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60U - 고소 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60U
KR20150000560U KR2020130006279U KR20130006279U KR20150000560U KR 20150000560 U KR20150000560 U KR 20150000560U KR 2020130006279 U KR2020130006279 U KR 2020130006279U KR 20130006279 U KR20130006279 U KR 20130006279U KR 20150000560 U KR20150000560 U KR 201500005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frame
fixing groove
wor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병훈
최민규
이윤식
배한진
윤원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560U/ko
Publication of KR20150000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골조구조를 형성하는 안전바; 상기 안전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안전바에 접하는 면에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안전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프레임에 대면하여 상기 안전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전바에 접하는 면에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상기 안전바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안전바에 작업 장비가 안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설치하여 고소 작업의 편의성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바에 설치된 프레임의 안전바 접합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프레임을 안전바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소 작업대{Elevating work platform}
본 고안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건축, 선박 등 대형 구조물에 대한 작업시 지면으로부터 높이 떨어진 지점에서의 고소 작업이 필요하다. 고소작업은 고소차량, 곤돌라 등의 승강식 작업기구에 고정되어 설치된 고소 작업대를 승강시켜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에 탑승하여 승강한 상태에서 고소 작업시, 작업 장비를 내려놓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종래의 고소 작업대에는 작업 장비가 안착될 별도의 보조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소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골조구조를 형성하는 안전바; 상기 안전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안전바에 접하는 면에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대면하여 상기 안전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전바에 접하는 면에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상기 안전바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은 작업 장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은 상기 안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안전바에 작업 장비가 안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설치하여 고소 작업의 편의성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바에 설치된 프레임의 안전바 접합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프레임을 안전바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클램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보조 클램프와 안전바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101)는 고소차량, 곤돌라 등의 승강식 작업기구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고소 작업대(101)는 고소차량의 리프트 암(107)의 일단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트 암(107)의 승강 및 하강을 통해 고소 작업대(10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고소 작업대(101)는 골조 구조를 형성하는 안전바(103) 및 안전바(103)에 고정 체결되어 작업 장비의 안착 장소를 제공하는 보조 클램프(105)를 포함한다.
안전바(103)는 고소 작업대의 골조 구조 테두리를 형성한다. 안전바(103)는 철재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와 일정 길이를 갖는다. 안전바(103)는 일정 길이를 갖는 철재 파이프 다수를 클램프 등의 체결 부재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조 클램프(105)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의 안전바(103)에 고정되어 작업 장비 등을 일시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기존 고소 작업대(101)에 보조 클램프(105)를 체결함으로써 고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조 클램프(105)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클램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클램프(105)는 안전바(103) 상에 배치된 제1 프레임(111), 제1 프레임(111)에 마주하여 안전바(103) 하부에 배치된 제2 프레임(113), 제1 및 제2 프레임(111, 113)을 체결하는 체결수단(115)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1)은 안전바(103)에 접하도록 체결되며, 안전바(103)에 접한 제1 프레임(111)의 일면에는 안전바(103)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고정홈(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고정홈(121)은 안전바(103)에 체결된 보조 클램프(105)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의 상면은 작업장비가 안착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13)은 안전바(103)에 접하도록 체결되며, 안전바(103)에 접한 제2 프레임(113)의 일면에는 안전바(103)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고정홈(도 3의 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고정홈(123)은 안전바(103)에 체결된 보조 클램프(105)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고정홈(121, 123)은 안전바(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수단(115)은 보조 클램프(105)가 안전바(103)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3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보조 클램프와 안전바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111, 113)에는 체결수단(115)이 결합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수단(115)는 볼트이고, 체결공은 너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수단(115)은 제1 프레임(113)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제2 프레임(113)에 일정 깊이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홈(121, 123)은 V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크기로 형성되면, 안전바(103)의 외경 크기와 무관하게 안전바(103)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안전바(103)에 작업 장비가 안착될 수 있는 프레임(111)을 설치하여 고소 작업의 편의성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바(103)에 설치된 프레임(111)의 안전바 접합면에 고정홈(121)을 형성하여 프레임(111)을 안전바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1: 고소 작업대 103: 안전바
105: 보조 클램프 111: 제1 프레임
113: 제2 프레임 121: 제1 고정홈
123: 제2 고정홈 115: 체결수단

Claims (3)

  1. 골조구조를 형성하는 안전바;
    상기 안전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안전바에 접하는 면에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안전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프레임에 대면하여 상기 안전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전바에 접하는 면에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상기 안전바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은 작업 장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된 고소 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은 상기 안전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고소 작업대.

KR2020130006279U 2013-07-26 2013-07-26 고소 작업대 KR201500005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79U KR20150000560U (ko) 2013-07-26 2013-07-26 고소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79U KR20150000560U (ko) 2013-07-26 2013-07-26 고소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60U true KR20150000560U (ko) 2015-02-04

Family

ID=5248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79U KR20150000560U (ko) 2013-07-26 2013-07-26 고소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56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497B1 (ko) 배관 스풀 운반 장치
US10815729B2 (en) Ladder landing support apparatus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2010007228A (ja) 荷吊り装置
KR20150000560U (ko) 고소 작업대
KR101729749B1 (ko)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용 브라켓
FI125423B (fi) Ajoneuvon oikaisupenkki
JP4855311B2 (ja) プレキャスト版の架設工法
JP2015006944A5 (ko)
US20150225219A1 (en) Industrial truck with an overhead guard
KR200478137Y1 (ko) 풍력타워 설치용 가이드
JP2016055932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芯出し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芯出し方法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KR101642572B1 (ko) 철골 컬럼을 이용한 중장비 지지 장치
KR20120007485U (ko)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KR200476956Y1 (ko) 크레인의 어태치먼트 장착구조
JP20050891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JP6403499B2 (ja) 支柱の固定治具及び立設装置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KR20180120529A (ko)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JP2008195487A (ja) エレベータの綱止機構の吊り下げ治具
JP200505363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用ガイドレール芯出し装置及びその芯出し工法
KR20160008882A (ko) 견인윈치 리프팅용 보조기구
KR20130000124U (ko) 선박엔진 시험실용 가변형 보조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