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010U -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1010U KR20150001010U KR2020130007224U KR20130007224U KR20150001010U KR 20150001010 U KR20150001010 U KR 20150001010U KR 2020130007224 U KR2020130007224 U KR 2020130007224U KR 20130007224 U KR20130007224 U KR 20130007224U KR 20150001010 U KR20150001010 U KR 2015000101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ottle grip
- rotation
- locking button
- wall
- handle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5/00—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M25/02—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 B62M25/04—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hand actu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로틀 그립과, 스로틀 그립이 인출되는 핸들 커버의 측면에 스로틀 그립이 가속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 수단이 구비되어 주행 속도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핸들커버의 일측 면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와, 스로틀 그립에 연동 결합 되는 회전 제한 가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는 핸들 커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해제 버튼과, 상기 몸체의 상,하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직 이동되는 록킹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한 가이더는 스로틀 그립의 외면 둘레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 간 둘레 범위를 갖고 파지며 회전량 제한시 하강 되는 록킹 버튼이 수용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는 핸들커버의 일측 면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와, 스로틀 그립에 연동 결합 되는 회전 제한 가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는 핸들 커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해제 버튼과, 상기 몸체의 상,하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직 이동되는 록킹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한 가이더는 스로틀 그립의 외면 둘레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 간 둘레 범위를 갖고 파지며 회전량 제한시 하강 되는 록킹 버튼이 수용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로틀 그립과, 스로틀 그립이 인출되는 핸들 커버의 측면에 스로틀 그립의 가속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 수단이 구비되어 주행 속도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사이클(Motorcycle) 또는 오토바이(auto bicycle)라 함은 두 개의 바퀴가 달린 형태로 엔진을 장착하여 그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키고 인력이 없이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그 모습은 기본적으로 자전거와 유사하지만 페달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페달이 위치하는 곳은 발 받침대와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 전달을 위한 가속 기능은 오토바이의 핸들 커버(10) 일 측면으로부터 인출된 핸들 축(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로틀 그립(throttle grip)(12)의 회전 조작을 통해 주행에 따른 가속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제동은 상기 핸들 축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14) 또는 발 받침대에 갖추어진 브레이크 페달을 사용한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오토바이에는 스로틀 그립(12)의 회전량을 강제로 제한할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제한 속도를 규정하고 있는 사업장 내의 도로에서는 일반 차도와 달리 별도의 신호등이나 차선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내 규정 속도를 지키지 않고 과속을 하게 됨으로써, 잦은 교통 사고의 유발과 함께 과속으로 인해 중상 이상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로틀 그립과, 스로틀 그립이 인출되는 핸들 커버의 측면에 스로틀 그립의 가속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 수단이 구비되어 주행 속도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핸들커버의 일측 면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와, 스로틀 그립에 연동 결합 되는 회전 제한 가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는 핸들 커버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해제 버튼과, 상기 몸체의 상,하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직 이동되는 록킹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한 가이더는 스로틀 그립의 외면 둘레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는 링 부재와, 상기 링 부재에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 간 둘레 범위를 갖고 파지며 회전량 제한시 하강 되는 록킹 버튼이 수용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배터리의 마이너스선과 연결되며 회전 제한 가이드더의 타측 내벽이 밀게 될 때, 상기 록킹 버튼과 접촉하게 되는 판 스프링이 하향 인출되어 있고, 상기 록킹 버튼과 혼은 배터리의 플러스선과 연결되는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스로틀 그립이 가속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 수단이 구비되어 주행 속도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호등과 차선이 없는 사업장 내에서 과속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부분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a는 회전량 제한이 해제된 모습이고, 도 2b는 회전량 제한이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로틀 그립이 회전량 제한 상태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접속 단자와 록킹 버튼이 떨어진 모습이고, 도 4b는 접속 단자와 록킹 버튼이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b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a는 회전량 제한이 해제된 모습이고, 도 2b는 회전량 제한이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로틀 그립이 회전량 제한 상태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접속 단자와 록킹 버튼이 떨어진 모습이고, 도 4b는 접속 단자와 록킹 버튼이 접촉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b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a에서는 회전량 제한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회전량 제한이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스로틀 그립이 회전량 제한 상태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이더라도 설명 상에 혼동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의 핸들 커버(20)와, 이 핸들 커버(20)의 일 측면으로부터 인출된 핸들 축(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스로틀 그립(22)에 스로틀 그립이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량 제한 수단(24)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량 제한 수단(24)은 누름 버튼 스위치(26)와 회전 제한 가이더(28)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26)는 핸들 커버(20)에 결합 고정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일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인출된 해제 버튼(32)과, 상기 몸체(30)의 상,하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직 이동되는 록킹 버튼(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록킹 버튼(34)의 상단부를 누르면, 상단부는 몸체(30)의 내부로 수용되고 하단부는 몸체(30)의 하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록킹 버튼(34)이 유지되고, 해제 버튼(32)을 누르면 하단부는 몸체(30)의 내부로 수용되고 상단부는 몸체(3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로 록킹 버튼(34)이 이동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26)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누름 버튼 스위치(26)의 구성과 별반 차이가 없으므로 내부적인 동작 구조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 제한 가이더(28)는 스로틀 그립(22)의 둘레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는 링 부재(36)와, 상기 링 부재(36)의 내측 선단에 일측 내벽(38)과 타측 내벽(40) 간 거리 범위를 갖고 파지며 회전량 제한시 하강 되는 록킹 버튼(34)이 수용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42)과, 상기 링 부재(36)에 체결 조임 되는 구조로 스로틀 그립(22)을 압지 하는 체결구(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제안 가이더(28)는 스로틀 그립(2)의 미 회동 즉, 오토바이의 가속 정지시 가이드 홈(42)의 일측 내벽(38)에 록킹 버튼(34)의 하단부가 닿게 되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 고정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2a와 같이 스로틀 그립(22)의 회전 제한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누름 버튼 스위치(26)의 록킹 버튼(34) 상단부를 누르게 되면, 록킹 버튼(34)은 하강 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제한 가이더(28)의 가이드홈(42) 일측 내벽(38)에 닿게 되는 상태 된다.
그 상태에서 주행 및 가속을 위해 스로틀 그립(22)을 회전을 시키게 되면, 그와 함께 회전 제한 가이더(28)가 연동하게 된다. 아울러 스로틀 그립(22)을 더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42)의 타측 내벽(40)이 록킹 버튼(34)에 닿게 되는 상태가 되어 스로틀 그립(22)의 가속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그 이상의 주행 속도를 높이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주행 속도를 강제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홈(42)의 일측 내벽(38)과 타측 내벽(40) 간 거리는 제한 속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즉, 일측 내벽(38)과 타측 내벽(40) 간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주행 속도는 저속으로 설정된다.
[실시예2]
실시예2에서는 스로틀 그립의 가속 회전시 가이드홈의 타측 내벽이 록킹버튼에 닿게 되면 경고음이 울리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a에서는 접속 단자와 록킹 버튼이 떨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서는 접속 단자와 록킹 버튼이 접촉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30)의 하면에는 록킹 버튼(34)의 일 옆에 판 스프링(50)이 길이를 가지고 하향돌출 된다. 이러한 록킹 버튼(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에 장착된 배터리(52)의 플라스선(56)과 연결되고, 판 스프링(50)은 배터리(52)의 마이너스선(54)과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오토바이에 장착된 혼(58)에는 앞서 언급된 플러스선(56) 및 마이너스선(54)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행 및 가속을 위해 스로틀 그립(2)을 회전을 시키게 되면, 가이드홈(42)의 범위 내에서 스로틀 그립(2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이드홈(42)의 타측 내벽(40)이 록킹 버튼(34)에 닿게 되기 직전 판 스프링(50)에 먼저 닿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스로틀 그립(22)을 더 회전시키게 되면, 판 스프링(50)이 휘어지면서 록킹 버튼(34)에 닿게 되는 상태로 스로틀 그립(22)의 가속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그 이상의 주행 속도를 높이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주행 속도가 강제로 제한된다 (도 4b 참조).
이와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스프링(50)과 록킹 버튼(34)이 통전 되면서 전기적 신호가 혼(58)에 인가되어 혼(58)에서 경보음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주게 된다.
앞서 설명에서는 혼(58)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혼(58)과 연결할 필요는 없다. 오토바이에 경고등을 설치하고, 혼 대신 경고등과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의 인가시 점등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될 것이다.
10, 20 : 핸들 커버 12,22 : 스로틀 그립
14 : 브레이크 레버 24 : 회전량 제한 수단
26 : 누름 버틈 스위치 28 : 회전 제한 가이더
30 : 몸체 32 : 해제 버튼
34 : 록킹 버튼 36 : 링부재
38 : 일측 내벽 40 : 타측 내벽
42 : 가이드 홈 44 : 체결구
50 : 판스프링 52 : 배터리
56 : 플러스선 54 : 마이너스선
58 : 혼
14 : 브레이크 레버 24 : 회전량 제한 수단
26 : 누름 버틈 스위치 28 : 회전 제한 가이더
30 : 몸체 32 : 해제 버튼
34 : 록킹 버튼 36 : 링부재
38 : 일측 내벽 40 : 타측 내벽
42 : 가이드 홈 44 : 체결구
50 : 판스프링 52 : 배터리
56 : 플러스선 54 : 마이너스선
58 : 혼
Claims (2)
- 핸들커버(20)의 일측 면에 구비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26)와, 스로틀 그립에 연동 결합 되는 회전 제한 가이더(28)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26)는 핸들 커버(20)에 고정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일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해제 버튼(32)과, 상기 몸체(30)의 상,하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직 이동되는 록킹 버튼(3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한 가이더(28)는 스로틀 그립(22)의 외면 둘레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는 링 부재(36)와, 상기 링 부재(36)에 일측 내벽(38)과 타측 내벽 (40) 간 둘레 범위를 갖고 파지며 회전량 제한시 하강 되는 록킹 버튼(34)이 수용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하면에는 배터리(52)의 마이너스선(54)과 연결되며 회전 제한 가이드더(28)의 타측 내벽(40)이 밀게 될 때, 상기 록킹 버튼(34)과 접촉하게 되는 판 스프링(50)이 하향 인출되어 있고, 상기 록킹 버튼(34)과 혼(58)은 배터리(52)의 플러스선(5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224U KR20150001010U (ko) | 2013-08-28 | 2013-08-28 |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224U KR20150001010U (ko) | 2013-08-28 | 2013-08-28 |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010U true KR20150001010U (ko) | 2015-03-11 |
Family
ID=5303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224U KR20150001010U (ko) | 2013-08-28 | 2013-08-28 |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1010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6499A (ko) * | 2017-02-23 | 2019-10-14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 전기 제어부가 장착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
-
2013
- 2013-08-28 KR KR2020130007224U patent/KR2015000101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6499A (ko) * | 2017-02-23 | 2019-10-14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 전기 제어부가 장착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40394B1 (ja) | 車両の駆動力制動装置 | |
KR101985832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JP7288706B2 (ja) | 車両ブレーキグリップ用ブレーキ警告トリガー装置 | |
KR20150001010U (ko) | 오토바이의 스로틀 그립 회전량 제한장치 | |
JP5400026B2 (ja) | 自動車用アクセル踏み間違い時の暴走防止装置 | |
CN205417179U (zh) | 一种防疲劳油门刹车一体化踏板 | |
JP6106238B1 (ja) | 車両のアクセサリソケット | |
CN203127084U (zh) | 一种刹车同步器 | |
CN104477311A (zh) | 用于摩托车的新型的刹车装置 | |
CN204659708U (zh) | 一种用于刹车保护电磁复位器 | |
JP5166631B1 (ja) | アクセルペダルの過踏込防止装置 | |
CN204749862U (zh) | 汽车驾驶室操纵简化装置 | |
CN104309755A (zh) | 具有手刹功能的摩托车 | |
CN104608869A (zh) | 防抱死刹车系统 | |
CN104401441A (zh) | 一种方便刹车的刹车装置 | |
JP3135873U (ja) |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 | |
CN203552580U (zh) | 一种汽车模拟驾驶手刹结构 | |
CN202345856U (zh) | 电动车新型多功能调速把 | |
CN204956739U (zh) | 多功能自行车 | |
CN204210622U (zh) | 一种具有驻车功能的摩托车 | |
JP3162505U (ja) | バイク用定速制御部材 | |
JP3154856U (ja) | 自動車 | |
TWI593577B (zh) | 方向燈控制系統 | |
KR101710374B1 (ko) | 브레이크장치 | |
CN204297000U (zh) | 一种用于摩托车的刹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