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324U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324U
KR20150001324U KR20130007962U KR20130007962U KR20150001324U KR 20150001324 U KR20150001324 U KR 20150001324U KR 20130007962 U KR20130007962 U KR 20130007962U KR 20130007962 U KR20130007962 U KR 20130007962U KR 20150001324 U KR20150001324 U KR 201500013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fixed
rods
guide plat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7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웅기
Original Assignee
민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웅기 filed Critical 민웅기
Priority to KR20130007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324U/ko
Publication of KR20150001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망의 형상을 가지고 고기를 굽는 불판이 하부로 떨어진 기름이 불에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에 의하여 고기의 풍미를 해치고 고기에 직접 불이 닿아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몸체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일측 양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고 좌우 길이의 1/5 이하로 사각 틀의 형상을 이루고 3개 이상의 평행한 봉이 일정 간격으로 틀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두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여 하단이 제1 하부몸체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제1 하부몸체에 장착 고정되는 익힌 육류를 올려놓도록 하는 보관대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상기 보관대가 형성된 타측면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기 보관대 방향으로 상단이 보관대 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1 절곡 연장봉과, 상기 제1 절곡 연장봉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제1 안내판 고정봉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보관대와 제1 안내판 고정봉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고정고리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 불판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제1 절곡 연장봉이 형성되는 제1 하부몸체의 면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1 안내판 고정봉에 장착 고정되는 제1 열 안내판과;
일단은 상기 보관대의 내측 모서리에 고정된 후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절곡되어 60도 이상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이 제1 안내판 고정봉의 양측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곳에 고정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전후면을 마감하는 한 쌍의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 중에 어느 하나의 하부 모서리를 관통하는 기름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제1 기름받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용 불판{The rotating-skewer}
본 고안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망의 형상을 가지고 고기를 굽는 불판이 하부로 떨어진 기름이 불에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에 의하여 고기의 풍미를 해치는 것은 물론, 식음 하는 사람의 건강을 해치고 고기에 직접 불이 닿아 쉽게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채식문화가 발달되었다고 말하지만 주변의 음식 소비특성과 예로부터 전해내려온 다양한 음식을 보면 다른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육류를 또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고기를 예로 들면 전 세계에서 일인당 가장 많은 소고기를 먹는 아르헨티나는 60kg 정도를 소비하고 있지만 소고기의 머리와 내장 그리고 꼬리는 비료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폐기되고 순수한 고기만을 사용하며 그나마 부위별 분류는 크게 7가지로 분류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영국과 프랑스는 35가지 부위로 분류하여 소고기가 소비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에서는 크게는 50여 가지, 더욱 세분화하면 120여 가지로 부위별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전문 조리법도 1000여 가지가 넘을 정도로 다양한 요리법이 전해내려오고 있다.
오늘날에도 다양한 외식문화 중에서 삼겹살을 포함한 육류구이가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다만 육류의 소비와 더불어 다양한 채소를 즐겨 먹었던 특성은 같은 육류일지라도 기름진 것보다는 굽는 과정에서 기름이 빠진 육류를 선호하는 특성이 있다.
이 경우 바닥이 막힌 판 형상의 불판보다는 망의 형식을 가져 기름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선호하지만 떨어진 기름이 불에 타면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에 의하여 고기의 풍미를 해치고, 식음 하는 사람의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불판에 붙은 고기로 인하여 불판을 자주 갈아줘야 하며 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직화에 의하여 고기가 타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바닥이 막힌 판 이외에는 마땅한 수단이 없어 이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15613-0000호 (2003년05월26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89061-0000호 (2006년06월05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4479-0000호 (2011년06월30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99278-0000호 (2013년08월16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육류가 익으면서 기름이 용이하게 하부로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꽃이 육류에 직접 닿는 직화의 방식이 아닌 간접 가열에 의하여 고기를 구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가스 버너나 숯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몸체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일측 양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고 좌우 길이의 1/5 이하로 사각 틀의 형상을 이루고 3개 이상의 평행한 봉이 일정 간격으로 틀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두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여 하단이 제1 하부몸체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수직 지지대에 의하여 제1 하부몸체에 장착 고정되는 익힌 육류를 올려놓도록 하는 보관대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상기 보관대가 형성된 타측면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기 보관대 방향으로 상단이 보관대 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1 절곡 연장봉과, 상기 제1 절곡 연장봉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제1 안내판 고정봉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보관대와 제1 안내판 고정봉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고정고리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 불판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제1 절곡 연장봉이 형성되는 제1 하부몸체의 면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1 안내판 고정봉에 장착 고정되는 제1 열 안내판과;
일단은 상기 보관대의 내측 모서리에 고정된 후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절곡되어 60도 이상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이 제1 안내판 고정봉의 양측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곳에 고정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전후면을 마감하는 한 쌍의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 중에 어느 하나의 하부 모서리를 관통하는 기름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제1 기름받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벽은 경사지게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 좌우 대칭이 되도록 돌출되는 기름받이 안착돌부와,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의 양측으로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와 인접한 곳은 수직으로 내벽면에 인접한 곳은 내벽면에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두 쌍의 숯통 가이드돌부와, 상기 숯통 가이드돌부의 연장선상의 정면에 관통 형성되는 숯통 삽입홀과, 좌우 측벽에 다수 관통 형성되는 제1 공기홀과,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벽은 상기 숯통 가이드돌부의 내측에 상응하여 상기 숯통 삽입홀을 통하여 삽입되고 좌우 측벽에는 다수 관통 형성되는 제2 공기홀을 구비하며, 정면에는 손잡이가 돌출 장착되는 한 쌍의 숯통과, 하부는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부로 갈수록 평단면이 넓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제2 기름받이를 구비하는 본체와;
하부는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2 하부몸체와, 상기 제1 하부몸체의 좌우측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2 절곡 연장봉과, 상기 제2 절곡 연장봉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2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제2 안내판 고정봉으로 구성되는 불판 고정틀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제1 하부몸체의 좌우 측면 중 하나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2 안내판 고정봉에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열 안내판과;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불판 고정틀의 제2 안내판 고정봉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 고정고리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2 불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판 고정틀과 제2 불판은 일체로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열 안내판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2 안내판 고정봉과 제2 하부몸체의 좌우 측 중 하나에 걸리는 걸림고리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원의 불꽃이 직접 불판 위의 육류에 닿지 않도록 하고 육류가 구워짐에 따라 불판의 하부로 떨어지는 기름이 기름받이로 떨어지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기름이 열원에 떨어져 연기와 냄새가 육류의 맛을 해치거나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숯을 사용하거나 가스버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와 실외에서도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확대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확대 적용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확대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몸체(11)와, 상기 제1 하부몸체(11)의 일측 양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다리(12)와, 상기 제1 하부몸체(11)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고 좌우 길이의 1/5 이하로 사각 틀의 형상을 이루고 3개 이상의 평행한 봉이 일정 간격으로 틀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지지다리(12)가 형성되는 두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여 하단이 제1 하부몸체(11)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수직 지지대(131)에 의하여 제1 하부몸체(11)에 장착 고정되는 익힌 육류(10)를 올려놓도록 하는 보관대(13)와, 상기 제1 하부몸체(11)의 상기 보관대(13)가 형성된 타측면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기 보관대(13) 방향으로 상단이 보관대(13) 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1 절곡 연장봉(14)과, 상기 제1 절곡 연장봉(14)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하부몸체(11)에 고정되는 제1 안내판 고정봉(15)으로 구성되는 몸체(1)와;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10)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보관대(13)와 제1 안내판 고정봉(15)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고정고리(21)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 불판(2)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제1 절곡 연장봉(14)이 형성되는 제1 하부몸체(11)의 면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1 안내판 고정봉(15)에 장착 고정되는 제1 열 안내판(3)과;
일단은 상기 보관대(13)의 내측 모서리에 고정된 후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절곡되어 60도 이상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이 제1 안내판 고정봉(15)의 양측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곳에 고정되는 경사판(41)과, 상기 경사판(41)의 전후면을 마감하는 한 쌍의 마감판(42)과, 상기 마감판(41) 중에 어느 하나의 하부 모서리를 관통하는 기름 배출구(43)로 이루어지는 제1 기름받이(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을 나타내었다.
그동안 구이용 불판은 숯이나 성형탄 그리고 연탄과 같은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직화로 육류(10)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가스의 경우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을 떨어지는 기름이 막을 우려가 있으며 떨어지는 기름에 의하여 심하게 오염되기에 직화가 아닌 판형의 불판을 가열하여 고기를 굽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지하는 사실은 직화에 의한 구이가 기름이 빠지면서 단백한 맛을 내는 것으로 대다수가 선호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전술한 문제점에 의하여 가스레인지로 육류를 굽는 것에 상당한 곤란함을 느끼게 되며, 가스를 이용한 전용으로 제작된 구이기를 구비한 전문 식당을 제외하고는 가스에 의하여 육류(10)를 간편하게 구울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해도 무방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본원은 휴대용 가스렌지(20)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가스렌지(20)에 올려지는 타측은 지지다리(1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화염이 제1 열 안내판(3)에 의하여 제1 불판(2)의 하부로 열만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 불꽃이 직접 닿아 미연소된 가스가 육류(10)의 풍미를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육류(10)가 익어감에 따라 떨어지는 기름은 제1 기름받이(4)로 모이게 되어 기름이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기가 빠진 단백한 육류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원은 휴대용 가스렌지(2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별도의 숯통을 제공하여 숯을 이용한 구이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벽은 경사지게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 좌우 대칭이 되도록 돌출되는 기름받이 안착돌부(51)와,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51)의 양측으로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51)와 인접한 곳은 수직으로 내벽면에 인접한 곳은 내벽면에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두 쌍의 숯통 가이드돌부(52)와, 상기 숯통 가이드돌부(52)의 연장선상의 정면에 관통 형성되는 숯통 삽입홀(53)과, 좌우 측벽에 다수 관통 형성되는 제1 공기홀(54)과,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벽은 상기 숯통 가이드돌부(52)의 내측에 상응하여 상기 숯통 삽입홀(53)을 통하여 삽입되고 좌우 측벽에는 다수 관통 형성되는 제2 공기홀(55)을 구비하며, 정면에는 손잡이(56)가 돌출 장착되는 한 쌍의 숯통(57)과, 하부는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51)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부로 갈수록 평단면이 넓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제2 기름받이(58)를 구비하는 본체(5)와;
하부는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2 하부몸체(61)와, 상기 제1 하부몸체(61)의 좌우측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2 절곡 연장봉(62)과, 상기 제2 절곡 연장봉(62)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2 하부몸체(61)에 고정되는 제2 안내판 고정봉(63)으로 구성되는 불판 고정틀(6)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제1 하부몸체(11)의 좌우 측면 중 하나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2 안내판 고정봉(63)에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열 안내판(7)과;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10)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불판 고정틀(6)의 제2 안내판 고정봉(63)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 고정고리(81)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2 불판(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육류(10)를 숯(30)에 굽는다고 할지라도 육류(10)에서 나온 기름이 숯(30)에 떨어지게 되면 기름이 타면서 연기와 냄새가 퍼져 굽는 사람에게는 불쾌감을 주고 그 풍미가 육류(10)의 맛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원은 제2 열안내판(7)에 의하여 안내되는 열기가 육류(10)를 가열하여 기름이 떨어지면 제2 기름받이(58)로만 떨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2 공기홀(54, 55)이 형성되는 곳은 상호 밀착되어 사용자가 숯통(57)의 손잡이(56)를 잡고 밀어 넣고 또는 빼내는 동작에 의하여 상호 엇갈려 숯(30)에 전해지는 공기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화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확대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확대 적용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확대 적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불판 고정틀(6)과 제2 불판(8)은 일체로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열 안내판(7)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2 안내판 고정봉(63)과 제2 하부몸체(61)의 좌우 측 중 하나에 걸리는 걸림고리(71)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굳이 제2 불판(8)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지 않고 불판 고정틀(6)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또한 이때 제2 열 안내판(7)의 경우 밀착하는 끝단의 반대측이 개구된 형상의 반원형 걸림고리(71)를 형성하여 세척시 또는 보관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버너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본원은 육류(10)에서 떨어지는 기름은 열원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2 기름받이(58)로만 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본원에 적용을 위하여 'ㄷ'자로 갈라지면서 노즐이 형성되거나 일자로 형성되는 두 개의 가스버너(4)를 이용하여 육류(10)를 구울 수 있도록 하였다.
1 : 몸체
11 : 제1 하부몸체 12 : 지지다리
13 : 보관대 131 : 수직 지지대
14 : 제1 절곡 연장봉 15 : 제1 안내판 고정봉
2 : 제1 불판
21 : 제1 고정고리
3 : 제1 열 안내판
4 : 제1 기름받이
41 : 경사판 42 : 마감판
43 : 기름 배출구
5 : 본체
51 : 기름받이 안착홈부 52 : 숯통 가이드돌부
53 : 숯통 삽입홀 54 : 제1 공기홀
55 : 제2 공기홀 56 : 손잡이
57 : 숯통 58 : 제2 기름받이
6 : 불판 고정틀
61 : 제2 하부몸체 62 : 제2 절곡 연장봉
63 : 제2 안내판 고정봉
7 : 제2 열 안내판
71 : 걸림고리
8 : 제2 불판
81 : 제2 고정고리
10 : 육류
20 : 휴대용 가스렌지
30 : 숯
40 : 가스버너

Claims (3)

  1.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부몸체(11)와, 상기 제1 하부몸체(11)의 일측 양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다리(12)와, 상기 제1 하부몸체(11)의 전후 길이와 동일하고 좌우 길이의 1/5 이하로 사각 틀의 형상을 이루고 3개 이상의 평행한 봉이 일정 간격으로 틀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지지다리(12)가 형성되는 두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여 하단이 제1 하부몸체(11)에 장착되는 4개 이상의 수직 지지대(131)에 의하여 제1 하부몸체(11)에 장착 고정되는 익힌 육류(10)를 올려놓도록 하는 보관대(13)와, 상기 제1 하부몸체(11)의 상기 보관대(13)가 형성된 타측면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기 보관대(13) 방향으로 상단이 보관대(13) 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1 절곡 연장봉(14)과, 상기 제1 절곡 연장봉(14)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하부몸체(11)에 고정되는 제1 안내판 고정봉(15)으로 구성되는 몸체(1)와;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10)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보관대(13)와 제1 안내판 고정봉(15)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 고정고리(21)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 불판(2)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제1 절곡 연장봉(14)이 형성되는 제1 하부몸체(11)의 면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1 안내판 고정봉(15)에 장착 고정되는 제1 열 안내판(3)과;
    일단은 상기 보관대(13)의 내측 모서리에 고정된 후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절곡되어 60도 이상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끝단이 제1 안내판 고정봉(15)의 양측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의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곳에 고정되는 경사판(41)과, 상기 경사판(41)의 전후면을 마감하는 한 쌍의 마감판(42)과, 상기 마감판(41) 중에 어느 하나의 하부 모서리를 관통하는 기름 배출구(43)로 이루어지는 제1 기름받이(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벽은 경사지게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에 좌우 대칭이 되도록 돌출되는 기름받이 안착돌부(51)와,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51)의 양측으로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51)와 인접한 곳은 수직으로 내벽면에 인접한 곳은 내벽면에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는 두 쌍의 숯통 가이드돌부(52)와, 상기 숯통 가이드돌부(52)의 연장선상의 정면에 관통 형성되는 숯통 삽입홀(53)과, 좌우 측벽에 다수 관통 형성되는 제1 공기홀(54)과, 상면이 개방되고 좌우 측벽은 상기 숯통 가이드돌부(52)의 내측에 상응하여 상기 숯통 삽입홀(53)을 통하여 삽입되고 좌우 측벽에는 다수 관통 형성되는 제2 공기홀(55)을 구비하며, 정면에는 손잡이(56)가 돌출 장착되는 한 쌍의 숯통(57)과, 하부는 상기 기름받이 안착돌부(51)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부로 갈수록 평단면이 넓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제2 기름받이(58)를 구비하는 본체(5)와;
    하부는 전후 좌우 각각 한 쌍씩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네 개의 봉으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2 하부몸체(61)와, 상기 제1 하부몸체(61)의 좌우측에 하단이 장착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3개 이상의 제2 절곡 연장봉(62)과, 상기 제2 절곡 연장봉(62)의 상부 끝단을 연결한 후 양단이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상기 제2 하부몸체(61)에 고정되는 제2 안내판 고정봉(63)으로 구성되는 불판 고정틀(6)과;
    상부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제1 하부몸체(11)의 좌우 측면 중 하나에 장착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제2 안내판 고정봉(63)에 장착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열 안내판(7)과;
    다수의 봉이 인접한 봉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육류(10)의 기름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각 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불판 고정틀(6)의 제2 안내판 고정봉(63)의 상단 사이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2 고정고리(81)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2 불판(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 고정틀(6)과 제2 불판(8)은 일체로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열 안내판(7)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2 안내판 고정봉(63)과 제2 하부몸체(61)의 좌우 측 중 하나에 걸리는 걸림고리(71)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KR20130007962U 2013-09-26 2013-09-26 구이용 불판 KR201500013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962U KR20150001324U (ko) 2013-09-26 2013-09-26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962U KR20150001324U (ko) 2013-09-26 2013-09-26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24U true KR20150001324U (ko) 2015-04-03

Family

ID=5303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7962U KR20150001324U (ko) 2013-09-26 2013-09-26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3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43A (ko) * 2019-12-02 2021-06-10 김장수 어육의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낙하되지 않는 석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43A (ko) * 2019-12-02 2021-06-10 김장수 어육의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낙하되지 않는 석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US20180153347A1 (en) Side-surface direct-flame roasting device
KR200440870Y1 (ko) 다용도 숯불구이기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0909072B1 (ko) 식탁용 조리기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KR20150001324U (ko) 구이용 불판
KR20070000744U (ko) 다용도 불고기 구이장치
KR20120006289A (ko) 구이판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CN207837416U (zh) 便携式多用木炭无烟烧烤箱
CN107319908B (zh) 一种多功能炊具
CN207202760U (zh) 一种军用野外便携式多功能无烟烧烤装备
KR200394369Y1 (ko) 고기 구이판
KR20200092073A (ko) 구이용 화로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CN212489633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烧烤机的多用组合式烤架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KR101520463B1 (ko) 구이용 석쇠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CN212489627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的烧烤机
US11805942B1 (en) Multi-fuel cooker
CN210300731U (zh) 一种烧烤保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