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415A -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415A
KR20150008415A KR1020147032290A KR20147032290A KR20150008415A KR 20150008415 A KR20150008415 A KR 20150008415A KR 1020147032290 A KR1020147032290 A KR 1020147032290A KR 20147032290 A KR20147032290 A KR 20147032290A KR 20150008415 A KR20150008415 A KR 20150008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ongitudinal direction
frame
cleaning memb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631B1 (ko
Inventor
히데키 가쿠타
가즈오 차다니
게이스케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5Pivotable subunit conn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본 발명의 프린터용 클리닝 디바이스는, 프레임(14)과, 블레이드(6a)와 제1(6c2) 및 제2(6c3) 표면과 이들을 연결하는 굽힘부(6b1)를 갖는 지지부(6b)-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함 -를 포함하는 클리닝 부재(6)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밀봉 부재(28)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제1 부분(28a)과,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일 단부 및 상기 타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부분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제2 부분(28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은 경사(θ)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한다.

Description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방식(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을 이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에는,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복사기, 팩시밀리 기기, 워드 프로세서, 및 이들 기기의 2 이상의 기능을 행할 수 있는 복합기(다기능 프린터) 등이 포함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간단히 "화상 형성 장치"라고도 한다)는 아래의 단계를 통해서 화상을 형성한다: 우선, 상 담지체(image bearing member)로서, 일반적으로 드럼형인 전자 사진 감광체(감광체 드럼)를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다음으로, 감광체 드럼의 주면(peripheral surface)의 균일하게 대전된 부분의 다양한 지점을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감광체 드럼 위에 정전 잠상(정전 상)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감광체 드럼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의 토너를 이용하여 가시 상(토너 상)으로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을 기록 용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 매체에 전사한다. 그런 다음, 기록 매체 위에 전사된 토너 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정착시킨다.
잔류 토너, 즉 전사 공정 후에 감광체 드럼의 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클리닝 디바이스에 의해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종의 프로세스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토너 보급이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가능한 카트리지에 통합해서 배치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통상적인 유저 자신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의하면 편리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마련되어지는 클리닝 디바이스는,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과 클리닝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밀봉하기 위해서 시일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08-211740호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서브프레임의 결합부의 틈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과 클리닝 부재 사이의 틈에, 고착화되어 엘라스토머가 되는 액상 물질을 주입하여,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출원에 따르면,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존재하는 틈을 엘라스토머로 밀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7638호는,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클리닝 블레이드와 클리닝 블레이드 지지 프레임 사이의 틈에 탄성 발포 물질로 형성된 시일을 배치하여,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적 배치를 개시한다. 이 출원에 따르면,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클리닝 부재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탄성 발포 물질을 배치함으로써,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이러한 구조적 배치는 탄성 발포 물질로 형성되는 밀봉 부재를 이용하여, 클리닝 부재의 폭 방향에서, 클리닝 부재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 사이에 연장하는 틈을 밀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각종의 부분에 액상 엘라스토머를 도포하는 공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각종 부분에 탄성 발포 물질로 형성되는 시일을 부착하는 공정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수가 늘어나서,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조 비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또한, 전술한 틈에 액상 엘라스토머를 주입하여(부어서) 시일을 형성하면, 클리닝 부재 등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부품들 사이의 형상 및 치수의 불균일성에 의해, 클리닝 부재와 시일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클리닝 디바이스의 부품의 형상 및 치수의 불균일성에 관계없이, 클리닝 디바이스의 클리닝 부재와,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클리닝 디바이스이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평탄한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한 제2 표면,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일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타 단부에서의 제1 밀봉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 담지체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평탄한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한 제2 표면,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일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타 단부에서의 제1 밀봉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상 담지체와, (ii)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평탄한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한 제2 표면,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일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타 단부에서의 제1 밀봉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디바이스와, (iii) 상기 기록 매체를 급지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할 때에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용 금속 금형의 사시도와, 금속 금형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확대 사시도를 조합한 도면.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으로의 금형의 클램핑 이후에 도 3의 A-A 및 B-B 평면 각각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 및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용의 금속 금형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의 성형 후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의 개략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부분 분해 개략 사시도이며, 클리닝 부재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에 부착하는 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 및 클리닝 부재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이며,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에 클리닝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감광체 유닛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상기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수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감광체 유닛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측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를 갖는 감광체 유닛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를 갖는 감광체 유닛의 일부의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용 시일의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 클리닝 부재 및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의 개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이하, 간단히 화상 형성 장치(100)라고 한다)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SY, SM, SC, SK)을 가지며, 이들은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일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구성 및 동작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이 상이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특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들이 형성하는 화상의 색을 나타내는 접미사 Y, M, C, K는 생략해서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상 담지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설된 4개의 감광체 드럼(1)을 갖는다. 감광체 드럼(1)은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각각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감광체 드럼(1)의 주면의 근방에 대전 롤러(2) 및 스캐너 유닛(3)(노광 장치)을 구비한다. 대전 롤러(2)는 감광체 드럼(1)의 주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다. 스캐너 유닛(3)(노광 장치)은, 형성될 상의 정보로 조사하는 레이저 광의 빔을 변조하면서, 상기 빔으로 감광체 드럼(1)의 주면을 주사(노광)해서 감광체 드럼(1) 상에 정전 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이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스테이션은, 감광체 드럼(1)의 주면 근방에 배치된 현상 장치(4)(이하, 현상 유닛) 및 클리닝 부재(6)를 구비한다. 현상 유닛(4)은 정전 상을 토너 상으로서 현상하는 현상 수단이다. 클리닝 부재(6)는 토너 상의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의 주면에 남은 토너(전사 잔류 토너)를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체 드럼(1) 상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의 시트(12)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5)를 구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4개의 감광체 드럼(1)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토너로서 비자성 1성분 현상제를 이용한다. 현상 유닛(4)은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를 갖고,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감광체 드럼(1) 상의 정전 상을 현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1)과, 처리 수단, 보다 구체적으로, 감광체 드럼(1)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2), 현상 유닛(4) 및 클리닝 부재(6)는,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되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형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체와, 전자 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의 적어도 하나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디바이스를 적어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 및 카트리지 위치 결정 부재 등의 도시되지 않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그들이 사용하는 토너(현상제)의 색은 상이하지만 형상은 동일하다. 그들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토너를 각각 수용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모든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고, 도면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복수의 벨트 지지 부재(구동 롤러(51), 2차 전사 롤러에 대향하는 롤러(52), 종동 롤러(53))에 의해 걸쳐져 신장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중간 전사 벨트(5)가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측과 접촉하여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는 방식으로, 1차 전사 수단으로서 4개의 1차 전사 롤러(8)가 각각 병설된다. 또한, 상기 벨트 루프의 외측에는, 롤러(52)에 대향하는 방식으로,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9)가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광체 드럼(1)의 주면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다음으로, 스캐너 유닛(3)에 의해 조사된, 형성될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광 빔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의 주면이 주사(노광)된다. 결과적으로, 감광체 드럼(1)의 주면 위에, 형성될 화상 정보를 반영하는 정전 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상은, 현상 유닛(4)에 의해 토너 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은, 1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위에 전사(1차 전사)된다. 예를 들면, 풀 컬러 화상을 위한 화상 형성 동작 시에는, 상술의 프로세스가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SY, SM, SC, SK) 각각에서 순차적으로 행하여진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이 형성된 상이한 색의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5) 위에 서로 겹쳐져서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5)의 이동과 동기하여, 기록 매체의 시트(12)가 2차 전사 스테이션에 반송되어,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상이한 색의 4개의 토너 상이, 중간 전사 벨트(5)와의 사이에 기록 매체의 시트(12)를 개재하여 중간 전사 벨트(5)와 접촉하는 2차 전사 롤러(9)의 작용에 의해 기록 매체의 시트(12) 상에 함께 전사(2차 전사)된다.
기록 매체의 시트(12) 상에 토너 상이 전사된 후에, 시트(12)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디바이스(10)에 반송된다. 정착 디바이스(10)에서는, 시트(P)에 열 및 압력을 가해서 시트(12)에 토너 상이 정착된다. 그 후, 토너 상이 정착된 시트(12)는 완성된 인쇄물로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100A)로부터 출력된다.
1차 전사 잔류 토너, 즉 1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체 드럼(1)의 주면 상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부재(6)에 의해 제거되어, 제거 토너용 챔버(14a)로 회수된다.
2차 전사 잔류 토너, 즉 2차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벨트 상에 잔류한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5)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디바이스(11)에 의해 제거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각 특정한 하나, 또는 2 이상의(전부일 필요는 없음)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단색 화상 또는 다색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2.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17)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개략 단면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감광체 드럼(1) 등을 구비한 감광체 유닛(13)과, 현상 롤러(17) 등을 구비한 현상 유닛(4)을 갖는다.
감광체 유닛(13)은, 감광체 유닛(13)의 각종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을 갖는다.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는, 도시되지 않은 한 쌍의 베어링을 감광체 드럼(1)과 프레임(14) 사이에 개재하여, 감광체 드럼(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감광체 드럼(1)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13)의 감광체 드럼(1)의 주면 상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마련되어진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 빔 L이 투사된다. 또한, 감광체 유닛(13)은, 감광체 드럼(1)의 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대전 롤러(2) 및 클리닝 부재(6)를 구비한다.
클리닝 부재(6)는 감광체 드럼(1)의 주면 상에 남은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탄성부(6a)와, 탄성부(6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b)로 구성된다. 이 탄성부(6a)는 지지부(6b)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탄성부(6a)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블레이드(고무 블레이드)의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6b)는 금속제의 평탄한 판금을 펀칭 프레스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형성하였다. 탄성부(6a)의 재료의 고무 물질로서는 우레탄 고무가 우수하다. 지지부(6b)의 재료로서는, 도금 강판이 우수하다. 혹은, 스테인리스스틸 판을 이용해도 된다. 감광체 드럼(1)을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했을 때에, 지지부(6b)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휘는 문제점을 억제하기 위해서, 지지부(6b)는 전체 길이를 따라 굽혀져 굽힘부(6b1)가 형성되어, 지지부(6b)의 하나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장한다. 클리닝 디바이스(11)는, 감광체 드럼(1)의 주면으로부터 전사 잔류 토너가 제거될 때에, 전사 잔류 토너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폐 토너 수납부(14a) 내에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클리닝 디바이스(60)는, 적어도 상 담지체로부터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부재(6)를 지지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과, 클리닝 부재(6)와 프레임(14)의 사이의 원치 않는 틈을 막는 시일(28)(후술함)로 구성된다.
좀 더 설명하면, 지지부(6b)는,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소정 부분(굽힘부)(6b1)에서 굴곡되어 굽혀진 1매의 길고 좁은 금속 판금이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이하에서는 제1 방향이라고 함)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은 대략 L자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굽힘부(6b1)는 폭 방향에 관하여 중심부와 교차하는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즉, 지지부(6b)는, 굽힘부(6b1)에 의해 연결되고,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평탄부(6b2, 6b3)로 이루어진다. 클리닝 부재(6) 및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 굽힘부(6b1)에 평행한 방향(제1 방향)은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고, 굽힘부(6b1)에 수직인 방향은 클리닝 부재(6)의 폭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서, 굽힘부(6b1), 제1 부분(6b2), 제2 부분(6b3)은 모두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다. 클리닝 부재(6)의 탄성부(6a)는 굽힘부(6b1)로부터 제1 부분(6b2)의 대향 에지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탄성부(6a)는 제1 부분(6b2)의 하나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다른 길이 방향의 단부로 연장한다. 지지부(6b)는, 클리닝 부재(6)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한 후에, 제2 부분(6b3)이 제1 부분(6b2)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을 향해 돌출하도록 굽혀진다. 이하에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내측에 대면하는, 굽힘부(6b1)의 표면, 제1 부분(6b2)의 표면, 제2 부분(6b3)의 표면, 즉 시일(28)(후술함)이 접촉하여 배치되는 표면이 굽힘부 표면(6c1), 제1 표면(6c2), 제2 표면(6c3)으로 지칭될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대전 롤러(2)가 대전 롤러 베어링(15)에 의해 지지될 때에, 대전 롤러(2)의 회전축이 감광체 드럼(1)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되고, 또한 대전 롤러 베어링(15)이 도면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된 한 쌍의 대전 롤러 베어링(15)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전 롤러(2)의 회전축(2a)은 대전 롤러 베어링(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한 쌍의 압축 스프링(1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을 향해서 가압된다.
현상 유닛(4)은, 현상 유닛(4)의 각종 내부 요소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 프레임(18)을 갖는다. 현상 유닛(4)은,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해서 도면에서 화살표 D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를 구비한다. 현상 롤러(17)는 그 길이 방향의 양 단부(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 의해, 현상 롤러(17)와 현상 유닛 프레임(18) 사이에 한 쌍의 현상 롤러 베어링(19)(19R, 19L)을 개재하여, 현상 유닛 프레임(1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현상 롤러 베어링(19)(19R, 19L)은 현상 유닛 프레임(18)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현상 유닛(4)은, 현상제 수납 챔버(18a)(이하, 토너 수납 챔버라고 한다)와 현상 롤러(17)가 배치된 현상 챔버(18b)를 구비한다. 또한, 현상 유닛(4)은, 현상 롤러(17)에 접촉해서 도면에서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부재로서의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17)의 주면 상에 형성된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1)를 구비한다. 현상제 공급 롤러(20) 및 현상 블레이드(21)는 현상 챔버(18b) 내에 배치된다. 현상 블레이드(21)는, 예를 들면 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현상 블레이드 홀더(22)에 용접됨으로써, 현상 블레이드 홀더(2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현상 유닛(4)은, 현상 유닛(4)의 토너 수납 챔버(18a)에 위치하여, 토너를 교반하면서 수납 챔버(18a) 내의 토너를 토너 공급 롤러(20)에 반송하기 위한 교반 부재(23)를 구비한다. 교반 부재(23)는 토너 수납 챔버(18a)로부터 개구부(18c)를 개재하여 현상 챔버(18b)에 토너를 공급한다.
그리고, 현상 유닛(4)은, 우측 및 좌측 현상 롤러 베어링(19R, 19L)에 각각 마련되어진 한 쌍의 구멍(19Ra, 19La)에 끼워 맞춤된 한 쌍의 축(24)(24R, 24L)을 중심으로 해서 감광체 유닛(13)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방식으로 감광체 유닛(13)에 부착된다. 현상 유닛(4)은 압축 스프링(25)으로부터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동작에 이용되기 시작하면, 현상 유닛(4)은 축(24)을 중심으로 도면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17)는 접촉하게 된다.
3. 폐 토너 수납부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한 시일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폐 토너 수납부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한 시일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사이의 원치 않는 틈을 밀봉하기 위한 성분으로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시일 부재(28)(이하, 간단히 시일(28)이라고도 한다)를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기 전의 본 실시예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개략 정면도이다.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은, 시일(28)용 재료인 액상 엘라스토머가 주입되는 주입구(14b1 내지 14b3)와, 액상 엘라스토머가 주입되는 홈(14c1 내지 14c3)을 구비한다. 시일 부재(28)의 형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도 3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면(14d1 내지 14d3)에 시일(28)을 생산하기 위하여 형성된 금속 금형(26)을 접촉시켜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클램핑한다. 도 4의 (a)는 (도 3에 나타내는) 시일(28)용 금속 금형(26)의 이면의, 시일(28) 형상으로 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C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대한 시일(28)을 위한 금속 금형(26)이 클램핑된 후의 주입구(14b1)와 일치하는 단면(도 3의 A-A 단면)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의 (b)는 주입구(14b2)와 일치하는 단면(도 3의 B-B 단면)에서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주입 장치(27)로부터 액상 엘라스토머가 주입구(14b1)로 주입되면, 액상 엘라스토머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홈(14c1)과 시일(28)용 금속 금형(26)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흐르고, 계속해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향해 흐르고,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사이를 연장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에서의 틈을 밀봉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액상 엘라스토머가 주입구(14b2)로 주입되면, 액상 엘라스토머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홈(14c2)과 시일(28)용 금속 금형(26)의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흐르고, 계속해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 양 단부를 향해 흐르고,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사이를 연장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에서의 틈을 밀봉한다. 주입구(14b3)로 주입된 액상 엘라스토머의 이동은 주입구(14b2)에 주입된 액상 엘라스토머의 이동과 마찬가지이다.
시일(28)용 금속 금형(26)은, 시일(28)의 제2 부분(28a)에 대응하는 금형(26)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이 금형(26)의 제1 부분(28b)에 대응하는, 금형(26)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한다(도 4).
도 6은 시일(28)의 성형 후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개략 정면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시일(28)용 금속 금형(26)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으로 흐르게 된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시일(28)의 제1 부분(28b)이,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된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시일(28)의 제2 부분(28a)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그 때문에, 엘리스토머가 주입구(14b1, 14b2, 14b3)에 주입될 때에, 시일(28)은, 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28)의 제2 부분(28a)이 (각각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는) 폭 방향으로 흐르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28)의 제1 부분(28b)에 연통되는 형상으로 엘라스토머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일(28)의 제1 부분(28b)은, 클리닝 부재(6)의 탄성부(6a)가 마련되어진 폭 방향의 일 단부로부터, 클리닝 부재(6)의 탄성부(6a)가 마련되어지지 않은 폭 방향의 타 단부, 즉 지지부(6b)를 갖는 단부까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에서,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로 연장하는 간격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일부이다. 시일(28)의 제2 부분(28a)은, 탄성부(6a)로부터 클리닝 부재(6)의 반대 측에 존재하고, 지지부(6b)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을 밀봉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부재(6)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탄성부(6a)와, 탄성부(6a)를 지지하는 지지부(6b)를 갖는다. 지지부(6b)는 평평하고 제1 표면(6c2)과 교차하는 평탄한 제2 표면(6c3)인 제1 표면(6c2)과, 지지부(6b)의 제1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 영역에 걸쳐 제1 및 제2 표면(6c2, 6c3)을 연결하는 곡면(6c1)을 갖는다. 탄성부(6a)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곡면(6c1)으로부터 곡면(6c2)의 반대쪽 에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방향의 에지를 따라 연장한다. 시일(28)은 제1 및 제2 부분(28b, 28a)을 갖는다. 즉, 제1 부분(28b)은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을, 탄성부(6a), 제1 표면(6c2) 및 제2 표면(6c3)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걸쳐 밀봉한다. 제1 및 제2 부분(28b, 28a)은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단일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시일(28)용 재료로 적합한 엘라스토머는, 스티렌 엘리스토머, 실리콘 고무, 연질 고무 등의 스티렌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엘라스토머는 스티렌 엘라스토머이다. 본 실시예의 시일(28)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상에 존재하며,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일체의 부분이도록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된다.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원치 않는 틈의 부분을 밀봉하는 시일(28)의 구성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시일(28)의 제1 및 제2 부분(28b, 28a)은 시일(28)의 일체의 부분으로서 함께 형성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과,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6b)를 따라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에 연장하는 틈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이 2개의 별도의 시일이 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클리닝 디바이스)를 조립하는 데에 필요한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틈의 일부를 밀봉하는 시일(28)의 제1 부분(28b)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좌측 및 우측 단부로부터 폐 토너 수납부의 개구부(29)의 길이 방향 좌측 및 우측 단부로 각각 대각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면(28b1, 28b2)을 갖는다. 이들 경사면(28b1, 28b2)이 시일(28)에 구비되기 때문에,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주면으로부터 긁어 떨어뜨려진 토너는 낙하 시에 폐 토너 수납부(14a)의 개구부(29)로 인도된다.
도 7은 클리닝 부재(6)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내로 떨어지도록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되기 직전의 클리닝 디바이스(11)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부분 분해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 상세한 설명에서,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그 관련 요소의 설명은,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 및 그 관련 요소에도 적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6)는,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마련된 홈(6b4)에,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마련된 볼록부(14e)가 끼워 맞춤되도록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내로 하강된다. 이러한 클리닝 부재(6)의 하강시에,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어진 보스(14f)가,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된 기다란 구멍(6b5)에 끼워 맞춤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6)의 폭 방향의 이동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볼록부(14e)에 의해 규제되고, 길이 방향의 이동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보스(14f)에 의해 규제된다.
도 8은 시일(28)의 성형 후에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내로 떨어지도록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내로 하강됨으로써 클리닝 부재(6)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되기 직전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및 클리닝 부재(6)의 일부의 조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에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도에 대하여,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제2 부분(28a)의 형상이, 부분(28a)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시일(28)의 일부(28a)의 중앙과 일치하는 도 8의 라인 O가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시일(28)이 접촉하는)제2 표면(6c3)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지도록 시일(28)이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28)의 제2 부분(28a)의 선단(28a1)은 경사면과 전술한 라인 O 사이의 각도가 대략 전술한 각도 θ와 동일하도록 경사져서, 선단(28a1)의 경사면이 클리닝 부재(6)의 제2 표면(6c3)에 대략 평행하게 된다. 즉, 시일(28)의 제2 부분(28a)은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제2 표면(6c3)에 대하여 경사진 립(lip)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세하게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과 시일(28)은 각도 θ가 0°이상 90°이하로 되도록 형성된다(0°<θ<90°).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클리닝 부재(6)가 부착되는 경우,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제2 부분(28a)의 선단(28a1)은, 선단(28a1)이 클리닝 부재(6)에 의해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살표 G로 표시된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클리닝 부재(6)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클리닝 부재(6)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한 후에 해제된다. 해제되면, 시일(28)의 제2 부분(28a)은 클리닝 부재(6)의 제2 표면(6c3)에 접촉한다. 또한, 선단(28a1)이 해제되면,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제1 부분(28b) 또한 클리닝 부재(6)(탄성부(6a), 제1 표면(6c2), 굽힘부 표면(6c1), 제2 표면(6c3))와 접촉하게 된다.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구조적 배치는, 제1 및 제2 부분(28b, 28a)이 클리닝 부재(6)와 접촉하면, 시일(28)이 최적으로 압축되어, 그 탄성에 의해 클리닝 부재(6)에 밀착하게 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단부는 작은 나사를 위한 구멍(14g)을 구비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6)는, 클리닝 부재(6)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어진 작은 구멍(6b6)을 관통하여 구멍(14g)에 나사로 고정되는 작은 나사(35)에 의해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도 9는 감광체 유닛(13)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클리닝 부재(6)를 부착한 후, 대전 롤러(2)가 대전 롤러 베어링(15)에 부착된다. 그 후, 클리닝 부재(6)의 탄성부(6a)의 코너에, 감광체 드럼(1)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사이의 틈을 밀봉하기 위한 단부 시일(30a)이 부착된다. 단부 시일(30a)은 파일(pile) 등의 직포로 형성된다. 또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과 감광체 드럼(1)의 사이의, 감광체 드럼(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용체 시트(31)가 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체 시트(31)는 감광체 드럼(1)의 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감광체 드럼(1)의 주면과 대면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에지에 부착된다. 수용체 시트(31)는, PET나 PPS 등의 얇은 시트를 펀칭해서 형성된다. 단부 시일(30a)와 수용체 시트(31)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미리 정해진 표면 영역에 부착된 도시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부착된다. 그 후, 감광체 드럼(1)이,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감광체 드럼(1)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에 개재하여,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된다.
도 10은 감광체 드럼(1)을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한 후의 감광체 유닛(13)의 단면도이다. 대전 롤러(2)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 토너 수납부(14a)는, 감광체 유닛(13)의 복수의 요소, 즉 감광체 드럼(1), 클리닝 부재(6), 수용체 시트, 단부 시일(30), 시일(28),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이다.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에서 클리닝 부재(6)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이 엘라스토머로 밀봉되는 경우, 이 틈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코너 및/또는 클리닝 부재(6)의 굽힘부에서, 각종 부품의 형상 및 치수가 그 사양으로부터 벗어남에 의해 미세하게 밀봉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틈의 밀봉 후에도, 프로세스 카트리지(7)로부터, 특히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이 클리닝 부재(6)의 굽힘부에 대향하는 곳으로부터 현상제(토너)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8(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및 클리닝 부재(6)의 일부의, 전술한 제1 방향(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의 라인 O가 클리닝 부재(6)의 제2 표면(6c3)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감광체 유닛(13)이 구성된다.
즉,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제2 부분(28a)은,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에 의해 반력 F1을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일(28)의 제2 부분(28a)은 지지부(6b)의 제2 표면(6c3)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진다. 따라서, 제2 부분(28a)이 받는 힘의 실제량은, 제2 표면(6c3)에 평행하고, 굽힘부(6c1)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 Fa의 분력, 즉 FaSinθ이다. 또한, 도면에서 시일(28)의 제2 부분(28a)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우측(선단(28a1))이, 제2 표면(6c3)의 수직인 방향의 제2 부분(28a)에 작용하는 반력 Fa의 다른 분력, 즉 FaCosθ를 받게 된다.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제1 부분(28b)은, 지지부(6b),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표면(6c2)에 의해, 도면에서 연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반력 Fb를 받는다.
따라서, 지지부(6b)의 굽힘부(6b1)(즉, 굽힘부 표면(6c1))와 접촉하는, 시일(28)의 코너부(28c)는, 연직 상방으로 힘 FaSinθ에 의해 잡아 당겨지고, 또한, 연직 하방으로 힘 Fb에 의해 잡아 당겨진다. 엘리스토머로 구성되는 시일(28)이 이러한 상방 및 하방의 힘으로 잡아 당겨지므로, 코너부(28c)는 도면에서 화살표 H 방향으로 지지부(6b)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코너부(28c)가 상기 방향으로 변형하여 지지부(6b)를 가압하면, 굽힘부(6b1)와 코너부(28c) 사이의 접촉압은 커진다.
따라서, 지지부(6b)와 굽힘부(6b1)의 치수가 그 사양과 약간 다르고/다르거나, 시일(28)의 코너부(28c)의 형상이 약간 다른 경우에도, 시일(28)이 밀착하여,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굽힘부(6b1)와 확실하게 밀착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굽힘부(6b1)에 대응하는 감광체 유닛(13)의 일부로부터 폐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6)의 제2 표면(6c3)에 대한 시일(28)의 제2 부분(28a)의 전술한 각도 θ는 0°이상 90°이하(0°<θ <9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θ=0°인 경우, 도면에서 수평이며 지지부(6b)에 가압하는 힘 FaCosθ는 0이다(θ=0). 따라서, 제2 부분(28a)은 폐 토너를 폐 토너 수납부(14a)에 밀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θ=90°인 경우, 도면에서 수직인 힘 FaSinθ는 0이다. 따라서, 시일(28)의 코너부(28c)를 끌어당기는 힘이 없게 된다. 이것이 각도 θ가 0°이상 90°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이다. 또한, 각도 θ는 0°보다 약간 크고, 90°보다 약간 작은 것,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60°의 범위(20°<θ <60°)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일부(28a)와,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일부(28b)는 단일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조 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시일(28)이 클리닝 부재(6)에 의해 시일(28)이 클리닝 부재(6)의 굽힘부(6b1)를 밀착하여 가압하게 하는 반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코너부 및/또는 클리닝 부재(6)의 굽힘부(6b1)가 형상이 약간 다르고/다르거나, 그 사양과 치수가 약간 다른 경우에도, 클리닝 부재(6)의 굽힘부(6b1)의 위치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분(감광체 드럼 유닛)이 확실히 밀봉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된 클리닝 부재(6) 사이의 원치 않는 틈을 밀봉하는 구조적 배치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클리닝 부재 및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을 위한 구조적 배치는, 클리닝 부재가 클리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클리닝 디바이스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고, 적용가능하다.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6)를 구비한 클리닝 디바이스(1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클리닝 디바이스(11)와 기능 및 구조가 등가이거나 동일한 본 클리닝 디바이스(11)의 요소에는 상술한 클리닝 디바이스(11)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주어진다.
도 11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사시도이다.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는, 제1 부분(6b2)의 단부 표면 상에 존재하고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돌기부(6e)를 구비한다. 또한, 클리닝 부재(6)는 원통부(6f)를 구비한다. 원통부(6f)는 수지로 성형되고, 원통부(6f)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작은 구멍(6g)(부착 구멍)의 소정의 부분이 단면(직경)이 돌기부(6e)보다 작도록 형성된 작은 구멍(6g)을 구비한다. 원통부(6f)는 돌기부(6e)에 끼워 맞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부(6e)는 원통부(6f)에 끼워 맞춤된다. 이것은 클리닝 부재(6)의 축으로서 기능한다. 원통부(6f)는 지지부(6b)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단면에 대하여,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한 소정 범위에 걸쳐, 작은 구멍(6g)이 돌기부(6e)보다 치수가 작은 형상으로 수지로 성형된다. 따라서, 원통부(6f)의 작은 구멍(6g)에 지지부(6b)의 돌기부(6e)가 압입되면, 원통부(6f)가 돌기부(6e)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2는 클리닝 부재(6)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사시도이다. 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클리닝 부재(6)는, 감광체 드럼(1)을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토크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클리닝 부재(6)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술한 축(원통부(6f))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방식으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 지지부(14h)를 구비하여 원통부(6f)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부(14h)는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부가 U자 형상이다. 즉, 지지부(14h)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내면에 존재하며, 내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것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부가 U자 형상인 원통부 지지면(베어링부)를 갖는다. 이 지지면은 감광체 드럼(1)을 향해 대면한다. 클리닝 부재(6)는 원통부(6f)가 지지부(14h)에 떨어뜨려지는 방식으로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된다. 지지부(14h)의 원통부 베어링 표면의 내경과 원통부(6f)의 외경 사이의 관계는, 원통부(6f)가 지지부(14h)에 매끄럽게 끼워 맞춤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통부(6f)가 지지부(14h)의 원통부 베어링부에 끼워 맞춤되면, 클리닝 부재(6)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의해 그 원통부(6f)에 의해 지지되어, 클리닝 부재(6)가 원통부(6f)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간의 유일한 접촉 영역은, 전자가 후자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영역이다.
도 13은 프레임에 클리닝 부재(6)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감광체 유닛(13)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에서는 감광체 드럼(1) 및 대전 롤러(2)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는 지지부(6b)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부착부(6d)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부착부(6d)는 지지부(6b)의 제2 부분(6b3)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다. 즉, 스프링 부착부(6d)(클리닝 부재의 텐션 생성 부재 부착부)는 지지부(6b)의 제2 부분(6b3)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지부(6b)의 길이 방향의 단부의 작은 부분은, 제2 부분(6b3)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사실상 돌기부가 되도록 절단된다. 스프링 부착부(6d)의 선단은, 텐션 스프링(34)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가 부착되는 엄지 손가락 형상의 부분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본 변형예에서는, 텐션 스프링(34)은 지지부(6b)의 제1 부분(6b2)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서, 감광체 드럼(1)을 향하여 돌출하는 힘 베어링부(스프링 부착부(6d))를 끌어당긴 상태로 유지한다.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은, 텐션 스프링(34)이 부착되는 훅부(14i)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의 본 변형예에서는, 훅부(14i)(텐션 생성 부재 부착부)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내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대략 원주 형상의 돌기이다. 훅부(14i)의 선단은 엄지 손가락 형상의 텐션 롤러 부착부를 구비한다. 텐션 스프링(34)의 일 단부를 부착부(6d)에 부착하고, 텐션 스프링(34)의 타 단부를 훅부(14i)에 부착하면, 클리닝 부재(6)에는 텐션 스프링(34)의 장력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클리닝 부재(6)는 원통부(6e(6f))를 중심으로 도면의 화살표 N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본 구조적 배치의 경우에는, 클리닝 부재(6)는 지지부(6b)의 제1 부분(6b2)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클리닝 부재(6)는 클리닝 부재(6)가 N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는, 텐션 스프링(34)에 의해 생성된 미리 정해진 힘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주면과 접촉한다.
도 14는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6)가 감광체 유닛 프레임에 부착된 후의 감광체 유닛(13)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본 변형예에서의 감광체 유닛(13)의 시일(28)은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것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본 변형예의 구성의 경우,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굽힘부(6b1)와 대면하는 시일(28)의 코너부(28c)는, 도면의 연직 상방으로 힘 FaSinθ에 의해 잡아 당겨지고, 또한, 연직 하방으로 힘 Fb에 의해 잡아 당겨진다.
따라서, 지지부(6b)의 굽힘부(6b)의 치수 및/또는 시일(28)의 코너부(28c)의 형상이 사양과 다른 경우에도, 시일(28)은 지지부(6b)의 굽힘부(6b1)에 확실하게 밀착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본 변형예의 감광체 유닛(13)의 경우, 감광체 드럼(1)의 진동 등에 의해 클리닝 부재(6)의 탄성부(6a)가 원통부(6f)를 중심으로 도면의 화살표 J 방향으로 회동했을 경우, 지지부(6b)는 원통부(6f)를 중심으로 도면의 화살표 K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시일(28)의 코너부(28c)는 굽힘부(6b1)에 대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변형되어, 굽힘부(6b1)와 시일(28)의 일부(28c) 사이의 계면을 보다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본 변형예에서의 감광체 유닛(13)의 구조적 배치의 경우, 지지 부재(6e)에 원통부(6f)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감광체 유닛(13)에 적용가능한 것과 같이 효과적으로, 제1 실시예의 본 변형예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클리닝 부재가 회동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유닛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 자체가 원통형인 감광체 유닛(13), 또는 축부가 지지부에 부착된 원통형 부재인 감광체 부재(13)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클리닝 부재 베어링의 클리닝 부재 베어링 표면의 단면의 형상에 대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적용은 감광체 유닛에 클리닝 프레임에 마련하는 지지부는, 단면이 U자형의 지지면을 갖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피벗(축)이 고정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클리닝 부재 베어링의 클리닝 부재 베어링 표면의 단면의 형상이 거의 원통형인 감광체 유닛(13)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1 실시예의 상술된 변형예는 클리닝 부재(6)를 감광체 드럼(1)의 주면에 접속시키는 수단의 선택을 텐션 스프링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감광체 유닛 프레임의 압력 생성 부재 부착부의 시트(seat)와, 클리닝 부재의 지지부의 압력 생성 부재 부착부의 사이에, 감광체 드럼(1)의 주면에 접촉하는 클리닝 부재(6)를 유지하기 위한 힘을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압축 스프링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감광체 유닛에도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압력 생성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은, 클리닝 부재를, 탄성체의 탄성부를 상 담지체의 주면에 접촉하게 배치하는 방향에서,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리닝 부재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같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한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요소에는 제1 실시예의 대응 부분에 부여된 것과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며,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시일(28)을 회동시킬 수 있는 클리닝 부재(6)(도 11 내지 도 14)에 부착하기 직전의 감광체 유닛(13)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6)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클리닝 부재(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의 일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일(28)의 제1 부분(28b)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시일(28)이 클리닝 부재(6)의 굽힘부(6b1)에 대면하는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클리닝 부재(6)와의 접촉에 의해 시일(28)이 변형되는 양이 커지는 경사면(28b1, 28b2)을 갖는다. 경사면(28b1, 28b2)은, 지지부(6b)의 접촉 영역(각각 제2 표면(6c3), 제1 표면(6c2))에 대하여, 각각 각도 α, β만큼 경사져있다.
즉, 시일(28)의 제1 부분(28b)은 제1 및 제2 경사면(28b2, 28b1)을 갖는다. 제1 경사면(28b2)은, 전술한 제1 방향(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굽힘면(6c1)으로부터 제1 표면을 향하여 멀어질수록, 클리닝 부재(6)와 시일(28) 사이의 접촉에 의해 시일(28)이 변형되는 양이 더 커지도록 경사지며, 이는 클리닝 부재(6)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될 때에 발생한다. 제2 경사면(28b1)은, 전술한 제1 방향(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굽힘부 면(6c1)으로부터 제2 표면을 향하여 멀어질수록, 클리닝 부재(6)와 시일(28)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시일(28)이 변형되는 양이 더 커지도록 경사지며, 이는 클리닝 부재(6)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될 때에 발생한다.
도 16은 클리닝 부재(6)를 감광체 유닛 프레임(13)에 부착한 후에 클리닝 부재(6), 시일(28)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클리닝 부재(6)를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부착했을 때, 제2 경사면(28b1)은 지지부(6b)에 의해 반력 Fc를 받고, 제1 경사면(28b2)은 탄성부(6a)에 의해 반력 Fd를 받는다. 이때, 제2 경사면(28b1)은, 반력 Fc의 수직 분력(도 16)인 힘 FcSinα와, 반력 Fc의 수평 분력(도 16)인 힘 FcCosα를 받는다. 또한, 제1 경사면(28b2)은 반력 Fd의 수직 분력(도 16)인 힘 FdCosβ 및 반력 Fd의 수평 분력(도 16)인 힘 FdSinβ를 받는다. 즉, 지지부(6b)의 굽힘부(6b1)에 대면하는 시일(28)의 코너부(28c)는 반력 Fc의 분력과, 반력 Fd의 분력에 의해 잡아 당겨진다.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리닝 부재(6)가 경사면(28b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L에서 회동했을 경우, 힘 Fc는 감소하지만, 힘 Fd는 증가한다. 한편, 클리닝 부재(6)가 경사면(28b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M에서 회동했을 경우, 힘 Fd는 감소하지만, 힘 Fc는 증가한다. 따라서, 힘 Fc와 힘 Fd의 증감량이 일치하도록 각도 α 및 β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지지부(6b)의 굽힘부(6b1)에 대면하는 시일(28)의 코너부(28c)가 미리 정해진 양의 힘에 의해 확실하게 잡아 당겨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 α, β는 0°이상 45°이하고 설정되어 있다(0°<α, β <4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가능한 클리닝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클리닝 부재(6)의 지지부(6b)의 굽힘부(6b1)와,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14) 사이의 틈을 통해서 폐 토너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클리닝 디바이스용으로서, 시일(28)에 경사면(28b2, 28b1)을 마련하는 구조적 배치는, 클리닝 디바이스 프레임에 클리닝 부재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적용은, 지지부(6b)의 굽힘부(6b1)와 시일(28) 사이의 틈을 통해서 폐 토너가 새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각도 α, β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5°의 범위이다(0°<α, β<45°).
(기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디바이스는,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 상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디바이스)에 있어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디바이스(11)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상 담지체로서 중간 전사체 상의 토너를 제거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 담지체로부터 제거해야할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클리닝 장치(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기록 매체 담지체 상에 토너로 형성된 제어 화상, 기록 매체 담지체 상에 의도치 않게 남은 토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디바이스)에도 적용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광체 유닛의 구성요소가 형상 및 치수가 그 사양과 약간 상이한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및 폭을 따른 에지에 존재하는 틈을 보다 용이하고, 보다 신뢰도 높게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할 수 있는 변경 또는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클리닝 디바이스이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 담지체(image bearing member)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평탄한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제2 표면,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 영역에 걸쳐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일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타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장착함에 의한 변형이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굽힘부로부터 상기 제1 표면의 단부 및 상기 제2 표면의 단부를 향하여 증가하는 구성을 갖는, 클리닝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의 제2 표면측 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상기 굽힘부로부터 상기 제2 표면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각도 θ는 0°<θ<90°를 만족시키는, 클리닝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각도 θ는 20°<θ<60°를 만족시키는, 클리닝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과 평행한, 클리닝 디바이스.
  9.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 담지체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평탄한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제2 표면,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 영역에 걸쳐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일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타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장착함에 의한 변형이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굽힘부로부터 상기 제1 표면의 단부 및 상기 제2 표면의 단부를 향하여 증가하는 구성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의 제2 표면측 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상기 굽힘부로부터 상기 제2 표면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각도 θ는 0°<θ<90°를 만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각도 θ는 20°<θ<60°를 만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과 평행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상 담지체와,
    (ii) 클리닝 디바이스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으로부터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재료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블레이드 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평탄한 제1 표면, 상기 제1 표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제2 표면,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 영역에 걸쳐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걸쳐서 상기 굽힘부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1 표면의 단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에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표면을 경유하여 상기 블레이드 부재로부터 상기 제2 표면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1 밀봉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일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와 상기 타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밀봉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디바이스와,
    (iii) 상기 기록 매체를 급지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장착함에 의한 변형이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굽힘부로부터 상기 제1 표면의 단부 및 상기 제2 표면의 단부를 향하여 증가하는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의 제2 표면측 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부분에서, 상기 굽힘부로부터 상기 제2 표면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표면에 접촉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각도 θ는 0°<θ<90°를 만족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와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각도 θ는 20°<θ<60°를 만족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과 평행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47032290A 2012-04-26 2013-04-26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73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1851A JP5959924B2 (ja) 2012-04-26 2012-04-26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2-101851 2012-04-26
PCT/JP2013/062877 WO2013162073A1 (en) 2012-04-26 2013-04-26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415A true KR20150008415A (ko) 2015-01-22
KR101734631B1 KR101734631B1 (ko) 2017-05-11

Family

ID=4848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290A KR101734631B1 (ko) 2012-04-26 2013-04-26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0825B2 (ko)
EP (1) EP2842002B1 (ko)
JP (1) JP5959924B2 (ko)
KR (1) KR101734631B1 (ko)
CN (1) CN104246624B (ko)
WO (1) WO2013162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524B2 (ja) 2012-09-27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274892B2 (ja) * 2014-02-0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376906B2 (ja) * 2014-08-29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896376B2 (ja) * 2016-04-28 2021-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86276B2 (ja) * 2016-06-29 2020-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TWI640847B (zh) * 2016-08-26 2018-11-11 佳能股份有限公司 卡匣及影像形成裝置
WO2018037574A1 (ja) 2016-08-26 2018-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609B2 (ja) * 1986-10-15 1995-11-29 三田工業株式会社 クリ−ニング装置
JP3285414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32039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枠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40156A (ja) * 2001-02-22 2002-08-28 Canon Inc 樹脂製枠体の結合方法
JP2004037638A (ja) 2002-07-01 2004-02-05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519311B2 (en) 2006-04-19 2009-04-1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y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JP4944481B2 (ja) * 2006-04-19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116657B2 (en) * 2007-12-18 2012-0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Upper seal for inhibiting doctor blade toner leakage
JP4591538B2 (ja) 2008-04-25 2010-1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51774B2 (ja) * 2008-07-29 2013-02-2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063792B2 (ja) * 2010-05-18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CN102402160A (zh) 2011-12-28 2012-04-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粉盒密封结构
JP5950676B2 (ja) 2012-04-26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98524B2 (ja) 2012-09-27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111609B2 (ja) * 2018-12-27 2022-08-02 株式会社クラレ 繊維複合研磨パ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ラス系基材の研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073A1 (en) 2013-10-31
CN104246624B (zh) 2017-08-01
EP2842002B1 (en) 2020-07-15
US9360825B2 (en) 2016-06-07
EP2842002A1 (en) 2015-03-04
JP2013228633A (ja) 2013-11-07
CN104246624A (zh) 2014-12-24
US20140376953A1 (en) 2014-12-25
KR101734631B1 (ko) 2017-05-11
JP5959924B2 (ja)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631B1 (ko) 클리닝 디바이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9213267B2 (en) Developing device frame unit,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veloping device frame unit
KR101247002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KR10124706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US9625852B2 (en) Clean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864332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125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al members
JP4780163B2 (ja) イメ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285712B2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for suppressing toner leakage
JP2013242492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311709A (ja) 画像形成装置
CN109581838B (zh) 显影装置和成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