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192A -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192A
KR20150002192A KR20130075731A KR20130075731A KR20150002192A KR 20150002192 A KR20150002192 A KR 20150002192A KR 20130075731 A KR20130075731 A KR 20130075731A KR 20130075731 A KR20130075731 A KR 20130075731A KR 20150002192 A KR20150002192 A KR 20150002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ealing member
base
cov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948B1 (ko
Inventor
장충식
방웅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센테크
Priority to KR102013007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9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4Seal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8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의 외면에 설치되며 케이블이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Cable fixing assembly}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대전류의 전력원으로 사용되는 외부장치는 케이블을 통하여 다른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은 외부장치에 설치될 때, 외부장치에 얼마나 견고하게 결합하느냐에 따라서 기밀성, 차폐성, 접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밀성, 차폐성, 접지성을 고려하여 케이블은 별도의 어셈블리를 통하여 외부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어셈블리가 케이블에 얼마나 견고하게 결합하느냐에 따라서 외부장치의 수명 및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근래에서는 이산화탄소 규제, 유가 급등, 석유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화의 문제가 부각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케이블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양산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각 구성요소들을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고, 신호 등을 교류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케이블에는 고전압, 대전류의 특성이 가해질 수 있으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어셈블리의 경우 고전압, 대전류 특성에 맞게 케이블을 고정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자동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고전압, 대전류 특성이 가해지는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어셈블리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견고하게 케이블을 고정 가능한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 장치의 외면에 설치되며 케이블이 삽입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삽입홀과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도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링부재는 상기 커버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제 2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링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 2 실링부재의 내면 및 상기 제 2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한면에는 돌기 및 그르부(Groove)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 2 고정부가 삽입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접촉부의 위치 변경을 방지하는 위치변경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및 상기 제 1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Ground)되도록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이 외부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전압이 형성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장치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이 다른 요소에 접촉되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실링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실링부재(16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외부장치(B)에 설치되는 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11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0)는 외부장치(B)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110)는 볼트, 나사, 핀 등을 통하여 외부장치(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10)의 일부는 외부장치(B)의 외면에 완전히 밀착함으로써 후술할 커버(120)가 삽입되는 외부장치(B)의 외면에 형성되는 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110)는 외부장치(B)의 외면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결합부(1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1)에는 케이블(C)이 삽입되는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2)에는 제 1 케이블 삽입홀(19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케이블(C)이 삽입되는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블 삽입홀(191)과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은 다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은 다단지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제 1 고정부(130), 제 2 고정부(140) 및 제 2 실링부재(16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의 크기는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블 삽입홀(191)과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의 경계에는 제 2 실링부재(160)가 안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부(112)는 결합부(11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12)는 결합부(111)로부터 외부장치(B)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1)의 외면에는 후술할 제 1 실링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111)의 외면에는 제 1 실링부재(150)가 설치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며, 케이블(C)이 삽입되는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120)는 다양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커버(120)는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0)는 일부가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120)는 지지부(11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외부장치(B)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0)는 베이스(11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안착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보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122) 내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1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22)에는 제 2 케이블 삽입홀(192)과 대응되도록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케이블 삽입홀(191) 내지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의 중심 내지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의 중심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케이블 삽입홀(191) 내지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은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의 개수 내지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의 개수는 1개, 2개, 3개 등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의 개수 내지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의 개수가 각각 3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베이스(110)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130)는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1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부(130)는 커버(120)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부(131)는 커버(120)의 내면에 접촉한 후 위치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커버(120)는 접촉부(131)의 위치 변경을 방지하는 위치변경방지부(122a)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을 위치변경방지부(122a)는 커버(120)의 내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되는 홈이나 접촉부(131)의 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돌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변경방지부(122a)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130)는 접촉부(1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32)는 내부에 후술할 제 2 고정부(140)가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장부(132)는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의 내부에 형성된 둔턱에 연장부(132)의 끝단이 걸림으로써 외부 진동 등에 의하여 제 1 고정부(130)가 케이블(C)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제 1 고정부(130)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140) 내부는 케이블(C)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140)는 제 1 고정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제 1 실링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실링부재(150)는 적어도 일부분이 베이스(110)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 1 실링부재(150)는 커버(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베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실링부재(150)는 일면이 외부장치(B)의 외면과 접촉함으로써 베이스(110)와 외부장치(B)의 외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커버(120)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 또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실링부재(150)는 수분 또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케이블(C)이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실링부재(1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실링부재(15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분이나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링부재(150)는 고무, 실리콘,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링부재(150)가 실리콘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베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실링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실링부재(160)는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실링부재(160)는 제 1 고정부(130)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2 고정부(140)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링부재(160)는 내면에 케이블(C)이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실링부재(160) 내면 및 제 2 실링부재(160)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돌기(161) 및 그르부(162,Groove)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돌기(161) 및 그르부(162)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제 2 케이블 삽입홀(192)을 통하여 외부장치(B)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 및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실링부재(160)의 내면 및 제 2 실링부재(160)의 외면에 돌기(161) 및 그르부(162)가 교번하여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의 조립 방법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의 조립 방법을 살펴보면, 케이블(C)을 결합부(111)의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의 단자(T)가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한 후 제 2 실링부재(160)와 제 2 고정부(140)에 케이블(C)을 삽입하고, 제 1 고정부(130)에 다시 제 2 고정부(140) 및 케이블(C)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실링부재(16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고정부(140) 및 제 1 고정부(130) 중 적어도 하나와 맞닿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커버(120)의 제 3 케이블 삽입홀(193)을 통하여 케이블(C)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커버(120)의 안착부(121)는 베이스(110)의 결합부(111)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결합부(111)에 삽입된 제 1 실링부재(150)는 안착부(121)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안착부(121)와 결합부(111)를 볼트, 나사 등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21)는 결합부(111)와 밀착하게 되고, 커버(120)의 보호부(122)는 제 1 고정부(130)의 접촉부(131)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접촉부(131)는 위치변경방지부(122a)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121)와 결합부(111)가 서로 밀착하는 경우 제 2 고정부(140) 및 제 2 실링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부(130)의 길이와 제 2 실링부재(160)의 길이의 합(L2)은 커버(120)의 내면으로부터 케이블(C)이 삽입되는 베이스(110)의 외면까지의 거리(L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130)의 길이와 제 2 실링부재(160)의 길이의 합(L2)은 커버(120)의 내면으로부터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에 형성된 다단진 부분까지의 거리(L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20)와 베이스(110)가 결합되는 경우 커버(120)와 베이스(110)가 각각 제 1 고정부(130)를 제 2 실링부재(160) 측으로 가압하고, 제 2 실링부재(160)를 제 1 고정부(13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케이블(C)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을 통하여 외부에서 침투하는 수분 및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제 2 실링부재(16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돌기(161) 및 그르부(16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제 2 실링부재(160)와 케이블(C) 사이의 공간 및 제 2 실링부재(160)와 제 1 케이블 삽입홀(191)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 제 1 고정부(130)는 제 2 고정부(140)를 가압하고, 제 2 고정부(140)는 케이블(C) 외면을 가압하며, 제 2 실링부재(160)도 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케이블(C)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외부장치(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B)는 고전압, 대전류의 전력원을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B)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 모터, 인버터, 베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장치(B)가 전기자동차용 베터리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베이스(110)는 외부장치(B)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1)가 외부장치(B)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링부재(150)가 설치되는 결합부(111)의 외면이 외부장치(B)의 외면을 향하도록 베이스(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C)의 단자(T) 부분은 외부장치(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C)과 함께 커버(120)가 외부장치(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의 단자(T) 부분은 외부장치(B)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와 완전히 차폐될 수 있으며, 외부장치(B)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경계에 배치되는 케이블(C) 부분은 커버(120) 및 베이스(110) 등에 의하여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가 외부장치(B)에 설치되는 경우 제 1 고정부(130)와 커버(120)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Ground)되도록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1 고정부(130)와 커버(120)는 별도의 구조물을 통하여 외부의 그라운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외부장치(B)와 연결되는 케이블(C)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케이블(C)을 결합하기 위하여 외부장치(B)에 형성되는 홀을 완전히 기밀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 및 수분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장치(B)의 고장을 방지하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100)는 고전압이 형성되는 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장치(B)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C)이 다른 요소에 접촉되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110: 베이스
111: 결합부
112: 지지부
120: 커버
121: 안착부
122: 보호부
122a: 위치변경방지부
131: 접촉부
130: 제 1 고정부
132: 연장부
140: 제 2 고정부
150: 제 1 실링부재
160: 제 2 실링부재

Claims (10)

  1. 외부 장치의 외면에 설치되며 케이블이 삽입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삽입홀과 연결되는 제 2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도출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부재는 상기 커버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제 2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와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링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 2 실링부재의 내면 및 상기 제 2 실링부재의 외면 중 적어도 한면에는 돌기 및 그르부(Groove)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 2 고정부가 삽입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접촉부의 위치 변경을 방지하는 위치변경방지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제 1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Ground)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KR1020130075731A 2013-06-28 2013-06-28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KR10152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31A KR101527948B1 (ko) 2013-06-28 2013-06-28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31A KR101527948B1 (ko) 2013-06-28 2013-06-28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92A true KR20150002192A (ko) 2015-01-07
KR101527948B1 KR101527948B1 (ko) 2015-06-10

Family

ID=5247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731A KR101527948B1 (ko) 2013-06-28 2013-06-28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9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48B1 (ko) * 2005-12-30 2007-03-28 경신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0416265Y1 (ko) * 2006-02-14 2006-05-15 경신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파워케이블의 고정구조
KR200461047Y1 (ko) * 2011-04-11 2012-06-22 서상원 케이블 인출용 커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948B1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476B2 (en)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US937947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570838B2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US6695632B2 (en) Shield connector
CN111555063B (zh) 连接器
US11539149B2 (en) Terminal block with a removable busbar assembly
US20220294153A1 (en) Seal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as well as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Assembly with such a Seal
CN113764928A (zh) 连接器及连接器装置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KR101527948B1 (ko) 케이블 고정 어셈블리
US10819061B2 (en) Power connector
JP2013123286A (ja) モータ
CN210985536U (zh) 接线盒及端子支架
KR101692812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180009869A (ko) 차량 도어 커넥터의 와이어 커버 실링구조
US10136536B2 (en) Resilient shielding member for device
US11949182B2 (en) Wiring connector assembly
JP7350645B2 (ja) シール構造
KR102264994B1 (ko)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CN217485778U (zh) 法兰连接件和连接器
JP2020031510A (ja)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219017987U (zh) 一种法兰式转接连接器及一种法兰式转接连接器组件
JP7378896B2 (ja) シール構造
KR101692813B1 (ko) 고전압 커넥터
CN117199883A (zh) 法兰连接件和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