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69A - 불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69A
KR20140145169A KR1020147029756A KR20147029756A KR20140145169A KR 20140145169 A KR20140145169 A KR 20140145169A KR 1020147029756 A KR1020147029756 A KR 1020147029756A KR 20147029756 A KR20147029756 A KR 20147029756A KR 20140145169 A KR20140145169 A KR 2014014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fluororesin
vinylidene fluoride
tetrafluoroethylen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952B1 (ko
Inventor
켄지 쿠로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ublication of KR2014014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3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 및 불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성형체를 제공한다. 불소 수지와, 불화 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복수종과,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3원 공중합체는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과, 5∼25㏖% 함유하는 것의 양자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및 불소 수지 성형체.

Description

불소 수지 조성물{FLUORO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가소성의 불소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불소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불소 수지는 표면저항 및 정전기의 대전성이 큰 물질이다. 불소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파우치형상의 포장용 부재로 한 경우에는 마찰 대전에 의해 필름이 부착되어서 포장용 부재 상호 또는 포장되는 부재와의 사이에서의 떼기가 곤란하게 되는 일이 일어난다.
또한, 복사기, 프린터의 열정착부용 롤에 롤 커버로서 불소 수지 조성물의 박육 튜브를 사용하면 종이와의 마찰 대전에 의해 종이가 롤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불소 수지 조성물제의 부재에 의해 반도체 장치를 수용한 경우에는 대전된 전위에 따라서는 반도체 장치가 파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불소 수지제 조성물의 대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카본블랙 등의 도전성 입자를 배합하면 불소 수지 조성물이 착색되므로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된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중에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엘라스토머를 배합하고, 또한 이온 액체를 배합한 불소 수지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1-32359호 공보
본 발명은 불소 수지가 구비한 절연성을 유지하고, 대전성이 작고, 대전된 전하가 보다 빨리 감쇠하는 불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불소 수지와, 불화 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의 2종과,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3원 공중합체가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과, 5∼25㏖% 함유하는 것의 양자로부터 선택된 것인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상기 불소 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3원 공중합체 중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과, 상기 3원 공중합체 중 불화 비닐리덴을 5∼25㏖% 함유하는 것의 합계가 불소 수지 조성물 중에 0.05질량%∼10질량%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불소 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이온 액체가 복소환을 갖는 것인 상기 불소 수지 조성물이다.
이온 액체를 불소 수지 조성물 중에 0.01질량%∼1질량% 포함하는 상기 불소 수지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성형품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불소 수지 조성물은 불소 수지 중에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불화 비닐리덴의 함유량이 다른 복수의 3원 공중합체 2종과, 이온 액체를 배합함으로써 불소 수지 조성물 중에 배합한 상기 3원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불화 비닐리덴이 갖는 큰 쌍극자 모멘트에 의해 이온 액체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되어서 대전의 감쇠성이 발현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결과, 도전성 입자 등을 배합하지 않고 불소 수지 조성물의 대전성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대전성이 작은 부재가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며 내식성이 크고, 투명성이 큰 불소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해서 제작한 불소 수지제의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불소 수지와, 복수의 불화 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와,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3원 공중합체가 각각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과, 5∼25㏖% 함유하는 것의 양자를 배합함으로써 도전성 필러를 배합하지 않고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이렇게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불화 비닐리덴의 함유량이 많은 3원 공중합체는 이온 액체와의 친화성이 높은 것에 대해서 불화 비닐리덴의 함유량이 적은 3원 공중합체는 불소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좋으므로, 양자의 상승적인 효과가 얻어지는 결과, 각각을 단독으로 배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대전 감쇠성을 발현하여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이 형성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불소 수지는 내약품성 등이 다른 합성 수지에 비해서 우수한 수지이며,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분야,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의 용출물에 의한 액체의 오염 등이 없는 것이 요구되는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불소 수지 조성물은 불소 수지 조성물 중에 카본블랙, 금속 화합물 등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전기절연성이 양호하면서 대전성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이나 마찰 등에 의해 대전한 경우에 신속하게 제전하는 불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불화 비닐리덴을 함유하는 중합체로서는 불화 비닐리덴의 호모폴리머(PVDF), 불화 비닐리덴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2원계 공중합체, 테트라클로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불화 비닐리덴 3원계 공중합체 등이 알려져 있지만, PVDF나 일반적인 2원공중합체는 극성이 높은 불화 비닐리덴 구조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온 액체와의 상호작용은 크지만, 퍼플루오로 폴리머에 대해서는 매우 분산되기 어렵고, 수지 조성물로서의 대전 감쇠성은 반대로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온 액체와의 상호작용과 퍼플루오로 폴리머에의 분산성을 양립할 수 있는 3원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3원 공중합체로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원 공중합체, 예를 들면, -(CH2CF2)l-(CF2CF(CF3))m(CF2CF2)n-,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3원 공중합체, 예를 들면, -(CH2CF2)l-(CF2CF(OCF3))m(CF2CF2)n-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으로서는 불화 비닐리덴 40㏖%를 함유하는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마찬가지로 33㏖%를 함유하는 다이엘 G902(다이킨 고교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불화 비닐리덴을 5∼25㏖% 함유하는 것으로서는 불화 비닐리덴 20㏖%를 함유하는 다이니온 THV610GZ, 마찬가지로 10㏖%를 함유하는 다이니온 THV815GZ(모두 스미토모 쓰리엠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화 비닐리덴의 비율은 19F-NMR법에 의해 구한 값이다.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3원 공중합체는 2종류의 합계로 0.05질량%이상, 10질량%이하의 첨가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이상, 10질량%이하의 첨가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질량%이상, 5질량%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첨가량이 0.05질량%보다 적으면 대전성이 작은 것이 얻어지지 않고, 또 10질량%보다 많으면 내열특성, 가공성, 기계적 강도 등이 저하된다.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3원 공중합체와, 불화 비닐리덴을 5∼25㏖% 함유하는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3원 공중합체의 첨가량의 배합비는 질량비로 20/80∼80/20의 범위로 함으로써 이온 액체와의 양호한 친화성과 열가소성 불소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한 것이 되고, 2종의 상기 3원 공중합체의 첨가에 의해 상승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불소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는 이온 액체로서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EMI-TFSI),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퍼플루오로부틸술포닐)이미드(EMI-PFBSI),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부틸술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에틸술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시클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1,3-비스(술포닐)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온 액체의 첨가량은 불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01질량%이상, 1질량%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01질량%보다 적으면 대전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 1질량%보다 많으면 불소 수지 조성물로부터 블리드 아웃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불소 수지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불소 수지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ECTFE) 중 어느 1종을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를 들 수 있다.
또 불소 수지로서는 중합에 의해 얻어진 불소 수지를 불소화제에 의해 말단기의 불소화 처리를 행한 말단기 안정화 처리 불소 수지, 또는 말단기 안정화 처리 불소 수지와 함께 말단기 안정화 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불소 수지의 양자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소 수지 조성물은 불소 수지와 불화 비닐리덴 구조를 갖는 엘라스토머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후에 압출 성형법, 롤 성형법, 사출 성형법 등의 방법에 의해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에 대하여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를 롤러 믹서형 혼련 장치(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제 라보플라스트밀 모델 30C150)에 투입하고, 롤러 회전수 20rpm, 340℃에 있어서 20분간의 혼합을 한 후, 혼련 장치로부터 인출하고, 340℃의 열 프레스로 두께 0.05mm, 종횡 각 40mm의 시료를 제작했다.
대전 전압의 감쇠의 측정
제작한 시료를 반감기 측정기(시시도 세이덴키제 스태틱네오스트미터 H-0110)를 사용하고, 시료의 상면 20mm의 거리로부터 -10kV의 전압을 인가하여 포화 전위와 반감기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다이니온 THV221AZ를 다이엘 G902(다이킨 고교제)로 바꿈과 아울러 THV610GZ를 다이니온 THV815GZ(스미토모 쓰리엠제)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THV610GZ를 다이니온 THV815GZ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를 다이엘 G902(다이킨 고교제)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의 배합량을 0.27질량부로 변경하고,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의 배합량을 0.53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의 배합량을 0.53질량부로 변경하고,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의 배합량을 0.27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1.84질량부에 대하여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04질량부,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04질량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8질량부에 대하여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02질량부,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02질량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76질량부에 대하여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4질량부,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4질량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6.76질량부에 대하여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04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8.4질량부에 대하여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8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를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퍼플루오로부틸술포닐)이미드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 수지(FEP: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FEP100-J)로 변경한 이외의 점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만으로 시료의 제작을 행해서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3원 공중합체:다이엘 G902(다이킨 고교제) 0.8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3원 공중합체: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8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3원 공중합체:다이니온 THV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8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3원 공중합체:다이니온 THVX815G(스미토모 쓰리엠제) 0.8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다이엘 G902(다이킨 고교제) 0.4질량부, 다이니온 THV221A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다이니온 610G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다이니온 THVX815G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PFA451HP-J) 79.04질량부, 불화 비닐리덴의 호모폴리머인 KYNAR740(알케마제) 0.4질량부, 다이니온 THVX815GZ(스미토모 쓰리엠제) 0.4질량부, 이온 액체: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0.16질량부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시료의 제작과 대전 감쇠 측정을 행했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A는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불화 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B는 불화 비닐리덴을 5∼25㏖% 함유하는 불화 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불소 수지 조성물은 코로나 방전이나 마찰 등에 의해 대전시킨 경우에 대전 전압의 반감 시간이 짧고, 제전성이 큰 불소 수지가 요구되는 여러가지 분야에 있어서의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불소 수지와, 불화 비닐리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3원 공중합체 2종과, 이온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3원 공중합체는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과, 5∼25㏖% 함유하는 것의 양자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원 공중합체 중 불화 비닐리덴을 30∼45㏖% 함유하는 것과, 상기 3원 공중합체 중 불화 비닐리덴을 5∼25㏖% 함유하는 것은 2종류의 합계로 0.1질량%∼10질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가 복소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가 불소 수지 조성물 중에 0.01질량%∼1질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 조성물.
KR1020147029756A 2012-04-25 2013-04-19 불소 수지 조성물 KR101615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0007 2012-04-25
JP2012100007A JP5369217B2 (ja) 2012-04-25 2012-04-25 フッ素樹脂組成物
PCT/JP2013/061650 WO2013161708A1 (ja) 2012-04-25 2013-04-19 フッ素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69A true KR20140145169A (ko) 2014-12-22
KR101615952B1 KR101615952B1 (ko) 2016-04-27

Family

ID=4948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756A KR101615952B1 (ko) 2012-04-25 2013-04-19 불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5310B2 (ko)
EP (1) EP2842997B1 (ko)
JP (1) JP5369217B2 (ko)
KR (1) KR101615952B1 (ko)
CN (1) CN104245828B (ko)
WO (1) WO2013161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9432A1 (en) 2013-05-02 2014-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rtially fluorinated elasto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KR102094584B1 (ko) 2014-06-06 2020-03-27 제우스 인더스트리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박리성 열-수축 배관
JP2018106068A (ja) * 2016-12-27 2018-07-05 シンジーテック株式会社 定着部材
US10898616B1 (en) 2017-07-11 2021-01-26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Peelable heat-shrink tubing
JP7270504B2 (ja) * 2019-03-22 2023-05-10 株式会社バルカー 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シール材
JP2020128544A (ja) * 2020-04-27 2020-08-27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シール材
KR102202942B1 (ko) 2020-07-13 2021-01-14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측정길이가 가변되는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2398846B1 (ko) 2021-05-17 2022-05-17 주식회사 케이지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스틸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연단거리 측정수단 및 상기 수단을 이용한 측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635A (ja) * 1997-01-21 1998-10-06 Tdk Corp 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7077248A (ja) * 2005-09-13 2007-03-29 Kureha Corp 半導電性樹脂組成物
KR20100014903A (ko) * 2007-03-15 2010-02-11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불소 수지 조성물
JP2011032359A (ja) 2009-07-31 2011-02-17 Junkosha Co Ltd フッ素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053B2 (ja) * 1988-06-24 1994-12-07 東レ株式会社 制電性エンドレスベルト
JPH04213476A (ja) * 1990-12-10 1992-08-04 Ntn Eng Plast Corp 電子写真装置用分離爪
JP2735818B2 (ja) * 1995-08-31 1998-04-02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フッ素樹脂系成形体、ロール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10113416A1 (ja) * 2009-03-31 2010-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用電極膜及びそれを有する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
JP5573227B2 (ja) * 2010-03-01 2014-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635A (ja) * 1997-01-21 1998-10-06 Tdk Corp 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7077248A (ja) * 2005-09-13 2007-03-29 Kureha Corp 半導電性樹脂組成物
KR20100014903A (ko) * 2007-03-15 2010-02-11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불소 수지 조성물
JP2011032359A (ja) 2009-07-31 2011-02-17 Junkosha Co Ltd フッ素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9217B2 (ja) 2013-12-18
EP2842997A4 (en) 2015-11-11
JP2013227415A (ja) 2013-11-07
US9695310B2 (en) 2017-07-04
CN104245828A (zh) 2014-12-24
EP2842997A1 (en) 2015-03-04
CN104245828B (zh) 2016-10-26
KR101615952B1 (ko) 2016-04-27
EP2842997B1 (en) 2016-09-14
US20150080506A1 (en) 2015-03-19
WO2013161708A1 (ja)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952B1 (ko) 불소 수지 조성물
Drobny Technology of fluoropolymers
EP1456295B1 (en) Extrudable fluoropolymer blends
US20070190284A1 (en) Melt-processable adhesives for bonding pervious fluoropolymeric layers in multilayer composites
US20090105385A1 (en) Elastomer gum polymer systems
EP1337584A1 (en) Conductive fluoropolymers
JP2007126631A (ja) 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絶縁チューブおよび熱収縮チューブ
JP5275574B2 (ja) フッ素樹脂組成物
CN109819655A (zh) 导电性弹性体组合物、以及使用该导电性弹性体组合物的导电性片
US11572465B2 (en) Fluororubber composition and fluororubber sealing material
JP6159320B2 (ja) ハロゲン非含有ポリマーブレンド
JP5290082B2 (ja) フッ素樹脂組成物
JP6890081B2 (ja) シール材用ゴム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ル材
CN111465997B (zh) 电线、电线的制造方法和母料
JP2010180302A (ja) 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7284604A (ja) フッ素ゴム組成物
JP2009013402A (ja) 改質ふっ素樹脂組成物及び改質ふっ素樹脂成形体
JP6681696B2 (ja) 摺動材および滑り軸受
JP6873532B2 (ja) 摺動部材用樹脂組成物および滑り軸受
JP2000007869A (ja) 防汚性が改良された含フッ素樹脂組成物
JP2009255071A (ja) 生物起源燃料用の部材
JP2020125491A (ja) シール材用ゴム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ル材
JP2018100333A (ja) 高誘電率樹脂組成物
JP2020128544A (ja) シール材
JP2001342265A (ja) 撥水性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