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24A -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24A
KR20150000724A KR1020130073204A KR20130073204A KR20150000724A KR 20150000724 A KR20150000724 A KR 20150000724A KR 1020130073204 A KR1020130073204 A KR 1020130073204A KR 20130073204 A KR20130073204 A KR 20130073204A KR 20150000724 A KR20150000724 A KR 20150000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ctivity
cassia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625B1 (ko
Inventor
우지은
박병준
김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여우버들(Salix floderusii), 및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수나무 추출물, 여우버들 추출물, 말오줌때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일생 동안 생장과 노화, 두 가지 생물학적 변화를 경험한다. 생장은 개체의 크기나 기능이 증가하는 것을 말하는 반면, 노화는 개체의 크기나 기능이 감소하거나 쇠퇴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며 생장과 노화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시간과 나이의 증가에 따라 노화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고 세포의 분열능력 및 대사활성이 점차 쇠약해지면서 생물은 병이 들거나 신체적ㆍ기능적으로 원활한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노화가 일어나는 기작에 대해 유전적 프로그램설, 체세포 돌연변이설, 에러파탄설, 프리라디컬설, 특정 호르몬작용에 의한 내분비설, 면역감시기능 저하에 의한 면역능 파탄설, 스트레스설, 리포푸신 및 과산화지질 등의 축적에 의거하는 노폐물축적설, 조직콜라겐섬유 등의 가교도 진행에 따른 가교(결합)설 등 다양한 노화관련 학설이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해명된 것은 없다.
청각, 후각, 미각 등의 쇠퇴, 폐활량의 저하, 장기의 중량감소 등의 다양한 노화현상 가운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직접적으로 느끼게 되고 신경을 쓰게 되는 노화 현상은 바로 피부의 노화 현상이다. 피부조직에서 일어나는 노화현상에 관해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학설은 자유 라디칼 이론인데, 이론에 따르면 대사 반응이나 자외선, 매연 및 환경 호르몬 등에 의해 생체 내에는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고, 이 자유 라디칼에 의해 항산화 방어막이 파괴됨으로써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하여 결과적으로 피부 세포 및 조직의 노화 과정을 촉진하게 된다고 한다. 즉, 수퍼옥사이드 라디칼(O2-)과 하이드록시라디칼(OH)과 같은 라디칼 및 과산화수소 (H2O2)와 같은 비라디칼에 의해 피부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세포가 손상되고 피부노화 현상이 촉진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이 산화되면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collage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 반응과 피부의 탄력 저하를 초래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에는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미 손상된 세포는 활발한 신진 대사를 통해 재생 및 증식시켜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생태계에는 다양하고 생소한 약초 또는 약용목초 등이 존재하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예로부터 다양한 식물을 이용해왔다. 한국에 서식하는 다양한 식물가운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양지바른 곳에서 모여 사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계수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인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는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답고 개화기에는 향기가 좋아 주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계수나무는 높이 7m, 지름 1.3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져 잔가지가 있으며, 잎의 경우 길이는 4~8cm이고 나비는 3~7cm 정도로 끝이 다소 둔한 것이 특징이다. 앞면은 초록색, 뒷면은 분백색(粉白色)이고 5~7개의 손바닥 모양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또 다른 식물인 여우버들(Salix floderusii)의 경우, 쌍떡잎식물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의 낙엽소교목에 속하며, 한국, 북극지방, 유럽, 시베리아, 중앙아시가, 목골, 중국 동북부 등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주로 냇가에서 자생하며 작은 가지는 녹색으로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지고 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의 경우 한국이 원산지로써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소교목이다. 흔히 남부지방의 산지에 자라며 추위에 약하고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말오줌때는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황록색의 꽃이 모여 피는데 꽃받침은 기와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열매는 팽대하고 부래모양을 하고 있다. 말오줌때의 뿌리는 야아춘근(野鴉椿根), 열매는 야아춘자(野鴉椿子)라고 하여 온종, 이기, 소종, 지통, 위통, 한산, 탈황, 월경불순, 이질, 산통, 류머티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련된 종래특허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0047048 호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찔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80107420 호 「두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50021778 호 「연꽃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계수나무, 여우버들 및 말오줌때의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한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 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 추출물 각각의 단독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경우 유의적으로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여우버들(Salix floderusii), 및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여우버들(Salix floderusii), 및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계수나무의 잎, 줄기, 꽃, 전초, 여우버들 줄기의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의 단독 추출물을 포함하더라도 충분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의 추출 부위의 경우 꽃, 잎, 줄기, 열매, 종자, 뿌리 및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따위를 가진 풀포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의 부위를 각각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것이 다른 부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뛰어나다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용어 '수피'는 나무줄기 혹은 줄기의 코르크형성층 밖에 위치한 조직을 지칭하는 것이며 '화서'는 꽃이 줄기나 가지에 붙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말오줌때의 경우 줄기나 가지와 같은 화축에 붙어 있는 상태의 꽃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을 이용하여 추출할 경우, 50-120℃에서 1-10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경우 5-40℃에서 1-5일간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의 중량은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 추출 부위 대비 과소량을 사용하면 추출물이 충분히 추출될 수 없고, 과다량을 사용하면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건조 추출물을 얻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만약, 열수추출 할 경우 시료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고,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온된 상태로 추출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온도가 너무 낮으면 가온의 이점을 충분히 살리기 어렵고 많은 시간을 추출해야 하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유용물질의 분해가 생길 수 있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유기용매 추출의 경우 상온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시료를 3일 정도의 시간 동안 충분한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추출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반복 공정을 통하거나 추출 시간을 증가시켜 추출량을 늘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에 의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 추출물은 1 내지 100 ㎍/㎖의 농도에서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 계수나무, 여우버들, 또는 말오줌때 추출물은 평균적으로 0.5 내지 10 ㎍/㎖의 농도에서 70 내지 99%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고, 50 내지 100 ㎍/㎖의 농도에서 80 내지 99%의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함량 범위는 중요하다.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산화 활성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 항산화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 독성에 의한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포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스쿠알란 및 소듐 시트레이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부틸렌 글라이콜, 시트릭산, 판테놀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 모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여우버들(Salix floderusii), 및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계수나무 잎 추출물, 여우버들 줄기 수피 추출물, 및 말오줌때 화서 추출물 각각의 농도에 따른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계수나무 잎 추출물, 여우버들 줄기 수피 추출물, 및 말오줌때 화서 추출물 각각의 농도에 따른 SOD(Superoxide Dismutase)유사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계수나무, 여우버들 , 또는 말오줌때 단독 추출물 제조
실시예 1-1. 열수추출물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또는 말오줌때의 화서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에 대해 5배의 정제수를 각각 넣고 105℃에서 5시간 가온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거르고, 물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한 후 이어서 동결 건조함으로써 건조중량 기준 계수나무 열수추출물 18.56g, 여우버들 열수추출물 19.25g, 말오줌때 열수추출물을 20.12g를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80% 메탄올 추출물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또는 말오줌때의 화서 부위를 취하여 각각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추출용매(80% 메탄올)을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기준 계수나무 열수추출물 24.95g, 여우버들 열수추출물 26.13g, 말오줌때 열수추출물을 27.48g를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계수나무, 여우버들 , 및 말오줌때 혼합 추출물 제조
실시예 2-1. 열수추출물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배의 정제수를 넣고 105℃에서 5시간 가온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거르고, 물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한 후 이어서 동결 건조함으로써 계수나무, 여우버들 및 말오줌때 혼합물 추출물을 21.42g(건조중량)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2-2. 80% 메탄올 추출물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추출용매(80% 메탄올)을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계수나무, 여우버들 및 말오줌때 혼합물의 80% 메탄올 추출물 29.07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3. 95% 에탄올 추출물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추출용매(95% 에탄올)을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계수나무, 여우버들 및 말오줌때 혼합물의 95% 에탄올 추출물 35.24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4. 70% 에탄올 추출물
계수나무의 잎,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 부위를 각각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추출용매(70% 에탄올)을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계수나무, 여우버들 및 말오줌때 혼합물의 70% 에탄올 추출물 36.12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험예 1. DPPH (2,2- Diphenyl -1- picrylhydrazyl )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효과
상기 실시예 1-2의 계수나무 잎 추출물, 여우버들 줄기 수피 추출물, 및 말오줌때 화서 추출물을 시료(정제수)에 각각 희석하여 10, 25, 50, 75, 100 ㎍/㎖ 농도로 제조하여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대한 전자공여능(전자를 공급할 수 있는 능력) 측정은 각 추출물의 농도별 용액 100㎕ 에 5×10-4M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100㎕ 를 넣고,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었다. 실험 대조구로는 엘-아스코르빈산(100㎍/㎖)을 사용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고 도 1에 그래프로도 나타내었다.
시료(부위) 농도(㎍/㎖) DPPH scavenging effect(%)
계수나무(잎) 100 91%
75 86%
50 66%
25 34%
10 16%
여우버들(줄기-수피) 100 93%
75 81%
50 62%
25 36%
10 21%
말오줌때(꽃(화서)) 100 94%
75 93%
50 93%
25 69%
10 29%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계수나무(잎), 여우버들(줄기-수피)는 75㎍/㎖ 이상에서 80%이상의 DPPH 소거능력을, 말오줌때(꽃)은 50㎍/㎖ 이상에서 80%이상의 DPPH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SOD ( Superoxide dismutase ) 유사활성 측정
SOD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실시예 1-2의 각 추출물의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100units)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 2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시료(부위) 농도(㎍/㎖) SOD-like inhibition activity(%)
계수나무(잎) 1 87%
0.5 72%
0.1 15%
0.05 7%
0.025 2%
여우버들(줄기-수피) 10 93.8%
5 88.3%
1 50.8%
0.5 33.8
1 6.8%
말오줌때(꽃(화서)) 1 95.2%
0.5 85.8%
0.1 35.9%
0.05 15.7%
0.025 16.4%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계수나무(잎)은 1㎍/㎖이상에서, 여우버들(줄기-수피)는 5㎍/㎖이상에서, 말오줌때(꽃)은 0.5㎍/㎖이상에서 SOD유사활성이 80%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험예 3. 세포 독성 시험( Neutral red assay )
상기 실험예 1 내지 2를 통해 단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세포 독성 시험에 있어서는 실시예 2-1의 혼합추출물을 활용하였다. 우선 CCD-986sk(human skin dermal fibroblast)을 5x104cells/㎖ 농도로 하여 96-well plate에 200㎕씩 분주하여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소혈청 10%와 항생제 1%가 포함된 DMEM/high glucose(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Hyclone)를 이용하였다.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1의 계수나무 잎, 여우버들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 화서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5㎎/㎖ Neutral red 시약을 첨가한 배양액을 넣은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1% CaCl2 & Formaldehyde를 처리한 다음 1분간 400-500rpm으로 흔들어 준 뒤 이를 다시 제거하였다. 그리고 1% Acetic acid & 50% Ethanol을 각 well에 처리하고 10분간 잘 흔들어 준 다음 마이크로 플레이트 계수기(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655nm의 흡광도 측정으로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시료 실시예 2-1
농도(㎍/㎖) 100 75 50 25 10 5 1 0.1 0.01
세포생존율(%) 106.9 111.4 105.9 103.2 94.9 94.8 95.9 97.3 97.2
세포독성 실험 결과, 계수나무 잎, 여우버들 줄기 수피, 및 말오줌때 화서 혼합추출물은 100 ㎍/㎖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처방예 :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
처방예 1-1 : 유연화장수
실시예 2-1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1) 0.1
1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
2 글리신 3.0
3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4 1,3-부틸렌 글리콜 3.0
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6 에탄올 5.0
7 항산화제 0.1
8 트리에탄올아민 0.1
9 EDTA 0.1
10 방부제 적량
11 정제수 잔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solution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아루로네이트를 제외한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 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그런 다음,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하여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1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1을 함유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2 : 영양화장수
실시예 2-1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1) 0.1
1 글리세린 7.0
2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3 미네랄 오일 4.0
4 트리옥타노인 1.0
5 스테아릭에씨드 1.0
6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7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8 디메치콘 0.5
9 항산화제 0.3
10 트리에탄올아민 0.1
11 카보머 0.2
12 EDTA 0.1
13 방부제 적량
14 정제수 잔량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rpm으로 분산하여 2% solution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을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rpm/5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1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1을 함유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3 : 에센스
실시예 2-1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1) 0.1
1 글리세린 5.0
2 1,3-부틸렌 글리콜 2.0
3 폴리에칠렌 글리콜 2.0
4 카보머 1.0
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6 글리신 3.0
7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8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9 에탄올 3.0
10 항산화제 0.3
11 트리에탄올아민 0.1
1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13 EDTA 0.1
14 방부제 적량
15 정제수 잔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는 각각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2000rpm)로 분산하여 1% solution상태로 준비하였다. 또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4000rpm)로 분산하여 2% solution상태로 준비하였다. 한편,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2를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고, 가온 된 수상을 다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3 내지 15를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1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1을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4 : 영양크림
실시예 2-1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1) 0.1
1 1,3-부틸렌글리콜 3.0
2 글리세린 3.0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4 옥틸도데카놀 3.0
5 트리옥타노인 2.0
6 스테아릭에씨드 1.5
7 세토스테아릴알콜 2.0
8 폴리솔베이트60 1.5
9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10 디메치콘 3.0
11 항산화제 0.3
12 산탄검 0.2
13 트리에탄올아민 0.1
14 EDTA 0.1
15 방부제 적량
16 정제수 잔량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또 유상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6을 투입하여 80℃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10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2-1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1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1-5 : 팩
실시예 2-1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2-1) 0.1
1 글리세린 7.0
2 1,3-부틸렌글리콜 3.0
3 스쿠알렌 3.0
4 디메치콘 3.0
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6 글리신 2.0
7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8 항산화제 0.3
9 트리에탄올아민 0.1
10 EDTA 0.1
11 방부제 적량
12 정제수 잔량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 2-1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2-1을 함유한 팩을 제조하였다.

Claims (10)

  1.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여우버들(Salix floderusii), 및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계수나무의 잎, 줄기, 꽃, 전초, 여우버들 줄기의 수피, 및 말오줌때의 화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계수나무의 잎 추출물, 여우버들의 줄기 수피 추출물, 및 말오줌때의 화서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50-120℃에서 1-10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거나 5-40℃에서 1-5일간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에 의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 내지 100 ㎍/㎖의 농도에서 DPPH 소거 활성 및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73204A 2013-06-25 2013-06-25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204A KR101533625B1 (ko) 2013-06-25 2013-06-25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204A KR101533625B1 (ko) 2013-06-25 2013-06-25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24A true KR20150000724A (ko) 2015-01-05
KR101533625B1 KR101533625B1 (ko) 2015-07-06

Family

ID=5247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204A KR101533625B1 (ko) 2013-06-25 2013-06-25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32A (ko) * 2018-05-18 2019-11-27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728A (ja) * 1998-10-20 2000-05-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4136207B2 (ja) * 1999-07-28 2008-08-20 御木本製薬株式会社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JP4532706B2 (ja) * 2000-09-08 2010-08-25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32A (ko) * 2018-05-18 2019-11-27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625B1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JP5791879B2 (ja) NF−κB活性化抑制剤ならびに毛穴ケア剤
KR102084158B1 (ko)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6908B1 (ko)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101533624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가락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95884B1 (ko)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624A (ko) 꼬시래기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및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3362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2080B1 (ko) 하스카프를 포함하는 천연물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1343A (ko) 천연 발효 추출물을 성분으로 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3597B1 (ko)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