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505A - 터널 굴진기 - Google Patents

터널 굴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505A
KR20140146505A KR1020130082865A KR20130082865A KR20140146505A KR 20140146505 A KR20140146505 A KR 20140146505A KR 1020130082865 A KR1020130082865 A KR 1020130082865A KR 20130082865 A KR20130082865 A KR 20130082865A KR 20140146505 A KR20140146505 A KR 20140146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vertical wall
tunnel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293B1 (ko
Inventor
스즈에 히대요시
Original Assignee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스즈에 히대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스즈에 히대요시 filed Critical 이엠코리아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46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42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having means for additional processing at the front en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8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 E21D9/0875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movable support arm carrying cutting tools for attacking the front face, e.g. a bucket
    • E21D9/0879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movable support arm carrying cutting tools for attacking the front face, e.g. a bucket the shield being provided with devices for lining the tunnel, e.g. shut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2Devices for removing or hauling away excavated material or spoil; Working or load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터로 굴착한 토사를 물과 함께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터널 굴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진잭(2)에 의해 전진하는 관본체(10)와, 관본체(10)의 전단부에 굴곡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후반부에 수직벽(21)이 있는 날개구부(20)과,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에, 중간 부분의 외주면이 조밀하게 박아 넣은 상태에서 고정된 모터부(40)의 전단부에 사이클로이드 식의 감속부(50)를 일체적으로 마련한 감속모터(30)과 감속부(5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커터기구(60)와, 커터기구 (60)에서 굴착한 토사(S)를 분쇄하는 파쇄기구(70)와, 관본체(10)의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 진 자세로 설치된, 물(W)을 관본체(10)의 외측에서 커터기구(60)에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이 있는 물 공급기구(8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터널 굴진기{GROUND EXCAVATOR}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또는 통신 케이블 배관 등을 매설할 때 지중에 터널을 굴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터널 굴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지중에 상하수도관 및 통신 케이블 배관 등을 매설하기 위해 터널 굴진기가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터널 굴진기는 관체의 전단부에 회전식의 커터를 부착하여, 이 커터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토사와 암석(토사암석)을 절삭하고, 절삭된 토사를 그대로 관체의 내부를 통해 배출하면서 터널을 연속적으로 굴진하는 것이다.
일본 특공소 61-56391 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는 커터로 굴진한 토사를 관체의 내부를 통해 배출하여야 하는데, 이 토사의 배출은 물과 함께 배출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또한, 물도 굴진한 토사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물에 의해 토사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은 나와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 된 것으로, 커터로 굴진한 토사를 물과 함께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터널 굴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지중에 터널을 굴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진잭(2)에 의해 전진하는 관본체(10), 상기 관본체(10)의 전단부에 굴곡에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후부에 수직벽(21)을 형성하고 있는 날개구부(20), 상기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에 중간 부분의 외주면이 긴밀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 된 모터부(40)의 전단부에 사이클로이드식 감속부(50)를 일체적으로 마련한 감속모터(30), 상기 감속부(5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커터 기구(60), 상기 커터 기구(60)에서 절삭한 토사(S)를 분쇄하는 파쇄기구(70), 상기 관본체(10)의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어, 물(W)을 상기 관본체(10)의 외측에서 상기 커터기구(60)로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을 갖는 물 공급기구(80)를 갖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지중에 터널을 굴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진잭(2)에 의해 전진하는 관 본체(10)와, 상기 관본체(10)의 전단부에 굴곡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후단부에 수직벽(21)을 가진 날개구부(20)와, 상기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에 중간 부분의 외주면이 조밀하게 관입 한 상태에서 고정 된 모터부(40)의 전단부에 사이클로이드 식의 감속부 (50)를 일체적으로 마련한 감속모터(30)와, 상기 감속부(5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커터기구(60)와, 상기 커터기구(60)에서 절삭한 토사(S)를 분쇄하는 파쇄기구(70)와, 상기 본관체(10)의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어, 물(W)을 관본체 (10)의 외부에서 상기 커터기구(60)에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을 갖는 물 공급기구(80)를 갖춘다.
또한, 상기 물 공급기구(80)를 상기 분사 노즐(81)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집수하는 저수탱크(82)와, 상기 저수탱크(82)와 상기 분사 노즐(81)을 송수펌프(84)를 통해 연통하는 송수관(83)과, 상기 분사 노즐(81)의 상류 측에 설치된 전환밸브(85)와, 상기 전환 밸브(85)와 상기 날개구부(20)를 상기 수직벽(21)을 관통하여 연통하는 연통관(86)과, 상기 날개구부(20)와 상기 저수탱크(82)를 배수펌프(88) 및 토사분리기(89)를 통해 연통하는 배수관(87)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보다 앞쪽 부분을 물(W)이 유통하는 수냉공간부(C)로 하고, 전기 모터부 (40)의 전반부(40a)를 수냉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85)의 상류 측에 상기 송수관(83)과 배수관(87)의 물(W)의 흐름을 차단하는 바이패스 밸브(90)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관 본체(10)의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되어, 물(W)을 관본체(10)의 외측에서 커터기구(60)에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이 있는 물 공급기구(80)를 포함하기 때문에, 커터기구(60)에서 절삭한 토사(S)에 이 물(W)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사(S)를 유동하기 쉽게 하여 효율적으로 배출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터널굴진기 1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 물 공급기구(80)를 상기 분사 노즐(81)로 물(W)을 집수하는 저수탱크(82)와, 저수탱크(82)와 분사 노즐(81)을 송수펌프(84)를 통해 연통하는 송수관(83)과, 분사 노즐(81)의 상류 측에 설치된 전환밸브(85)와, 전환밸브(85)와 날개구부(20)를 수직벽(21)을 관통해 연통하는 연통관(86)과, 날개구부(20)와 저수탱크(82)를 배수펌프(88) 및 토사분리기(89)를 통해 연통하는 배수관(87)을 설치하여 구성 하였으므로,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즉, 저수탱크(82)의 물(W)을 송수관(83)과 배수관(87)에 의해 순환시켜 토사 분리기(89)에 의해 토사(S)를 분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송수관(83)에서 분사 노즐(81)을 통해 커터기구 (60)에 물(W)를 공급하고, 그 물(W)와 절삭한 토사(S)를 배수관(87)을 통해서 원활하게 배출 할 수 있다. 또한, 이 물(W)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전환밸브(85)를 조작하여, 물(W)을 분사 노즐(81) 또는 연통관(86)에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커터기구(60)에서 토사(S)를 반복적으로 무너뜨릴 때 굴진한 토사(S)를 항상 효율적으로 배출 할 수 있다. 지하 수압에 변동을 주지 않고, 안정상태가 되어 지도록 펌프(84),(88)의 출력조정을 하여 안정적인 굴진을 실시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청구항 1 및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보다 전반부를 물(W)이 유통하는 수냉공간부(C)로 하고 모터(40)의 전반부(40a)를 수냉하기 때문에 해당 모터부(4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부(40)의 성능을 유지하여, 토사(S)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터널 굴진기(1)는,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전환밸브(85)의 상류 측에, 송수관(83)과 배수관(87)의 물(W)의 흐름을 차단하는 바이패스 밸브(90)를 마련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 등 에 있어 물(W)이 불필요하게 흘려버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더욱이, 송수관(83)·연통관(86)· 배수관(87)에 잔류한 공기가 차는 등에 의한 워터 해머 현상 등 불안정한 유체를 펌프(84),(88)의 조정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터널 굴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터널 굴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터널 굴진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터널 굴진기의 물 공급기기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터널 굴진기(1)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도 5에 나타낸다. 이것은 전기, 가스, 상하수도 등의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하여, 지반(G)에 터널을 굴진하기 위한 굴진기(1)이며, 관본체(10), 날개구부(20), 감속 모터(30), 커터기구(60), 파쇄기구(70) 및 물 공급기구(80)를 포함한다.
(D)는 터널의 원통형 둘레벽, (E)는 원통형 둘레벽의 아래쪽 부분, (F)는 터널의 바닥벽이 되는 원판형 단벽이다. 그림 작성의 형편 상, 그림에서는 터널 굴진기(1)와 터널의 바닥벽이 되는 원판형 단벽(F)과의 사이에 공간이 있지만, 실제로는 제로에 가깝고, 또한 그림에서의 터널 굴진기(1)와 원통형 둘레벽 (D)과의 사이에 공간도 실제로는 제로에 가깝다.
관본체(10)는 원통형이며, 그 후단부가 직접 또는 흄관 3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진잭(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땅속을 전진한다. 이 관본체(10)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 (13)를 마련해, 이 유압 실린더(13)에서 날개구부(20)의 외주 끝 후단부에 압력을 가하여 진행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한다.
날개구부(20)는 원통형이며, 그 뒤쪽에 수직벽(21)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13)는 이 수직벽(21)을 가압한다. 이 날개구부(20)는 그 단부가 관본체(10)의 전단부에 결합하고 패킹(11)을 통해 해당 관본체(10)에 굴곡이 자유롭도록 거치된다.
감속모터(30)는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에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의 외주면이 조밀하게 관입 된 상태로 고정 된 모터부(40)와 그 모서리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감속부(50)로 구성된다. 모터부(40)는 고정자 코일과 로터를 포함하는 전자석 모터이다. 또한 수직벽(21)에 모터부(40)의 외주면을 조밀하게 박아 넣어 날개구부의 물(W)이 수직벽(21)을 넘어 관본체(1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감속부(50)는 그 외곽을 형성하는 회전체(51)를 갖추고, 이 회전체(51)는 날개구부 (20)에 대해서 편심하고 감속 회전한다. 이 감속부(50)는 모터부(40)의 회전축(41)에 고정된 편심 크랭크(52), 둥근 구멍을 갖는 곡선 판, 내부 핀 및 회전체(51)에 고정된 외부 핀 등으로 구성된 이른바 사이클로이드 식이다. 따라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감속하는 일반적인 감속기와는 다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클로이드 식의 감속부(50)는 두 편심 크랭크(52)와 이에 대응하여 두 장의 곡선판을 포함하고 내부 핀을 그 전단부와 후단부의 양쪽에서 지지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와도 그 구조가 다르다.
커터기구(60)는, 회전체(51)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한다. 이 커터기구(60)는 감속부 (50)의 회전체(51)에 고정한 회전부재(62)와, 그 회전부재(62)에 지축(63)을 통해 자전자재로 거치 된 복수의 회전커터(61)를 구비하고, 감속부(50)에 의해 감속된 속도로 회전한다. 회전커터(61)는 경질제로 뿔 모양의 각절삭부(61a)나 나선모양의 나선절삭부(61b)를 갖춘다. 또한, 회전부재(62)는 굴착한 토사(S)와 물(W)이 통과하는 하는 통공부(64)를 복수로 포함하고 있다.
파쇄기구(70)는 회전파쇄체(71)과 고정파쇄체(72)로 구성된다. 회전파쇄체(71)는 회전체(51)의 후방 외주면에 설치되고, 고정파쇄체(72)는 날개구부(20)의 내주면에 회전파쇄체(71)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회전체(51)는 날개구부(20)에 대하여 편심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파쇄체(71)도 고정파쇄체(72)에 대해서 편심한다. 그러므로, 굴착한 토사 S를 잘게 분쇄할 수 있다.
물 공급기구(80)는 분사 노즐(81), 저수탱크(82), 송수관(83), 전환밸브(85), 연통관(86), 배수관(87), 바이패스 밸브(90) 및 압력센서(91)를 갖춘다.
분사 노즐(81)은 관본체(10)의 내부에서 그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 진 자세로 설치되어, 물(W)을 관본체(10)에 형성한 개구부(12)에서 관본체(10)의 외측(외주면)과 지반(G) 의 사이를 통과시켜 전방에 위치하는 커터기구(60)에 공급한다. 즉, 이 분사 노즐(81)은 대각선방향의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를 갖추기 때문에, 물(W)을 커터기구(60)에 확실하고 쉽게 공급할 수 있다.
저수탱크(82)는, 다량의 물(W)을 담은 용기이며, 지상에 설치된다. 송수관(83)은 저수탱크 (82)와 분사 노즐(81)을 연통한다. 또한, 이 송수관(83)에는, 저수탱크(82)의 물(W)을 보내기 위한 송수 펌프(84)를 마련하고 있다.
전환밸브(85)는 분사 노즐(81)의 상류측(기단부)에 설치되어, 물(W)의 공급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한다. 이 전환 밸브(85)는 밸브 본체가 회동하는 로터리 식이다. 연통관(86)은, 전환밸브(85)와 날개구부(20)을, 도시하지 않은 액체로(H)를 통해 수직벽(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연통한다.
배수관(87)은 날개구부(20)과 저수탱크(82)를 연통한다. 이 배수관(87)에 배수 펌프(88)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배수관(87)의 하류 단부에서 저수탱크(82)에 인접한 위치에 토사분리기(89)가 배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밸브(90)는 전환밸브(85)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송수관(83)과 배수관(87)의 물 (W)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 이 바이패스 밸브(90)도 밸브 본체가 회동하는 로터리 식이다. 압력센서(91)는, 수직벽(21)에 설치되어 날개구부(20)의 수압을 측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터널 굴진기(1)는,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과 파쇄기구(70)의 사이 부분을 물(W)가 유통하는 수냉공간부(C)로 하고 있다. 이 수냉공간부(C)에는 모터부 (40)의 전반부(40a)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터널 굴진기(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우선, 커터기구(60)를 감속모터(30)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면서 추진잭(2)로 전진 이동시켜, 그 회전커터(61)에 의해 토사(S)를 굴착한다. 동시에 물 공급기구(80)의 급수펌프와 배수펌프(88)을 가동함과 함께, 물(W)을 전환밸브(85)에 의해 분사 노즐(81)에 안내하고, 해당 분사 노즐(81)에서 분사하여 관본체(10)와 원통형 둘레벽 D의 아래쪽 부분 E의 사이에서 커터기구(60)에게 공급한다. (도 2의 실선 화살표 참조).
회전커터(61)에 의해 굴착된 토사(S)는, 분사 노즐(81)에서 공급 된 물(W)(및 지하수)과 함께, 회전부재(62)의 통공부(64)를 통과하여 파쇄기구(70)에 보내져 잘게 분쇄된다. 이때, 배수펌프(88)를 가동하고 있으므로, 토사(S)와 물(W)의 혼합물은 해당 배수펌프(88)의 흡인력에 의해 쉽게 파쇄기구(70)로 보내진다.
분쇄 된 토사(S)와 물(W)의 혼합물은, 수냉공간부(C)를 통해서 배수관(87)을 통과하여, 토사분리기(89)에 공급되고, 그 곳에서 토사(S)가 분리 된 후, 물(W)만 저수탱크(82)에 반환된다. 반환 된 물(W)은 다시 급수펌프로 흡입되고, 송수관(83)을 통과하여 분사 노즐(81)에서 커터기구 (60)로 보내진다. 이러한 행정을 반복함으로서 터널을 연속적으로 굴착한다.
또한, 예를 들어, 지반 굴착 중에 있는 지하수의 치솟아 내는 양이 많고, 충분한 물이 커터기구(60)에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즉, 날개구부(20)의 내부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그것을 감지한 압력 센서(91)부터의 신호에 의해, 저수탱크(82)로부터의 물(W)의 공급량을 감소시킨다. 또는 전환 밸브(85)를 전환하여 물(W)을 연통관(86)에서 날개구부(20)에 공급하여, 해당 날개구부(20)에서 직접 배수관(87)으로 되돌리는 등의 수단을 강구한다.
또한, 굴진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 등에는 물(W)을 커터기구(60)나 날개구부(20)에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이패스 밸브(90)를 닫고, 송수관(83)과 배수관(87)을 직접 연통한 상태로 한다. 그러면, 물(W)가 커터기구(60)나 날개구부(20)에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분사 노즐(8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통상, 암반 등 자립 지반 굴착의 경우에는, 날개구부 (20)와 관본체(10)의 외주에 대한 터널의 원통형 둘레벽의 아래쪽 부분(E)에 걷다 남은 잔토가 남아서 이것이 나중에 관본체(10)의 외주에 퇴적하여, 관본체(10)와 원통형 둘레벽(D)와의 마찰 저항을 일으켜 추진 공사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그 굴진한 토사를 밀어 흘러가게 하여 청소 할 수 있다.
한편, 회전커터(61) 및 터널의 바닥 벽이 되는 원판형 단벽(F)을 항상 세정하고, 굴착시 발생하는 굴진 열을 냉각함으로서, 회전커터를 오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의 바닥 벽이되는 원판형 단벽(F)의 절삭면을 세척하고 항상 새로운 면을 냄으로써, 굴진효율을 올린다. 더욱이, 회전커터(61) 전체를 물줄기가 흐르게 함으로 굴착 토사의 운반은 물론 회전커터 칩에 의한 2차 파쇄가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보다도 비약적으로 회전커터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다. 위의 작용에 의해 모터부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터널 굴진기(1)는, 다음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① 물 공급기구(80)를 마련해, 해당기구에 물(W)을 관본체(10)의 외측에서 커터기구(60)에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을 설치했기 때문에, 커터기구(60)에서 굴착한 토사(S)에 물(W)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토사(S)를 유동하기 쉽게 하여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② 물 공급기구(80)을 마련해, 그 저수탱크(82)의 물(W)을 송수관(83)과 배수관(87)에 의해 순환시키고 물(W)과 함께 배출한 토사(S)를 토사분리기(89)에 의해 분리함으로서, 해당 물 (W)을 반복 사용하면서 토사(S)를 배출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성이 뛰어나다.
③ 물 공급기구(80)에 전환밸브(85)를 마련했기 때문에, 물(W)을 분사 노즐(81)에서 커터기구(60)에, 또는 연통관(86) 날개구부(20)에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어 굴착한 토사(S)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 할 수 있다.
④ 물 공급기구(80)에 바이패스 밸브(90)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물(W)이 불필요하게 흘러 버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⑤ 날개구부(20)에 수냉공간부(C)를 마련해 모터부(40)의 전반부(40a)를 수냉함으로서, 해당 모터부(4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모터부(40)의 성능을 장시간 양호하게 유지하여, 토사(S)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1 터널 굴진기 2 추진잭
3 흄관 10 관본체
11 패킹 12 개구부
13 유압실린더 20 날개구부
21 수직벽 30 감속모터
40 모터부 40a 전반부
41 회전축 50 감속부
51 회전체 52 편심크랭크
60 커터기구 61 회전커터
61a 각절삭부 61b 나선절삭부
62 회전부재 63 지축
64 통공부 70 파쇄기구
71 회전 파쇄체 72 고정파쇄체
80 물 공급기구 81 분사 노즐
82 저수탱크 83 송수관
84 송수펌프 85 전환밸브
86 연통관 87 배수관
88 배수펌프 89 토사분리기
90 바이패스 밸브 91 압력센서
C 수냉공간부 D 터널의 원통형 둘레벽
E 터널의 원통형 둘레벽의 아래쪽 부분
F 터널의 바닥 벽이되는 원판형 단벽
G 지반 H 액체로
S 토사 W 물

Claims (4)

  1. 지중에 터널을 굴착하기위한 굴진기에 있어서,
    추진잭(2)에 의해 전진하는 관본체(10);
    상기 관본체의 전단부에 굴곡 자재로 설치되고 후부에 수직벽(21)이 있는 날개구부(20);
    상기 날개구부의 수직벽에 중간 부분의 외주면이 조밀하게 감입한 상태에서 고정시킨 모터부(40)의 전단부에 사이클로이드의 감속부(50)를 일체적으로 마련한 감속모터(30);
    상기 감속부의 전단부에 설치된 회전하는 커터기구(60);
    상기 커터기구로 굴착한 토사(S)를 분쇄하는 파쇄기구(70); 및
    상기 관본체의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된, 물(W)을 상기 관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커터기구에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이 있는 물 공급 기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굴진기.
  2. 지중에 터널을 굴진하기위한 굴진기에 있어서,
    추진잭(2)에 의해 전진하는 관본체(10);
    상기 관본체의 전단부에 굴곡이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후부에 수직벽(21)이 있는 날개구부(20);
    상기 날개구부의 수직벽에 중간 부분의 외주면이 조밀하게 감입한 상태에서 고정된 모터부(40)의 전단부에 사이클로이드식 감속부(50)를 일체적으로 마련한 감속 모터(30);
    상기 감속부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하는 커터기구(60);
    상기 커터기구로 굴착한 토사(S)를 분쇄하는 파쇄기구(70);
    상기 관 본체의 앞에 비스듬히 앞으로 기울어 진 자세로 설치된, 물(W)을 상기 관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커터기구에 공급하는 분사 노즐(81)이 있는 물 공급기구(80);
    상기 분사 노즐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집수하는 저수탱크(82);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분사 노즐을 송수 펌프(84)를 통해 연통하는 송수관(83);
    상기 분사 노즐의 상류 측에 설치된 전환 밸브(85);
    상기 전환 밸브와 상기 날개구부를 상기 수직벽을 관통하여 연통하는 연통관(86);
    상기 날개구부와 상기 저수탱크를, 배수펌프(88) 및 토사 분리기(89)를 통해 연통하는 배수관(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굴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구부(20)의 수직벽(21)보다 전반부를 물(W)이 유통하는 수냉공간부(C)로 하고, 상기 모터부(40)의 전반부(40a)를 수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굴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85)의 상류 측에, 상기 송수관(83)과 배수관(87)의 물(W)의 흐름을 차단하는 바이패스 밸브(9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굴진기.
KR1020130082865A 2013-06-17 2013-07-15 터널 굴진기 KR101561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6633A JP2015001119A (ja) 2013-06-17 2013-06-17 横穴掘進機
JPJP-P-2013-126633 2013-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505A true KR20140146505A (ko) 2014-12-26
KR101561293B1 KR101561293B1 (ko) 2015-10-26

Family

ID=5229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865A KR101561293B1 (ko) 2013-06-17 2013-07-15 터널 굴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5001119A (ko)
KR (1) KR101561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5699B (zh) * 2016-09-19 2018-10-19 南昌大学 基于同步射流的土压平衡盾构泥饼防治系统
CN107100634B (zh) * 2017-05-25 2020-05-15 中铁隧道集团有限公司 一种软弱破碎围岩地段tbm施工装置
CN107152287B (zh) * 2017-07-04 2019-10-18 中铁隧道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隧道掌子面前方岩石预测用小型液压装置
CN108625868A (zh) * 2018-06-14 2018-10-09 中铁工程装备集团盾构制造有限公司 一种暗埋式刀盘渣土改良管路及其铺设方法
CN113216998A (zh) * 2021-06-18 2021-08-06 中铁工程装备集团有限公司 隧道掘进过程中原岩磨料水射流施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3028B2 (ja) * 1991-12-19 1999-06-07 太閤テックス株式会社 差動遊星減速機付き横穴掘進機
JP3315676B2 (ja) * 1999-12-27 2002-08-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ジェットポンプ泥水加圧兼用型トンネル掘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293B1 (ko) 2015-10-26
JP2015001119A (ja)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293B1 (ko) 터널 굴진기
JP3184823B2 (ja) 掘進機
KR20060101053A (ko) 수평관 추진용 조합해머
JP2009041345A (ja) 泥水シールド掘進機及び泥水シールド工法
JP6915796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削孔用ノズル
JP2001303879A (ja) パイロットホールの拡掘方法及び装置
CN209761442U (zh) 一种泥水平衡土压平衡双模智能顶管掘进机
CN109441472B (zh) 渣土前排式水平扩挖隧道装置及其施工方法
JP6479892B2 (ja) 切削破砕システム、切削破砕方法、改築推進方法
CN113338988B (zh) 一种双模出渣掘进机及其复合出渣系统
JP5443961B2 (ja) 掘進機
JP5860249B2 (ja) 浚渫システム
JP3784139B2 (ja) 礫破砕装置内蔵の泥水式シールド機及び泥水シールド工法
JPH11182182A (ja) 下向き斜坑トンネル掘削機
JPH10148091A (ja) シールド掘進機
JP3225309B2 (ja) 掘削装置
CN217481271U (zh) 一种双通道掘进机
JP3488407B2 (ja) シールド掘進機のカッタ面板閉塞防止方法
KR20130053711A (ko) 슬라임 배출장치를 구비한 지반 굴착장치
CN219909295U (zh) 一种市政公用工程施工用下水道疏通装置
JP3546998B2 (ja) 礫用シールド掘進機
KR101562897B1 (ko) 터널 굴진기
JP2002168091A (ja) 泥水シールド機の排泥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排泥管内打撃装置
JP4071260B2 (ja) トンネル掘削機
JP2001329787A (ja) 地中埋設管敷設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