롤러는 가상의 터치스크린을 생성하도록 커널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커널 특히, 유입력 모듈은 표시부(130)를 외부표시장치의 입력장치로 에뮬레이션(emulation)하기 위해 가상의 터치스크린을 생성한다. 한편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가상 컨트롤러의 실행 화면 즉, 에뮬레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에뮬레이션 화면은 터치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에뮬레이션 화면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키(예, 마우스 왼쪽 버튼, 마우스 오른쪽 버튼, 최소화 버튼, 최대화 버튼 및 종료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뮬레이션 화면은 다른 화면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화면은 제 1 스크린 영역에 표시되고 에뮬레이션 화면은 제 2 스크린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에뮬레이션 화면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표시 종료된다. 사용자가 제 1 홈 화면에서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에뮬레이션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한편, 휴대 단말(110)이 외부표시장치와 연결되면 가상 컨트롤러는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동 실행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옵션일 수 있다. 에뮬레이션 화면이 표시된 경우 제어부(170)는 포인터를 다른 화면(예, 제 2 홈 화면) 위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외부표시장치를 제어한다. 에뮬레이션 화면의 표시가 종료된 경우 포인터의 표시도 종료된다.
단계 2030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단계 2035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30)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멀티 터치, 탭, 더블 탭, 롱 탭, 드래그, 플릭, 프레스, 핀치인 및 핀치아웃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130)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경우 단계 2040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에뮬레이션 화면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사용자 입력이 에뮬레이션 화면에서 발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결정한다. 에뮬레이션 화면이 제 1 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고 다른 화면이 제 2 스크린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제 1 스크린 영역에서 발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결정한다. 사용자 입력이 제 2 스크린 영역에서 발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 2050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외부표시장치의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에뮬레이션 화면의 터치 영역에서 드래그가 검출된 경우, 제어부(170)는 드래그의 방향을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즉 외부표시장치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포인터가 이동하는 모습을 표시한다. 에뮬레이션 화면의 터치 영역 또는 마우스 왼쪽 버튼에서 탭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70)는 포인터가 위치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외부표시장치를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이 "탭 앤 터치 후 드래그"인 경우 제어부(170)는 드래그의 방향을 따라 포인터 및 포인터가 위치한 실행 화면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상으로 단계 2050에 따르면 표시부(130)가 외부표시장치의 입력장치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외부표시장치의 화면과 관련 없는 경우 다시 말해, 사용자 입력이 표시부(130)의 화면과 관련된 경우 단계 2060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부(130)의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이 드래그인 경우, 제어부(170)는 드래그의 방향을 따라 화면을 전환한다. 예컨대, 제 1 홈 화면의 제 1 페이지 대신에 제 2 페이지가 표시된다. 사용자 입력이 탭인 경우, 제어부(170)는 탭이 된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단계 2070에서 제어부(170)는 듀얼 표시 모드의 종료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외부표시장치와 휴대 단말(10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듀얼 표시 모드는 종료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030으로 복귀된다.
도 21은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22는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가상 컨트롤러(310), 유입력 모듈(320), 가상의 터치스크린(330), 가상의 멀티터치스크린(340), 엑스서버(350) 및 어플리케이션(360)을 포함한다. 제 1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가 실행된다. 제 2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뮬레이션 영역(410), 마우스 왼쪽 버튼(420), 마우스 오른쪽 버튼(430), 최소화 버튼(440), 최대화 버튼(450) 및 종료 버튼(460)을 포함하는 에뮬레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제 3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유입력 모듈(320)에 가상의 터치스크린의 생성을 요청한다. 제 4 과정에서 유입력 모듈(320)은 가상 컨트롤러(310)의 요청에 응답하여 가상의 터치스크린(330) 및 가상의 멀티터치스크린(340)을 생성한다.
제 5 과정에서 터치 좌표(xn, yn)가 엑스서버(350)로 전달된다. 제 6 과정에서 엑스서버(350)는 터치 좌표(xn, yn)를 가상 컨트롤러(310)로 전달한다. 제 7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터치 좌표(xn, yn)가 에뮬레이션 영역(410)에서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좌표(xn, yn)가 에뮬레이션 영역(410)에서 발생된 경우 제 8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터치의 위치 변화량(dx(xn-xn-1), dy(yn-yn-1))을 산출한다. 여기서 (xn-1, yn-1)은 이전에 검출된 터치 좌표이다. 제 9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유입력 모듈(320)로 위치 변화량(dx, dy)을 전달한다. 제 10 과정에서 유입력 모듈(320)은 위치 변화량(dx, dy)을 가상의 터치스크린(330)으로 전달한다. 제 11 과정에서 가상의 터치스크린(330)은 위치 변화량(dx, dy)을 엑스서버(350)로 전달한다. 제 12 과정에서 엑스서버(350)는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360)으로 위치 변화량(dx, dy)을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360)은 위치 변화량(dx, dy)에 응답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470)를 제 1 위치(480)에서 제 2 위치(490)로 이동시킨다.
도 23은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24는 외부입력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 1 과정 내지 제 4 과정은 도 21과 동일하다. 제 5 과정에서 제 1 터치 좌표(x1, y1)와 제 2 터치 좌표(x2, y2)가 엑스서버(450)로 전달된다. 제 6 과정에서 엑스서버(550)는 제 1 터치 좌표(x1, y1)와 제 2 터치 좌표(x2, y2)를 가상 컨트롤러(510)로 전달한다. 제 7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제 1 터치 좌표(x1, y1)와 제 2 터치 좌표(x2, y2)가 에뮬레이션 영역(610)에서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 1 터치 좌표(x1, y1)와 제 2 터치 좌표(x2, y2)가 에뮬레이션 영역(610)에서 발생된 경우 제 8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310)는 에뮬레이션 영역(610)의 크기(A)와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560)의 실행화면(620; 도 6 참조)의 크기(B)를 확인하고, 크기 정보(A 및 B)를 이용하여 제 1 터치 좌표(x1, y1)를 제 3 터치 좌표(x3, y3)로 변환하고, 제 2 터치 좌표(x2, y2)를 제 4 터치 좌표(x4, y4)로 변환한다.
제 9 과정에서 가상 컨트롤러(510)는 유입력 모듈(520)로 제 3 터치 좌표(x3, y3)와 제 4 터치 좌표(x4, y4)를 전달한다. 제 10 과정에서 유입력 모듈(520)은 제 3 터치 좌표(x3, y3)와 제 4 터치 좌표(x4, y4)를 가상의 멀티터치스크린(540)으로 전달한다. 제 11 과정에서 가상의 멀티터치스크린(540)은 제 3 터치 좌표(x3, y3)와 제 4 터치 좌표(x4, y4)를 엑스서버(550)로 전달한다. 제 12 과정에서 엑스서버(550)는 외부표시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560)으로 제 3 터치 좌표(x3, y3)와 제 4 터치 좌표(x4, y4)를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660)은 제 3 터치 좌표(x3, y3)와 제 4 터치 좌표(x4, y4)에 응답하여 실행 화면(620)의 크기를 변경(예, 확대)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휴대단말 200: 외부 표시장치
300: 외부 입력장치
110: 무선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전원 공급부
250: 데스크톱용 바로가기 아이콘
550: 상태바 555: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
750: 포인터

Claims (58)

  1.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과정;
    제어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이벤트가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의 제어를 위한 외부 이벤트이면 상기 데스크톱 영역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 이벤트가 상기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의 제어를 위한 내부 이벤트이면 상기 기본 영역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에 표시된 화면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내부적으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 획득은 상기 휴대단말에 의한 폴링(polling)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의한 푸시(push) 방식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톱 영역의 화면 표시 제어는 상기 휴대단말의 가상 입력장치 또는 상기 휴대단말에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에 의한 상기 외부 이벤트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이벤트에 따라 상기 데스크톱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데스크톱 환경의 레이아웃을 가지는 윈도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화면은 윈도우의 프레임 상단에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은 다른 레이아웃으로 별도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에 대한 화면 제어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에 대한 화면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 표시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은
    미리 설정된 배경 화면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대응하는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데스크톱용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Wi-F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6.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 따른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기반의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기능 운용 방법.
  17.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에 따른 화면으로 표시하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된 각 윈도우들을 조작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된 각 윈도우들을 조작을 위한 가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레이아웃(layout)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상기 데스크톱 환경의 레이아웃을 가지는 윈도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윈도우 화면은 윈도우의 프레임 상단에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데스크톱 가상화 시스템.
  24. 휴대단말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 및 외부 입력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휴대단말의 기본 영역에 맞는 레이아웃에 따른 윈도우 화면을 표시하고, 외부 표시장치의 데스크톱 영역의 데스크톱 환경 제어를 위한 가상 입력장치를 표시하며, 상기 가상 입력장치에 의한 제어 이벤트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와 연동 시 휴대단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환경에 대응하는 표시 및 작업이 가능한 데스크톱 가상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5. 휴대단말이 외부 표시장치와 연결될 시 데스크톱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데스크톱 모드에 따른 기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데스크톱 윈도우 환경 기반의 데스크톱 가상화 기능이 운용되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6.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 생성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 생성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resource)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표시장치들 중 상기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에 대응하는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매핑테이블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에 대응되는 표시장치별 자원 및 상기 자원에 매핑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검색하는 과정; 및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이 검색될 시 검색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자원은
    휴대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자원 및 상기 휴대단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에 의한 폴링(polling) 방식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표시장치에 의한 푸시(push) 방식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2.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은 외부 표시장치가 연결될 시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는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상기 데스크톱 윈도우 화면을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의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윈도우 생성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상기 외부 표시장치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의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윈도우 화면은 다른 레이아웃으로 별도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의 현재 표시는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적으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생성된 화면을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표시장치를 구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휴대단말에 표시된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검출될 시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휴대단말의 표시부인 것으로 결정하고,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된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검출될 시 상기 윈도우 생성 영역이 외부 표시장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Wi-F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를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38.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window layout policy)을 설정하는 과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윈도우 생성 시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 및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39.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 표시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다중 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며, 연결된 외부 표시장치의 자원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윈도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출력되는 윈도우를 상기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표시하는 상기 외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 표시를 위한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과 상기 외부 표시장치는 유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 표시를 위한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사징치에 표시되는 상기 윈도우는
    윈도우의 프레임 상단에 윈도우 크기 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 표시를 위한 시스템.
  42. 휴대단말에 있어서,
    외부 표시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장치들에 대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window layout policy)을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윈도우 생성 시 미리 설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라 상기 윈도우에 적용할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43.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윈도우 생성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윈도우 생성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윈도우가 생성될 표시장치를 확인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대한 자원(resource)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자원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윈도우 레이아웃 정책에 따른 레이아웃으로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윈도우를 생성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4. 터치스크린을 가지고 외부표시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표시장치의 제 1 화면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2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에뮬레이션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에뮬레이션 화면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표시장치의 제 1 화면과 관련된 것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에뮬레이션 화면이 표시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에뮬레이션 화면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션 화면은 터치 영역과 하나 이상의 소프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에서 드래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따라 포인터의 이동을 상기 외부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에서 제 1 터치 좌표와 제 2 터치 좌표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2 터치 좌표를 각각 제 3 터치 좌표 및 제 4 터치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제 3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4 터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터치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 1 화면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2 터치 좌표를 각각 상기 제 3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4 터치 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50.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표시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에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상기 제 1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51. 외부표시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표시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터치패널과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표시장치의 제 1 화면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2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에뮬레이션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에뮬레이션 화면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외부표시장치의 제 1 화면과 관련된 것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에뮬레이션 화면이 표시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에뮬레이션 화면이 아닌 다른 영역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 1 화면과 관련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션 화면은 터치 영역과 하나 이상의 소프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에서 드래그가 검출된 경우,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따라 포인터의 이동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에서 제 1 터치 좌표와 제 2 터치 좌표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 1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2 터치 좌표를 각각 제 3 터치 좌표 및 제 4 터치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제 3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4 터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 1 화면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2 터치 좌표를 각각 상기 제 3 터치 좌표 및 상기 제 4 터치 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7.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표시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무선통신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상기 제 1 화면을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8.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를 구비하고, 상기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화면을 상기 외부표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30108759A 2012-09-10 2013-09-10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80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8985P 2012-09-10 2012-09-10
US201261698909P 2012-09-10 2012-09-10
US61/698,909 2012-09-10
US61/698,985 2012-09-10
KR1020120104794 2012-09-20
KR1020120104823 2012-09-20
KR20120104794 2012-09-20
KR20120104823 2012-09-20
KR1020130003465A KR20140034025A (ko) 2012-09-10 2013-01-11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130003465 2013-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100A true KR20140034100A (ko) 2014-03-19
KR102080146B1 KR102080146B1 (ko) 2020-02-24

Family

ID=5064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759A KR102080146B1 (ko) 2012-09-10 2013-09-10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14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52B1 (ko) * 2013-04-01 2015-07-16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상 화면 영상 및 로컬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70044116A (ko) * 2014-08-26 2017-04-2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오브젝트를 편집 가능한 형태로 전체 화면 팝 아웃하는 기법
US9766849B2 (en) 2014-11-03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180099352A (ko) * 2017-02-28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윈도우 관리 방법
KR20190032744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직구동 롤러 모듈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CN109669659A (zh) * 2019-01-15 2019-04-23 盛子望 用于连接移动终端进行数据处理的电子设备
KR20190069877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KR20190111557A (ko) * 2018-03-23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377253A (zh) * 2019-06-27 2019-10-25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源共享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KR20200082614A (ko) * 2018-12-31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4510205A (zh) * 2021-12-30 2022-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交互方法、显示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954A (ko) 2021-07-07 202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복수의 표시 장치들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8780A1 (en) * 2008-05-20 2010-06-03 Adam Marano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external display devices with a mobile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8780A1 (en) * 2008-05-20 2010-06-03 Adam Marano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external display devices with a mobile computing device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52B1 (ko) * 2013-04-01 2015-07-16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상 화면 영상 및 로컬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70044116A (ko) * 2014-08-26 2017-04-2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오브젝트를 편집 가능한 형태로 전체 화면 팝 아웃하는 기법
US10353656B2 (en) 2014-11-03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9766849B2 (en) 2014-11-03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180099352A (ko) * 2017-02-28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윈도우 관리 방법
US11650722B2 (en) 2017-02-28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window
US11086494B2 (en) 2017-02-28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window
KR20190032744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직구동 롤러 모듈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KR20190069877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US11353968B2 (en) 2017-12-12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display coordinates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KR20190111557A (ko) * 2018-03-23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2614A (ko) * 2018-12-31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141752A1 (ko) * 2018-12-31 2020-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트롤러 장치를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669659A (zh) * 2019-01-15 2019-04-23 盛子望 用于连接移动终端进行数据处理的电子设备
CN109669659B (zh) * 2019-01-15 2023-08-29 深圳安柠科技有限公司 用于连接移动终端进行数据处理的电子设备
CN110377253A (zh) * 2019-06-27 2019-10-25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源共享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CN110377253B (zh) * 2019-06-27 2023-07-07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源共享方法、装置、系统、设备及介质
CN114510205A (zh) * 2021-12-30 2022-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交互方法、显示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510205B (zh) * 2021-12-30 2024-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交互方法、显示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146B1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8720B2 (en)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JP6478181B2 (ja) 携帯端末と外部表示装置の連結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装置
KR102080146B1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CN106227344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2993566B1 (en) Application interface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U2014288039B2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KR102044826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10877624B2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45121A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033561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26132A (ko)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73714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28223A (ko) 주소록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82074B1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4916A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034025A (ko) 휴대단말에서 표시장치별 윈도우 레이아웃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43188A (ko) 휴대 단말에서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