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988B1 -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988B1
KR102221988B1 KR1020180070687A KR20180070687A KR102221988B1 KR 102221988 B1 KR102221988 B1 KR 102221988B1 KR 1020180070687 A KR1020180070687 A KR 1020180070687A KR 20180070687 A KR20180070687 A KR 20180070687A KR 102221988 B1 KR102221988 B1 KR 10222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n
central
pin fixing
vertical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126A (ko
Inventor
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산업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산업
Priority to KR102018007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전 고리의 승강시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도 용이하고 기설치된 갱폼 수직부재의 간격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전커버가 복수의 앵커볼트를 개폐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도 복수의 토션스프링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앵커볼트를 폐쇄할 수 있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 A Locking Apparatus of A Gang Form Anchor Bolt }
본 발명은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갱폼의 앵커볼트를 개폐하기 위한 안전커버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앵커 지지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설치가능하며 갱폼 수직부재의 간격에 상관없이 복수의 앵커볼트를 개폐하는 장방형의 안전커버가 안정적이며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갱폼(Gang Form)은 주로 고층 아파트에서와 같이 평면상 상/하부 동일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벽체 거푸집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과 미장 및 치장 작업발판용 케이지(Cage)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상기 갱폼은 건물 전체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가 사용되며, 갱폼 하나는 약 3톤 내지 4톤의 무게를 가지며 9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갱 폼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끌어올리게 되는데, 타워크레인의 후크로 갱 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을 한 후, 앵커볼트를 해체하고 갱폼을 끌어올린 상태에서 다시 앵커볼트로 고정시켜 다시 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갱폼은 철판면과, 상기 철판면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로 인양 고리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기서 인양고리는 통상 역U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갱폼의 표면에는 안전고리를 설치하고, 그 안전고리의 작동에 의해 앵커볼트를 가려 크레인에 연결하여 인양하기 전에는 앵커볼트를 임팩등으로 해체할 수 없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그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207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커볼트가 구비되는 앵커 지지커버와, 상기 앵커 지지커버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인양 고리로 이루어지는 갱폼에 구비되는 앵커볼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 잠금장치는, 상기 수직부재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전방에 고정되며 힌지핀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힌지핀 고정부재와, 상기 힌지핀에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갱폼의 앵커볼트를 개폐하는 안전커버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인양 고리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유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고리와,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안전 고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안전커버를 승강시키는 작동핀을 상기 안전 고리에 고정하는 작동핀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수직부재의 측면에 안전 고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볼트 결합 등을 통해 수직부재에 고정해야 함에 따라 설치작업이 까다롭다.
아울러 참고문헌 1은 하나의 안전 고리 승강시 나란히 수평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볼트를 가리거나 노출되도록 할수 있도록 안전커버를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지만, 이 경우 인접한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는 보조힌지핀에는 중앙 힌지핀의 토션 스프링에 대응되는 스프링이 구비되지 않아 안전커버의 개방 후 신속한 폐쇄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참고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207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한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갱폼 수직부재의 간격에 상관없이 복수의 앵커볼트를 개폐하는 안전커버를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하더라도 안전커버의 개방 후 신속하고도 안정적인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앵커볼트가 구비되는 앵커 지지커버와, 상기 앵커 지지커버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중앙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인양 고리로 이루어지는 갱폼에 구비되는 앵커볼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 잠금장치는, 상기 중앙 수직부재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중앙 수직부재의 전방에 고정되며 중앙 힌지핀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부재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측 수직부재의 전방에 고정되며 좌측 힌지핀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수직부재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우측 수직부재의 전방에 고정되며 우측 힌지핀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와; 복수의 앵커볼트를 가리거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이루어져 상기 중앙 힌지핀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에 중앙과 좌측 및 우측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갱폼의 복수의 앵커볼트를 개폐하는 안전커버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인양 고리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유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고리와; 상기 안전커버를 승강시키는 작동핀을 상기 안전 고리에 고정하는 작동핀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중앙 수직부재는 한쌍의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이고, 상기 중앙 수직부재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는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와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이고;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는 한쌍의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의 전면에 제1몸체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1몸체의 양측 전방에는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에는 중앙 힌지핀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_1 및 제1_2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는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의 좌측에 위치하되 한쌍의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의 전면에 제2몸체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몸체의 양측 전방에는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에는 좌측 힌지핀이 지지되는 제2_1 및 제2_2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는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쌍의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의 전면에 제3몸체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3몸체의 양측 전방에는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에는 우측 힌지핀이 지지되는 제3_1 및 제3_2지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몸체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 돌출된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 돌출된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는 복수의 앵커볼트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중앙 힌지핀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에 힌지결합되는 중앙 힌지부와 좌측 및 우측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중앙 힌지부와 좌측 및 우측 힌지부가 구비되는 중앙 안내 연결부와 좌측 및 우측 안내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힌지핀에는 중앙 토션 스프링이 끼워지되 상기 중앙 토션 스프링 일단부는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에 지지되고; 상기 좌측 힌지핀에는 좌측 토션 스프링이 끼워지되 상기 좌측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에 지지되며; 상기 우측 힌지핀에는 우측 토션 스프링이 끼워지되 상기 우측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는 안전 고리의 승강시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설치되느 갱폼 수직부재의 간격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고, 안전커버가 복수의 앵커볼트를 개폐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도 복수의 토션스프링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앵커볼트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안전커버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안전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안전커버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안전커버를 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100)는 갱폼(1)의 수직부재(10)에 설치된다.
상기 갱폼(1)은 갱폼(1)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2,2',2")가 구비되는 앵커 지지커버(20,20',20")와, 상기 앵커 지지커버(20)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부재(10,10',10")와, 상기 수직부재(10,10',10")의 전방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재(10)의 상부로 인양 고리(3)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양 고리(3)는 역유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부재(11)의 후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10)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갱폼(1)에 구비되는 앵커볼트 잠금장치(100)는, 중앙 수직부재(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전방에 고정되며 중앙 힌지핀(112)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부재(10')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측 수직부재(10')의 전방에 고정되며 좌측 힌지핀(112')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110')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수직부재(10")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우측 수직부재(10")의 전방에 고정되며 우측 힌지핀(112")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110")와; 복수의 앵커볼트(2,2',2")를 가리거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이루어져 상기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에 중앙과 좌측 및 우측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갱폼(1)의 복수의 앵커볼트(2)를 개폐하는 안전커버(120)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인양 고리(3)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유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고리(130)와; 상기 안전커버(120)를 승강시키는 작동핀(141)을 상기 안전 고리(130)에 고정하는 작동핀 고정부재(140);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안전 고리(130)가 갱폼(1)의 수직부재(10)를 따라 승강시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갱폼(1)의 수직부재(10)에 구비하지 않는다. 이는 수직부재(10)의 전방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11)에 의해 안전 고리(13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고리(130)가 안정적으로 수직부재(10)의 측면을 따라 승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갱폼(1)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크레인의 샤클(200)이 상기 인양 고리(3) 및 안전 고리(130)와 연결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전 고리(1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핀(141)도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안전커버(120)가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들어올려져 앵커볼트(2)가 노출되어 앵커볼트(2)의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안전 고리(130)가 하강하면 상기 작동핀(141)도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안전커버(120)가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앵커볼트(2)의 노출을 차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각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중앙 수직부재(10)는 한쌍의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 사이에 앵커볼트(2)가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앵커볼트(2)는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에 고정되는 앵커 지지커버(20)의 중앙에 위치한다.
물론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좌측 수직부재(10')와 우측 수직부재(10") 역시 각각 한쌍의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와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와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 사이에 각각 앵커볼트(2',2")가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앵커볼트(2',2")는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와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에 고정되는 앵커 지지커버(20,20',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는 한쌍의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의 전면에 제1몸체(111)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1몸체(111)의 양측 전방에는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는 중앙 힌지핀(11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_1 및 제1_2지지공(114a,116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1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111)에는 복수의 제1지지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힌지핀(112)은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의 제1_1 및 제1_2지지공(114a,116a)에 끼워지는 경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와셔스프링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힌지핀(112)은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의 제1_1 및 제1_2지지공(114a,116a)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양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중앙 힌지핀(112)에는 장방형 안전커버(120)의 중앙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안전커버(1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110')는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쌍의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의 전면에 제2몸체(111')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몸체(111')의 양측 전방에는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는 좌측 힌지핀(112')이 지지되는 제2_1 및 제2_2지지공(114a',116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11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몸체(111')에는 복수의 제2지지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힌지핀(112')은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의 제2_1 및 제2_2지지공(114a',116a')에 끼워지는 경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와셔스프링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측 힌지핀(112')은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의 제2_1 및 제2_2지지공(114a',116a')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양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좌측 힌지핀(112')에는 장방형 안전커버(120)의 좌측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안전커버(120)가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110")는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쌍의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의 전면에 제3몸체(111")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3몸체(111")의 양측 전방에는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는 우측 힌지핀(112")이 지지되는 제3_1 및 제3_2지지공(114a",116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몸체(11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3몸체(111")에는 복수의 제3지지공(117")이 형성되어 상기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힌지핀(112")은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의 제3_1 및 제3_2지지공(114a",116a")에 끼워지는 경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와셔스프링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측 힌지핀(112")은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의 제3_1 및 제3_2지지공(114a",116a")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양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우측 힌지핀(112")에는 장방형 안전커버(120)의 우측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안전커버(120)가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안전커버(120)는 하나의 안전 고리(130) 승강시 나란히 수평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앵커볼트(2,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커버부(122)와, 상기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에 힌지결합되는 중앙 힌지부(124)와 좌측 및 우측 힌지부(124',124")와, 상기 커버부(122)의 상단에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중앙 힌지부(124)와 좌측 및 우측 힌지부(124',124")가 구비되는 중앙 안내 연결부(126)와 좌측 및 우측 안내 연결부(126',1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120)가 앵커볼트(2)를 은닉하도록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앙 힌지핀(112)에는 중앙 토션 스프링(121)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중앙 토션 스프링(121) 일단부는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120)에 지지된다. 이 같은 중앙 토션 스프링(121)에 의해 안전커버(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이에 더해 상기 안전커버(120)가 좌측 앵커볼트(2')를 은닉하도록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좌측 힌지핀(112')에는 좌측 토션 스프링(121')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좌측 토션 스프링(121')의 일단부는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120)에 지지된다. 이 같은 좌측 토션 스프링(121')에 의해 안전커버(120)가 하부로 닫히도록 중앙 토션 스프링(121)에 더해 부가적인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신속한 안전커버(120)의 폐쇄를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커버(120)가 우측 앵커볼트(2")를 은닉하도록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우측 힌지핀(112")에는 우측 토션 스프링(121")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우측 토션 스프링(121")의 일단부는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120)에 지지된다. 이 같은 우측 토션 스프링(121")에 의해 안전커버(120)가 하부로 닫히도록 중앙 토션 스프링(121)에 더해 부가적인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신속한 안전커버(120)의 폐쇄를 유도한다.
이 경우 상기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안전커버(120)가 회동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는 분할하지 않고 하나의 힌지핀으로 구성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설계변경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안전 고리(130)는 상기 수직부재(1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인양 고리(3)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유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리부(132)와, 상기 고리부(132)에 하향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 가이드부(134,13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핀 고정부재(140)는 상기 안전 고리(130)의 좌측 및 우측 가이드부(134,136)에 고정되는 좌측 및 우측 작동핀 고정부재(142,1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좌측 및 우측 작동핀 고정부재(142,144)는 상기 안전 고리(130)의 좌측 및 우측 가이드부(134,136)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42a,144a)와, 상기 고정몸체(142a,144a)의 전면에 돌출 구비되어 작동핀(141)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지지공(142b,144b)을 갖는 좌측 및 우측 작동핀 지지부(142c,144c)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몸체(142a,144a)에는 볼트공(142d,144d)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142d,144d)에 볼트(143,145)를 조여주어 볼트(143,145) 단부가 상기 안전 고리(130)의 좌측 및 우측 가이드부(134,136)를 가압하여 고정몸체(142a,144a)를 상기 안전 고리(130)의 좌측 및 우측 가이드부(134,136)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작동핀 지지부(142c,144c)에 지지되는 작동핀(141)은 상기 안전커버(120)의 안내 연결부(126)에 위치하여 상기 안전 고리(1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핀(141)도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안전커버(120)가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들어올려 진다.
이 경우 상기 작동핀(141)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작동핀 지지부(142c,144c)의 지지공(142b,144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와셔스프링을 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의 안전커버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갱폼(1)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크레인의 샤클(200)을 상기 인양 고리(3) 및 안전 고리(130)와 연결하고, 샤클(200)이 상승하게 되면 우선 안전 고리(13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핀 고정부재(140)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작동핀(141)은 안전커버(120)의 안내 연결부(126)를 들어올리게 되어 안전커버(120)가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들어올려지게 되어 개방되어 복수의 앵커볼트(2,2',2")가 노출되며 이에 복수의 앵커볼트(2,2',2")의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앵커볼트(2,2',2")의 해체 후 크레인의 샤클(200)을 더 상승시키면 상기 인양 고리(3)에 의해 갱폼(1)이 상승하게 되며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앵커볼트(2)의 고정작업을 수행하고, 내려놓으면 안전 고리(130)가 하강하게 되며, 중앙 토션 스프링(121)과 좌측 및 우측 토션 스프링(121',121")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커버(120)가 앵커볼트(2)를 은닉하도록 하측으로 빠르게 회동하여 안전커버(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갱폼 2,2',2": 앵커볼트
3: 인양 고리 10,10',10": 수직부재
11: 수평부재 20,20',20": 앵커 지지커버
100: 앵커볼트 잠금장치 110: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
110':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 110":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
112: 중앙 힌지핀 112': 좌측 힌지핀
112": 우측 힌지핀 120: 안전커버
121: 중앙 토션 스프링 121': 좌측 토션 스프링
121": 우측 토션 스프링 122: 커버부
130: 안전 고리 140: 작동핀 고정부재

Claims (4)

  1. 앵커볼트(2)가 구비되는 앵커 지지커버(20)와, 상기 앵커 지지커버(20)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중앙 수직부재(10)에 설치되는 인양 고리(3)로 이루어지는 갱폼(1)에 구비되는 앵커볼트 잠금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 잠금장치(100)는,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전방에 고정되며 중앙 힌지핀(112)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수직부재(10')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좌측 수직부재(10')의 전방에 고정되며 좌측 힌지핀(112')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110')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수직부재(10")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우측 수직부재(10")의 전방에 고정되며 우측 힌지핀(112")이 전방으로 설치되는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110")와; 복수의 앵커볼트(2,2',2")를 가리거나 노출되도록 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이루어져 상기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에 중앙과 좌측 및 우측 상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며 갱폼(1)의 복수의 앵커볼트(2)를 개폐하는 안전커버(120)와;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인양 고리(3)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유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고리(130)와; 상기 안전커버(120)를 승강시키는 작동핀(141)을 상기 안전 고리(130)에 고정하는 작동핀 고정부재(140);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수직부재(10)는 한쌍의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이고, 상기 중앙 수직부재(1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0',10")는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와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가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이고;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는 한쌍의 제1_1 및 제1_2수직부재(12,14)의 전면에 제1몸체(111)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1몸체(111)의 양측 전방에는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는 중앙 힌지핀(11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_1 및 제1_2지지공(114a,116a)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 힌지핀 고정부재(110')는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의 좌측에 위치하되 한쌍의 제2_1 및 제2_2수직부재(12',14')의 전면에 제2몸체(111')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몸체(111')의 양측 전방에는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는 좌측 힌지핀(112')이 지지되는 제2_1 및 제2_2지지공(114a',116a')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힌지핀 고정부재(110")는 상기 중앙 힌지핀 고정부재(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쌍의 제3_1 및 제3_2수직부재(12",14")의 전면에 제3몸체(111")의 양측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3몸체(111")의 양측 전방에는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는 우측 힌지핀(112")이 지지되는 제3_1 및 제3_2지지공(114a",116a")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1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 돌출된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11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 돌출된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11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부분 절개하고 전방으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120)는 복수의 앵커볼트(2,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커버부(122)와, 상기 중앙 힌지핀(112)과 좌측 및 우측 힌지핀(112',112")에 힌지결합되는 중앙 힌지부(124)와 좌측 및 우측 힌지부(124',124")와, 상기 커버부(122)의 상단에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중앙 힌지부(124)와 좌측 및 우측 힌지부(124',124")가 구비되는 중앙 안내 연결부(126)와 좌측 및 우측 안내 연결부(126',1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 힌지핀(112)에는 중앙 토션 스프링(121)이 끼워지되 상기 중앙 토션 스프링(121) 일단부는 상기 제1_1 및 제1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120)에 지지되고;
    상기 좌측 힌지핀(112')에는 좌측 토션 스프링(121')이 끼워지되 상기 좌측 토션 스프링(121')의 일단부는 상기 제2_1 및 제2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120)에 지지되며;
    상기 우측 힌지핀(112")에는 우측 토션 스프링(121")이 끼워지되 상기 우측 토션 스프링(121")의 일단부는 상기 제3_1 및 제3_2힌지핀 고정부(114",116")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안전커버(12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0687A 2018-06-20 2018-06-20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222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87A KR102221988B1 (ko) 2018-06-20 2018-06-20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87A KR102221988B1 (ko) 2018-06-20 2018-06-20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26A KR20190143126A (ko) 2019-12-30
KR102221988B1 true KR102221988B1 (ko) 2021-03-04

Family

ID=6910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87A KR102221988B1 (ko) 2018-06-20 2018-06-20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9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23B1 (ko) 2014-07-10 2015-01-14 정기환 갱폼 인양용 안전장치
KR101595207B1 (ko) * 2015-05-06 2016-02-17 (주)태건정공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06Y1 (ko) * 2012-03-12 2013-12-02 이옥순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잠금장치
KR200477922Y1 (ko) * 2014-10-07 2015-08-11 이옥순 잠금장치를 구비한 앵커볼트 고정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23B1 (ko) 2014-07-10 2015-01-14 정기환 갱폼 인양용 안전장치
KR101595207B1 (ko) * 2015-05-06 2016-02-17 (주)태건정공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26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033B1 (ko) 가설대 승강장치
CA3062652C (en) Vehicle lift device
KR101595207B1 (ko)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2221988B1 (ko)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JP6567631B2 (ja) 建物の解体時の飛散防止方法
KR101989751B1 (ko) 알림장치를 구비한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KR101809815B1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JP2753216B2 (ja) マンホール用昇降式安全柵装置
KR20090047103A (ko) 가설대 승강장치
EP0128901A1 (en) IMPROVEMENTS ON PILLARS.
JP2018096174A (ja) 建設機械のヘッドガード
KR102038652B1 (ko) 거푸집에 설치되는 인양용 안전장치 및 이를 갖는 거푸집
KR102123104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JP6393108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建具
KR101574466B1 (ko)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KR102486863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200492180Y1 (ko) 갱폼의 추락방지용 앵커볼트 차폐구조를 갖춘 멀티 안전고리
KR102665909B1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JP4795865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吊上具
KR101613425B1 (ko) 프로파일 걸림 장치
KR100645774B1 (ko) 상승식 가설대용 걸음장치
KR102659432B1 (ko)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KR200389378Y1 (ko) 상승식 가설대용 걸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