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129A -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129A
KR20140012129A KR1020137026774A KR20137026774A KR20140012129A KR 20140012129 A KR20140012129 A KR 20140012129A KR 1020137026774 A KR1020137026774 A KR 1020137026774A KR 20137026774 A KR20137026774 A KR 20137026774A KR 20140012129 A KR20140012129 A KR 2014001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c
fixed
shape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나카
고우에츠 다카야
겐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4Protective enclosures, baffle plates, or screens for contacts
    • H01H1/66Contacts sealed in an evacuated or gas-filled envelope, e.g. magnetic dry-re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lay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63Details concerning air-gaps, e.g. anti-remanence, damping, anti-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고정 접촉자의 형상을 복잡화한 경우에, 소호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일단을 개방한 통형의 소호실(102)의 바닥판부에 지지 도체부(114) 및 C자형부(115)로 구성되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112)를, 상기 C자형부(115)를 소호실(102) 내로 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112)의 C자형부(115)에 접점부 이외의 부분을 덮는 절연 커버(121)를 장착하는 단계와, 고정 접촉자(111), (112)의 접점부(118a)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가동 접촉자(130)를 배치하는 단계에 의해,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을 조립한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METHOD FOR ASSEMBLING ARC-EXTINGUISHING CHAMBER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구비한 접점 기구를 소호실(消弧室)에 수납한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점 기구를 소호실에 수납한 전자 접촉기로는, 예컨대, 세라믹과 같은 내열성 재료에 의해 일면을 개구하여 상자형으로 형성된 밀봉 용기를 갖는 밀봉 접점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밀봉 접점 장치는, 밀봉 용기의 바닥부의 2개소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고정 단자가 납땜에 의해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밀봉 용기 내에는, 고정 단자에 형성된 고정 접점에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설치한 가동 접촉자가 배치되어 있다. 밀봉 용기의 개구 단부가 자성 금속재료에 의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바닥이 있는 통부가 기밀하게 접합되는 제1 접합 부재에, 금속재료로 형성된 통형상의 제2 접합 부재를 통해 접속된 구성을 갖는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10728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예에서는, 밀봉 용기가 고정 단자를 납땜하는 세라믹과 같은 내열성 재료에 의해 일면을 개구하여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 용기는, 바닥판부에 고정 단자가 선단의 고정 접점을 밀봉 용기 내에 돌출시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접점에 하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가동 접촉자를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밀봉 용기의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밀봉 용기에 고정 단자를 고정 배치하기만 하면 되며 특별한 조립 방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고정 단자에 가동 접촉자가 접촉하고 있는 폐극 상태에서,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가동 접촉자를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하는 방향, 즉 개극 방향으로 전자 반발력이 작용하여, 고정 단자 및 가동 접촉자의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 단자를 L자형이나 C자형으로 절곡하여, 접점부를 배치한 판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고정 단자의 접점부와 가동 접촉자의 접점부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켜, 고정 단자 및 가동 접촉자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에는, 고정 단자의 형상이 L자형이나 C자형과 같이 복잡해지고, 고정 단자의 접점부 이외의 부분의 절연을 행하여, 고정 단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이격될 때에 발생하는 아크를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을 위한 절연 부재의 장착 등이 필요하게 되어, 소호실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미해결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미해결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 접촉자의 형상을 복잡화한 경우에, 소호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은, 일단을 개방한 통형의 소호실의 바닥판부에 지지 도체부 및 C자형부로 구성되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를 상기 C자형부를 소호실 내로 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에 접점부 이외의 부분을 덮는 절연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가동 접촉자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호실을 조립할 때, 우선, 통형의 소호실에 지지 도체부 및 C자형부로 구성되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를 고정하고, 그 후,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에 대하여, 절연 커버를 장착하고 나서 고정 접촉자 사이에 가동 접촉자를 접촉 분리 가능하게 배치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을 갖는 고정 접촉자를 적용한 경우라도 소호실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은, 상기 소호실이, 세라믹스를, 일단을 개방한 통형으로 일체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호실을 세라믹스로 일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호실 자체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은, 상기 소호실이,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를 지지하는 평판형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과, 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에 납땜된 금속 각통체와, 상기 금속 각통체의 내측 둘레면에 배치된 절연 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호실 자체가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 금속 각통체 및 절연 통체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의 고정 접점 및 금속 각통체를 고정하기 위한 메탈라이즈 처리를 다수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접점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은, 상기 절연 커버가,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의 상판부 및 중간판부의 내면을 덮는 L자형부와, 상기 L자형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C자형부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상기 지지 도체부에 대향하는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도체부에 형성된 소직경부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C자형부를 갖는 고정 접촉자의 불필요한 노출 부분을 절연 커버로 덮는 것에 의해,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개극될 때에 발생하는 아크의 발생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의 고정 접촉자에 대한 부착이 감합부를 지지 도체부의 소직경부에 감합되는 것만의 간이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에서, 상기 절연 커버는,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의 상판부 및 중간판부의 내면을 덮는 L자형부와, 상기 L자형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C자형부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상기 지지 도체부에 대향하는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도체부에 형성된 소직경부에 감합되는 감합부와, 상기 C자형부의 하판부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에 결합하는 스냅피트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절연 커버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에 대한 장착시의 고정이 감합부와 스냅피트부의 2개소에서 행할 수 있어, 절연 커버를 C자형부에 용이하게 장착하면서,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을 개방한 통형의 소호실에 대하여 고정 접촉자의 부착과, 좁은 공간에서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에 대한 절연 커버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소호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호실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접점 기구의 절연 커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장착전의 평면도, (c)는 장착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절연 커버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에 의한 아크 소호의 설명에 이용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을 절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한 경우의 아크 소호의 설명에 이용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절연 커버의 다른 예를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연 커버의 장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소호실을 구성하는 절연 통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소호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접점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접점 기구의 가동 접촉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개폐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소호실(消弧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 1 및 도 2에서, 도면 부호 10은 전자 접촉기이며, 이 전자 접촉기(10)는 접점 기구를 배치한 접점 장치(100)와, 이 접점 장치(100)를 구동하는 전자석 유닛(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접점 기구(101)를 수납하는 소호실(102)을 갖는다. 이 소호실(102)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03)를 갖는 각통체(104)와, 이 각통체(104)의 상단을 폐색하는 평판형의 세라믹 절연 기판으로 구성되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구비한다.
각통체(104)는, 그 플랜지부(103)가 후술하는 전자석 유닛(200)의 상부 자기 요크(210)에 시일 접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는, 중앙부에 후술하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106 및 107)이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상면측에서의 관통 구멍(106 및 107)의 주위 및 하면측에서의 각통체(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메탈라이즈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메탈라이즈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평면상에 복수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종횡으로 배열한 상태로, 관통 구멍(106 및 107)의 주위 및 각통체(104)에 접촉하는 위치에 금속박(예컨대, 동박(銅箔))을 형성한다.
접점 기구(10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호실(102)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구비한다. 이들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각각은,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삽입 관통되는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갖는 지지 도체부(114)와, 이 지지 도체부(114)에 연결되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측에 배치되고 안쪽측을 개방한 C자형부(115)를 구비한다.
C자형부(115)는,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판부(116)와 이 상판부(116)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중간판부(117)와, 이 중간판부(117)의 하단측으로부터 상판부(116)와 평행하게 안쪽측, 즉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판부(118)에서 중간판부(117) 및 하판부(118)로 형성되는 L자형에 상판부(116)를 더한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 도체부(114)와 C자형부(115)는, 지지 도체부(114)의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핀(114a)을 C자형부(115)의 상판부(116)에 형성된 관통 구멍(120) 내에 삽입 관통한 상태로 예컨대 납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도체부(114) 및 C자형부(115)의 고정은, 납땜에 한정되지 않고, 핀(114a)을 관통 구멍(120)에 감합시키거나, 핀(114a)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관통 구멍(120)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양자를 나사 결합시키거나 해도 좋다.
그리고,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에 각각, 아크의 발생을 규제하는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절연 커버(1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절연 커버(121)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자형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내측 둘레면을 피복하는 것이다.
절연 커버(121)는,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내측 둘레면을 따르는 L자형 판부(122)와, 이 L자형 판부(122)의 전후 단부로부터 각각 상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C자형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의 측면을 덮는 측판부(123 및 124)와, 이들 측판부(123 및 124)의 상단으로부터 안쪽측에 형성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에 형성된 소직경부(114b)에 감합되는 감합부(12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절연 커버(121)가,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에 감합부(125)를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이어서,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밀어 넣음으로써, 감합부(125)를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감합시킨다.
실제로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부착한 후의 소호실(102)을,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을 하측으로 한 상태로, 상측의 개구부로부터 절연 커버(121)를 도 3의 (a)∼(c)와는 상하 반대로 한 상태로,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에 삽입한다.
이어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125)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 접촉시킨 상태로,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외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감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에 절연 커버(121)를 장착함으로써, 이 C자형부(115)의 내측 둘레면에서는 하판부(118)의 상면측만이 노출되어 접점부(118a)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 내에 양단부를 배치하도록 가동 접촉자(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후술하는 전자석 유닛(200)의 가동 플런저(215)에 고정된 연결축(131)에 지지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의 연결축(131)의 근방이 하측으로 돌출된 오목부(132)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32)에 연결축(131)을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131)은,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축(131)에 하단측으로부터 접촉 스프링(134)에 삽입 관통하고, 이어서 가동 접촉자(130)의 관통 구멍(133)을 삽입 관통하여, 접촉 스프링(134)의 상단을 플랜지부(131a)에 맞닿게 하여 이 접촉 스프링(134)으로 정해진 바이어스력을 얻도록 가동 접촉자(130)를 예컨대 C링에 의해 위치 결정한다.
이 가동 접촉자(130)는, 석방 상태로, 양단의 접점부(130a)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의 하판부(118)의 접점부(118a)가 정해진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 가동 접촉자(130)는, 투입 위치에서, 양단의 접점부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의 하판부(118)의 접점부(118a)에, 접촉 스프링(134)에 의한 정해진 접촉압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소호실(102)의 각통체(104)의 내측 둘레면에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통부(140a)와 이 각통부(140a)의 하면측에 형성된 바닥판부(140b)으로 바닥이 있는 각통형으로 형성된 절연 통체(140)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통체(14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었으며 각통부(140a) 및 바닥판부(140b)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절연 통체(140)의 가동 접촉자(130)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 수납부로서의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에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이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의 대향 자극면이 동극, 예컨대 N극이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의 대향 위치보다 약간 내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좌우 방향, 즉 가동 접촉자의 길이 방향 외측에 각각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의 양단 근처의 측가장자리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규제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 통체(140)는,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에 의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위치 결정 기능과, 아크로부터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보호하는 보호 기능 및 외부의 강성을 높이는 금속성의 각통체(104)에 대한 아크의 영향을 차단하는 절연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절연 통체(140)의 내측 둘레면측에 배치함으로써,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가동 접촉자(13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양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N극측으로부터 나오는 자속 φ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대향부를 좌우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큰 자속 밀도로 가로지르게 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111)를 전류 공급원에 접속하고, 고정 접촉자(112)를 부하측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면, 투입 상태의 전류의 방향은,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로부터 가동 접촉자(130)를 통하여 고정 접촉자(112)에 흐르게 된다. 그리고, 투입 상태로부터 가동 접촉자(130)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켜 석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으로부터의 자속 φ에 의해,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측의 아크 소호 공간(145)측으로 늘어난다. 이 때,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은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두께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아크 길이를 취할 수 있어, 아크를 확실하게 소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도 7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통체(140)의 외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대향 위치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영구 자석을 적용한 경우에, 아크를 가로지르는 자속 밀도가 적어진다.
이 때문에, 투입 상태로부터 석방 상태로 이행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로렌츠력이 작아져, 아크를 충분히 늘릴 수 없게 된다. 아크의 소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더구나,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의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절연 통체(140)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좁게 할 필요가 있어,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충분한 아크 소호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절연 통체(140)의 내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전술한 절연 통체(140)의 외측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배치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전부 해결할 수 있다.
전자석 유닛(2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편평한 U자형의 자기 요크(201)를 가지며, 이 자기 요크(201)의 바닥판부(202)의 중앙부에 원통형 보조 요크(203)가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형 보조 요크(203)의 외측에 스풀(20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204)은, 원통형 보조 요크(203)를 삽입 관통하는 중앙 원통부(205)와, 이 중앙 원통부(205)의 하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하플랜지부(206)와, 중앙 원통부(205)의 상단보다 약간 하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상플랜지부(2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원통부(205), 하플랜지부(206) 및 상플랜지부(207)로 구성되는 수납 공간에 여자 코일(208)이 감겨 있다.
그리고, 자기 요크(201)의 개방단이 되는 상단 사이에 상부 자기 요크(2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부 자기 요크(210)는, 중앙부에 스풀(204)의 중앙 원통부(205)에 대향하는 관통 구멍(2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204)의 중앙 원통부(205) 내에, 바닥부와 자기 요크(201)의 바닥판부(202) 사이에 복귀 스프링(214)을 배치한 가동 플런저(215)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 플런저(215)에는, 상부 자기 요크(2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둘레 플랜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자기 요크(210)의 상면에, 예컨대 외형이 사각형이고 원형의 중심 개구(211)를 가지며 고리형으로 형성된 영구 자석(220)이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를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영구 자석(220)은 상하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상단측을 예컨대 N극으로 하고, 하단측을 S극으로 하도록 착자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220)의 중심 개구(211)의 형상은 둘레 플랜지부(216)의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하고, 외측 둘레면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구 자석(220)의 상단면에, 영구 자석(220)과 동일한 외형이며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관통 구멍(224)을 갖는 보조 요크(225)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보조 요크(225)의 하면에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가 맞닿아 있다.
또한, 영구 자석(22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요컨대 내측 둘레면이 원통면이라면 외형은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가동 플런저(215)의 상단면에는 가동 접촉자(130)를 지지하는 연결축(131)이 나사로 조여져 있다.
그리고, 가동 플런저(215)가 비자성체로 제조되었으며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캡(230)으로 덮이고, 이 캡(230)의 개방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231)가 상부 자기 요크(210)의 하면에 시일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호실(102) 및 캡(230)이 상부 자기 요크(210)의 관통 구멍(210a)을 통해 연통되는 밀봉 용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호실(102) 및 캡(230)으로 형성되는 밀봉 용기 내에 수소 가스, 질소 가스, 수소 및 질소의 혼합 가스, 공기, SF6 등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소호실(102)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관통 구멍(106 및 107)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를 상측으로부터 삽입 관통하고, 이어서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하면측으로부터 지지 도체부(114)에 형성한 핀(114a)을 관통 구멍(120)에 감합시키도록 C자형부(115)를 감합시킨다.
이 상태로,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 금속 각통체(104) 및 고정 접촉자(111, 112)를 납땜용 지그로 고정하여 로내 납땜을 행함으로써,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 대한 고정 접촉자(111, 112)의 납땜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 및 금속 각통체(104)와의 납땜을 동시에 행하여 소호실(102)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호실(102)을 뒤집어서 소호실(102)의 개구단을 상측으로 하고, 이 상태로, 절연 커버(121)를, 그 감합부(125)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에 대향시킨 상태로 소호실(102)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의 감합부(125)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이면측에 접촉시켜,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대향시킨다.
이 상태로, 절연 커버(121)를 외측을 향해서 압박하여, 감합부(125)를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감합시킴으로써, 고정 접촉자(111)의 C자형부(115)에 절연 커버(121)를 장착할 수 있다.
고정 접촉자(112)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절연 커버(121)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112)의 C자형부(115)에 대한 절연 커버(121)의 장착이, 절연 커버(121)의 감합부(125)를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의 배면측에 접촉시키고 나서 외측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소호실(102) 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절연 커버(121)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고정 접촉자(111, 112)의 C자형부(115) 내에 가동 접촉자(130)의 양단이 위치하도록, 가동 접촉자(130) 및 접촉 스프링(134)을 장착한 연결축(131)을 배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속 각통체(104)의 내측 둘레면에 절연 통체(140)를 삽입함으로써, 접점 기구(101)를 내장한 소호실(10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적용하는 경우에, 소호실(102)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고정 접촉자(111, 112)의 C자형부(115)의 접점부(118a) 이외가 절연 커버(121)로 덮여 있기 때문에, C자형부(115)의 상판부(116)와 가동 접촉자(130)를 근접시키더라도 정해진 절연 거리를 얻을 수 있고, 접점 기구(101)의 가동 접촉자(130)의 가동 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접점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후, 접점 장치(100)에 대하여 전자석 유닛(200)을 부착함으로써, 전자 접촉기(10)를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전자 접촉기(10)의 고정 접촉자(111)를 예컨대 대전류를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에 접속하고, 고정 접촉자(112)를 부하에 접속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상태로, 전자석 유닛(200)에서의 여자 코일(208)이 비여자 상태에 있고, 전자석 유닛(200)에서 가동 플런저(215)를 하강시키는 여자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석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석방 상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가 복귀 스프링(214)에 의해, 상부 자기 요크(210)로부터 멀어지는 상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이것과 동시에, 영구 자석(220)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이 보조 요크(225)에 작용되어,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가 흡인된다. 이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의 둘레 플랜지부(216)의 상면이 보조 요크(225)의 하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접점 기구(101)의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로부터 상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의 전류로가 차단 상태에 있고, 접점 기구(101)가 개극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석방 상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에 복귀 스프링(214)에 의한 바이어스력과 고리형 영구 자석(220)에 의한 흡인력의 양쪽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플런저(215)가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하강하는 일이 없어, 오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석방 상태로부터, 전자석 유닛(200)의 여자 코일(208)을 여자하면, 이 전자석 유닛(200)에서 여자력을 발생시켜, 가동 플런저(215)를 복귀 스프링(214)의 바이어스력 및 고리형 영구 자석(220)의 흡인력에 대항하여 하측으로 밀어 내린다.
이 가동 플런저(215)의 하강이, 둘레 플랜지부(216)의 하면이 상부 자기 요크(210)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써 정지된다.
이와 같이, 가동 플런저(215)가 하강함으로써,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동 접촉자(130)도 하강하고, 그 접점부(130a)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에 접촉 스프링(134)의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 때문에, 외부 전력 공급원의 대전류가 고정 접촉자(111), 가동 접촉자(130) 및 고정 접촉자(112)를 통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폐극 상태가 된다.
이 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가동 접촉자(130)를 개극시키는 방향의 전자 반발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부(116), 중간판부(117) 및 하판부(118)에 의해 C자형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부(116) 및 하판부(118)와 이것에 대향하는 가동 접촉자(130)에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하판부(118)가 형성하는 자계와 가동 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의 관계로부터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가동 접촉자(130)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에 압박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로렌츠력에 의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발생하는 개극 방향의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가 개극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를 지지하는 접촉 스프링(134)의 압박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여자 코일(208)에서 발생하는 추력도 작게 할 수 있고, 전자 접촉기 전체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 접점 기구(101)의 폐극 상태에서, 부하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전자석 유닛(200)의 여자 코일(208)의 여자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석 유닛(200)에서 가동 플런저(215)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여자력이 없어지는 것에 의해, 가동 플런저(215)가 복귀 스프링(214)의 압박력에 의해 상승하고, 둘레 플랜지부(216)가 보조 요크(225)에 근접함에 따라서 고리형 영구 자석(220)의 흡인력이 증가한다.
이 가동 플런저(215)가 상승함으로써, 연결축(131)을 통해 연결된 가동 접촉자(130)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서 접촉 스프링(134)으로 접촉압을 부여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접촉하고 있다. 그 후, 접촉 스프링(134)의 접촉압이 없어진 시점에서 가동 접촉자(130)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개극 개시 상태가 된다.
이 개극 개시 상태가 되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고, 이 아크에 의해 전류의 통전 상태가 계속된다. 이 때,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의 상판부(116) 및 중간판부(117)를 덮는 절연 커버(121)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만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 위를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아크의 발생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어, 소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양측면도 절연 커버(121)로 덮여 있기 때문에, 아크의 선단이 단락하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121)는,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소직경부(114b)에 감합시키는 것만으로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장착할 수 있어,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대한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이 N극이고, 그 외측이 S극이기 때문에, 이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이, 평면에서 볼 때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속은,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대향부의 아크 발생부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로질러 S극에 도달하여 자계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의 아크 발생부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로질러 S극에 도달하여 자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속이 함께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와,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를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 I가 고정 접촉자(111)측으로부터 가동 접촉자(130)측으로 흐르고, 자속 Φ의 방향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여 아크 소호 공간(145)측으로 향하는 큰 로렌츠력(F)이 작용한다.
이 로렌츠력(F)에 의해,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의 측면으로부터 아크 소호 공간(145) 내를 통과하여 가동 접촉자(130)의 상면측에 도달하도록 크게 늘어나 소호된다.
또, 아크 소호 공간(145)에서는, 그 하방측 및 상방측에서, 고정 접촉자(111)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의 자속의 방향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및 상방측으로 자속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울어진 자속에 의해 아크 소호 공간(145)으로 늘어난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의 모서리 방향으로 더 늘어나고, 아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차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서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가 가동 접촉자(130)측으로부터 고정 접촉자(112)측으로 흐르고, 자속 Φ의 방향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우측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가동 접촉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의 개폐 방향과 직교하여 아크 소호 공간(145)측으로 향하는 큰 로렌츠력(F)이 작용한다.
이 로렌츠력(F)에 의해,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와 가동 접촉자(130)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가동 접촉자(130)의 상면측으로부터 아크 소호 공간(145) 내를 통과하여 고정 접촉자(112)의 측면측에 도달하도록 크게 늘어나 소호된다.
또, 아크 소호 공간(14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하방측 및 상방측에서, 고정 접촉자(112)의 접점부(118a) 및 가동 접촉자(130)의 접점부(130a) 사이의 자속의 방향에 대하여 하방측 및 상방측으로 자속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기울어진 자속에 의해 아크 소호 공간(145)으로 늘어난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5)의 모서리 방향으로 더 늘어나고, 아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차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접촉기(10)의 투입 상태에서, 부하측으로부터 직류 전원측으로 회생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석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6의 (b)에서의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로렌츠력(F)이 아크 소호 공간(146)측에 작용하여, 아크가 아크 소호 공간(146)측으로 늘어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소호 기능이 발휘된다.
이 때,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은 절연 통체(140)에 형성된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크가 직접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자기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차단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절연 통체(140)에 의해, 금속제의 소호실(102)의 내측 둘레면을 덮어 절연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차단시의 아크의 단락이 없어, 확실하게 전류 차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절연 기능,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위치 결정 기능,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아크로부터의 보호 기능 및 외부의 금속제의 각통체(104)에 아크가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절연 기능을 하나의 절연 통체(140)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가동 접촉자(130)의 측가장자리와, 절연 통체(140)의 내측 둘레면의 거리를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두께만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아크 소호 공간(145 및 146)을 설치할 수 있어, 아크의 소호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을 수납하는 자석 수납 통체(141 및 142)의 가동 접촉자(130)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접촉자의 측가장자리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 접촉자 가이드 부재(148 및 149)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130)의 회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커버(121)를, 감합부(125)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지지 도체부(114)에 형성한 소직경부(114b)에 감합시킴으로써,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부착한 경우에 관해 설명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의 L자형 판부(122)의 하면측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의 하판부(118)를 덮는 스냅피트부(126)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스냅피트부(126)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서의 C자형부(115)의 하판부(118)의 하면에 형성한 돌기(118b)에 결합하여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스냅피트부(126)는 L자형 판부(122)의 전후 방향의 단부면측으로부터 하판부(118)를 덮도록 연장되는 한쌍의 L자형의 덮개부(126a 및 126b)를 갖는다. 이들 덮개부(126a 및 126b)의 하단측의 대향면에는, 도 8에서 볼 때 안쪽측으로부터 바깥쪽측을 향함에 따라서 대향 거리가 서서히 증가하는 테이퍼홈부(126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에서의 하판부(118)에 형성한 돌기(118b)는, 안쪽측으로부터 바깥쪽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높아지는 경사면(118c)과, 이 경사면(118c)의 하단으로부터 하판부(118)와 평행하게 약간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탄면(118d)과, 이 평탄면(118d)의 바깥쪽측 단부면으로부터 하판부(118)의 하면을 향하는 결합면(118e)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 커버(121)를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호실(102)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를 고정해 놓는다. 이 상태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11 및 112)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연 커버(121)의 감합부(125)를 소호실(102)의 바닥판부에 대향시켜 삽입한다.
그리고, 절연 커버(121)의 그 감합부(125)가 소호실(102)의 바닥판부에 접촉했다면,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커버(121)를 외측으로 C자형부(115)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L자형의 덮개부(126a 및 126b) 내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C자형부(115)의 하판부(118)가 삽입 관통된다. 이 때, 덮개부(126a 및 126b) 사이의 테이퍼홈부(126c)가 돌기(118b)의 경사면(118c)에 결합하여 상측으로 휘어지고, 그 후, 평탄면(118d)에 결합하고 나서 도 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면(118d)의 외측의 결합면(118e)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덮개부(126a 및 126b)의 휘어짐이 복귀되어 덮개부(126a 및 126b)의 내측 단부면이 돌기(118b)의 결합면(118e)에 접촉하여 절연 커버(121)의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감합부(125)가 고정 접촉자(111, 112)의 지지 도체부(114)의 소직경부(114b)에 감합된다.
따라서, 스냅피트부(126)에 의해, 절연 커버(121)가 고정 접촉자(111 및 112)의 접점부(118a)를 갖는 하판부(118)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게 되어, 접점부(118a)가 절연 커버(121)의 일부에서 덮이지 않고, 가동 접촉자(130)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스냅피트부(126)와, 돌기(118b)의 결합면(118e)이 결합함으로써, 절연 커버(121)의 내측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통체(140)를 바닥판부(140b)와 각통부(140a)가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51)의 바닥판부(253)의 전후 및 좌우 단부에 측벽을 구성하는 4장의 측판부(256∼259)를 조합하여 배치하고, 이들 측판부(256∼259)를 연결함으로써 절연 통체(140)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측벽부를 4장의 측판부(256∼259)로 분할하기 때문에, 전체를 일체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가 용이해진다. 나아가, 4장의 측판부(256∼259)를 일체화한 각통체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을 N극으로 한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143 및 144)의 대향 자극면을 S극으로 하도록 하더라도, 자속의 아크를 가로지르는 방향 및 로렌츠력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점 장치(100)의 소호실(102)을 각통체(104) 및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105)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 및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라믹스나 합성 수지재에 의해 각통부(301)와 그 상단을 폐색하는 천면판부(302)를 일체 성형하여 통형체(303)를 형성하고, 이 통형체(303)의 개방 단면측에 메탈라이즈 처리하여 금속박을 형성하고, 이 금속박에 금속제의 접속 부재(304)를 시일 접합하여 소호실(102)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C자형부(115)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도체부(114)에 C자형부(115)에서의 상판부(116)를 생략한 형상이 되는 L자형부(160)를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에 가동 접촉자(130)를 접촉시킨 폐극 상태로, L자형부(160)의 수직판부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을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촉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접촉자(111 및 112)와 가동 접촉자(130)의 접촉부에서의 자속 밀도를 높여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는 로렌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촉자(130)가 중앙부에 오목부(132)를 갖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32)를 생략하고 평판형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플런저(215)에 연결축(131)을 나사 결합시키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가동 플런저(215)와 연결축(131)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연결축(131)과 가동 접촉자(130)의 연결이, 연결축(131)의 선단부에 플랜지부(131a)를 형성하고, 접촉 스프링(134) 및 가동 접촉자(130)를 삽입 관통하고 나서 가동 접촉자(130)의 하단을 C링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연결축(131)의 C링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 대직경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가동 접촉자(130)를 맞닿게 하고 나서 접촉 스프링(134)을 배치하고, 이 접촉 스프링(134)의 상단을 C링에 의해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전자석 유닛(200)의 구성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의 전자석 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호실(102) 및 캡(230)으로 밀봉 용기를 구성하고, 이 밀봉 용기 내에 가스를 봉입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단하는 전류가 낮은 경우에는 가스 봉입을 생략하도록 해도 좋다.
10 : 전자 접촉기, 100 : 접점 장치, 101 : 접점 기구, 102 : 소호실, 104 : 각통체, 105 :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 111, 112 : 고정 접촉자, 114 : 지지 도체부, 115 : C자형부, 116 : 상판부, 117 : 중간판부, 118 : 하판부, 118a : 접점부, 121 : 절연 커버, 122 : L자형 판부, 123, 124 : 측판부, 126 : 스냅피트부, 130 : 가동 접촉자, 130a : 접점부, 131 : 연결축, 132 : 오목부, 134 : 접촉 스프링, 140 : 절연 통체, 141, 142 : 자석 수납 통체, 143, 144 : 아크 소호용 영구 자석, 145, 146 : 아크 소호 공간, 160 : L자형부, 200 : 전자석 유닛, 201 : 자기 요크, 203 : 원통형 보조 요크, 204 : 스풀, 208 : 여자 코일, 210 : 상부 자기 요크, 214 : 복귀 스프링, 215 : 가동 플런저, 216 : 둘레 플랜지부, 220 : 영구 자석, 225 : 보조 요크, 230 : 캡

Claims (5)

  1. 일단을 개방한 통형의 소호실(消弧室)의 바닥판부에, 지지 도체부 및 C자형부로 구성되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를, 상기 C자형부를 소호실 내로 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에 접점부 이외의 부분을 덮는 절연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 접촉자의 접점부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가동 접촉자를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電磁)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실은, 세라믹스를, 일단을 개방한 통형으로 일체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호실은,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를 지지하는 평판형의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과, 이 고정 접점 지지 절연 기판에 납땜된 금속 각통체와, 상기 금속 각통체의 내측 둘레면에 배치된 절연 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는,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의 상판부 및 중간판부의 내면을 덮는 L자형부와, 상기 L자형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C자형부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상기 지지 도체부에 대향하는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도체부에 형성된 소직경부에 감합하는 감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는, 상기 한쌍의 고정 접촉자의 C자형부의 상판부 및 중간판부의 내면을 덮는 L자형부와, 상기 L자형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상기 C자형부의 측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상기 지지 도체부에 대향하는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 도체부에 형성된 소직경부에 감합하는 감합부와, 상기 C자형부의 하판부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에 결합하는 스냅피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KR1020137026774A 2011-05-19 2012-04-03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KR20140012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2917A JP5864902B2 (ja) 2011-05-19 2011-05-19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JPJP-P-2011-112917 2011-05-19
PCT/JP2012/002332 WO2012157175A1 (ja) 2011-05-19 2012-04-03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129A true KR20140012129A (ko) 2014-01-29

Family

ID=4717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774A KR20140012129A (ko) 2011-05-19 2012-04-03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0871B2 (ko)
EP (1) EP2711955A4 (ko)
JP (1) JP5864902B2 (ko)
KR (1) KR20140012129A (ko)
CN (1) CN103503107B (ko)
WO (1) WO20121571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42A1 (ko) 2019-12-06 2021-06-10 엘에스일렉트릭㈜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5848B (zh) * 2013-05-06 2015-08-05 中国计量学院 一种室内用电测控模块
JP5741740B1 (ja) * 2014-03-14 2015-07-01 オムロン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35936B2 (ja) * 2019-02-27 2022-09-13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電磁接触器、並びに接点装置の製造方法
KR20210025959A (ko) *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DE102020203056A1 (de) 2020-03-10 2021-09-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insbesondere ein Stromschütz oder ein Relais, mit Kontaktierungselement und Befestigungselement
EP4036951A4 (en) * 2020-03-12 2023-04-05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14360966B (zh) * 2022-01-07 2023-10-13 杭州玛实迪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带增强磁场导向灭弧室的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3725A (ja) * 1992-12-28 1994-07-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封止接点装置
JP3107288B2 (ja) * 1996-03-26 2000-11-06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US5892194A (en) * 1996-03-26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ealed contact device with contact gap adjustment capability
JP3985628B2 (ja) * 2002-08-09 2007-10-03 オムロン株式会社 開閉装置
JP4375012B2 (ja) * 2003-12-22 2009-12-02 オムロン株式会社 固定接点端子の支持構造
JP2007305468A (ja) *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4765761B2 (ja) 2006-05-12 2011-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20090119276A (ko) * 2008-05-15 2009-11-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저소음 전자개폐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5689741B2 (ja) * 2011-05-19 2015-03-25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684649B2 (ja) * 2011-05-19 2015-03-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876270B2 (ja) * 2011-11-01 2016-03-02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42A1 (ko) 2019-12-06 2021-06-10 엘에스일렉트릭㈜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20210071565A (ko) 2019-12-06 2021-06-16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1955A4 (en) 2015-02-25
US20140013583A1 (en) 2014-01-16
JP5864902B2 (ja) 2016-02-17
CN103503107B (zh) 2016-10-26
US9460871B2 (en) 2016-10-04
WO2012157175A1 (ja) 2012-11-22
CN103503107A (zh) 2014-01-08
JP2012243593A (ja) 2012-12-10
EP2711955A1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7176A1 (ja) 電磁接触器
KR102075185B1 (ko) 전자 접촉기
KR101625726B1 (ko) 전자 접촉기
KR20140019826A (ko) 전자 접촉기
JP5684649B2 (ja) 電磁接触器
KR20140012129A (ko) 전자 접촉기의 소호실 조립 방법
JP5727862B2 (ja) 電磁接触器
KR20140022055A (ko) 전자 접촉기
KR20150016487A (ko) 전자 접촉기
KR20140145144A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개폐기
KR20150016485A (ko) 전자 접촉기
WO2012157170A1 (ja) 電磁接触器
US9589739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O2014076865A1 (ja) 電磁開閉器
KR102074539B1 (ko) 전자 접촉기
JP2015176810A (ja) 電磁接触器
KR101593802B1 (ko) 접점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