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679A -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 Google Patents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679A
KR20150009679A KR1020130083905A KR20130083905A KR20150009679A KR 20150009679 A KR20150009679 A KR 20150009679A KR 1020130083905 A KR1020130083905 A KR 1020130083905A KR 20130083905 A KR20130083905 A KR 20130083905A KR 20150009679 A KR20150009679 A KR 2015000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oor
sliders
folding typ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861B1 (ko
Inventor
주재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8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등의 차량에 장착되는 폴딩 타입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고 주행 중 떨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개폐작동시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전후 슬라이더 및 상하 슬라이더의 조합을 갖춘 새로운 형태의 스톱퍼를 구현함으로써, 스톱퍼 삽입시에는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갭을 확보할 수 있고, 스톱퍼 삽입 후에는 스톱퍼를 유동없이 잡아줄 수 있는 등 스톱퍼의 원활한 삽입은 물론, 주행 중 유동에 의한 도어 떨림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Stopper for folding type door}
본 발명은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등의 차량에 장착되는 폴딩 타입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고 주행 중 떨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도어는 도어본체가 1개 이루어진 스윙 타입 도어(Swing type door)와 2개로 이루어진 폴딩 타입 도어(Folding type door)로 구분되며, 현재 국내 도시형 버스의 전문(Front door)은 대부분 폴딩 타입 도어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폴딩 타입 도어는 2개의 도어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도어본체는 다수 개의 도어힌지에 의해 접힘 및 펴짐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이때의 1개의 도어본체는 다수 개의 도어힌지를 매개로 차체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측에 설치되는 도어본체에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브라켓에는 차체측에 지지되는 도어 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어 있어서, 도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폴딩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보통 폴딩 타입 도어의 경우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별다른 지지구조가 없기 때문에 버스의 주행 중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이때의 진동은 폴딩 도어에 그대로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폴딩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차체측에 폴딩 도어를 잡아줄 수 있는 스톱퍼를 설치한 버스가 많이 운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톱퍼는 폴딩 도어 개폐시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로의 개폐를 유도하고, 도어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며, 주행 중 유동에 의한 도어 떨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톱퍼가 갖추어져 있는 폴딩 도어는 한국 공개특허 10-2002-0040395호, 한국 공개특허 10-2007-0039820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0-0009689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1-0001254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서, 도 1은 종래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폴딩 도어측에 설치되는 도어 스톱퍼(100)와 차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스톱퍼(110)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 스톱퍼(100)의 후단부는 도어 프레임(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스프링(도 2의 도면부호 130)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스톱퍼(110)에는 도어 스톱퍼(100)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140)가 형성되고, 도어 닫힘시의 경우 도어 스톱퍼(100)의 선단부가 가이드 스톱퍼(110)의 홈부(140) 내에 안착됨에 따라 폴딩 도어 전체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종래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 도어 닫힘시 도어 스톱퍼(100)는 가이드 스톱퍼(110)의 앞쪽에서 비스듬하게 진입한 후, 그 선단부를 통해 가이드 스톱퍼(110)에 있는 홈부(140)의 입구에 접촉되면서 약간 뒤로 밀리게 되고, 계속해서 폴딩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게 되면, 도어 스톱퍼(100)의 선단부가 스프링(130)의 힘으로 인출되어 홈부(140) 내에 삽입 안착되므로서, 폴딩 도어 닫힘 상태가 흔들림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톱퍼와 가이드 스톱퍼의 형상은 도어 개폐 궤적 검토로 결정된다.
또한, 도어 스톱퍼와 가이드 스톱퍼는 플라스틱 재질로 각각 도어 및 필라 하단에 고정 장착되므로, 도어 개폐시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도어 닫힘상태에서 도어 스톱퍼와 가이드 스톱퍼는 일정 갭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가이드 스톱퍼에 도어 스톱퍼 삽입시 도어 위치 공차 발생으로 삽입에 어려움이 있고, 삽입 후 차체 진동 및 주행풍에 의해 도어 떨림 발생을 줄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궤적과 스톱퍼의 궤적이 서로 상이하여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어 개폐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여유를 둔 도어 스톱퍼와 가이드 스톱퍼 간 갭에서 주행 중 차량 진동에 의한 도어 떨림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 개폐작동시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전후 슬라이더 및 상하 슬라이더의 조합을 갖춘 새로운 형태의 스톱퍼를 구현함으로써, 스톱퍼 삽입시에는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갭을 확보할 수 있고, 스톱퍼 삽입 후에는 스톱퍼를 유동없이 잡아줄 수 있는 등 스톱퍼의 원활한 삽입은 물론, 주행 중 유동에 의한 도어 떨림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기본적으로 폴딩 도어측에 설치되는 도어 스톱퍼와 차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스톱퍼를 포함하고, 폴딩 도어 닫힘시 도어 스톱퍼의 선단부가 가이드 스톱퍼의 홈부 내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특히 가이드 스톱퍼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움직이는 상하 슬라이더 및 앞뒤로 움직이는 전후 슬라이더와 상기 전후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도어 스톱퍼에 의해 전후 슬라이더가 뒤로 밀리면 이와 연계되어 상하 슬라이더가 위로 올라가면서 도어 스톱퍼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상하 슬라이더 및 전후 슬라이더의 조합을 이용하여 도어 스톱퍼를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스톱퍼의 원활한 삽입은 물론 도어의 떨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 슬라이더에는 경사진 구조의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드 홈 내에 끼워져 안내를 받는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여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슬라이드 홈 간의 슬라이드 결속구조에 의해 상하 슬라이더와 전후 슬라이더가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상하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어 스톱퍼 진동 및 떨림을 흡수하는 완충부재 및 가이드 스톱퍼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어 스톱퍼 진동 및 떨림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주행 중 차체 진동 및 주행풍에 의한 도어의 유동 및 공차 흡수로 가이드 스톱퍼와 도어 스톱퍼 간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도어 스톱퍼 삽입시 상하 슬라이더의 작동거리 만큼 여유를 가짐으로써, 도어 스톱퍼 삽입시 이탈 및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셋째, 가이드 스톱퍼 상단 완충부재와 상하 슬라이더의 상단 완충부재가 도어 스톱퍼의 진동 및 떨림을 흡수하여 소음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가 적용되는 폴딩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가 적용되는 폴딩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도어는 힌지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접힘 및 펴짐이 가능한 2개의 도어본체(20a,20b)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때의 1개의 도어본체(20a)는 다수 개의 도어힌지(미도시)를 매개로 차체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측에 설치되는 도어본체(20a)에는 브라켓(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브라켓(25)에는 차체측에 지지되는 도어 실린더(21)의 실린더 암(22)이 연결되어 있어서, 도어 실린더(21)의 작동에 따라 폴딩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어본체(20b)의 측하단부 도어 프레임(12)과 도어 닫힘시 이곳과 접하는 차체측(미도시)에는 주행 중 유동에 의한 도어 떨림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24)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는 폴딩 도어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설치되는 도어 스톱퍼(10)와 차체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설치되는 가이드 스톱퍼(11)를 포함하며, 폴딩 도어의 닫힘시 가이드 스톱퍼(11)의 홈부(14) 내에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가 삽입되므로서, 도어 스톱퍼(10)를 포함하는 폴딩 도어 전체가 차체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스톱퍼(11)의 홈부(14) 내에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가 진입하는 과정을 원활히 유지시켜주고, 또 가이드 스톱퍼(11)의 홈부(14) 내에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 삽입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슬라이더 수단으로, 상하 슬라이더(15)와 전후 슬라이더(16)가 마련된다.
상기 상하 슬라이더(15)는 사각의 수평판과 이 수평판의 저면에서 아래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전후 슬라이더(16)는 사각의 수직판과 이 수직판의 후면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판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 슬라이더(15)의 일측, 즉 수직판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돌기(18)가 형성되며, 이때의 슬라이드 돌기(18)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홈(17) 내에 슬라이드 결속되어 홈을 타고 다니면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 슬라이더(15)의 일측, 즉 수평판의 한쪽면에는 수직판이 있는 앞쪽에서부터 뒷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홈(17)이 형성되며, 이때의 슬라이드 홈(17) 내에는 상하 슬라이더(15)에 있는 슬라이드 돌기(18)가 삽입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하 슬라이더(15)와 전후 슬라이더(16)는 서로 90°교차하는 자세에서 각각이 가지고 있는 수직판과 수평판을 교차 결합시킨 형태, 즉 한쌍의 수직판 내에 수평판이 나란하게 끼워져 위치되는 형태로 조합되고, 이렇게 조합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더(15)의 슬라이드 돌기(18)는 전후 슬라이더(16)의 슬라이드 홈(17) 내에 끼워져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합되는 상하 슬라이더(15)와 전후 슬라이더(16)는 가이드 스톱퍼(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 장착홈(20)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15)는 위아래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더(16)는 앞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슬라이더(15)와 전후 슬라이더(16)가 슬라이더 장착홈(2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더(15)의 수평판은 가이드 스톱퍼(11)에 있는 홈부(14)의 하단쪽으로, 전후 슬라이더(15)의 수직판은 가이드 스톱퍼(11)의 전면쪽으로 각각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전후 슬라이더의 경우, 비록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가이드 스톱퍼의 슬라이더 장착홈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돌기와 홈 결속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상하 슬라이더 또한 상부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하 슬라이더(15)와 전후 슬라이더(16)는 경사진 구조의 슬라이드 홈(17)과 슬라이드 돌기(18) 간의 슬라이드 결속 구조에 의해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후 슬라이더(16)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돌기(18)가 슬라이드 홈(17)을 따라 상대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때의 상하 슬라이더(15)는 아래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 슬라이더(16)가 뒷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돌기(18)가 슬라이드 홈(17)을 타고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이때의 상하 슬라이더(15)는 위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 슬라이더(1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이 마련되고, 이때의 스프링(13)은 가이드 스톱퍼(11)의 하단부 전면과 전후 슬라이더(16)의 수직판 후면 사이에 양단 지지되면서 전후 슬라이더(16)를 항상 앞쪽으로 밀어서 복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스톱퍼(11)의 홈부(14) 내에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때의 도어 스톱퍼(10), 즉 도어 스톱퍼 선단부를 잡아주는 수단으로 러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0a,20b)가 마련된다.
상기 완충부재(20a,20b)는 홈부(14)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에 밀착되면서 도어 스톱퍼(20)의 진동과 떨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완충부재(20a,20b)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도어 스톱퍼(10)의 양면에 밀착되거나 근접 위치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완충부재(20a)는 상하 슬라이더(15)의 상단부(수평판 상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되고, 다른 하나의 완충부재(20b)는 가이드 스톱퍼(11)의 상단(홈부 상단측)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측 도어 스톱퍼(10)는 차체측에 있는 가이드 스톱퍼(11)의 전면으로 진입을 시작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스톱퍼(10)의 전면이 앞쪽으로 나와 있는 전후 슬라이더(16)를 누르게 되면서 계속 홈부(14) 내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의 전후 슬라이더(16)는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뒷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전후 슬라이더(16)가 뒷쪽으로 밀려나게 되면, 전후 슬라이더(16)의 슬라이드 홈(17)을 타고 상하 슬라이더(15)에 있는 슬라이드 돌기(18)가 올라오게 되고, 이에 따라 상하 슬라이더(15)는 위로 상승하게 되므로, 결국 홈부(17)의 내측으로 삽입된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는 상하 슬라이더(15)에 의해 고정된다.
즉, 가이드 스톱퍼(11)의 홈부(14) 내에 삽입된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는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려지는 상하 슬라이더(15)와 접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또는 위아래의 완충부재(19a,19b) 사이에 잡혀져 있게 되므로, 주행 중 차체 진동이나 주행풍에 의한 도어 떨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가 홈부(14) 내에 진입되는 초기에는 전후 슬라이더(16)가 완전히 눌려지지 않기 때문에 상하 슬라이더(15) 또한 최대한 상승되는 위치보다 아래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 스톱퍼(10)의 선단부와 상하 슬라이더(15) 사이에는 여유 갭이 조성되기 때문에 도어 스톱퍼(10)는 간섭없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 스톱퍼(10)가 가이드 스톱퍼(11)에 삽입될 때, 상하 슬라이더(15)의 작동거리(상승거리) 만큼의 여유가 있어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 열림시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전후 슬라이더(16)가 앞으로 이동되면서 상하 슬라이더(15) 또한 아래로 다시 내려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하 슬라이더 및 전후 슬라이더의 조합을 통해 스톱퍼의 삽입은 물론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스톱퍼 메카니즘을 구현함으로써, 도어의 떨림을 막을 수 있고, 도어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스톱퍼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도어 스톱퍼 11 : 가이드 스톱퍼
12 : 도어 프레임 13 : 스프링
14 : 홈부 15 : 상하 슬라이더
16 : 전후 슬라이더 17 : 슬라이드 홈
18 : 슬라이드 돌기 19a,19b : 완충부재
20 : 슬라이더 장착홈 21 : 도어 실린더
22 : 실린더 암 23a,23b : 도어본체
24 :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25 : 브라켓

Claims (6)

  1. 폴딩 도어측에 설치되는 도어 스톱퍼가 차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스톱퍼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스톱퍼의 삽입 작동에 의해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가이드 스톱퍼에 삽입되는 도어 스톱퍼를 고정시켜주는 슬라이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수단은 가이드 스톱퍼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위아래로 움직이는 상하 슬라이더 및 앞뒤로 움직이는 전후 슬라이더로 구성되고, 도어 스톱퍼에 의해 전후 슬라이더가 뒤로 밀리면 이와 연계되어 상하 슬라이더가 위로 올라가면서 도어 스톱퍼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톱퍼측에 지지되면서 전후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후 슬라이더에는 경사진 구조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드 홈 내에 끼워져 안내를 받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슬라이드 홈 간의 슬라이드 결속구조에 의해 상하 슬라이더와 전후 슬라이더가 서로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어 스톱퍼 진동 및 떨림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톱퍼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어 스톱퍼 진동 및 떨림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KR1020130083905A 2013-07-17 2013-07-17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KR10197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05A KR101976861B1 (ko) 2013-07-17 2013-07-17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05A KR101976861B1 (ko) 2013-07-17 2013-07-17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79A true KR20150009679A (ko) 2015-01-27
KR101976861B1 KR101976861B1 (ko) 2019-05-09

Family

ID=5248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905A KR101976861B1 (ko) 2013-07-17 2013-07-17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8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89U (ko) * 1998-11-10 2000-06-05 정몽규 폴딩도어의 스토퍼 및 스토퍼 가이드
KR20040016261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파손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89U (ko) * 1998-11-10 2000-06-05 정몽규 폴딩도어의 스토퍼 및 스토퍼 가이드
KR20040016261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파손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861B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99B1 (ko) 차량용 개방 루프 구조
KR101383000B1 (ko) 도어 글라스 클램프장치
KR101055107B1 (ko) 포켓 도어
US11555343B2 (en) Four-bar linkage apparatus for preventing sliding door for vehicle from swaying
KR20120125363A (ko) 슬라이딩 보조장치
JP4464437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200417239Y1 (ko) 교차형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유니트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976861B1 (ko)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JP5309922B2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CN102268947B (zh) 门窗
KR20180036511A (ko) 개폐 장치
KR20110038493A (ko) 도어 개폐구조
KR101848086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장치
JP2009138498A (ja) 折り戸の支持装置
KR100828848B1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JP2014004330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JP2014125760A (ja) 引戸用ランナー構造
CN220909495U (zh) 一种推拉结构及玻璃门
KR100656609B1 (ko)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KR20170029333A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구조
KR100830658B1 (ko) 차량용 트레이
KR20110003607A (ko)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