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872A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872A
KR20150006872A KR20147033751A KR20147033751A KR20150006872A KR 20150006872 A KR20150006872 A KR 20150006872A KR 20147033751 A KR20147033751 A KR 20147033751A KR 20147033751 A KR20147033751 A KR 20147033751A KR 20150006872 A KR20150006872 A KR 20150006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evice
exhaust treatment
exhaust
body fram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918B1 (ko
Inventor
마나부 히모토
오사무 니시무라
다다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06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체 프레임은, 선회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접속관은, 적어도 일부에 신축 가능한 벨로즈부를 가진다. 접속관은, 엔진과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한다. 접속관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접속관에 있어서 벨로즈부와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EXCAVATOR}
본 발명은,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에는, 배기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기 위해, 접속관을 통하여 엔진과 접속된다. 예를 들면, 배기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디젤 미립자 포집(捕集) 필터 장치가 있다.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는, 배기 중의 입자형 물질을 저감한다.
배기 처리 장치가 엔진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기 처리 장치를 엔진에 장착하면, 엔진의 상부에 중량물이 배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배기 처리 장치를 엔진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브래킷을 강화하기 위해 브래킷을 크게 하면, 브래킷의 중량이 증대하여 버린다.
따라서,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 이외의 지지물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어퍼 프레임 상에 지지 다리를 통하여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다. 이 테이블의 상면에,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2―097413호
특허 문헌 1과 같이, 지지물이 어퍼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되어 있으면, 배기 처리 장치는, 어퍼 프레임으로부터의 진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에 대하여, 배기 처리 장치와 엔진을 접속하는 접속관은, 엔진으로부터의 진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러므로, 접속관에는, 엔진과 지지물과의 진동차에 의한 부하가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진동차는, 접속관에 벨로즈부를 설치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접속관에 벨로즈부가 설치되면, 접속관은, 벨로즈부에 있어서 유연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접속관이 캔틸레버(cantilever) 상태에서는, 접속관의 단부(端部)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히, 벨로즈부의 진동 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벨로즈부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벨로즈부의 길이가 크면, 접속관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더욱 곤란해진다. 그러므로, 접속관을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또는, 접속관을 배기 처리 장치로부터 분리해 내는(detach)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관을 배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할 때의 곤란성을 해소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유압 셔블은, 엔진과, 선회(旋回)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과,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접속관을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은, 엔진을 지지한다. 차체 프레임은, 선회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접속관은, 적어도 일부에 신축 가능한 벨로즈(bellows)부를 가진다. 접속관은, 엔진과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한다. 접속관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접속관에 있어서 벨로즈부와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접속관과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접속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2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고정부는, 접속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유압 셔블로서, 고정부와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차체 프레임의 같은 부재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유압 셔블로서, 차체 프레임은, 제1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되는 빔 부재(beam member)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는, 빔 부재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유압 셔블로서, 고정부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구비한다. 장착 부재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와의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1 판부와 고정부는 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판부와 차체 프레임은 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지지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엔진과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평면에서 볼 때, 엔진, 제2 배기 처리 장치, 및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순으로 수평면 상의 제1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7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접속관은,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을 통하여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7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더 구비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브래킷을 통하여 일체로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7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벨로즈부의 길이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제1 방향에서의 치수 또는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제1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0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벨로즈부의 길이는,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직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0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벨로즈부의 길이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직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7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방향에서의 접속관의 길이는, 제1 방향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과, 제1 방향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7 태양의 유압 셔블로서,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선택 환원 촉매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유압 셔블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접속관의 벨로즈부에 의해, 엔진과 차체 프레임과의 진동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접속관에 대한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접속관은, 벨로즈부와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사이의 고정부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접속관의 단부가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접속관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로써, 접속관을 배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접속관과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접속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속관이 차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인 채,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차량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고정부는, 접속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부로부터,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접속관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짧다. 그러므로, 접속관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고정부와 제1 배기 처리 장치가 차체 프레임의 같은 부재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접속관의 단부와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위치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고정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빔 부재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로부터,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접속관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짧다. 그러므로, 접속관의 단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제1 판부의 위치 조정과 제2 판부의 위치 조정에 의해, 고정부의 위치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부의 위치 결정의 자유가 높다. 이로써, 접속관을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엔진, 제2 배기 처리 장치, 및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순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에 대하여 제2 배기 처리 장치보다 멀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속관 및 벨로즈부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접속관은,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를 지난다. 따라서,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때, 접속관이 제2 배기 처리 장치에 쉽게 간섭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브래킷에 의해 유닛화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유닛으로 하여 일체로 차체 프레임에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이 유닛을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할 때는, 고정부에 의해 접속관의 단부가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유닛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할 때, 접속관을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는, 유닛을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 접속관을 제1 배기 처리 장치로부터 분리해 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벨로즈부의 길이가 크게 확보된다. 이로써,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벨로즈부의 길이가 크게 확보된다. 이로써,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벨로즈부의 길이가 크게 확보된다. 이로써,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벨로즈부의 길이가 크게 확보된다. 이로써,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제2 배기 처리 장치에 의해, 배기 중의 질소산화물 NOx 등의 오염물질이 정화된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의해, 배기 중에 포함되는 입자형 물질이 포집된다. 또한,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는, 유지보수의 빈도가 많다. 따라서, 접속관을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한 것에 의해,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의 엔진실의 내부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엔진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접속관의 고정부의 주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접속관의 고정부의 주위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배기 처리 유닛이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00)을 도 1에 나타낸다. 유압 셔블(100)은, 차량 본체(1)와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본체(1)는, 주행체(2)와 선회체(旋回體)(3)를 가지고 있다. 주행체(2)는,한 쌍의 주행 장치(2a, 2b)를 가진다. 각각의 주행 장치(2a, 2b)는,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2d, 2e)d을 가지고 있다. 주행 장치(2a, 2b)는, 후술하는 엔진(21)(도 2 참조)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롤러 트랙(2d, 2e)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유압 셔블(100)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차량 본체(1)의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 방향이란, 운전실(5)에 착석한 조작자로부터 본 전후의 방향이다. 또한, 좌우 방향, 또는 측방이란, 차량 본체(1)의 차폭 방향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좌우 방향, 차폭 방향, 또는 측방이란, 상기 조작자로부터 본 좌우의 방향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을 x축, 좌우 방향을 y축, 상하 방향을 z축으로 나타내고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3)에는 운전실(5)이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연료 탱크(14)와 작동유 탱크(15)와 엔진실(16)으로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18)를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14)는, 후술하는 엔진(21)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료를 저류(貯留)한다. 연료 탱크(14)는, 작동유 탱크(1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5)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23)(도 2 참조)로부터 토출(吐出)되는 작동유를 저류한다. 작동유 탱크(15)는, 연료 탱크(14)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엔진실(1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21) 및 유압 펌프(23) 등의 기기(機器)를 수납한다. 엔진실(16)은, 운전실(5), 연료 탱크(14) 및 작동유 탱크(1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실(16)의 위쪽은, 엔진 후드(17)에 의해 덮혀져 있다. 카운터웨이트(18)는, 엔진실(1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선회체(3)의 앞부분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4)는,붐(boom)(7), 암(arm)(8), 버킷(bucket)(9), 붐 실린더(10), 암 실린더(11) 및 버킷 실린더(12)를 가진다. 붐(7)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붐(7)의 선단부는 암(8)의 기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8)의 선단부는, 버킷(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붐 실린더(10), 암 실린더(11) 및 버킷 실린더(12)는, 유압 실린더이며, 후술하는 유압 펌프(23)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붐 실린더(10)는, 붐(7)을 동작시킨다. 암 실린더(11)는, 암(8)을 동작시킨다. 버킷 실린더(12)는, 버킷(9)을 동작시킨다. 이들 실린더(10, 11, 12)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작업기(4)가 구동된다.
도 2는, 엔진실(16)의 내부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엔진실(16)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실(16)에는, 엔진(21)과, 플라이휠 하우징(22)과, 유압 펌프(23)와, 배기 처리 유닛(2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실(16)에는, 라디에이터나 오일쿨러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25)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25)와, 엔진(21)과, 플라이휠 하우징(22)과, 유압 펌프(23)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선회 프레임(26)과 차체 프레임(27)을 가지고 있다. 선회 프레임(26)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센터 프레임(26a, 26b)을 포함한다. 선회 프레임(26)은, 고무 댐퍼를 통하여, 엔진(21)을 지지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27)은, 선회 프레임(26) 상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27)은, 엔진(21) 및 유압 펌프(23) 등의 기기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27)에는, 외장(外裝) 커버(2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외장 커버(28)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엔진 후드(17)도,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7)은, 복수의 기둥 부재(31∼35)와 복수의 빔 부재(36, 37)를 포함한다. 기둥 부재(31∼35)는, 선회 프레임(26)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빔 부재(36, 37)는, 기둥 부재(31∼3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빔 부재(36, 37)는, 제1 빔 부재(36)와 제2 빔 부재(37)를 포함한다. 제1 빔 부재(36)와 제2 빔 부재(37)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빔 부재(36)는, 엔진(21)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빔 부재(37)는, 엔진(21)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23)는, 엔진(21)에 의해 구동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23)는, 엔진(2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유압 펌프(23)는, 차폭 방향으로 엔진(21)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23)는, 엔진(21)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22)은, 엔진(21)과 유압 펌프(2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22)은, 엔진(21)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23)는, 플라이휠 하우징(22)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브래킷(43)을 가진다. 배기 처리 유닛(24)은,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1 빔 부재(36)와 제2 빔 부재(37)와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유닛(24)은, 빔 부재(36, 37)에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차체 프레임(27)에 지지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엔진(21)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이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배기 중에 포함되는 입자형 물질을 필터에 의해 포집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포집한 입자형 물질을 필터에 부설된 히터에 의해 소각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 Ax1가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 Ax1이, 엔진(21)과 유압 펌프(23)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고 함)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그 길이 방향이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 Ax1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 Ax2와 평행이다.
엔진(21)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수평면에 대한 각각의 투영이, 엔진(21)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순으로 수평면 상의 제1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은, 차폭 방향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평면에서 볼 때, 엔진(21)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상기 순서로 제1 방향 즉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엔진(21)에 대하여 제2 배기 처리 장치(42)보다 멀리에 위치한다.
도 4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브래킷(43) 등의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정상부(頂上部)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정상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닥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바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닥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정상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빔 부재(36, 37)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엔진(21)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선택 환원 촉매 장치이다. 따라서,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요소 등의 환원제를 가수분해하여 선택적으로 질소산화물 NOx를 환원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 Ax2가,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 Ax2가,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길이 방향이 제1 방향과 직교하도록,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바닥부는, 엔진(21)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바닥부는, 빔 부재(36, 37)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정상부는, 빔 부재(36, 37)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1 접속구(44)를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00)은, 제1 접속관(51)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관(51)의 일단은, 과급기(29)를 통하여 엔진(21)의 배기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관(51)의 타단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제1 접속구(44)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접속관(51)은, 엔진(2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접속관(51)은, 차체 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접속관(51)을 차체 프레임(2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접속구(44)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속관(5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접속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제1 접속관(51)은, 구면(球面) 조인트(61)를 통하여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접속되어 있다. 구면 조인트(61)로서는, 예를 들면, US2011/0074150 A1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의 기술이 이용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관(51)은, 신축 가능한 벨로즈부(54)를 가진다. 예를 들면, 벨로즈부(54)는, 복수의 벨로즈 형태 신축관 조인트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벨로즈부(54)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벨로즈부(54)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벨로즈부(54)는,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벨로즈부(54)는, 빔 부재(36, 37)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벨로즈부(54)의 일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접속관(51)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아래쪽을 통하여,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41)에 접속된다. 그리고, 벨로즈부(54)가 복수의 벨로즈 형태 신축관 조인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벨로즈부(54)의 길이는, 각 벨로즈 형태 신축관 조인트의 길이의 총계로 된다.
차폭 방향에서의 제1 접속관(51)의 길이는, 차폭 방향에서의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과, 차폭 방향에서의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길다. 바꾸어 말하면, 차폭 방향에서의 제1 접속관(51)의 길이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 Ax1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 Ax2와의 사이의 차폭 방향에서의 거리보다 길다.
벨로즈부(54)의 길이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차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길다. 즉, 벨로즈부(54)의 길이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직경보다 길다. 벨로즈부(54)의 길이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차폭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길다. 즉, 벨로즈부(54)의 길이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직경보다 길다.
제1 접속관(51)은, 제1 굴곡부(55)와 제2 굴곡부(56)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굴곡부(55)는, 벨로즈부(54)와 엔진(21)을 연결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굴곡부(55)는, 벨로즈부(54)와 구면 조인트(6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2 굴곡부(56)는, 벨로즈부(54)와 제1 접속구(44)를 연결하고 있다. 제2 굴곡부(56)는, 구면 조인트(61)를 통하여 제1 접속구(44)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2 접속구(45)를 가진다. 제2 접속구(45)는, 차폭 방향 또한 위쪽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3 접속구(46)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접속구(46)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2 접속관(52)을 가진다. 제2 접속관(52)의 일단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제2 접속구(4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접속관(52)의 타단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제3 접속구(46)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접속관(52)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접속하고 있다. 제2 접속관(52)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접속관(52)에는, 요소수 분사 장치(49)가 장착되어 있다. 요소수 분사 장치(49)는, 제2 접속관(52) 내에 요소수를 분사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4 접속구(47)를 가진다. 제4 접속구(47)는, 위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유압 셔블(100)은, 제3 접속관(53)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접속관(53)은, 제4 접속구(47)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접속관(53)의 상부는, 엔진 후드(17)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엔진(21)과, 제1 접속관(5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접속관(52)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3 접속관(53)은, 순차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21)으로부터의 배기는, 제1 접속관(51)을 통하고,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보내진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서는, 주로 입자형 물질이 배기 중으로부터 저감된다. 다음에, 배기는, 제2 접속관(52)을 통하고,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 보내진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서는, 주로 NOx가 저감된다. 그 후, 청정화된 배기는 제3 접속관(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브래킷(43)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연결하고 있다. 이로써,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브래킷(43)은, 일체로 되어 있다. 브래킷(43)은, 차체 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배기 처리 유닛(24)이 차체 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43)은,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차체 프레임(27)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43)을 차체 프레임(27)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에 의해, 배기 처리 유닛(24)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브래킷(43)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에 의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관(51)을 제1 접속구(44)로부터 분리해 낸다. 제2 접속관(52)을 제2 접속구(45)로부터 분리해 낸다.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브래킷(43)으로부터 분리해 낸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는 것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다음에, 제1 접속관(51)을 차체 프레임(2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관(51)은, 차체 프레임(27)에 고정되는 고정부(57)를 포함한다. 또한, 유압 셔블(1)은, 고정부(57)를 차체 프레임(27)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58)를 구비한다. 도 5는,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의 주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의 주위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57)는, 제1 접속관(51)에 있어서 벨로즈부(54)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고정부(57)는, 제1 접속관(5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접속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고정부(57)는, 제1 빔 부재(36) 및 제2 빔 부재(37)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57)는, 제2 굴곡부(56)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57)는, 제2 굴곡부(56)로부터 돌출된 판형의 형상을 가진다. 고정부(57)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착 부재(58)는, 고정부(57)를 차체 프레임(27)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장착 부재(58)는, 고정부(57)와 별개이다. 또한, 장착 부재(58)는, 차체 프레임(27)과 별개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부재(58)는, 제1 판부(581)와 제2 판부(582)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58)는, 제1 판부(581)와 제2 판부(582)와의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1 판부(581)는, 고정부(57)에 고정된다. 제1 판부(581)는, 고정부(57)와 마찬가지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판부(582)는, 차체 프레임(27)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판부(582)는, 차체 프레임(27)으로부터 돌출하는 장착부(59)에 고정된다. 제2 판부(58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착부(59)는, 제2 빔 부재(37)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장착 부재(58)는, 장착부(59)를 통하여 제2 빔 부재(37)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57)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모두, 제2 빔 부재(37)에 장착된다.
고정부(57)는, 볼트(71)에 의해 제1 판부(581)에 고정된다. 제1 판부(581)는, 볼트(71)가 통과하는 구멍(583)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57)는, 볼트(71)가 통과하는 제1 구멍(571)을 포함한다. 제1 구멍(571)의 직경은, 볼트(71)의 축 직경보다 크다. 이로써, 제1 판부(581)와 고정부(57)는 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판부(582)는, 볼트(72)에 의해 장착부(59)에 고정된다. 장착부(59)는, 볼트(72)가 통과하는 구멍(591)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판부(582)는, 볼트(72)가 통과하는 제2 구멍(584)을 포함한다. 제2 구멍(584)의 직경은, 볼트(72)의 축 직경보다 크다. 이로써, 제2 판부(582)와 장착부(59)는 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00)은 이하의 특징을 구비한다.
제1 접속관(51)의 벨로즈부(54)에 의해, 엔진(21)과 차체 프레임(27)과의 진동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접속관(51)에 대한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제1 접속관(51)은, 벨로즈부(54)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사이의 고정부(57)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27)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관(51)의 단부(60)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제1 접속관(51)의 단부(60)가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로써, 제1 접속관(51)을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대하여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1 접속관(5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접속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속관(51)이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된 상태인 채,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차량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관(51)은, 고정부(57)에 의해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접속관(51)으로부터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분리해도,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유지보수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기 처리 유닛(24)을 차체 프레임(27)으로부터 분리해도,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배기 처리 유닛(24)의 유지보수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57)는, 제1 접속관(5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접속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부(57)로부터 제1 접속관(51)의 단부(60)까지의 거리가 짧다. 그러므로,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고정부(57)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가 모두 제2 빔 부재(37)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의 위치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7)로부터,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접속되는 제1 접속관(51)의 단부(60)까지의 거리가 짧으므로,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제1 판부(581)의 위치 조정과 제2 판부(582)의 위치 조정에 의해, 고정부(57)의 위치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의 제1 판부(581)에 대한 상대 위치를 상하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27)의 장착부(59)에 대한 제2 판부(582)의 상대 위치를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의 위치 결정의 자유가 높다. 이로써, 제1 접속관(51)을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대하여 착탈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엔진(21), 제2 배기 처리 장치(42), 및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순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엔진(21)에 대하여 제2 배기 처리 장치(42)보다 멀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속관(51) 및 벨로즈부(54)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진동에 의한 제1 접속관(51)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관(51)의 단부(60)의 위치가, 고정부(57) 및 장착 부재(58)에 의해 유지되므로, 제1 접속관(51) 및 벨로즈부(54)의 길이가 커져서도, 제1 접속관(51)을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대하여 착탈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접속관(51)은, 배기 처리 유닛(24)의 아래쪽을 지난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24)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때, 제1 접속관(51)이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된 채 상태라도, 제1 접속관(51)이 배기 처리 유닛(24)에 쉽게 간섭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원통형 등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직육면체형 등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원통형 등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직육면체형 등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제1 방향은 차폭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향이라도 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는 차폭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 전후 방향이라도 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기둥 부재(31∼35)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도 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기둥 부재(31∼35)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도 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은, 외장 커버(28)를 지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의 차체 프레임이 설치되어도 된다.
벨로즈부는, 제1 접속관(51)의 일부가 아니고, 제1 접속관(51)의 전체에 설치되어도 된다. 벨로즈부의 길이는, 전술한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또는, 벨로즈부의 길이는, 전술한 길이보다 짧아도 된다. 단, 진동의 흡수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벨로즈부의 길이는, 가능한 한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빔 부재(36, 37)보다 위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는, 제1 접속관(51)에 있어서 제2 굴곡부(56)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단, 제1 접속관(51)의 단부(60)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제1 접속관(51)의 단부(60)로 할 수 있을만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는, 차체 프레임(27)에 있어서 제2 빔 부재(37) 이외의 부분에 고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둥 부재(31)에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가 고정되어도 된다.
제1 접속관(51)의 고정부(57)는, 장착 부재(58)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되어도 된다. 단, 제1 접속관(51)의 위치 결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장착 부재(58)를 통하여 고정부(57)가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배기 처리 장치라도 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선택 환원 촉매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배기 처리 장치라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에 의한 접속관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관을 배기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할 때의 곤란성을 해소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할 수 있다.
21; 엔진
26; 선회 프레임
27; 차체 프레임
41; 제1 배기 처리 장치
42; 제2 배기 처리 장치
43; 브래킷
51; 제1 접속관
54; 벨로즈부
37; 제2 빔 부재
57; 고정부
58; 장착 부재
581; 제1 판부
582; 제2 판부

Claims (15)

  1. 엔진;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선회(旋回) 프레임;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부재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적어도 일부에 신축 가능한 벨로즈부를 가지고, 상기 엔진과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접속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관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속관에 있어서 상기 벨로즈부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유압 셔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과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의 접속부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압 셔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속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유압 셔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같은 부재에 장착되는, 유압 셔블.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되는 빔 부재(beam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빔 부재에 고정되는, 유압 셔블.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제2 판부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고정부는 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차체 프레임은 서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압 셔블.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과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엔진,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순으로 수평면 상의 제1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유압 셔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을 통하여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유압 셔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상기 브래킷을 통하여 일체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유압 셔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벨로즈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치수 또는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큰, 유압 셔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벨로즈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직경보다 큰, 유압 셔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벨로즈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직경보다 큰, 유압 셔블.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접속관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과,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과의 사이의 거리보다 큰, 유압 셔블.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선택 환원 촉매 장치인, 유압 셔블.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디젤 미립자 포집(捕集) 필터 장치인, 유압 셔블.
KR1020147033751A 2012-10-16 2012-11-20 유압 셔블 KR101554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8794 2012-10-16
JP2012228794A JP5382669B1 (ja) 2012-10-16 2012-10-16 油圧ショベル
PCT/JP2012/080012 WO2014061170A1 (ja) 2012-10-16 2012-11-20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872A true KR20150006872A (ko) 2015-01-19
KR101554918B1 KR101554918B1 (ko) 2015-09-22

Family

ID=5003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751A KR101554918B1 (ko) 2012-10-16 2012-11-20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88729B2 (ko)
JP (1) JP5382669B1 (ko)
KR (1) KR101554918B1 (ko)
CN (1) CN103857847B (ko)
DE (1) DE112012003397B4 (ko)
IN (1) IN2014DN09737A (ko)
WO (1) WO2014061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1405A4 (en) * 2014-03-20 2017-12-27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6234329B2 (ja) * 2014-06-09 2017-11-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487079B2 (en) * 2014-08-11 2016-11-08 Deere & Company Air inlet and cleaner arrangement for work vehicle
EP3205526B1 (en) * 2014-10-06 2018-10-31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6295195B2 (ja) * 2014-12-26 2018-03-14 株式会社Kcm 作業機械
JP6462390B2 (ja) * 2015-02-06 2019-01-30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05986591B (zh) * 2015-03-20 2021-07-27 住友建机株式会社 小回转型挖土机
DE102015010513B3 (de) * 2015-08-13 2016-11-17 Audi Ag Befestigungsanordnung
KR101820587B1 (ko) * 2015-08-21 2018-01-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 쇼벨
JP6664964B2 (ja) * 2016-01-05 2020-03-13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A2934750C (en) * 2016-03-31 2017-07-04 Takamu Kanayama Dump truck
JP6706561B2 (ja) * 2016-09-13 2020-06-1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管、その排気管の組付方法及びその排気管を備える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3095A1 (en) * 2002-12-13 2005-08-1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Cool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s
DE102004018693B4 (de) * 2004-04-17 2007-09-06 Daimlerchrysler Ag Abgasanlage
KR101539130B1 (ko) * 2008-07-10 2015-07-23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US8191668B2 (en) * 2008-08-07 2012-06-05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US8141535B2 (en) * 2009-01-26 2012-03-27 Caterpillar Inc. Exhaust system device with mounting bracket
EP2483587B1 (en) 2009-09-29 2018-04-18 Cummins IP, Inc. Spherical flange joint
KR20120088764A (ko) 2010-05-31 2012-08-0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JP5501112B2 (ja) * 2010-06-18 2014-05-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630216B2 (ja) 2010-10-29 2014-1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690115B2 (en) * 2011-06-07 2014-04-0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Leaf spring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918B1 (ko) 2015-09-22
JP2014080777A (ja) 2014-05-08
US20150330056A1 (en) 2015-11-19
WO2014061170A1 (ja) 2014-04-24
IN2014DN09737A (ko) 2015-07-31
US9388729B2 (en) 2016-07-12
DE112012003397B4 (de) 2015-04-30
CN103857847B (zh) 2015-06-10
CN103857847A (zh) 2014-06-11
DE112012003397T5 (de) 2014-08-07
JP5382669B1 (ja)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918B1 (ko) 유압 셔블
KR101495587B1 (ko) 배기 처리 유닛
KR20140067100A (ko) 유압 셔블
KR101720599B1 (ko) 유압 셔블
KR101496231B1 (ko) 배기 처리 유닛, 배기 처리 유닛의 장착 및 분리 방법
KR101495588B1 (ko) 배기 처리 유닛
KR101570769B1 (ko) 유압 셔블
KR101554919B1 (ko) 배기 처리 유닛
KR101677490B1 (ko)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US9441527B2 (en) Supporting mechanism, exhaust treatment unit, and wheel loader
JP5442830B1 (ja) 油圧ショベル
US9133601B2 (en) Hydraulic excavator
KR101581269B1 (ko) 유압 셔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