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312A -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312A
KR20150000312A KR1020130072602A KR20130072602A KR20150000312A KR 20150000312 A KR20150000312 A KR 20150000312A KR 1020130072602 A KR1020130072602 A KR 1020130072602A KR 20130072602 A KR20130072602 A KR 20130072602A KR 20150000312 A KR20150000312 A KR 2015000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weight
traine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057B1 (ko
Inventor
최진혁
김영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0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에 장착되고 훈련자의 보행 훈련을 위하여 한 쌍의 발판 지지대 및 발판이 양측에 장착되는 보행 구동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체중 지지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체중 지지부와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구성하는 체중 지지부에 결합되고 훈련자가 착석하는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용 시트가 높낮이를 조절하며 훈련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를 이용한 체중 지지부의 사용으로 보행 훈련 장치의 착·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 및 훈련보조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A SEATING-TYPE BODY WEIGHT SUPPORTER FOR GAIT TRAINER APPARATUS}
본 발명은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훈련자의 체중 지지를 위해 착석형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하지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훈련 장치는 재활 치료 등에 사용되는 치료장치로서, 하반신이 마비된 척수손상, 뇌졸증, 외상성 뇌손상, 근위축증,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직립 감각 증진 훈련 등이 그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보행 훈련용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보행 훈련용 장치(100)는 훈련자의 체중 지지를 위해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하중 견인 장치를 사용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오버헤드 하네스는 하중의 완전한 상 방향 견인이 가능하고, 하네스의 유연성으로 인해 견인대상의 중력방향 외 구속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점에서 사람을 비롯한 생명체를 견인하는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오버헤드 하네스는 착용에 일정 시간이 소비되고, 착용 시 장시간 하중 지지에 부적합한 신체부위에 많은 하중이 집중되며, 하네스 상부 방향으로 비교적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61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36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석용 시트가 훈련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훈련자의 흉부 및 복부를 기대는 방식의 몸체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시트에 안착되는 훈련자의 상부를 고정하여 시트만으로 부족할 수 있는 훈련자의 낙상 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결합되는 수평프레임에 장착되고 양측에는 훈련자의 보행 훈련을 위하여 한 쌍의 발판이 장착되는 보행 구동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착되는 체중 지지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체중 지지부와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구성하는 체중 지지부에 결합되고 훈련자가 착석하는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보행운동 시 요구되는 시트의 승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프레임 등의 적절한 위치에 시트 구동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에는 훈련자의 체중 지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무게 감지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훈련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벨트로 구성되는 몸체 지지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용 시트가 높낮이를 조절하며 훈련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를 이용한 체중 지지부의 사용으로 오버헤드 하네스 방식의 보행 훈련 장치에 비해 착·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 및 훈련보조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 지지부를 구성하여 시트에 안착되는 훈련자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훈련자의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행 훈련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용 장치를 구성하는 시트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용 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용 장치를 구성하는 시트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10)는 수평프레임(21) 및 수직프레임(22)으로 구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장착되고 발판 지지대(31)를 구동하는 보행 구동부(30)와, 상기 몸체(20)와 연결결합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에 장착되고 훈련자가 착석하는 시트(50)와,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 지지부(8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10)에 적용되는 전원과 연결선 등은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적용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2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21)과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부에는 디스플레이(23)가 장착되는 수직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1)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바(21a)의 상부에 수평판(21b)이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2)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나 봉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디스플레이(23)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공지된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택일하여 장착한다.
즉 상기 몸체(20)는 수평프레임(21)을 구성하는 수평판(21b)의 상부에 디스플레이(23)가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2)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 수직프레임(22)과 결합되는 수평프레임(21)에 장착되는 보행 구동부(30)는 훈련자의 보행 훈련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발판 지지대(31)와 상기 발판 지지대(31)의 끝단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발판(3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보행 구동부(30)는 운동기구인 스탭퍼와 같이 일 측 끝단을 중심으로 한쪽 발판(32)이 상부로 이동하면 반대 측 발판(32)은 하부로 이동하고, 반대로 한쪽 발판(32)이 하부로 이동하면 반대 측 발판(32)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게 된다.
상기 몸체(20)에 장착되는 연결프레임(4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 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체중 지지부(41)와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상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체중 지지부(41)와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40)은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체중 지지부(41)와 수평 연결부(42)를 조합하여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을 구성하는 체중 지지부(41)에 결합되는 시트(50)는 훈련자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체중 지지부(41)에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시트 연결프레임(52)을 통해 결합된다.
즉 상기 시트(50)는 시트 연결프레임(52)과 체중 지지부(41)를 포함한 연결프레임(40) 및 수직프레임(22)이 결합되어 착석하는 훈련자의 체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시트(50)는 연결프레임(40)에 장착되는 시트 구동부(60)를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시트 구동부(60)는 연결프레임(40)과 결합되고 일 측 또는 양측에 레일(62)이 구성되는 수직판(61)과, 상기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64)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 연결프레임(52)가 결합되는 고정구(6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64)가 구비되는 고정구(63)는 공지된 실린더, 벨트, 모터 등의 구성을 택일하여 장착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50)에는 훈련자의 하중에 따른 지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무게 감지 센서(7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 지지부(80)는 연결프레임(40) 상부의 지지대(82)와 상기 지지대(82)와 결합되고 훈련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벨트(84)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 지지부(80)는 연결프레임(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지지대(82)와 벨트(84)를 통해 훈련자의 상체를 지지하여 낙상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21)과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부에는 디스플레이(23)가 장착되는 수직프레임(22)으로 구성되는 몸체(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22)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21)의 상부에 훈련자의 보행 훈련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발판 지지대(31)와 상기 발판 지지대(31)의 끝단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발판(32)으로 구성되는 보행 구동부(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프레임(21)에 장착되는 체중 지지부(41)와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상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체중 지지부(41)와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42)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4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40)에 상기 체중 지지부(41)와 결합되고 일 측 또는 양측에 레일(62)이 구성되는 수직판(61)과 상기 레일(6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64)가 구비되는 고정구(63)로 구성되는 시트 구동부(60)를 장착한 후 상기 고정구(63)에 무게 감지 센서(70)가 구비되는 시트(50)가 결합된 시트 연결프레임(52)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상부에 지지대(82)와 상기 지지대(82)와 결합되고 훈련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벨트(84)로 구성되는 몸체 지지부(80)를 장착하면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 프레임(40)과 결합되는 시트(50)에 훈련자를 착석시킨 후, 상기 무게 감지 센서(70)를 통해 훈련자의 하지 체중지지 정도를 파악한 다음, 상기 시트 구동부(60)를 작동시켜 시트(5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50)에 착석한 훈련자의 상부를 몸체 지지부(80)의 벨트(84)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훈련자의 양발을 보행 구동부(30)의 발판(32)에 올려놓는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50)에 앉은 훈련자는 보행 구동부(30)를 구성하는 발판(32)에 각각의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발판(32)의 보행 구동 패턴에 따라 보행 훈련을 시행하고 디스플레이(23)를 통해 훈련자의 상태 및 훈련 내역을 파악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20 : 몸체,
21 : 수평프레임, 22 : 수직프레임,
23 : 디스플레이, 30 : 보행 구동부,
31 : 발판 지지대, 32 : 발판,
40 : 연결프레임, 41 : 체중 지지부,
42 : 수평 연결부, 50 : 시트,
52 : 시트 연결프레임, 60 : 시트 구동부,
70 : 무게 감지 센서, 80 : 몸체 지지부,
82 : 지지대, 84 : 벨트.

Claims (4)

  1.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프레임(21)과 상기 수평프레임(21)의 일 측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디스플레이(23)가 장착되는 수직프레임(22)으로 구성되는 몸체(20)와;
    상기 수직프레임(22) 및 수평프레임(21)에 장착되고 훈련자의 보행 훈련을 위하여 한 쌍의 발판지지대(31)와 발판(32)이 양측에 장착되는 보행 구동부(30)와;
    상기 수평프레임(21)에 장착되는 체중 지지부(41)와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상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은 체중 지지부(41)와 결합되는 수평 연결부(42)로 구성되는 연결프레임(40)과;
    상기 연결프레임(40)을 구성하는 체중 지지부(41)에 결합되고 훈련자가 착석하는 시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5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보행 운동 시 요구되는 시트의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시트 구동부(60)가 체중지지부(4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50)에는 훈련자의 체중에 따른 지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무게 감지 센서(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상부에는 지지대(82)와 상기 지지대(82)와 결합되고 훈련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벨트(84)로 구성되는 몸체 지지부(8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KR1020130072602A 2013-06-24 2013-06-24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KR10203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02A KR102039057B1 (ko) 2013-06-24 2013-06-24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02A KR102039057B1 (ko) 2013-06-24 2013-06-24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12A true KR20150000312A (ko) 2015-01-02
KR102039057B1 KR102039057B1 (ko) 2019-11-01

Family

ID=5247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02A KR102039057B1 (ko) 2013-06-24 2013-06-24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0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0744A (zh) * 2016-02-29 2016-06-08 王俊华 一种用于康复训练的减重装置
WO2016186270A1 (ko) * 2015-05-18 2016-1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착석형 보행 재활로봇
KR20170054629A (ko) * 2015-11-09 2017-05-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횡방향 구동 기능을 갖는 착석형 보행재활장치
KR20170062045A (ko) 2015-11-27 2017-06-07 큐렉소 주식회사 회전식 체중지지부
CN107374917A (zh) * 2017-06-28 2017-11-24 长安大学 电动的体重减重机构及运动控制方法
WO2019088535A1 (ko) * 2017-11-02 2019-05-09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하체 재활 치료 장치
KR102167267B1 (ko) 2019-04-25 2020-10-20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672B1 (ko) 2000-11-14 2003-11-01 한국원자력연구소 보행 재활훈련 로봇용 보행자의 전/후진 보행거리 및보행방향 측정 장치
KR100459629B1 (ko) * 2001-07-18 2004-12-03 박이순 장애인용 재활 물리치료기
KR20060122069A (ko) * 2005-05-25 2006-11-30 강병모 골반저근 근력강화장치 및 방법
JP2007520310A (ja) * 2004-02-05 2007-07-26 モトリカ インク 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方法及び器械
KR100971472B1 (ko) * 2008-05-29 2010-07-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장치
KR100976180B1 (ko) 2008-03-31 2010-08-17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훈련용 로봇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672B1 (ko) 2000-11-14 2003-11-01 한국원자력연구소 보행 재활훈련 로봇용 보행자의 전/후진 보행거리 및보행방향 측정 장치
KR100459629B1 (ko) * 2001-07-18 2004-12-03 박이순 장애인용 재활 물리치료기
JP2007520310A (ja) * 2004-02-05 2007-07-26 モトリカ インク 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方法及び器械
KR20060122069A (ko) * 2005-05-25 2006-11-30 강병모 골반저근 근력강화장치 및 방법
KR100976180B1 (ko) 2008-03-31 2010-08-17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훈련용 로봇 및 그 운용방법
KR100971472B1 (ko) * 2008-05-29 2010-07-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70A1 (ko) * 2015-05-18 2016-1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착석형 보행 재활로봇
CN107708641A (zh) * 2015-05-18 2018-02-16 克瑞肖株式会社 坐式步行康复机器人
JP2018521719A (ja) * 2015-05-18 2018-08-09 キュレクソ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urexo, Inc. 着座型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ロボット
US10881575B2 (en) 2015-05-18 2021-01-05 Curexo, Inc. Seating-type rehabilitation robot for walking
KR20170054629A (ko) * 2015-11-09 2017-05-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횡방향 구동 기능을 갖는 착석형 보행재활장치
KR20170062045A (ko) 2015-11-27 2017-06-07 큐렉소 주식회사 회전식 체중지지부
CN105640744A (zh) * 2016-02-29 2016-06-08 王俊华 一种用于康复训练的减重装置
CN107374917A (zh) * 2017-06-28 2017-11-24 长安大学 电动的体重减重机构及运动控制方法
WO2019088535A1 (ko) * 2017-11-02 2019-05-09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하체 재활 치료 장치
KR102167267B1 (ko) 2019-04-25 2020-10-20 (주)젬텍 천장레일 기반 보행재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057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312A (ko) 착석형 체중 지지부를 갖춘 보행 훈련 장치
JP5416240B2 (ja) 歩行訓練機器
JP2017505652A (ja) 脊椎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101906672B1 (ko) 척추 및 경추 견인용 의자
JPH09154901A (ja) 歩行訓練器具
KR102098959B1 (ko)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KR20150005151A (ko) 하체근력강화장치
CN106512295B (zh) 一种全身肌肉锻炼用品
KR20090102473A (ko)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
CN208726202U (zh) 一种内科护理装置
JP2006101957A (ja) 頸椎牽引治療装置
CN205307179U (zh) 医用颈椎和脊椎舒展装置
CN206152206U (zh) 一种大腿内外侧肌肉锻炼器械
CN210872802U (zh) 一种肢体关节功能康复锻炼床
CN101485608A (zh) 一种脑外伤病人用多功能肢体训练装置
CN209827472U (zh) 一种儿童神经康复架
CN212141350U (zh) 一种老年患者训练装置
CN211705127U (zh) 一种神经内科托架组件
CN211382034U (zh) 一种脊柱牵引设备
CN210872588U (zh) 一种多功能护理康复装置
CN208626142U (zh) 脊柱术后患者早期活动辅助装置
CN106621225A (zh) 站立平衡架康复训练装置
CN203029908U (zh) 一种牵引型韧带拉伸辅助器
CN105997324A (zh) 一种医疗牵引椅
JP6160415B2 (ja) 歩行補助装置装着用の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