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423A - 동적 밸브용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동적 밸브용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423A
KR20150000423A KR20140075797A KR20140075797A KR20150000423A KR 20150000423 A KR20150000423 A KR 20150000423A KR 20140075797 A KR20140075797 A KR 20140075797A KR 20140075797 A KR20140075797 A KR 20140075797A KR 20150000423 A KR20150000423 A KR 20150000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ead
membrane
sealing
disposed
regulat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르텐 에이치 크리스텐센
닐스 비에르가르
레네 한센
포울 횔크
벤트 카르스텐 라스무쎈
Original Assignee
댄포스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댄포스 아/에스 filed Critical 댄포스 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0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2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fet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가열 또는 냉각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장치 (valve arrangement; 101) 로서, 상기 밸브 장치 (101) 는, 입구 (3) 와 출구 (4) 를 갖는 하우징 (102); 및 상기 입구 (3) 와 상기 출구 (4) 사이에 배치되며 조절 밸브 요소 (112) 를 갖는 압력 조절 밸브 (111)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밸브 요소 (112) 는 멤브레인 (115) 에 연결되고, 상기 멤브레인 (115) 은 적어도 하나의 실링 비드 (118, 119) 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그러한 밸브 장치에서, 멤브레인의 위치는 항상 잘 규정되지 않고, 그 결과 원하지 않는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한다. 멤브레인 (115) 의 올바른 위치결정을 보장하기 위해, 제 1 실링 비드 (118) 가 적어도 2 개의 단차부 (126, 129)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밸브용 멤브레인{MEMBRANE FOR DYNAMIC VALVE}
본 발명은 가열 또는 냉각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장치 (arrangement)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밸브 장치는 입구와 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조절 밸브 요소를 갖는 압력 조절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밸브 요소는 멤브레인에 연결되고, 상기 멤브레인은 적어도 하나의 실링 비드를 포함한다.
그러한 밸브 장치는 예컨대 EP 2 482 160 A1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유동 제어 밸브를 통한 유동이 유동 제어 밸브의 개도에 직접 의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유동 제어 밸브에 걸친 압력차를 정삭 작동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압력 조절 밸브가 사용된다. 더욱이, 멤브레인에 작용하는 압력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멤브레인의 손상을 막기 위해, 멤브레인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멤브레인은 2 개의 실링 비드 및 상기 2 개의 실링 비드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한 밸브 장치는 어떤 조건 하에서 진동 및 원하지 않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공지된 밸브 장치에서의 멤브레인의 위치가 조절 밸브 요소의 위치에 대해 항상 잘 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특히, 반경방향 외측 실링 비드는 압력 조절 밸브의 설치 시에 매우 높은 또는 매우 낮은 위치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밸브 장치의 작동 동안, 멤브레인의 가요성 부분이 설계에 의해 예상되는 것보다 더 연신되거나 또는 더 느슨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큰 압력이 멤브레인에 작용하는 경우에 진동 및 소음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조절 밸브 요소에 대해 잘 규정된 위치를 가지며 원하지 않는 진동 또는 소음의 감소된 위험을 갖는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제 1 실링 비드가 적어도 2 개의 단차부를 포함함으로써 해결된다.
적어도 2 개의 단차부를 갖는 실링 비드를 사용하면, 압력 조절 밸브에 대한 이 실링 비드의 설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실링 비드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졌다. 그 결과, 특히 반경방향 외측 실링 비드가 설치 동안 하우징과 압력 조절 밸브 사이의 의도되는 위치로 잘 미끄러지는 것이 보장되지 않았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2 개의 단차부로 인해 제 1 실링 비드의 기댐 위치 (resting position) 를 적절히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링 비드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실링 비드는 설치 시에 조절 밸브 요소로 한결같이 이동하여, 멤브레인의 잘 규정된 위치가 얻어질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O링 형상이고, 제 1 실링 비드는 멤브레인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제 1 실링 비드는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것이다. 그 결과, 하우징 및 압력 조절 밸브에 대한 멤브레인의 이동이 설치 동안 종래 기술에 공지된 해법의 경우보다 훨씬 더 예측가능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은 제 1 실링 비드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match) 적어도 하나의 레지 (ledge) 를 포함한다.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의 형상에 정합하는 레지를 배치하면, 설치 후에 제 1 실링 비드의 잘 규정된 기댐 위치가 가능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압력 조절 밸브는 제 1 실링 비드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를 포함한다. 압력 조절 밸브에 레지를 배치하면, 압력 조절 밸브가 압력 조절 밸브의 설치 시에 제 1 실링 비드를 그 이동 방향을 따라 효과적으로 당길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은 적어도 2 개의 실링 비드들,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실링 비드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을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적어도 2 개의 실링 비드는 한편으로 멤브레인을 밀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멤브레인 표면의 에지를 규정할 수 있다. 제 2 실링 비드는 멤브레인을 조절 밸브 요소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이 제 2 실링 비드는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거나 또는 제 1 실링 비드의 단면에 정합하는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압력 조절 밸브는 제 1 실링 비드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실링 비드는 그의 반경방향 내부 측면으로 리세내에서 기댈 수도 있고, 이로써 제 1 실링 비드의 위치의 양호한 제어가 가능하다. 리세스는 예컨대, 압력 조절 밸브의 지지 구조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레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력 조절 밸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3 개의 측면으로부터 제 1 실링 비드를 에워쌀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실링 비드는 프리텐션 (pretension) 하에서 밸브 장치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 1 실링 비드의 반경방향 규모는 제 1 실링 비드의 의도되는 위치에서의 압력 조절 밸브와 하우징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보다 더 크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제 1 실링 비드는 조립 동안에 탄성 변형될 것이고, 따라서 프리텐션 하에서 밸브 장치에 배치되어 견고한 밀봉을 보장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실링 비드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한다. 특히, 그루브는 실링 비드의 2 개의 반경방향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그루브는 가요성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2 개의 돌출부들은 그루브 옆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루브의 증가된 표면이 2 개의 돌출부들을 멀어지게 미는 부가적인 힘을 발생시켜서, 제 1 실링 비드의 견고성을 훨씬 더 향상시킬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실링 비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 1 실링 비드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에 배치되어서, 하우징에 대해 기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가요성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돌출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멤브레인의 견고한 밀봉을 보장하도록 하우징에 대해 여전히 기댈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제 1 실링 비드가 비교적 넓은 표면으로 하우징과 여전히 접촉할 수도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테이퍼드 (tapered) 단면을 갖는다. 그 결과, 테이퍼드 단면을 갖는 그러한 돌출부를 사용함으로써, 하우징 및/또는 압력 조절 밸브와 접촉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표면이 제한될 수도 있다. 특히, 테이퍼드 단면을 갖는 그러한 돌출부가 제 1 실링 비드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에 위치된다면,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표면이 비교적 작아서, 제 1 실링 비드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실링 비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보디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가 적어도 2 개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용이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실링 비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여전히 포함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 1 실링 비드의 직접 탄성 변형뿐만 아니라, 하우징 및/또는 압력 조절 밸브와 접촉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표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제 1 실링 비드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제 1 실링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을 향하는 측에서 탄성 변형될 것이다. 더욱이, 제 1 실링 비드가 설치 시에 압력 조절 밸브와 함께 한결같이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표면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가요성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2 개의 돌출부가 이 그루브 옆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루브의 증가된 표면이 2 개의 돌출부들을 멀어지게 미는 부가적인 힘을 발생시켜서, 제 1 실링 비드의 견고성을 훨씬 더 향상시킬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 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B 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도 10 은, 도 3 및 도 4 에 따른 밸브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멤브레인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는 하우징 (2) 및 입구 (3) 와 출구 (4) 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밸브 장치 (1) 를 보여준다. 여기서, 출구 (4) 는 출구 튜브 (5) 에 연결된다.
밸브 장치는 제어 밸브 요소 (6) 를 갖는 제어 밸브, 및 입구 (3) 와 출구 (4)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밸브 시트 (7) 를 또한 포함한다. 제어 밸브 요소 (6) 는 제어 밸브 스프링 (9) 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로딩되는 스핀들 (8) 에 연결된다. 스핀들 (8) 은 로드 (10) 에 연결되고, 로드는 예컨대 서모스태틱 (thermostatic) 액추에이터 (도시 안 됨) 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스핀들 (8) 을 작동시키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 예컨대 보호 캡, 휠 또는 전기 모터가 물론 또한 가능하다.
제어 밸브 시트 (7) 를 향한 방향으로 제어 밸브 요소 (6) 를 이동시킴으로써, 입구로부터 출구로의 유동이 스로틀링될 수 있다. 제어 밸브 요소 (6) 가 제어 밸브 시트 (7)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어 밸브의 유동 저항이 감소된다.
입구 (3) 와 유동 제어 밸브 (6, 7) 사이에 압력 조절 밸브 (11) 가 배치된다. 압력 조절 밸브 (11) 는 조절 밸브 요소 (12) 및 조절 밸브 시트 (13) 를 포함한다. 도 1 에서, 조절 밸브 요소 (12) 가 조절 밸브 시트 (13) 에 기대어 있으므로 압력 조절 밸브 (11) 는 폐쇄되어 있다.
조절 밸브 요소 (12) 는 개방 방향으로, 즉 이 경우에는 조절 밸브 시트 (13) 로부터 멀어지는 위쪽 방향으로 스프링 (14) 에 의해 로딩된다 (도 2 참조).
조절 밸브 요소 (12) 는 고정 요소 (16) 에 의해 멤브레인 (15) 에 연결된다. 더욱이, 멤브레인 (15) 은, 조절 밸브 요소 (12) 가 이동되는 때에 멤브레인 (15) 이 변형될 수 있는 가요성 부분 (17) 을 갖는다.
멤브레인 (15) 은 2 개의 실링 비드 (18, 19) 를 또한 포함한다. 멤브레인 (15) 은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O링 형상이고, 제 1 실링 비드 (18) 가 멤브레인 (15) 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배치되고, 제 2 실링 비드 (19) 가 멤브레인 (15) 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실링 비드 (18) 는 압력 조절 밸브 (11) 와 하우징 (2)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 1 실링 비드 (18) 는 압력 조절 밸브 (12) 와 하우징 (2)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고, 이로써 멤브레인에서의 견고한 밀봉을 보장한다. 여기서, 제 1 실링 비드 (18) 는 실링 챔버 (20) 내에 배치된다. 조절 밸브 시트 (13) 는 지지 구조체 (21) 의 일부이다.
제 2 실링 비드 (19) 는 고정 요소 (16) 에 의해 조절 밸브 요소 (12) 에 고정된다. 따라서, 조절 밸브 요소 (12) 가 이동되는 때, 멤브레인의 반경방향 내측 섹션은 당겨질 것이고, 이로써 멤브레인 (15) 의 가요성 부분 (17) 을 탄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설계에서의 문제점은, 밸브 장치 (1) 를 조립할 때에 제 1 실링 비드 (18) 의 위치가 충분히 잘 제어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실링 비드 (18) 는 실링 챔버 (20) 의 상측 또는 하측 단부에 기댈 수 있다. 그러므로, 멤브레인의 탄성 변형에 이용가능한 가요성 부분 (17) 의 길이가 예상보다 더 길거나 또는 더 짧을 수 있다. 이는 가요성 부분 (17) 이 조절 밸브 요소 (12) 의 폐쇄 위치에서 너무 길거나 또는 조절 밸브 요소 (12) 의 개방 위치에서 너무 짧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특히 멤브레인 (15) 에 높은 압력이 작용한다면 멤브레인의 원하지 않는 진동으로 이어져서, 원하지 않는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 에,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 (101) 가 도시되어 있다.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1 및 도 2 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여기서, 압력 조절 밸브 (111) 는 조절 밸브 요소 (112) 및 조절 밸브 시트 (113) 를 포함한다. 조절 밸브 시트 (113) 는 다시 지지 구조체 (121) 의 일부이다. 신규 타입의 멤브레인 (115) 이 고정 요소 (116) 로 조절 밸브 요소 (112) 에 대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 는 특별한 실시형태의 멤브레인 (115) 을 보여준다. 멤브레인 (115) 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 5 내지 도 10 에 도시될 것이다. 멤브레인 (115) 은 가요성 부분 (117), 제 1 실링 비드 (118) 및 제 2 실링 비드 (119) 를 포함한다.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실질적으로 O링 형상의 멤브레인 (115) 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실링 챔버 (120) 내에 배치된다. 실링 챔버 (120) 는 지지 구조체 (121) 와 하우징 (102)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및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은 지지 구조체 (121) 의 리세스 (124) 내에 수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은 가요성 부분 (117) 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단부에 배치된 돌출부 (125) 로 전이된다. 가요성 부분 (117) 을 향하는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은 단차부 (126) 로 전이된다.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은 리세스 (124)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리세스 (124) 내에서 프리텐션 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지지 구조체 (121) 에 확실하게 (positively) 연결될 필요는 없지만, 제 1 실링 비드 (118) 가 돌출부 (125) 및 단차부 (126) 에서 지지 구조체 (121) 와 직접 접촉하면 이미 충분하다. 지지 구조체 (121) 는 레지 (127) 를 또한 포함하여서, 제 1 실링 비드는 단차부 (126) 에서 레지 (127) 에 기댈 수 있다. 더욱이, 레지 (127) 는 설치 후에 제 1 실링 비드 (118) 가 잘 규정된 위치를 갖는 것을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도 2 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처럼, 제 1 실링 비드 (18) 는 잘 규정된 기댐 위치를 갖지 않고, 따라서 이 지점에서 본 발명의 이점이 이미 명확해진다.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은 가요성 부분 (117) 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 1 실링 비드의 단부에 다시 배치된 제 2 돌출부 (128) 로 전이된다.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은 실링 챔버 (120) 의 반경방향 외벽에 대해, 특히 하우징 (102) 에 대해 기댄다. 여기서, 제 1 실링 비드 (118) 의 최대 반경방향 규모는 실링 챔버 (120) 의 반경방향 폭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프리텐션 하에서 실링 챔버 (120) 의 반경방향 벽들에 대해 기대고, 이로써 견고한 밀봉을 보장한다.
가요성 부분 (117) 을 향하는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의 단부에는, 단차부 (129) 가 배치된다. 단차부 (129) 는 하우징 (102) 의 레지 (130) 에 대해 기댄다. 이는 제 1 실링 비드 (118) 의 기댐 위치가 또한 하우징 (102) 에 대해 잘 규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돌출부들 (125, 128) 사이에, 제 1 실링 비드 (118) 는 그루브 (131) 를 포함한다. 이 그루브 (131) 는, 멤브레인 (115) 에 큰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돌출부들 (125, 128) 이 서로 멀어지게 밀려서, 제 1 실링 비드 (118) 의 실링을 향상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이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V-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도 5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 (101) 와 함께 사용되는 멤브레인 (115) 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단순성을 위해, 상이한 실시형태들에서의 제 1 실링 비드 (118) 의 차이점을 강조하도록 단지 멤브레인 (115) 만을 도 5 내지 도 10 에 나타낸다.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3 및 도 4 에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따른 실질적으로 V-형상의 단면을 갖지만, 도 5 에 따르면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직사각형 보디 (134) 를 포함한다.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밸브 장치 (101) 에서의 제 1 실링 비드의 잘 규정된 기댐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2 개의 단차부 (126, 129) 를 다시 포함한다.
이 경우,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및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는, 돌출부 (225) 가 배치된다. 이 경우, 돌출부 (225) 는 둥글고, 실질적으로 반원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돌출부 (225) 에서 실링 챔버 (120) 의 반경방향 외벽에 대해 기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2) 과 돌출부 (225) 사이의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규모는 실링 챔버 (120) 의 반경방향 규모보다 더 클 것이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돌출부 (225) 에서 탄성 변형되어서, 멤브레인 (115) 의 견고한 밀봉을 보장할 것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의 멤브레인 (115) 을 보여준다. 이 경우,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보디 (134) 및 2 개의 단차부 (126, 129) 를 다시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에서처럼, 여기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 배치된 돌출부 (325) 를 포함한다. 돌출부 (325) 는 테이퍼드 단면을 갖고, 이로써 하우징 (102) 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실링 비드 (118) 의 표면이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에서보다 훨씬 더 작을 것임을 보장한다.
도 7 에, 제 4 실시형태의 멤브레인 (115) 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보디 (134) 를 다시 포함한다.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에서처럼,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이전 실시형태들과 대조적으로,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 3 개의 돌출부 (425, 428, 432) 가 배치된다. 돌출부들 (425, 428) 사이에, 제 1 그루브 (431) 가 배치된다. 돌출부들 (428, 432) 사이에, 제 2 그루브 (433) 가 위치된다. 이 경우 두 그루브 (431, 433)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여기서 3 개의 돌출부 (425, 428, 432) 모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또한 갖는다. 따라서, 하우징 (122) 과 접촉하는 제 1 실링 비드 (118) 의 표면은, 압력 조절 밸브와 접촉하는 표면보다 여전히 더 낮지만, 비교적 클 것이다.
도 8 은 제 5 실시형태의 멤브레인 (115) 을 보여준다.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보디 (134) 를 또다시 포함한다.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는, 하나의 돌출부 (525) 가 배치된다. 돌출부 (525)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실링 비드 (118) 의 적어도 일부 연장된 표면은 그 표면이 제 4 실시형태의 경우에서보다 훨씬 더 낮지만 하우징 (102) 과 접촉하는 것이 보장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형태의 멤브레인 (115) 을 보여준다. 여기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제 3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 배치된 테이퍼드 돌출부 (628) 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다른 테이퍼드 돌출부 (625) 가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에 배치된다. 돌출부들 (625, 628) 은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규모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실링 비드는 큰 반경방향 프리텐션 하에서 실링 챔버 (12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에서 사용되는 멤브레인 (115) 의 제 7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제 1 실링 비드 (118) 는 반경방향 내부 측면 (122) 에 테이퍼드 단면을 갖는 돌출부 (725) 를 포함한다. 이 경우 돌출부 (725) 는 가요성 부분 (117) 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단부로 직접 전이된다.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 다른 돌출부 (728) 및 그루브 (731) 가 위치된다. 여기서, 그루브 (731) 는 둥근 단면을 갖는 한편, 돌출부 (728)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Claims (15)

  1. 가열 또는 냉각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장치 (valve arrangement; 101) 로서,
    상기 밸브 장치 (101) 는, 입구 (3) 와 출구 (4) 를 갖는 하우징 (102); 및 상기 입구 (3) 와 상기 출구 (4) 사이에 배치되며 조절 밸브 요소 (112) 를 갖는 압력 조절 밸브 (111)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밸브 요소 (112) 는 멤브레인 (115) 에 연결되고,
    상기 멤브레인 (115) 은 적어도 하나의 실링 비드 (118, 119) 를 포함하고,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적어도 2 개의 단차부들 (126, 12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115) 은 실질적으로 O링 형상이고,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상기 멤브레인 (115) 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102) 은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 (129) 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match) 적어도 하나의 레지 (ledge; 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 (111) 는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 (126) 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 (1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115) 은 적어도 2 개의 실링 비드들 (118, 119), 및 상기 적어도 2 개의 실링 비드들 (118, 119)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부분 (11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 (111) 는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는 프리텐션 (pretension) 하에서 상기 밸브 장치 (101)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131, 431, 433, 7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25, 128, 225, 325, 425, 428, 432, 525, 625, 628, 725, 7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425, 428, 432, 525, 728) 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25, 128, 325, 625, 628, 725) 는 테이퍼드 (tapered)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비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보디 (134)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431, 433, 731) 는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 (123)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131) 는 상기 가요성 부분 (117) 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상기 제 1 실링 비드 (118) 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15. 적어도 하나의 실링 비드 (118, 119) 를 포함하는, 특히 압력 조절 밸브용인 멤브레인으로서,
    제 1 실링 비드 (118) 가 적어도 2 개의 단차부 (126, 12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KR20140075797A 2013-06-24 2014-06-20 동적 밸브용 멤브레인 KR20150000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73398.2 2013-06-24
EP13173398.2A EP2818960B1 (en) 2013-06-24 2013-06-24 Membrane for dynamic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23A true KR20150000423A (ko) 2015-01-02

Family

ID=4874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5797A KR20150000423A (ko) 2013-06-24 2014-06-20 동적 밸브용 멤브레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818960B1 (ko)
KR (1) KR20150000423A (ko)
CN (2) CN104235479A (ko)
DK (1) DK2818960T3 (ko)
ES (1) ES2710232T3 (ko)
PL (1) PL2818960T3 (ko)
RU (1) RU2570822C1 (ko)
TW (1) TW2015024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2864A1 (it) * 2015-08-05 2017-02-05 Giacomini Spa Valvola di regolazione con bilanciamento dinamico della portata
ES2711338T3 (es) * 2016-01-15 2019-05-03 Danfoss As Válvula, en particular válvula de intercambiador de calor
PL3193047T3 (pl) * 2016-01-15 2019-09-30 Danfoss A/S Zawór
EP3193062B1 (en) * 2016-01-15 2019-01-09 Danfoss A/S Valve arrangement and insert for a valve arrangement
PL3432112T3 (pl) * 2017-07-20 2022-04-04 Danfoss A/S Układ zaworu do sterowania przepływem płynu grzejącego lub chłodzącego
CN108344911B (zh) * 2018-02-09 2020-10-27 天津英创汇智汽车技术有限公司 阀芯测试装置
RU192857U1 (ru) * 2019-06-04 2019-10-0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ранспневматик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лапан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7055A (en) * 1957-08-09 1960-09-07 Ver Armaturen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 flow control valves
US3310279A (en) * 1964-05-14 1967-03-21 Grinnell Corp Diaphragm valve and diaphragm therefor
US4086036A (en) * 1976-05-17 1978-04-25 Cole-Parmer Instrument Company Diaphragm pump
DE3329530A1 (de) * 1983-08-16 1985-03-07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Druckmittel-arbeitszylinder mit einer biegsamen membrane
JPH0634200Y2 (ja) * 1990-01-24 1994-09-07 自動車機器株式会社 負圧倍力装置
US5031875A (en) * 1990-06-13 1991-07-16 The Toro Company Diaphragm seal
DE4212968C2 (de) * 1992-04-18 1998-07-02 Mann & Hummel Filter Druckregelventil für die Kurbelgehäuseentlüf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ITSV20020032A1 (it) * 2002-07-09 2004-01-09 Alberto Lodolo Valvola a membrana ed otturatore per detta valvola
DE102008028439B3 (de) * 2008-06-17 2009-10-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Drucksteuerventil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Fluiddrucks in einer ABS-Bremsanlage eines Fahrzeugs
JP5369037B2 (ja) * 2010-03-29 2013-12-18 Nok株式会社 ダイアフラム
EP2482160B1 (en) 2011-01-27 2013-11-06 Danfoss A/S Valve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flow of a heating or cooling fluid
DE202011004671U1 (de) * 2011-03-31 2011-06-09 Bürkert Werke GmbH, 74653 Membran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70822C1 (ru) 2015-12-10
EP2818960A1 (en) 2014-12-31
TW201502401A (zh) 2015-01-16
ES2710232T3 (es) 2019-04-23
EP2818960B1 (en) 2018-11-14
CN112628455B (zh) 2023-02-21
CN104235479A (zh) 2014-12-24
CN112628455A (zh) 2021-04-09
DK2818960T3 (en) 2019-03-04
PL2818960T3 (pl)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423A (ko) 동적 밸브용 멤브레인
JP5677574B2 (ja) 閉止体を備えるピストンポンプのバルブ
CN106662268B (zh) 用于电磁阀的阀衔铁和用于电磁阀的阀筒
KR20130095729A (ko) 자기 밸브, 및 상기 자기 밸브를 포함하는 운전자 지원 장치
JP6542373B2 (ja) 流量調整器ユニット
US10626946B2 (en) Damper
KR102235986B1 (ko) 다이어프램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69424A (ja) ダンパー装置
JP2012047291A (ja) チェックバルブ
WO2019188947A1 (ja) 逆止弁
KR101355833B1 (ko) 반 볼 밸브의 개방유도장치
JP2016532817A5 (ko)
WO2018056099A1 (ja) 緩衝器
JP5888750B2 (ja) 逆止弁
US9133957B2 (en) Magnet valve for controlling a fluid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JP6085491B2 (ja) リリーフバルブ
CN110709794B (zh) 用于控制加热或冷却流体流量的阀装置
JP2004278582A (ja) 定流量弁
US10047874B2 (en) Magnetic valve
SE541923C2 (en) Valve arrangement and valve member comprising radially arranged protrusions
JP5990563B2 (ja) 圧力調節器用の振動減衰ばねクリップ
KR101602680B1 (ko) 써모스탯
JP2023159716A (ja) リリーフ弁
KR20140045506A (ko) 댐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