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060U -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060U
KR20150002060U KR2020130009621U KR20130009621U KR20150002060U KR 20150002060 U KR20150002060 U KR 20150002060U KR 2020130009621 U KR2020130009621 U KR 2020130009621U KR 20130009621 U KR20130009621 U KR 20130009621U KR 20150002060 U KR20150002060 U KR 20150002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uxiliary
turnover
cabl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8138Y1 (ko
Inventor
박용진
최동욱
임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3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면에 격판이 조립된 선박의 블록을, 상기 블록의 일측에 체결되는 주케이블과, 상기 블록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 1 보조케이블과, 상기 블록의 하면에 체결되는 제 2 보조케이블을 사용하여 턴오버할 때 사용되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로서, 상기 제 1 보조케이블이 걸리도록 제공되는 턴오버 보조바; 및 상기 턴오버 보조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턴오버 보조바 및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BLOCK TURN-OVER ASSIS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의 건조시 조립되는 블록(Block)과 같은 구조물을 조립함에 있어서 블록 상면의 작업이 완료되면 블록 하면의 작업을 위해 블록을 뒤집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작업면을 변경하기 위해 블록을 뒤집는 공정을 블록 턴오버(Turn-over)라 한다. 블록 턴오버 공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블록 턴오버를 위해 블록에 케이블을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블록 턴오버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블록(10)의 일측 모서리의 격판(2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공된 러그에 주케이블(32)이 체결되고, 블록(10)의 상부의 격판(20)이 맞닿는 부분의 중간 부분에 제 1 보조케이블(34)이 체결될 수 있다.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은 자유단이 턴오버를 위한 힘을 제공하는 크레인 등의 장비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이 블록(10)에 체결되면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을 이용하여 블록(10)을 일정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린 후, 제 1 보조케이블(34)에 걸리는 하중이 없을 때까지 서서히 내린다. 제 1 보조케이블(34)에 걸리는 하중이 없어져서 블록(10)의 하중이 모두 주케이블(32)에 작용하게 되면 제 1 보조케이블(34)은 블록(10)으로부터 해체하고, 제 2 보조케이블(36)을 1 보조케이블(34)이 체결되었던 부분의 배면에 체결한다. 제 2 보조케이블(36)이 체결되면, 제 2 보조케이블(36)을 상방으로 당겨서 블록(10)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고, 블록(10)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케이블(32)과 제 2 보조케이블(36)을 서서히 지면으로 내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블록 턴오버 공정이 완료될 수 있으며, 턴오버된 블록의 하면에 대하여 조립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블록 턴오버를 하는 과정에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 및 격판(20)의 무게중심(G)이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의 사이에 있지 않고 벗어나게 되면 블록(10)이 자중에 의해 흔들리면서 제 2 보조케이블(36)의 연결 전에 블록(10)이 갑자기 뒤집히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블록(10)의 갑작스러운 전복에 의해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데, 심한 경우에는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케이블이 블록(10) 또는 크레인과 체결된 부위가 파손됨으로써 블록(10)이 낙하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특허문헌: 국내 특허공개 2010-0062627 (2010.06.10.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블록 턴오버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격판이 조립된 선박의 블록을, 상기 블록의 일측에 체결되는 주케이블과, 상기 블록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 1 보조케이블과, 상기 블록의 하면에 체결되는 제 2 보조케이블을 사용하여 턴오버할 때 사용되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로서, 상기 제 1 보조케이블이 걸리도록 제공되는 턴오버 보조바; 및 상기 턴오버 보조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턴오버 보조바 및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오버 보조바는, 단면이 원형인 빔 또는 파이프이고, 상기 보조케이블이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턴오버 보조바가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턴오버 보조바에 밀착되도록 상기 턴오버 보조바와 상기 홈부의 개구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케이블이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블록과 상기 격판의 무게중심이 상기 보조케이블 및 상기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블록의 턴오버에 이용되는 주케이블을 경계선으로 갖는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턴오버 공정을 수행할 때 보조케이블이 감기는 턴오버 보조바에 의해 턴오버 과정에서 블록의 무게중심이 주케이블과 보조케이블의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블록 턴오버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의 격판에 턴오버 보조바를 설치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턴오버 보조바를 설치하는 공정이 추가됨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블록 턴오버를 위해 블록에 케이블을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블록 턴오버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블록의 격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턴오버 보조바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블록의 격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 턴오버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의 턴오버 보조바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블록의 격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사용되는 블록(10)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상면에는 격판(2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격판(20) 역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홈부(22)가 외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블록의 격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턴오버 보조바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블록의 격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는 격판(20)의 홈부(22)에 삽입 설치되는 턴오버 보조바(100) 및 턴오버 보조바(100)를 홈부(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턴오버 보조바(100)는 단면이 원이고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일 수 있으며, 블록(10)에 체결된 제 1 보조케이블(34)이 턴오버 과정에서 턴오버 보조바(100)에 감김으로써 블록(10) 및 격판(20)의 무게중심(G)이 제 1 보조케이블(34)과 주케이블(32)의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턴오버 보조바(100)가 단면이 원이고 속이 비어있는 파이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턴오버 보조바(100)는 예를 들어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도 가능하며, 속이 채워진 빔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턴오버 보조바(100)는 케이블이 감기는 걸림부(104)와 걸림부(104)보다 외경이 작은 결합부(10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102)는 턴오버 보조바(100)의 양 끝 및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02)는 턴오버 보조바(100)가 홈부(22)에 삽입 설치될 때 홈부(22)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고, 걸림부(104)에 비하여 결합부(102)의 외경이 작으므로 걸림부(104)와 결합부(102)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홈부(22)로부터 턴오버 보조바(100)가 격판(20)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고정 부재(110)는 사각 빔 내지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홈부(22)의 개구 측에 용접 고정되어 턴오버 보조바(100)가 홈부(22)의 개구 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가 격판(20)에 용접 고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고정 부재(110)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격판(2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기타 고정 부재(110)가 격판(2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또한, 고정 부재(110)는 격판(20)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 있으나, 격판(20)의 양측에 모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부재(110)는 턴오버 보조바(100)의 결합부(102)에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턴오버 보조바(100)가 덜컹거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10)는 턴오버 보조바(100)가 삽입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20) 각각에 대하여 모두 제공될 수 있으나, 각 격판(20)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격판(2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홈부(22) 중 어느 하나에 턴오버 보조바(100) 및 고정 부재(110)를 설치함으로써 블록(10)의 턴오버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은 도 3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 턴오버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면에 대하여 격판(20)의 조립 및 기타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블록(10)에 자유단이 크레인 등의 장비에 연결된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이 블록(10)에 형성된 러그(미도시)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보조케이블(34)은 블록(10)의 상면에 체결되고, 주케이블(32)은 블록(10)의 모서리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이 블록(10)에 체결된 후 크레인에 의해 주케이블(32) 및 제 1 보조케이블(34)이 당겨짐으로써 블록(10)이 공중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고, 충분한 높이로 올려진 상태에서 제 1 보조케이블(34)에 걸리는 하중이 없을 때까지 제 1 보조케이블(34)이 서서히 내려질 수 있다.
이때, 제 1 보조케이블(34)이 서서히 내려지면서 블록(10)이 점점 기울어질 수 있고, 블록(10)이 점점 기울어지면 어느 순간부터 제 1 보조케이블(34)이 턴오버 보조바(100)에 감기게 되고, 이로 인해 블록(10)이 아무리 기울어져도 블록(10) 및 격판(20)의 무게중심(G)이 주케이블(32)과 제 1 보조케이블(34)의 사이 지점에 계속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블록(10)이 자중에 의해 흔들리면서 갑자기 뒤집어지거나,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보조케이블(34)에 걸리는 하중이 없어져서 블록(10)의 하중이 모두 주케이블(32)에 작용하게 되면, 제 1 보조케이블(34)은 블록(10)으로부터 해체되고, 제 2 보조케이블(36)이 블록(10)의 하면 측에 형성된 러그(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고, 제 2 보조케이블(36)은 제 1 보조케이블(34)이 체결되었던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체결될 수 있다. 제 2 보조케이블(36)이 체결되면, 제 2 보조케이블(36)이 상방으로 당겨져서 블록(10)이 지면과 수평이 된 후에, 블록(10)이 수평인 상태가 유지되면서 블록(10)이 서서히 지면으로 내려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블록(10)이 턴오버될 수 있고, 턴오버된 블록(10)의 하면에 격판(20)을 조립하는 등의 추가 작업들이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0)을 턴오버할 때 제 1 보조케이블(34)이 감기는 턴오버 보조바(100)에 의해 턴오버 과정에서 블록의 무게중심(G)이 주케이블(32)과 제 1 보조케이블(34)의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블록 턴오버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10)의 격판(20)에 턴오버 보조바(100)를 설치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턴오버 보조바(100)를 설치하는 공정이 추가됨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에 비하여 턴오버 보조바(100)의 형상에 있어서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나머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부재 번호 및 설명을 원용하겠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의 턴오버 보조바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가 블록의 격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 보조바(200)는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걸림부(204) 및 결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부(204)의 도중에는 결합부(202)가 형성되지 않고, 턴오버 보조바(200)의 양 끝에만 결합부(202)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첫번째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블록(10) 및 격판(20)의 사이즈가 작거나 가벼운 재질로 구성되어 자중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턴오버를 위한 케이블이 여러 개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단 두 개의 격판에 대해서만 케이블이 제공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턴오버 보조바(200)가 사용될 수 있다.
턴오버 보조바(200)는 결합부(202)가 양 끝에 두 개만 형성되어 두 개의 격판(20) 사이에 설치되므로 용접 작업이 첫번째 실시예에 비하여 덜 필요하게 되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소지하기가 수월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블록 20: 격판
22: 홈부 32: 주케이블
34: 제 1 보조케이블 36: 제 2 보조케이블
100, 200: 턴오버 보조바
102, 202: 결합부 104, 204: 걸림부
110: 고정 부재

Claims (5)

  1. 상면에 격판이 조립된 선박의 블록을, 상기 블록의 일측에 체결되는 주케이블과, 상기 블록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 1 보조케이블과, 상기 블록의 하면에 체결되는 제 2 보조케이블을 사용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로서,
    상기 제 1 보조케이블이 걸리도록 제공되는 턴오버 보조바; 및
    상기 턴오버 보조바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턴오버 보조바 및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 보조바는,
    단면이 원형인 빔 또는 파이프이고,
    상기 보조케이블이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에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포함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턴오버 보조바가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턴오버 보조바에 밀착되도록 상기 턴오버 보조바와 상기 홈부의 개구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케이블이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블록과 상기 격판의 무게중심이 상기 보조케이블 및 상기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블록의 턴오버에 이용되는 주케이블을 경계선으로 갖는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KR2020130009621U 2013-11-22 2013-11-22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KR200478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21U KR200478138Y1 (ko) 2013-11-22 2013-11-22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21U KR200478138Y1 (ko) 2013-11-22 2013-11-22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60U true KR20150002060U (ko) 2015-06-01
KR200478138Y1 KR200478138Y1 (ko) 2015-09-03

Family

ID=5351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621U KR200478138Y1 (ko) 2013-11-22 2013-11-22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19A (ko) 2015-09-01 2017-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턴오버용 지그
CN110979593A (zh) * 2019-12-09 2020-04-10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大线型船体分段的吊装翻身工装及吊装翻身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624B (zh) * 2020-12-07 2021-11-0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大跨度甲板分段的吊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19A (ko) 2015-09-01 2017-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턴오버용 지그
CN110979593A (zh) * 2019-12-09 2020-04-10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大线型船体分段的吊装翻身工装及吊装翻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38Y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138Y1 (ko) 블록 턴오버 보조 장치
KR20180001175U (ko) 턴오버 지그
JP7033390B2 (ja)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JP2016017380A (ja) 二重鉄筋籠構造、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2012197609A (ja) 先行手摺り
JP2015202130A (ja) ローマンシェードの昇降コード用係止具
KR20150030984A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JP2006083515A (ja) 荷重仮受け方法及び荷重仮受け装置
JP5737571B2 (ja) 解体方法
KR200493804Y1 (ko) 수직벽 지지 장치용 보강 파이프
JP2019190001A (ja) 支柱固定用台座
JP6388529B2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装置の設置方法
JP6225070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6814717B2 (ja) 水平部材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建物躯体の構築方法
JP2006316409A (ja) 複合鋼管鉄塔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7146463A (ja) 軒樋支持具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KR200465978Y1 (ko) 케이블 트레이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417954B1 (ko) 선박용 카 데크
JP6428319B2 (ja) 補剛部材
KR102221988B1 (ko)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KR20030074001A (ko) 반원형 머리를 가진 아이볼트
JP2020012352A (ja) フトン篭の吊上用部材
KR101496002B1 (ko) 볼트 고정장치
KR20160000262A (ko) 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