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365A - 주기신호생성회로 - Google Patents

주기신호생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365A
KR20150005365A KR20130079241A KR20130079241A KR20150005365A KR 20150005365 A KR20150005365 A KR 20150005365A KR 20130079241 A KR20130079241 A KR 20130079241A KR 20130079241 A KR20130079241 A KR 20130079241A KR 20150005365 A KR20150005365 A KR 2015000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unit
buffer
signal
pull
mo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만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365A/ko
Priority to US14/133,993 priority patent/US20150008970A1/en
Publication of KR2015000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주기신호생성회로는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및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와 소스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Description

주기신호생성회로{P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
본 발명은 주기신호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적회로의 고속동작을 위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낮게 설정함에 따라 누설전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동작하는 집적회로에서는 SOI(Silicon-On-Insulator) 공정을 적용하여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고 있다. SOI 공정이 적용되면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을 웨이퍼 하부층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바디가 플로팅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는 기생용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기판으로 흐르는 누설전류가 없어 고속동작에 적합하다. 하지만 SOI 공정의 경우 집적화가 어렵고 고비용때문에 상용화가 어렵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바디단자에 역바이어스(reverse bias)를 인가하여 문턱전압을 상승시켜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속도가 느려지므로, 고속동작에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집적회로는 다양한 내부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주기신호가 필요하다. 반도체장치에서 주기신호는 오실레이터 등의 주기신호생성회로에서 생성되어, 리프레쉬 동작 및 내부전압 펌핑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경우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므로, 고속동작에서 누설전류가 문제된다.
본 발명은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및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와 소스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 및 제1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1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제1 저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가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 및 제1 접지전압에 연결된 제1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가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지스터의 바디에 저항을 연결함으로써 기생용량을 줄임으로써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지스터의 바디에 저항을 연결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바디가 고유 저항값을 갖게 되므로, 트랜지스터의 바디가 프로팅(floating)되면서 발생되는 래치업(latch-up)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버퍼소자(11) 및 버퍼부(12)로 구성된다. 버퍼소자(11)는 개시신호(STR)에 응답하여 주기신호(OSC)를 반전 버퍼링하여 버퍼신호(BUF)를 생성한다. 개시신호(STR)는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신호로서, 외부에서 입력되거나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버퍼부(12)는 제1 버퍼부(121), 제2 버퍼부(122), 제3 버퍼부(123) 및 제4 버퍼부(124)로 구성된다.
제1 버퍼부(121)는 버퍼신호(BUF)에 응답하여 노드(nd11)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11)와, 버퍼신호(BUF)에 응답하여 노드(nd11)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11)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11)의 바디와 전원전압(VDD) 사이에는 저항소자(R121)가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11)의 바디와 접지전압(VSS) 사이에는 저항소자(R122)가 연결된다. 제2 버퍼부(122)는 제1 버퍼부(12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12)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12)와, 제1 버퍼부(12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12)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12)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12)의 바디와 전원전압(VDD) 사이에는 저항소자(R123)가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12)의 바디와 접지전압(VSS) 사이에는 저항소자(R122)가 연결된다. 제3 버퍼부(123)는 제2 버퍼부(122)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13)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13)와, 제2 버퍼부(122)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13)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13)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13)의 바디와 전원전압(VDD) 사이에는 저항소자(R125)가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13)의 바디와 접지전압(VSS) 사이에는 저항소자(R126)가 연결된다. 제4 버퍼부(124)는 제3 버퍼부(123)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주기신호(OSC)가 출력되는 노드(nd14)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14)와, 제3 버퍼부(123)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14)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14)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14)의 바디와 전원전압(VDD) 사이에는 저항소자(R127)가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14)의 바디와 접지전압(VSS) 사이에는 저항소자(R128)가 연결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주기신호생성회로는 개시신호(STR)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기설정된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OSC)를 생성한다.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버퍼부(12)에 포함된 PMOS 트랜지스터들(P11~P14)의 바디와 전원전압(VDD) 사이에는 저항소자들(R121, R123, R125, R127)이 연결된다. 또한,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버퍼부(12)에 포함된 NMOS 트랜지스터들(N11~N14)의 바디와 접지전압(VSS) 사이에는 저항소자들(R122, R124, R126, R128)이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들(P11~P14) 및 NMOS 트랜지스터들(N11~N14)의 바디에 저항이 연결됨으로써 바디에서 바라보는 기생용량이 줄어들어 누설전류가 감소된다. 저항소자들(R121~R128)이 각각 고유의 저항값을 갖게 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들(P11~P14) 및 NMOS 트랜지스터들(N11~N14)의 바디가 플로팅되어 발생되는 래치업(latch-up)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버퍼소자(21), 제1 저항부(22), 제2 저항부(23), 제1 버퍼부(24), 제2 버퍼부(25), 제3 버퍼부(26) 및 제4 버퍼부(27)로 구성된다. 버퍼소자(21)는 개시신호(STR)에 응답하여 주기신호(OSC)를 버퍼링하여 버퍼신호(BUF)를 생성한다. 개시신호(STR)는 주기신호생성회로의 동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신호로서, 외부에서 입력되거나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제1 저항부(22)는 제1 전원전압(VDD1)에 연결된 저항소자(R21)와, 제2 전원전압(VDD2)에 연결된 저항소자(R22)를 포함한다. 제1 전원전압(VDD1) 및 제2 전원전압(VDD2)은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레벨을 갖거나 다른 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저항소자(R21) 및 저항소자(R22)는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저항값을 갖거나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저항부(23)는 제1 접지전압(VSS1)에 연결된 저항소자(R23)와, 제2 접지전압(VSS2)에 연결된 저항소자(R24)를 포함한다. 제1 접지전압(VSS1) 및 제2 접지전압(VSS2)은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레벨을 갖거나 다른 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저항소자(R23) 및 저항소자(R24)는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저항값을 갖거나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버퍼부(24)는 버퍼신호(BUF)에 응답하여 노드(nd21)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21)와, 버퍼신호(BUF)에 응답하여 노드(nd21)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1)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21)의 바디는 저항소자(R21)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21)의 바디는 저항소자(R23)에 연결된다. 제2 버퍼부(25)는 제1 버퍼부(24)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22)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22)와, 제1 버퍼부(24)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22)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2)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22)의 바디는 저항소자(R22)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22)의 바디는 저항소자(R24)에 연결된다. 제3 버퍼부(26)는 제2 버퍼부(25)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23)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23)와, 제2 버퍼부(25)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23)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3)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23)의 바디는 저항소자(R21)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23)의 바디는 저항소자(R23)에 연결된다. 제4 버퍼부(27)는 제3 버퍼부(26)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24)를 풀업구동하는 풀업소자로 동작하는 PMOS 트랜지스터(P24)와, 제3 버퍼부(26)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노드(nd24)를 풀다운구동하는 풀다운소자로 동작하는 NMOS 트랜지스터(N24)로 구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P24)의 바디는 저항소자(R22)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N24)의 바디는 저항소자(R24)에 연결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주기신호생성회로는 개시신호(STR)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기설정된 주기를 갖는 주기신호(OSC)를 생성한다. 주기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PMOS 트랜지스터들(P21~P24)의 바디와 제1 전원전압(VDD1) 및 제2 전원전압(VDD2) 사이에는 저항소자들(R21, R22)이 연결된다. 또한, 주기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NMOS 트랜지스터들(N21~N24)의 바디와 제1 접지전압(VSS1) 및 제2 접지전압(VSS2) 사이에는 저항소자들(R23, R24)이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들(P21~P24) 및 NMOS 트랜지스터들(N21~N24)의 바디에 저항이 연결됨으로써 바디에서 바라보는 기생용량이 줄어들어 누설전류가 감소된다. 저항소자들(R21~R24)이 각각 고유의 저항값을 갖게 되므로, MOS 트랜지스터들(P21~P24) 및 NMOS 트랜지스터들(N21~N24)의 바디가 플로팅되어 발생되는 래치업(latch-up)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신호생성회로는 도 1에 도시된 주기신호생성회로와 달리 저항소자들(R21~R24)을 공유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일 실시예**
11: 버퍼소자(11) 및 12: 버퍼부
121: 제1 버퍼부 122: 제2 버퍼부
123: 제3 버퍼부 124: 제4 버퍼부
**도 2-다른 실시예**
21: 버퍼소자 22: 제1 저항부
23: 제2 저항부 24: 제1 버퍼부
25: 제2 버퍼부 26: 제3 버퍼부
27: 제4 버퍼부

Claims (20)

  1.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및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와 소스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업구동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업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와 전원전압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제2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와 접지전압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업구동하는 제3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업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3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와 전원전압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제4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와 접지전압 사이에 저항소자가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6.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 및
    제1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1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제1 저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가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업구동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업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업구동하는 제2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업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부는 제2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2 저항소자를 더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업구동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업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업구동하는 제2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업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2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12. 제 6 항에 있어서,
    접지전압에 연결된 제2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제2 저항부를 더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2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제2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2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15. 버퍼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노드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주기신호를 출력하는 제2 버퍼부; 및
    제1 접지전압에 연결된 제1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저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퍼부는 각각 바디가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제2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제2 접지전압에 연결된 제2 저항소자를 더 포함하는 주기신호생성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버퍼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노드를 풀다운구동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1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신호를 풀다운구동하는 제2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2 풀다운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바디는 상기 제2 저항소자에 연결된 주기신호생성회로.
KR20130079241A 2013-07-05 2013-07-05 주기신호생성회로 KR2015000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241A KR20150005365A (ko) 2013-07-05 2013-07-05 주기신호생성회로
US14/133,993 US20150008970A1 (en) 2013-07-05 2013-12-19 Period signal genera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241A KR20150005365A (ko) 2013-07-05 2013-07-05 주기신호생성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65A true KR20150005365A (ko) 2015-01-14

Family

ID=5213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241A KR20150005365A (ko) 2013-07-05 2013-07-05 주기신호생성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08970A1 (ko)
KR (1) KR20150005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542A (ko) 2017-01-11 2019-09-10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901B1 (en) * 2020-02-14 2021-01-05 Realtek Semiconductor Corp. Low supply voltage ring oscillato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49976B (en) * 1998-08-11 2001-08-11 Toshiba Corp Pulse width modulation waveform generation circuit
JP2006140228A (ja) * 2004-11-10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sトランジスタ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542A (ko) 2017-01-11 2019-09-10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08970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7051B1 (en) Driving circuit for non-volatile memory
KR100378201B1 (ko) 전원전압 이상의 입력신호를 용인하는 신호전송회로
US7145363B2 (en) Level shifter
JP5008367B2 (ja) 電圧発生装置
US9337842B1 (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driving circuit
US20230370060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795905B2 (en) On die termination (ODT) circuit having improved high frequency performance
KR100744123B1 (ko) 정전기 방전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 esd 보호회로
KR20150005365A (ko) 주기신호생성회로
KR10102029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609441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KR100560298B1 (ko) 공정조건 또는 전압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지연양을가지는 지연회로 및 그를 이용한 펄스생성회로
JP2012109018A (ja) 電圧発生装置
KR101204670B1 (ko) 레벨 시프터
US20120126874A1 (en) Integrated circuit
KR20140086675A (ko) 데이터 출력 회로
CN109245756B (zh) 一种减小电源域切换噪声的方法及芯片输出接口电路
TWI502892B (zh) 輸入緩衝器
US6559678B1 (en) Node predisposition circuit
TWM629696U (zh) 高效能電位轉換電路
KR100999874B1 (ko) 레벨 시프터
KR10042771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고전압 전달장치
KR100277866B1 (ko) 반도체 소자의 출력 드라이버
TWM628446U (zh) 用於數據接收電路之無競爭電位轉換電路
TWM598007U (zh) 高性能電壓位準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