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977A -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977A
KR20150002977A KR1020130075024A KR20130075024A KR20150002977A KR 20150002977 A KR20150002977 A KR 20150002977A KR 1020130075024 A KR1020130075024 A KR 1020130075024A KR 20130075024 A KR20130075024 A KR 20130075024A KR 20150002977 A KR20150002977 A KR 2015000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water
tank
aluminum
disk filt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429B1 (ko
Inventor
최용욱
박진숙
강소라
김은지
남유라
김학로
김자순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정수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정수산업(주)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4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숙면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용수가 저장되는 공정용수 저장탱크와; 알루미늄 전해조와;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 내에 전해질을 투입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펌프와;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 및 알루미늄 전해조와 연결되며, 공정용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정용수가 공급되고,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로부터 투입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와 혼합되도록 하여 공정용수 내의 콜로이드를 응집 후 침전시키는 급속 교반조와; 상기 급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상기 급속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 내에 플록(flocs)을 응집시키는 완속 교반조와; 상기 완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을 침진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의 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크 필터 여과조; 및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와 연결되며, 디스크 필터 여과조의 물을 흡인하여 유출하는 디스크 필터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WATER TREATMENT SYSTEM USING ELECTROCOAGULATION METHOD}
본 발명은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숙면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용수가 저장되는 공정용수 저장탱크와; 알루미늄 전해조와;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 내에 전해질을 투입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펌프와;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 및 알루미늄 전해조와 연결되며, 공정용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정용수가 공급되고,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로부터 투입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와 혼합되도록 하여 공정용수 내의 콜로이드를 응집 후 침전시키는 급속 교반조와; 상기 급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상기 급속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 내에 플록(flocs)을 응집시키는 완속 교반조와; 상기 완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을 침진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의 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크 필터 여과조; 및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와 연결되며, 디스크 필터 여과조의 물을 흡인하여 유출하는 디스크 필터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공법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로 크게 분류되는데, 물리적 처리공법은 화학적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단지 물리적인 작용에 의한 처리방법으로서, 스크린조, 집수조, 침사지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또한, 화학적 처리공업은 화학적인 반응을 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중화조, 산화, 환원반응조, 응집조, 흡착탑 등을 이용하는 처리방법이다.
또한, 생물학적 처리공법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처리를 행하는 공법으로서 활성슬러지조의 반응시설을 이용하는 처리방법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전기분해(응집)를 통한 폐수처리 방법(시스템)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3-0064435호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폐수처리방법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Fe 또는 Al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을 폐수량 100l을 기준으로 7 ~ 15cm의 극간거리로 이격 설치하고, 전극의 하부에 교반장치를 설치한 반응기에 전해질농도가 0.1 ~ 1.0%인 전해질을 폐수량이 10l미만이 경우에는 폐수량의 3 ~ 5%, 폐수량이 50 ~ 200l이 경우에는 폐수량의 1%미만으로 첨가한 염색폐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전극에 전류밀도 0.1 ~ 0.15A/cm2의 전류를 폐수의 농도(ppm)에 비례하여 20 ~ 30분동안 인가하되,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을 교대로 변환시키면서 전기분해하여 상기 전극에서 생성된 금속이온과 수소 및 산소에 의해 상기 염색폐수내의 오염물을 응집, 흡착, 침전, 부상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분해 처리된 염색폐수를 여과하여 스컴을 제거하고 오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폐수처리방법은, 온도가 저온인 경우, 또는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 폐수처리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는 물리적 처리공법과, 많은 양의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처리시약에 의한 2차 오염 문제가 뒤따르며, 슬러지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화학적 처리공법 및 2차 오염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으나, 염색공장, 도금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와 같이 중금속, 난연성 염 등을 내포하는 난분해성 폐수는 하절기의 원 폐수의 수온이 40℃ 이상의 고온을 나타내므로 산소 전달율이 낮아져 종종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의 폭기조 내부가 혐기화 되면서 슬러지 원생동물의 생존이 어려운 상태가 되므로 하절기에 폐수처리효율이 극히 저조해지는 단점이 있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면은 식품공전에 따라 종류마다 주원료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곡분 또는 전분을 원료로 하여 성형하거나 가공한 것으로 가공방법에 따라 건면, 생면, 숙면, 유탕면 및 냉동면으로 구분한다. 국수의 소비는 건면과 라면으로 대표되는 유탕면을 중심으로 소비시장이 형성되어 왔으나 살균 및 유통기술의 발달과 편이성, 식품의 고급화 등 소비자 요구에 맞춰 점차 생면이나 숙면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숙면은 즉석에서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시간이 짧아 즉석식품으로서의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숙면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냉각수가 발생되어 지며, 과정 후에 나오는 많은 양의 폐수는 바로 폐수처리 공정을 거쳐 방류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숙면 및 생면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마이크로 필터(MF)나 한외여과(UF) 등을 거쳐 다시 사용하였을 때 용해된 점도 높은 성분(글루텐)이 필터의 공극에 달라붙어 엉김으로써 필터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되고 재생하기도 어려운 실정에 있다. 따라서 심미적, 위생학적으로 안전한 냉각수로 재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물리·화학적 수 처리공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수처리 공정에서 회수된 전분 찌꺼기를 가축사료 등으로 재활용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 환경보호, 자원의 재활용 및 에너지 절감차원에서 볼 때, 절실히 요구되는 공정이며, 파급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사료된다.
2008년 1천 6백억 원으로 집계된 냉장면 시장은 우동이 350억원, 냉면부문이 450억 원으로 우동과 냉면이 집중되어 있다. 식약청에 따르면, 면류 국내 생산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라면을 제외한 국수, 냉면, 당면, 파스타 등 면류의 생산량과 출하액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5년 대비 2009년 출하액이 생산량 증가폭 보다 높아 단위당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단위가격 상승의 원인은 원재료 비용 상승이 그 중 하나로 보이고, 2009년 면류 생산량은 30만 톤으로 2005년 대비 24.5% 증가하였으며, 출하액은 2009년 5,380억 원으로 2005년 대비 44.3% 상승한 수준이다.
한편, 숙면을 제조하려면 끊는 물에 3분간 익힌 면을 냉수에서 냉각한 다음 수분을 제거하고 진공포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냉각과정 중에 사용된 많은 양의 물은 바로 버려지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막대하다. 이를 다시 마이크로 필터(MF)나 한외여과(UF)를 사용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으로 대처하였지만 물속의 점도 높은 성분인 글루텐이 필터의 공극에 엉김으로써 필터의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엉김 현상으로 발생한 필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냉각수의 점성을 낮춤으로써 물의 재활용이 원활히 이뤄지는 시스템 구축을 마련해야 하지만 이러한 숙면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용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장치)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숙면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용수의 방류를 줄이고 완전 폐수 이전 공정에서 재활용함으로써 물 절약으로 인한 비용 및 슬러지 재활용으로 인한 자원화, 폐수발생을 줄임으로써 얻는 비용, 에너지 절감 비용 등의 효과가 있는 숙면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용수의 재활용을 위한 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면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용수가 저장되는 공정용수 저장탱크와; 알루미늄 전해조와;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 내에 전해질을 투입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펌프와;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 및 알루미늄 전해조와 연결되며, 공정용수 공급펌프를 통해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정용수가 공급되고,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로부터 투입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와 혼합되도록 하여 공정용수 내의 콜로이드를 응집 후 침전시키는 급속 교반조와; 상기 급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상기 급속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 내에 플록(flocs)을 응집시키는 완속 교반조와; 상기 완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을 침진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의 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크 필터 여과조; 및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와 연결되며, 디스크 필터 여과조의 물을 흡인하여 유출하는 디스크 필터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는 양극 및 음극이 알루미늄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은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단극성 전극으로 구성되며, 전기응집 시 양극 전극으로부터 알루미늄이 용해되어 공급되되 일정시간 경과 후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의 극성이 바뀌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은 5mm 간격으로 교호되도록 설치되되 같은 극끼리는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은 1%황산소듐과 염화소듐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화소듐은 400~2000ppm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는 탁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디스크를 상하로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응집침전 공정 중에서 유입된 세균이나 대장균을 살균하기 위해 양극의 DSA 전극을 통해 생성된 염소기체에 의한 살균작용 및 알루미늄 음극을 통해 잔류되는 중금속을 회수하는 살균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숙면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용수의 방류를 줄이고 완전 폐수 이전 공정에서 재활용함으로써 물 절약으로 인한 비용 및 슬러지 재활용 으로 인한 자원화, 폐수발생을 줄임으로써 얻는 비용, 에너지 절감 비용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전해조의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크게 공정용수 저장탱크(100)와, 알루미늄 전해조(200)와, 급속 교반조(300)와, 완속 교반조(400)와, 응집조(500)와, 디스크 필터 여과조(600)로 구성된다.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100)는 라면이나 우동 등의 면을 삶을 때 발생하는 부유물이 함유된 공정용수가 저장되는 탱크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저장탱크이며, 급속 교반조(300)와 연결되고, 공정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정용수 공급펌프(110)가 구비되어 상기 공정용수 공급펌프를 통해 내부의 공정용수를 상기 급속 교반조로 투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200)는 상기 급속 교반조(300)와 연결되며 내부의 전해질(용해성 알루미늄 전극에서 용출되어 생성되는 수산화 알루미늄)을 급속 교반조로 공급하는 것으로, 전해질 공급펌프(210)를 통해 알루미늄 전해조로 유입된 전해질은 알루미늄의 용출에 기여하며, 상기 급속 교반조(300) 내에 연속적으로 알루미늄이 용출된 공정용수가 투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200)는 양극 및 음극이 알루미늄 전극(20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알루미늄 전극(204)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202)와 보호커버(203)가 구비되고, 케이스(201)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전기응집 시 양극에서 알루미늄이 용해되어 나오도록 구성되며, 용해된 알루미늄은 급속 및 완속 교반조를 거치면서 콜로이드(부유물)를 응집시켜 빠른 시간 내에 침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은 5mm 간격으로 교호되도록 설치되되 같은 극끼리는 병렬로 설치되며,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단극성 전극으로 구성되어 전기응집 시 양극 전극으로부터 알루미늄이 용해되어 공급되되 일정시간 경과 후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의 극성이 바뀌도록 정류기(900)에 프로그램되어 있어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전극 교체 주기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양극에서의 반응을 살펴보면,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음극에서의 반응을 살펴보면,
Figure pat00002
상기 양극과 음극을 통한 전지반응을 살펴보면,
Figure pat00003
전지반응에서 수산화알루미늄 침전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금속 수산화물 침전물은 접촉면적이 매우 커서 침전할 때 유기물이나 콜로이드를 표면에 흡착하여 침전하는 소위 체거름 현상에 의한 sweep flocs이 생성된다. 또한 Al(OH)2+, Al(OH)2 +, Al2(OH)2 4+와 같은 화학종뿐만 아니라 Al6(OH)15 3+, Al7(OH)17 4+, Al8(OH)20 4+, Al13(OH)34 5+, Al13O4(OH)24 7+와 같은 폴리알루미늄도 생성되어 응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응집제 약품 투여에 의해 생성된 슬러지 양보다도 훨씬 적은 양의 슬러지가 발생되어 슬러지 처리량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200)에 공급되는 전해질은 1%황산소듐과 염화소듐을 혼합한 것으로, 상기 염화소듐의 농도는 400~2000ppm인 것이 좋다.
염화소듐의 농도가 400ppm 이하인 경우에는 알루미늄의 용출량이 너무 미약하고, 2000ppm 이상인 경우 알루미늄의 용출량이 극대화되어 더 이상 용출량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전해질 제작비용 절감과 극판의 수명을 고려하여 400~2000ppm인 것이 좋다.
상기 급속 교반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100) 및 알루미늄 전해조(200)와 연결되며, 내부에 공급된 공정용수 및 알루미늄이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공정용수 내의 콜로이드(부유물)을 응집 후 침전시킨다.
상기 급속 교반조(300)는 공정용수 및 수산화 알루미늄을 혼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투입된 공정용수 및 수산화 알루미늄이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모터(31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교반 날개 처리수(냉각 공정용수)와 수산화 알루미늄을 혼합하도록 교반날개(320)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교반기로서, 알루미늄 전해조(200)에서 용출된 수산화 알루미늄이 공정용수와 급속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교반한다.
상기 완속 교반조(400)는 상기 급속 교반조 내의 수산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 중 응집된 플록(flocs)의 크기가 서서히 성장하도록 완속 교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모터(410)가 장착되어 교반 날개(420)를 구하여 저속으로 교반함으로서 응집조(500)로 월류되는 공정용수 내의 플록(flocs)을 최소화한다.
상기 응집조(500)는 응집된 플록(flocs)을 침전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콜로이드(부유물)가 거의 제거된 공정용수는 디스크 필터 여과조(600)로 월류된다.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600)는 응집된 플록(flocs)의 탁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한 여과장치로서, 탁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박막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디스크(610)를 상하로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형성되며, 2 이하의 부유성분만 디스크 사이로 통과되고 그 이상 부유성분은 제거되며, 표면에 부착된 부유물질을 주기적으로 공기로 역세척하여 여과되어 나오는 물의 유량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600)는 디스크 필터 흡입펌프(700) 및 컴프레셔(C)와 연결되며, 디스크 필터 여과조의 물을 흡인하여 유출하는 디스크 필터 흡입펌프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가 작동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신호를 전달하고 자동적으로 가압펌프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스위치된 유로의 역방향으로 공기압을 불어 넣어 디스크 필터 표면에 부착된 입자들을 입력된 시간 동안 털어낸 다음 흡인펌프가 재작동된다.
상기 살균조(800)는 양극에 여러 장의 불용성(DSA) 전극으로 형성되고, 음극은 알루미늄 봉 전극으로 형성되어 음극에 의해 사방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서, 응집 공정 중 오염될 수 있는 미생물이나 대장균에 의해 침투된 공정수를 살균하기 위해 디스크 필터 여과조에서 처리수가 여과되는 동안 여과조의 일부를 살균조로 유입시켜 염소를 발생시킨 다음 다시 응집조로 투입되는 순환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음극에서는 공정수 중 양이온이 수산화물로 침전되어 회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숙면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용수의 방류를 줄이고 완전 폐수 이전 공정에서 재활용함으로써 물 절약으로 인한 비용 및 슬러지 재활용 으로 인한 자원화, 폐수발생을 줄임으로써 얻는 비용, 에너지 절감 비용 등의 효과가 있다.
100 : 공정용수 저장탱크 110 : 공정용수 공급펌프
200 : 알루미늄 전해조 201 : 케이스
202 : 체결구 203 : 보호커버
204 : 알루미늄 전극 205 : 후드
206 : 손잡이 210 : 전해질 공급펌프
300 : 급속 교반조 310 : 모터
320 : 교반날개 400 : 완속 교반조
410 : 모터 420 : 교반날개
500 : 응집조 600 : 디스크 필터 여과조
610 : 디스크 700 : 디스크 필터 흡인펌프
800 : 살균조 900 : 정류기
C : 콤프레셔

Claims (8)

  1. 숙면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용수가 저장되는 공정용수 저장탱크(100)와;
    알루미늄 전해조(200)와;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 내에 전해질을 투입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펌프(210)와;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 및 알루미늄 전해조와 연결되며, 공정용수 공급펌프(110)를 통해 상기 공정용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정용수가 공급되고,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로부터 투입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와 혼합되도록 하여 공정용수 내의 콜로이드를 응집 후 침전시키는 급속 교반조(300)와;
    상기 급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상기 급속 교반조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늄이 투입된 공정용수 내에 플록(flocs)을 응집시키는 완속 교반조(400)와;
    상기 완속 교반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을 침진시키는 응집조(500)와;
    상기 응집조와 연결되며, 응집된 플록(flocs)의 탁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크 필터 여과조(600); 및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와 연결되며, 디스크 필터 여과조의 물을 흡인하여 유출하는 디스크 필터 흡입펌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전해조는 양극 및 음극이 알루미늄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은 양면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단극성 전극으로 구성되며, 전기응집 시 양극 전극으로부터 알루미늄이 용해되어 공급되되 일정시간 경과 후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의 극성이 바뀌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은 5mm 간격으로 교호되도록 설치되되 같은 극끼리는 병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1%황산소듐과 염화소듐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소듐은 400~2000ppm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필터 여과조는 탁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디스크를 상하로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응집침전 공정 중에서 유입된 세균이나 대장균을 살균하기 위해 양극의 DSA 전극을 통해 생성된 염소기체에 의한 살균작용 및 알루미늄 음극을 통해 잔류되는 중금속을 회수하는 살균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KR1020130075024A 2013-06-28 2013-06-28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KR10161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024A KR101611429B1 (ko) 2013-06-28 2013-06-28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024A KR101611429B1 (ko) 2013-06-28 2013-06-28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77A true KR20150002977A (ko) 2015-01-08
KR101611429B1 KR101611429B1 (ko) 2016-04-14

Family

ID=5247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024A KR101611429B1 (ko) 2013-06-28 2013-06-28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4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2978A (zh) * 2016-04-19 2016-06-22 徐州工程学院 一种混凝电解复合法处理高浓度有机废水的设备及其处理方法
WO2021103049A1 (zh) * 2019-11-28 2021-06-03 江苏中车环保设备有限公司 小型污水处理设备污泥脱水车及脱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890A (ja) * 1999-10-26 2001-05-08 Sharp Corp 洗濯機
KR100975239B1 (ko) * 2009-05-27 2010-08-11 창원시 하천 유지수 확보를 위한 하수 정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2978A (zh) * 2016-04-19 2016-06-22 徐州工程学院 一种混凝电解复合法处理高浓度有机废水的设备及其处理方法
CN105692978B (zh) * 2016-04-19 2018-06-15 徐州腾睿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混凝电解复合法处理高浓度有机废水的设备及其处理方法
WO2021103049A1 (zh) * 2019-11-28 2021-06-03 江苏中车环保设备有限公司 小型污水处理设备污泥脱水车及脱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429B1 (ko)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0206A1 (en) Nano catalytic electrolysis and flocculation apparatus
EP2050723A1 (en) Method and integral system for treating water for cooling towers and processess requiring removal of silica from the water
CN108455680B (zh) 一种钢铁酸洗废液绿色资源化利用方法
CN110980895B (zh) 一种从水中电吸附并降解去除抗生素的方法及装置
CN110015781A (zh) 一种煤矿井水的高效除氟方法
CN105384222B (zh) 废水的电絮凝处理设备
JP5498477B2 (ja) 活性金属塩凝集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540135A (zh) 一种安全高效的垃圾渗滤液纳滤浓缩液处理组合工艺
CN114212862A (zh) 一种电絮凝氧化一体化废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6830467B (zh) 一种基于铁泥回用的Fenton法污水处理一体化装置及其方法
CN203878007U (zh) 电厂脱硫废水处理装置
CN107298489A (zh) 电化学反应器及去除废水中共存高钙高氯离子的方法
CN108947034A (zh) 一种含锌铸造废水的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1072112A (zh) 一种脱硫废水零排放的废水处理方法及处理系统
CN111689550A (zh) 一种连续排污和回用的工业循环水整体处理系统及工艺
CN107827293B (zh) 一种海产品加工过程产生的高含盐有机废水的处理工艺
KR101611429B1 (ko) 전기응집을 통한 숙면제조 공정용수의 처리 시스템
KR102361906B1 (ko) 하폐수 처리 재이용 시스템
CN111634979B (zh) 一种利用水滑石基粒子电极构建三维电极体系去除脱硫废水氯离子的装置
CN111924939A (zh) 一种微电极去除水产养殖水体中氨氮及亚硝酸盐的方法
CN209065489U (zh) 一种用于处理氨氮废水的三维电催化氧化装置
CN212127829U (zh) 一种反渗透浓缩液电解回收装置
CN216039059U (zh) 一种序批式电絮凝装置
KR102336536B1 (ko) 하폐수 처리 재이용 시스템
CN211644723U (zh) 一种脱硫废水零排放的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