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44A -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 Google Patents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44A
KR20140145144A KR1020147027951A KR20147027951A KR20140145144A KR 20140145144 A KR20140145144 A KR 20140145144A KR 1020147027951 A KR1020147027951 A KR 1020147027951A KR 20147027951 A KR20147027951 A KR 20147027951A KR 20140145144 A KR20140145144 A KR 2014014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ontact
movable
contactor
stati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이소자키
오사무 가시무라
히로유키 다치카와
고우에츠 다카야
유지 시바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ntact-making surface, e.g. groo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2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arcing ho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개극시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용이하게 소호할 수 있는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를 제공한다. 소호실(102) 내에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배치된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112)와, 상기 소호실(102) 내에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130)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각각 상기 가동 접촉자가 이격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의 상기 가동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118b, 118c)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130)에,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로부터 이격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의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130b, 130c)를 형성했다.

Description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SWITCH USING SAME}
본 발명은,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 이들 고정 접촉자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를 갖는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전류로를 개폐하는 접점 장치로서, 종래, 전자 계전기나 전자 접촉기 등에서는,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가 접촉하고 있는 접점 기구의 폐쇄 상태에서 전류를 차단하여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해서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로부터 이격시키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접점 기구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된 각각 고정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 이들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접촉 분리가 자유롭게 배치된 좌우 끝에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구동하는 전자석 장치와,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를 수납하는 포위 부재를 구비한 전자 개폐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포위 부재의 외측에 가동 접촉자와 평행하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을 배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9148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예에서는,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아크를 잡아늘려 소호하기 쉽게 되지만, 고정 접촉자에 가동 접촉자가 접촉하고 있는 투입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를 이격시키는 전류 차단시, 즉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root)는,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가동 접촉자의 가동 접점을 소호 공간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동한 아크의 루트는 가동 접촉자의 코너부에 머물게 되면서 아크의 루트에서 생기는 금속 증기 등에 의해 전계 강도 저하가 일어나, 아크의 재발호가 반복되는 등 차단 성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미해결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미해결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극시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용이하게 소호할 수 있는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는, 소호실 내에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배치된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 상기 소호실 내에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각각 상기 가동 접촉자가 이격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의 상기 가동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에,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로부터 이격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의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1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고정 접촉자의 가동 접촉자와의 대향면에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가 형성되고, 가동 접촉자의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의 대향면에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이격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가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쌍방에서 아크의 루트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아크 발생시의 전계 강도가 커져, 아크의 재발호를 억제하고 방지하여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2 양태는,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는,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와,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의 외측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로, 안쪽을 개방한 C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 사이에 상기 가동 접촉자가 가동(可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양태에 의하면, 한 쌍의 고정 접촉자가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가동 접촉자가 접촉하여 한 쌍의 고정 접촉자 사이에 가동 접촉자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투입 상태로 했을 때에,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역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접촉 스프링의 압박력을 작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접점 장치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의 전류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3 양태에 의하면, 한 쌍의 고정 접촉자의 전류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면, 원호면 등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경사면을 따라서 아크 루트의 가동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촉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4 양태는, 상기 경사면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4 양태에 의하면, 경사면이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갖는 가동 접촉자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5 양태는, 상기 경사면이 원호형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5 양태에 의하면, 경사면이 원호형 만곡면이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의 바닥면 측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코너부가 생기는 일이 없어, 아크 루트의 이동을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6 양태는, 상기 제1 아크 루트 촉진부는, 상기 고정 접촉자의 전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단부면에 형성한 상기 가동 접촉자 측과는 반대쪽으로 돌출 연장되는 아크 런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6 양태에 의하면,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로서 아크 런너를 설치하고, 이 아크 런너를 가동 접촉자의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는 반대쪽으로 돌출 연장시킴으로써,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가 코너부에 머무는 일없이 고정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아크 발생시의 전계 강도를 크게 하여 재발호를 억제하여,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7 양태는, 상기 아크 런너가 상기 고정 접촉자의 양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7 양태에 의하면,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의 루트가 고정 접촉자의 코너부에 도달했을 때에, 아크 런너를 타고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이동되게 되어,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8 양태는, 양 측면의 아크 런너가 상기 가동 접촉자와의 대향면에서 연결판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제8 양태에 의하면, 한 쌍의 고정 접촉자의 가동 접촉자에 대향하는 접점부가 아크 런너로 덮이기 때문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 루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9 양태는, 상기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가, 상기 가동 접촉자의 전류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9 양태에 의하면,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에서도, 가동 접촉자의 전류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면, 원호면 등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면을 따라서 아크 루트의 한 쌍의 고정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촉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10 양태는, 상기 경사면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0 양태에 의하면, 경사면이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갖는 가동 접촉자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 장치의 제11 양태는, 상기 경사면이 원호형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1 양태에 의하면, 경사면이 원호형 만곡면이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의 저면측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코너부가 생기는 일이 없어, 아크 루트의 이동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폐 장치의 제1 양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11 양태에 따른 접점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접촉자가 전자석 장치의 가동 철심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가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확실하게 소호하여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를 가동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형성하고, 가동 접촉자에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를 한 쌍의 고정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극시에 발생한 아크가 한 쌍의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의 코너부에 머물게 되어 아크 루트 사이의 전계 강도가 아크 전압 이하로 저하하여 아크 루트 근방의 전극 사이에 재점호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를 갖는 접점 장치를 전자 개폐기에 적용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용이하게 소멸시켜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접촉기, 전자 계전기 등의 전자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폐기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상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접점 장치의 절연 커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장착 전의 평면도, (c)는 장착 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절연 커버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에 의한 아크 소호의 설명에 제공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을 절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한 경우의 아크 소호의 설명에 제공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3과 같은 식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3과 같은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3과 같은 식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접점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접점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폐기를 전자 접촉기에 적용한 경우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접점 수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 1 및 도 2에서, 10은 전자 접촉기이며, 이 전자 접촉기(10)는 접점 기구를 배치한 접점 장치(100)와, 이 접점 장치(100)를 구동하는 전자석 유닛(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 장치(100)는,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접점 기구(101)를 수납하는 소호실로서의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갖는다. 이 접점 수납 케이스(102)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하단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03)를 갖는 금속 각통체(104)와, 이 금속 각통체(104)의 상단을 폐색하는 평판형의 세라믹 절연 기판으로 구성되는 상부판이 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구비한다.
금속 각통체(104)는, 그 플랜지부(103)가 후술하는 전자석 유닛(200)의 상부 자기 요크(210)에 시일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는, 중앙부에 후술하는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106 및 107)이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상면 측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06 및 107)의 주위 및 하면 측에 있어서의 금속 각통체(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메탈라이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메탈라이즈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평면 위에 복수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종횡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106 및 107)의 주위 및 금속 각통체(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동박을 형성한다.
접점 기구(10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 수납 케이스(102)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된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각각은,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삽입 관통되는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13)를 갖는 지지 도체부(114)와, 이 지지 도체부(114)에 연결되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 측에 배치되며 안쪽을 개방한 C자형의 접점 도체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접점 도체부(115)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판부로서의 상판부(116)와, 이 상판부(116)의 외측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결판부로서의 중간판부(117)와, 이 중간판부(117)의 하단 측에서 상판부(116)와 평행하게 안쪽, 즉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점판부로서의 하판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점 도체부(115)는, 중간판부(117) 및 하판부(118)로 형성되는 L자 형상부에 상판부(116)를 더한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 도체부(114)와 접점 도체부(115)는, 지지 도체부(114)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핀(114a)을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에 형성된 관통 구멍(120) 내에 삽입 관통한 상태로 예컨대 납땜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지지 도체부(114) 및 접점 도체부(115)의 고정은, 납땜에 한하지 않고, 핀(114a)을 관통 구멍(120)에 감합시키거나, 핀(114a)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관통 구멍(120)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양자를 나합시키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접점 도체부(115)의 하판부(118)는, 선단 측의 접점부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단면이,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정해진 두께를 갖는 평탄부(118a)로 되어 있다. 이 평탄부(118a)의 전후 방향의 양단 측에 단부면 측으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구성하는 좌측 내리막 및 우측 내리막의 경사면으로 후술하는 가동 접촉자(130)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멀어지는 테이퍼면(118b 및 118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탄부(118a)의 전후 양측에 테이퍼면(118b 및 118c)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후술하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에 의해서 잡아늘릴 때에, 아크의 루트를 신속하게 가동 접촉자(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 있어서의 중간판부(117)의 내측면을 덮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C자형인 자성체판(119)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판부(117)의 내측면을 덮도록 자성체판(119)을 배치함으로써, 중간판부(117)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장을 실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112)의 평탄부(118a)에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평탄부(130a)가 위쪽으로 이격될 때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중간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과 고정 접촉자(111, 112)의 평탄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자장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양 자장이 서로 반발하여, 이 전자 반발력에 의해 아크를 가동 접촉자(130)를 따라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아크의 차단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자성체판(119)은, 중간판부(117)의 주위를 덮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중간판부(117)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장을 실드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 각각 아크의 발생을 규제하는 합성수지재로 만든 절연 커버(1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절연 커버(121)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내주면을 피복하는 것이다.
절연 커버(121)는,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내주면을 따르는 L자형 판부(122)와, 이 L자형 판부(122)의 전후 단부에서 각각 위쪽 및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측면을 덮는 측판부(123 및 124)와, 이들 측판부(123 및 124)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형성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에 형성된 소직경부(114b)에 감합하는 감합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절연 커버(121)가, 도 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에 감합부(125)를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계속해서,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밀어넣음으로써, 감합부(125)를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계합시킨다.
실제로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부착한 후의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위쪽의 개구부로부터 절연 커버(121)를 도 5의 (a)~(c)와는 상하 역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에 삽입한다.
이어서,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부(125)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외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계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 절연 커버(121)를 장착함으로써, 이 접점 도체부(115)의 내주면에서는 하판부(118)의 상면 측만이 노출되어 접점부로 된다.
그리고,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 내에 양단부를 배치하도록 가동 접촉자(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후술하는 전자석 유닛(200)의 가동 플런저(215)에 고정된 연결축(131)에 지지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연결축(131) 근방이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오목부(13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32)에 연결축(131)을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131)은, 상단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축(131)에 하단 측에서 접촉 스프링(134)을 삽입 관통하고, 이어서 가동 접촉자(130)의 관통 구멍(133)을 삽입 관통하여, 접촉 스프링(134)의 상단을 플랜지부(131a)에 접촉시킨다. 이 접촉 스프링(134)으로 정해진 압박력을 얻도록 가동 접촉자(130)를 예컨대 C 링(135)에 의해서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가동 접촉자(130)의 좌우 양단의 접점부의 전류의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가 되는 하판부(118)와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두께가 두꺼운 평탄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부(130a)의 전후 단부에서 가동 접촉자(130)의 전후 단부로 향함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져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의 거리가 길어지는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구성하는 경사면으로서의 테이퍼면(130b 및 13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촉자(130)의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가 되는 하판부(118)와 대향하는 접점부에 테이퍼면(130b 및 130c)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잡아늘려질 때에, 아크의 루트를 신속하게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석방 상태에서, 양단의 평탄부(130a)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하판부(118)의 평탄부(118a)가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130)는, 투입 위치에서, 양단의 접점부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하판부(118)의 평탄부(118a)에, 접촉 스프링(134)에 의한 정해진 접촉압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접점 수납 케이스(102)의 금속 각통체(104)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부(140a)와, 이 바닥판부(140a)의 상면에 형성된 각통체(140b)에 의해 바닥을 지닌 각통형으로 형성된 절연통체(1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통체(14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바닥판부(140a) 및 각통체(140b)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절연통체(140)의 가동 접촉자(130)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 수납부로서의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에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이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의 대향 자극면이 동극, 예컨대 N극이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또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와의 대향 위치보다 약간 내측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의 좌우 방향, 즉 가동 접촉자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각각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의 양단으로부터의 측연부와 미끄럼 접촉하여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통체(140)는,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에 의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위치 결정 기능과, 아크로부터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보호하는 보호 기능 및 외부의 강성을 높이는 금속 각통체(104)에 대한 아크의 영향을 차단하는 절연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절연통체(140)의 내주면 측에 배치함으로써,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가동 접촉자(13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양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N극 측에서 나오는 자속(φ)이,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와의 대향부를 좌우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큰 자속 밀도로 가로지르게 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1)를 전류 공급원에 접속하고, 고정 접촉자(112)를 부하 측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면, 투입 상태의 전류의 방향은,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로부터 가동 접촉자(130)를 통해 고정 접촉자(112)에 흐르게 된다. 그리고, 투입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130)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로부터 위쪽으로 이격시켜 석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와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으로부터의 자속(φ)에 의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측의 아크 소호 공간(145) 쪽으로 잡아늘려진다. 이때,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아크 길이를 취할 수 있어, 아크를 확실하게 소호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도 8의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통체(140)의 외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와의 대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영구 자석을 적용한 경우에, 아크를 가로지르는 자속 밀도가 적어진다.
이 때문에, 투입 상태에서 석방 상태로 이행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로렌츠력이 작아져, 아크를 충분히 잡아늘릴 수 없게 된다. 아크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더구나,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와의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절연통체(140)의 전후 방향의 안길이를 좁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충분한 아크 소호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절연통체(140)의 내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전술한 절연통체(140)의 외측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배치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전자석 유닛(2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 때 편평한 U자형의 자기 요크(201)를 지니고, 이 자기 요크(201)의 바닥판부(202)의 중앙부에 원통형 보조 요크(203)가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형 보조 요크(203)의 외측에 스풀(20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204)은, 원통형 보조 요크(203)를 삽입 관통하는 중앙 원통부(205)와, 이 중앙 원통부(205)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하부 플랜지부(206)와, 중앙 원통부(205)의 상단보다 약간 하측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부 플랜지부(2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원통부(205), 하부 플랜지부(206) 및 상부 플랜지부(207)로 구성되는 수납 공간에 여자 코일(208)이 감겨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 요크(201)의 개방단으로 되는 상단 사이에 상부 자기 요크(2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자기 요크(210)는, 중앙부에 스풀(204)의 중앙 원통부(205)에 대향하는 관통 구멍(2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204)의 중앙 원통부(205) 내에, 바닥부와 자기 요크(201)의 바닥판부(202)와의 사이에 복귀 스프링(214)을 배치한 가동 플런저(215)가 위아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플런저(215)에는, 상부 자기 요크(21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단부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주변 플랜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자기 요크(210)의 상면에, 예컨대 외형이 사각형이고 원형의 중심 개구(221)를 가지고서 환형으로 형성된 영구 자석(220)이 가동 플런저(215)의 주변 플랜지부(216)를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영구 자석(220)은 상하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상단 측을 예컨대 N극으로 하고, 하단 측을 S극으로 하도록 착자되어 있다.
그리고, 영구 자석(220)의 상단면에, 영구 자석(220)과 동일 외형이며 가동 플런저(215)의 주변 플랜지부(216)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관통 구멍(224)을 갖는 보조 요크(225)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보조 요크(225)의 하면에 가동 플런저(215)의 주변 플랜지부(216)가 접촉되어 있다.
한편, 영구 자석(22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원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요컨대 내주면이 주변 플랜지부(216)의 형상에 맞춘 형상이라면 외형은 원형,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플런저(215)의 상단면에는 가동 접촉자(130)를 지지하는 연결축(131)이 나착(螺着)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플런저(215)가 비자성체로 만들어진 바닥을 지닌 통 형상으로 형성된 캡(230)으로 덮이고, 이 캡(230)의 개방단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231)가 상부 자기 요크(210)의 하면에 시일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점 수납 케이스(102) 및 캡(230)이 상부 자기 요크(210)의 관통 구멍(210a)을 통해 연통되는 밀봉 용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 수납 케이스(102) 및 캡(230)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 내에 수소 가스, 질소 가스, 수소 및 질소의 혼합 가스, 공기, SF6 등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고정 접촉자(111)가 예컨대 대전류를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에 접속되고, 고정 접촉자(112)가 부하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전자석 유닛(200)에 있어서의 여자 코일(208)이 비여자 상태에 있고, 전자석 유닛(200)에서 가동 플런저(215)를 하강시키는 여자력을 발생하지 않는 석방 상태로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석방 상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가 복귀 스프링(214)에 의해서, 상부 자기 요크(210)로부터 멀어지는 위쪽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와 동시에, 영구 자석(220)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이 보조 요크(225)에 작용되어, 가동 플런저(215)의 주변 플랜지부(216)가 흡인된다. 이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의 주변 플랜지부(216)의 상면이 보조 요크(225)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접점 기구(101)의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에서 위쪽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의 전류로가 차단 상태에 있고, 접점 기구(101)가 개극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석방 상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에 복귀 스프링(214)에 의한 압박력과 환형 영구 자석(220)에 의한 흡인력 쌍방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가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어,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석방 상태에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자석 유닛(200)의 여자 코일(208)을 여자하여, 전자석 유닛(200)으로 여자력을 발생시키고, 가동 플런저(215)를 복귀 스프링(214)의 압박력 및 환형 영구 자석(220)의 흡인력에 대항하여 하강시킨다. 이 가동 플런저(215)의 하강이, 주변 플랜지부(216)의 하면이 상부 자기 요크(21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정지된다.
이와 같이, 가동 플런저(215)가 하강함으로써,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동 접촉자(130)도 하강하여, 그 평탄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에 접촉 스프링(134)의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 때문에, 외부 전력 공급원의 대전류가 고정 접촉자(111), 가동 접촉자(130) 및 고정 접촉자(112)를 통해 부하에 공급되는 폐극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가동 접촉자(130)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부(116), 중간판부(117) 및 하판부(118)에 의해서 접점 도체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판부(116) 및 하판부(118)와 이것에 대향하는 가동 접촉자(130)에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하판부(118)가 형성하는 자계와 가동 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로부터 프레밍 왼손의 법칙에 의해 가동 접촉자(130)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에 꽉 누르는 로렌츠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 로렌츠력에 의해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개극 방향의 전자 반발력에 대항할 수 있게 되어,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가 개극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를 지지하는 접촉 스프링(134)의 압박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이 접촉 스프링(134)을 소형화할 수 있고, 접점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접점 기구(101)의 폐극 상태에서, 부하에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전자석 유닛(200)의 여자 코일(208)의 여자를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전자석 유닛(200)에서 가동 플런저(21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여자력이 없어짐으로써, 가동 플런저(215)가 복귀 스프링(214)의 압박력에 의해서 상승하고, 주변 플랜지부(216)가 보조 요크(225)에 근접함에 따라서 환형 영구 자석(220)의 흡인력이 증가한다.
이 가동 플런저(215)가 상승함으로써,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된 가동 접촉자(130)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접촉 스프링(134)으로 접촉압을 부여하고 있는 동안은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접촉하고 있다. 그 후, 접촉 스프링(134)의 접촉압이 없어진 시점에서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서 위쪽으로 이격되는 개극 시작 상태가 된다.
이 개극 시작 상태가 되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고, 이 아크에 의해서 전류의 통전 상태가 계속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를 덮는 절연 커버(1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30a) 사이에만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 위를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아크의 발생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어, 소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양 측면도 절연 커버(121)로 덮여 있기 때문에, 아크의 선단이 단락되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면이 절연 커버(121)로 덮여 있다. 이 때문에, 필요한 절연 거리를 확보하면서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와 가동 접촉자(130)를 접근시킬 수 있어, 접점 기구(101)의 높이, 즉 가동 접촉자(130)의 가동 방향의 높이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121)는,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소직경부(114b)에 계합시키는 것만으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장착할 수 있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111, 112)의 중간판부(117)의 내측면에는 자성체판(119)에 의해서 덮여 있기 때문에, 이 중간판부(117)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장이 자성체판(119)에 의해서 실드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112)의 평탄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자장과 중간판부(117)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장이 간섭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중간판부(117)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장에 아크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이 N극이고, 그 외측이 S극이기 때문에, 이 N극에서 나온 자속이, 평면에서 봤을 때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 고정 접촉자(111)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와의 대향부의 아크 발생부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로질러 S극에 도달하여 자계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고정 접촉자(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의 아크 발생부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로질러 S극에 도달하여 자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속이 함께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30a) 사이와,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30a) 사이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30a) 사이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I)가 고정 접촉자(111) 측에서 가동 접촉자(130) 측으로 흐르고, 자속(Φ)의 방향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프레밍 왼손의 법칙에 의해서,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면서 고정 접촉자(111)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와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여 아크 소호 공간(145) 측으로 향하는 큰 로렌츠력(F)이 작용한다.
이 로렌츠력(F)에 의해서,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30a)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가 되는 평탄부(118a)의 측면으로부터 아크 소호 공간(145) 안을 지나 가동 접촉자(130)의 상면 측에 도달하도록 크게 잡아늘려져 소호된다.
이때, 아크가 외측의 아크 소호 공간(145) 안으로 잡아늘려짐으로써, 고정 접촉자(111) 측의 아크의 루트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탄부(118a)에서부터 테이퍼면(118c)을 타고 하판부(118)의 후단면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가동 접촉자(130) 측에서도 평탄부(130a)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가 테이퍼면(130c)을 타고 가동 접촉자(130)의 후단면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1) 및 가동 접촉자의 아크의 루트 사이 거리가 크게 넓어져, 고정 접촉자(111) 및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아크에 의해서 발생하는 금속 증기(150)의 영향에 의한 전계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아크 루트 사이의 전계 강도를 아크 전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가동 접촉자(130)의 아크 루트 근방의 전극 사이에 재발호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가동 접촉자(130) 상측의 소호 공간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잡음으로써, 아크의 루트가 가동 접촉자(130)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고, 신장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차단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이자면, 고정 접촉자(111, 112) 및 가동 접촉자(130)가 테이퍼면(118b, 118c 및 130b, 130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탄면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고정 접촉자(111, 112) 및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 112) 및 가동 접촉자(130)의 아크의 루트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에 의해서 소호 공간(145)(또는 146) 측으로 잡아늘려졌을 때에, 평탄면과 측면과의 코너부에 머물러 버린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아크의 루트와의 거리가 짧은 채로 머물게 되어, 금속 증기 등에 의해 아크 루트 사이의 전계 강도가 아크 전압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아크 루트 근방의 전극 사이에 재발호가 발생하여 차단 성능이 저하한다.
또한, 아크 소호 공간(145)에서는, 그 아래쪽 및 위쪽에서, 고정 접촉자(111)의 평탄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의 자속의 방향에 대하여 아래쪽 및 위쪽으로 자속이 기울게 된다. 이 때문에, 기운 자속에 의해서 아크 소호 공간(145)에 잡아늘려진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의 구석 방향으로 더욱 늘려지게 되어, 아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차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고정 접촉자(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I)가 가동 접촉자(130) 측에서 고정 접촉자(112) 측으로 흐르고, 자속(Φ)의 방향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오른쪽 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프레밍 왼손의 법칙에 의해서,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면서 고정 접촉자(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와의 개폐 방향에 직교하여 아크 소호 공간(145) 측으로 향하는 큰 로렌츠력(F)이 작용한다.
이 로렌츠력(F)에 의해, 고정 접촉자(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와 평탄부(130a)와의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가동 접촉자(130)의 상면 측에서 아크 소호 공간(145) 안을 지나 고정 접촉자(112)의 측면 측에 도달하도록 크게 잡아늘려져 소호된다.
또한, 고정 접촉자(112) 및 가동 접촉자(130)에서도,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 측으로 잡아늘려졌을 때에, 아크의 루트가 테이퍼면(118b 및 130b)을 타고 신속하게 전단면 측으로 이동하여, 전술한 고정 접촉자(111) 및 가동 접촉자(1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 접촉자(112) 및 가동 접촉자(130)의 아크의 루트 사이 거리가 크게 넓어진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2) 및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아크에 의해서 발생하는 금속 증기(150)의 영향에 의한 전계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아크 루트 사이의 전계 강도를 아크 전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2) 및 가동 접촉자(130)의 아크 루트 근방의 전극 사이에 재점호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 공간(14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아래쪽 및 위쪽에서, 고정 접촉자(112)의 평탄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의 자속의 방향에 대하여 아래쪽 및 위쪽으로 자속이 기울게 된다. 이 때문에, 기운 자속에 의해서 아크 소호 공간(145)으로 잡아늘려진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의 구석 방향으로 더욱 늘려져, 아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차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접촉기(10)의 투입 상태에서, 부하 측에서 직류 전원 측으로 회생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석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7의 (b)에서의 전류의 방향이 역으로 되므로, 로렌츠력(F)이 아크 소호 공간(146) 측에 작용하여,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6) 측으로 잡아늘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소호 기능이 발휘된다.
이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절연통체(140)에 형성된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크가 직접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기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통체(140)에 의해서, 금속 각통체(104)의 내주면을 덮어 절연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차단시의 아크의 단락이 없고, 확실하게 전류 차단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절연 기능,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위치 결정 기능,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아크로부터의 보호 기능 및 외부의 금속 각통체(104)에 아크가 닿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 기능을 하나의 절연통체(140)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수납하는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촉자의 측연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130)의 측연부와, 절연통체(140)의 내주면과의 거리를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두께만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을 마련할 수 있어, 아크를 확실하게 소호할 수 있다.
더욱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수납하는 자석 수납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촉자의 측연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에 접촉하고 있는 투입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로부터 이격시키는 개극시에,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에 의해서 아크 소호 공간(145 또는 146)으로 잡아늘려진다. 이때, 고정 접촉자(111, 112)에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구성하는 테이퍼면(118b 및 118c)이 형성되고, 가동 접촉자(130)에는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구성하는 테이퍼면(130b 및 130c)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아크의 루트가 평탄부(118a 및 130a) 사이에 머무는 일없이 테이퍼면(118b, 118c 및 130b, 130c)을 타고 신속하게 외측으로 이동하여, 아크의 루트 사이 거리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2) 및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아크에 의해서 발생하는 금속 증기(150)의 영향에 의한 전계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아크 루트 사이의 전계 강도를 아크 전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2) 및 가동 접촉자(130)의 아크 루트 근방의 전극 사이에 재발호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를 C자 형상으로 하고, 투입 상태에서의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하도록 평탄부(118a)에 가까이 하여 중간판부(117) 및 상판부(116)를 배치하고, 또한 한 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와 접촉 스프링(134)을 가동 접촉자(130)의 연장 방향으로 병렬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점 장치(1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폭도 축소할 수 있어, 접점 장치(100)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더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 도체부(115)에서 투입시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평탄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평탄부(130a) 사이에 생기는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 스프링(134)의 압박력을 저하시켜 소형화할 수 있어, 그만큼 접점 장치(1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130)의 접촉 스프링(134)과의 접촉 위치에 상부판으로 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과는 반대쪽, 즉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오목부(132)를 형성했기 때문에, 접촉 스프링(134)의 돌출 높이를 더욱 낮게 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접점 도체부(115)를 생략하고, 지지 도체부(114)의 하단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이 접점부에 가동 접촉자(130)를 아래쪽에서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하는 경우에는, 접촉 스프링,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가 상하 방향으로 직렬 배치되게 되어, 접점 장치(100)의 높이가 높아진다.
한편,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테이퍼면(118b, 118c)으로 구성하고,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테이퍼면(130b, 130c)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면(118b, 118c 및 130b, 130c) 대신에 원통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원호형 만곡면(151a, 151b 및 152a, 152b)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아크의 루트가 원호형 만곡면(151a(또는 151b) 및 152a(또는 152b))을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와의 아크의 루트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10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형성한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전류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 단면 형상을 유지하는데, 전후 측면에 측면을 덮으면서 아래쪽으로 돌출 연장하도록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로서의 평판형의 아크 런너(161a 및 161b)를 고정하고 있다. 여기서, 아크 런너(161a 및 161b)의 각각은, 텅스텐(W)이나 은(Ag) 등의 아크 내성을 가지며,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지니며, 도 3과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로부터 이격되는 개극시에, 가동 접촉자(130) 및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에 의해서 아크 소호 공간(145)(또는 146) 측으로 잡아늘려진다.
이때, 가동 접촉자(130)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갖기 때문에, 아크의 루트는, 아크 소호 공간(145)(또는 146) 측으로 잡아늘려짐에 따라서 테이퍼면(130b)(또는 130c)을 타고 단부면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한편,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측에서는, 아크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에 의해서 아크 소호 공간(145)(또는 146) 측으로 잡아늘려짐에 따라서 아크의 루트가 측면의 아크 런너(161a)(또는 161b) 측으로 이동한다. 아크의 루트가 아크 런너(161a)(또는 161b)에 도달하면, 아크의 루트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아크 런너(161a)(또는 161b)를 따라서 신속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아크의 루트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측면의 코너부에 머무는 일이 없고, 가동 접촉자(130)의 아크의 루트와의 거리를 길게 하여 금속 증기 등에 의한 전계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아크를 용이하게 소호하여,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아크의 루트는 아크 런너(161a)(또는 161b)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하판부(118)보다 하측의 단부면까지 이동함으로써, 아크의 잡아늘려지는 길이를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아크의 잡아늘려지는 길이보다 길게 할 수 있어, 보다 양호하게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아크 런너(161a 및 161b)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의 양 아크 런너(161a 및 161b)의 상단부를 즉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여 연결부(161c)로 연결하여 단면 역U자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가동 접촉자(130)와의 대향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162)를 형성하고, 이 홈부(162)에 연결부(161c)를 계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아크 런너를 역U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부(161c)에서의 아크의 루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아크 런너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2 및 도 2의 (b)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및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라믹스나 합성수지재에 의해서 각통부(301)와 그 상단을 폐색하는 상부면 판부(302)를 일체 성형하여 통형체(303)를 형성하고, 이 통형체(303)의 개방 단면 측에 메탈라이즈 처리하여 금속박을 형성하고, 이 금속박에 금속제의 접속 부재(304)를 시일 접합하여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형체(303)의 바닥면 측의 내주면에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형성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바닥판부(104b)에 대응하는 바닥판부(30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면 판부(302)에는, 전술한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과 마찬가지로,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삽입 관통하는 삽통 구멍(306 및 307)이 형성되어, 이들 삽통 구멍(306 및 307)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지니며, 도 1과의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절연재로 일체 성형된 통형체(303)로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밀성이 있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적은 공정수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을 N극으로 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을 S극으로 하도록 하여도, 자속의 아크를 가로지르는 방향 및 로렌츠력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를 금속 각통체(104)와, 이 금속 각통체(104)의 상단을 폐색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납땜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세라믹, 합성수지재 등의 절연재로 통 형상으로 일체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접점 도체부(115)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도체부(114)에 접점 도체부(115)에 있어서의 상판부(116)를 생략한 형상으로 되는 L자 형상부(170)를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라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가동 접촉자(130)를 접촉시킨 폐극 상태에서, L자 형상부(170)의 수직판부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와의 접촉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와의 접촉부에서의 자속 밀도를 높여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촉자(130)가 중앙부에 오목부(132)를 갖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32)를 생략하고 평판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나합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가동 플런저(215)와 연결축(131)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연결축(131)과 가동 접촉자(130)와의 연결이, 연결축(131)의 선단부에 플랜지부(131a)를 형성하고, 접촉 스프링(134) 및 가동 접촉자(130)를 삽입 관통하고 나서 가동 접촉자(130)의 하단을 C 링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결축(131)의 C 링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가동 접촉자(130)를 접촉시키고 나서 접촉 스프링(134)을 배치하여, 이 접촉 스프링(134)의 상단을 C 링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접점 수납 케이스(102) 및 캡(230)으로 밀봉 용기를 구성하고, 이 밀봉 용기 내에 가스를 봉입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단하는 전류가 낮은 경우에는 가스 봉입을 생략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극시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용이하게 소호할 수 있는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10: 전자 접촉기, 11: 외장 절연 용기, 100: 접점 장치, 101: 접점 기구, 102: 접점 수납 케이스(소호실), 104: 금속 각통체, 105: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 111, 112: 고정 접촉자, 114: 지지 도체부, 115: 접점 도체부, 116: 상판부, 117: 중간판부, 118: 하판부, 118a: 평탄부, 118b, 118c: 테이퍼면(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 121: 절연 커버, 122: L자형 판부, 123, 124: 측판부, 125: 감합부, 130: 가동 접촉자, 130a: 평탄부, 130b, 130c: 테이퍼면(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 131: 연결축, 132: 오목부, 134: 접촉 스프링, 140: 절연통체, 141, 142: 자석 수납통체, 143, 144: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 145, 146: 아크 소호 공간, 161a, 161b: 아크 런너, 161c: 연결부, 170: L자 형상부, 200: 전자석 유닛, 201: 자기 요크, 203: 원통형 보조 요크, 204: 스풀, 208: 여자 코일, 210: 상부 자기 요크, 214: 복귀 스프링, 215: 가동 플런저, 216: 주변 플랜지부, 220: 영구 자석, 225: 보조 요크, 301: 각통부, 302: 상부면 판부, 303: 통형체, 304: 접속 부재, 305: 바닥판부

Claims (12)

  1. 소호실(消弧室) 내에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배치된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
    상기 소호실 내에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 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에, 각각 상기 가동 접촉자가 이격되는 개극시(開極侍)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root)의 상기 가동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접촉자에,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로부터 이격되는 개극시에 발생하는 아크의 루트의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는,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와,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의 외측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부로부터 내측을 개방한 C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판부 및 하면판부 사이에 상기 가동 접촉자가 가동(可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의 전류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원호형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 루트 촉진부는, 상기 고정 접촉자의 전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단부면에 형성한 상기 가동 접촉자 측과는 반대쪽으로 돌출 연장되는 아크 런너(arc runne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런너는, 상기 고정 접촉자의 양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양 측면의 아크 런너가 상기 가동 접촉자와의 대향면에서 연결판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 루트 이동 촉진부는, 상기 가동 접촉자의 전류의 통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부로 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원호형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점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접촉자는 전자석 장치의 가동 철심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접촉자는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기.
KR1020147027951A 2012-04-13 2013-04-11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KR20140145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2448A JP5986419B2 (ja) 2012-04-13 2012-04-13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JPJP-P-2012-092448 2012-04-13
PCT/JP2013/002471 WO2013153815A1 (ja) 2012-04-13 2013-04-11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44A true KR20140145144A (ko) 2014-12-22

Family

ID=4932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951A KR20140145144A (ko) 2012-04-13 2013-04-11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53222B2 (ko)
EP (1) EP2838097B1 (ko)
JP (1) JP5986419B2 (ko)
KR (1) KR20140145144A (ko)
CN (1) CN104246952B (ko)
WO (1) WO20131538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63A1 (ko) * 2021-11-23 2023-06-01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아크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1320B2 (ja) 2012-12-12 2017-08-0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6291871B2 (ja) * 2013-07-12 2018-03-1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6237481B2 (ja) * 2014-06-10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6011664B2 (ja) * 2015-03-13 2016-10-19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CN105895452B (zh) * 2016-05-27 2017-11-10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密封型高压直流继电器
DE102017107441A1 (de) * 2017-04-06 2018-10-11 Schaltbau Gmbh Schaltgerät mit Kontaktabdeckung
WO2019021673A1 (ja) * 2017-07-26 2019-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
US10950402B2 (en) * 2017-10-17 2021-03-16 Solarbos, Inc. Electrical contactor
KR102324514B1 (ko) * 2018-08-31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KR20200000311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KR102652524B1 (ko) * 2018-11-09 2024-03-29 샤먼 홍파 일렉트릭 파워 컨트롤즈 컴퍼니 리미티드 단락전류 방지용 직류 릴레이
JP7056548B2 (ja) 2018-12-28 2022-04-1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2340034B1 (ko) * 2019-05-29 2021-12-16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JP7423944B2 (ja) * 2019-09-13 2024-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2069864A (ja) * 2020-10-26 2022-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2091560A (ja) * 2020-12-09 2022-06-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71520A (en) * 1959-08-07 1963-10-01 C. Wells Bruce Electrical interlock
EP0067321B1 (en) * 1981-05-20 1986-08-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witchgear device
DE8906799U1 (ko) * 1989-06-02 1990-09-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FR2714520B1 (fr) * 1993-12-24 1996-01-19 Telemecanique Appareil électrique interrupteur à contacts séparables.
JP3321963B2 (ja) * 1994-02-22 2002-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FR2742916B1 (fr) * 1995-12-21 1998-01-16 Schneider Electric Sa Dispositif electrique a commutation d'arc
JP3411206B2 (ja) * 1997-12-26 2003-05-26 三菱電機株式会社 接点開閉機器の消弧装置
US6300586B1 (en) * 1999-12-09 2001-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Arc runner retaining feature
JP4038950B2 (ja) * 1999-12-16 2008-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継電器
JP2002334644A (ja) * 2001-05-10 2002-11-22 Toyota Motor Corp 電磁継電器
JP2004071512A (ja) * 2002-08-09 2004-03-04 Omron Corp 開閉装置
US20050279734A1 (en) * 2004-06-17 2005-12-22 Carothers Arthur D Arc runner clinch assembly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2006019148A (ja) 2004-07-01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JP2007305468A (ja) *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DE102006035844B4 (de) * 2006-08-01 2008-06-19 Schaltbau Gmbh Schütz für Gleichstrom- und Wechselstrombetrieb
JP2008226547A (ja) * 2007-03-09 2008-09-25 Denso Corp 電磁継電器
JP4978527B2 (ja) 2008-03-24 2012-07-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触子ホルダおよび接触子ホルダの組立方法
JP5093015B2 (ja) 2008-09-16 2012-12-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継電器
JP5197480B2 (ja) * 2009-05-14 2013-05-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磁継電器
DE102010032456B4 (de) 2010-07-28 2012-11-29 Schaltbau Gmbh Elektrisches Schaltschütz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63A1 (ko) * 2021-11-23 2023-06-01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아크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8097A1 (en) 2015-02-18
EP2838097A4 (en) 2016-01-27
EP2838097B1 (en) 2018-06-13
CN104246952A (zh) 2014-12-24
WO2013153815A1 (ja) 2013-10-17
US9653222B2 (en) 2017-05-16
JP2013222559A (ja) 2013-10-28
US20150034600A1 (en) 2015-02-05
CN104246952B (zh) 2017-02-22
JP5986419B2 (ja)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5144A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KR101625726B1 (ko) 전자 접촉기
JP5727862B2 (ja) 電磁接触器
KR101890848B1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US9117611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8749331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5876270B2 (ja) 電磁接触器
KR20140145143A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KR20140022055A (ko) 전자 접촉기
KR20150084776A (ko) 전자 개폐기
US9589739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2076876B1 (ko) 전자 개폐기
EP2711960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140012129A (ko)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KR102074539B1 (ko) 전자 접촉기
KR101698421B1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KR20150015357A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