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987A -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987A
KR20140144987A KR1020130067296A KR20130067296A KR20140144987A KR 20140144987 A KR20140144987 A KR 20140144987A KR 1020130067296 A KR1020130067296 A KR 1020130067296A KR 20130067296 A KR20130067296 A KR 20130067296A KR 20140144987 A KR20140144987 A KR 2014014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ueraria lobata
extract
liver function
lobata ohw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719B1 (ko
Inventor
홍세철
표미경
이건희
유지현
김보람
이호주
설수연
박종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to KR2013006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71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2:1:0.5의 최적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부작용이나 거부감없이 섭취가 용이하며 숙취 해소뿐만 아니라 간 기능개선 효과까지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Pueraria lobata Ohwi's new vines, Pueraria lobata Ohwi's root and Sorbus commixta to relieve hangover and improve liver function}
본 발명은 갈용, 갈근 및 마가목으로 구성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적당량의 술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식욕을 돋우며 피로감을 없애 준다. 하지만 과다한 음주와 만성적인 음주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알코올을 섭취하면 주로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사람에 따라 최대 1/3 정도는 위장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혈액을 통하여 알코올이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간으로 옮겨져 대사된다. 간에 도달한 알코올의 약 90%는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산화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하여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산화된다. 나머지 10% 정도의 알코올은 카탈라제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대사된다.
섭취된 알코올의 상기 대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생기는 1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급성알코올 숙취의 가장 큰 원인, 즉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증 등을 유발하여 일반인의 업무능력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알코올성 지방간이나 알코올성 간염이 생기고 간이 나쁜 상태에서 계속 술을 마시게 되면 간경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음주로 인한 지방축적과 간 손상 보호 및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명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여기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칡순은 칡(Pueraria lobata Ohwi) 덩굴줄기의 새순으로 한방에서는 갈용(葛茸)이라고 부른다. 칡덩굴줄기 새순은 봄과 여름에 걸쳐 하루에 무려 50cm이상 자란다. 칡덩굴줄기 새순인 칡순은 맛이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없으며 위경에 작용하여 땀을 나게 하고 열을 내리는 기능을 한다. 또한, 칡순은 나물을 해먹기도 하고, 쌀과 섞어 칡 밥을 지어서도 먹으며, 잎을 말려 차로 만들기도 하고, 말려서 몸의 원기를 돋우는데 쓰기도 하는데, 성장을 촉진하는 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칡순을 항아리에 흑설탕과 버무려 넣고 1년 동안 숙성시키면 맛있는 음료가 되는데, 이 음료는 변비, 고혈압, 당뇨병 등에 효과가 뛰어나고, 양기를 돋우는데도 큰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근(葛根)은 칡뿌리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갈근은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하고,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와 부인들의 하혈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본초강목). 칡의 괴근을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하며,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갈근에는 전분이 많아 칡국수, 칡냉면, 칡차, 농축액, 엿으로도 사용된다. 갈근에는 이소플라본 성분의 푸에라린(puerarin), 푸에라린 자일로시드(puerarin xyloside), 다이드제인(daidze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아락킨산(arackin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주요효능으로 갈근에서 추출된 플라본이 뇌 및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게 하며, 진경작용 및 해열작용이 있으며, 또한 근육경련을 이완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향약대사전).
마가목(Sorbus commixta)은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落葉小喬木)으로서 높이는 4∼6m에 이르며 우리나라 각지에 표고(標高) 500∼1,200m 사이에서 자생 분포한다. 마가목은 비교적 높은 산지의 활엽수림에서 자라며 여름철에는 그 분포를 인식할 수가 없지만 10∼11월의 홍엽기(紅葉期)에는 선적색의 과실과 등황금색(橙黃金色)의 단풍이 든다. 마가목의 잎은 어긋나고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작은잎(小葉)은 13∼15개이고 피침형(披針形)을 이루며 톱니가 있다. 마가목의 겨울눈은 끈적끈적한 점액을 지니고 있다. 마가목의 꽃은 6월경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지름은 8∼10mm 이며 10월경에 빨갛게 익는다. 마가목의 수피, 잎, 줄기 및 열매에는 수분, 단백질, 탄수화물, 회분과 같은 일반성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마가목의 성분은 열매에 비타민 C 160mg%, 플라보노이드 150~229mg%, 카테킨 114~412mg%, 안토시안, B-카로틴 0.53~4.62mg%, B-카로틴-에폭시드, 크립토크산틴, 사과산 2.01~2.70%, 레몬산, 포도산, 호박산이 있다. 당분으로는 포도당 3.8%, 과당 4.3%, 사탕 0.7%, L-소르보오스, 소르비트가 있고 우르솔산과 타닌질 0.3%가 들어 있다. 아미노산은 236mg%로서 많이 들어 있는데 그의 조성은 시스틴, 시스테인, 리진, 히스티딘,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글리신, a-알라닌, 티로신으로 되어 있다. 마가목의 수피(백목질, 白木質)에는 리그난-자일로사이드(Lignan-xiloside),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메토시아큐파린(methoxyaucuparin), 아큐파린(aucuparin)이 함유되어 있다. 마가목의 효능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기침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8456호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건강음료 및 캡슐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으나, 종래 숙취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천연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함으로써 단순히 숙취해소 효과를 얻기 위한 것에 목적을 두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부작용이나 거부감없이 섭취가 용이하며 숙취 해소뿐만 아니라 간 기능개선 효과까지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0608456 B1, 2006년 07월 27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지속하던 중, ADH와 ALDH의 활성을 통하여 약용작물의 최적의 혼합비를 선정하여 숙취해소뿐만 아니라 간 기능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in vitro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 효과 및 간 기능개선 효과를 평가하여 갈용:갈근:마가목 추출물을 2:1:0.5의 최적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최적 비율로 혼합하여 생약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됨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효과가 탁월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혼합하여 구성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갈용: 갈근: 마가목 추출물이 2:1:0.5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용, 갈근 또는 마가목은 채취하여 자연 건조 또는 열풍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갈용, 갈근 및 마가목은 추출물 또는 엑기스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 주정(酒精)추출법 또는 혼합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은 추출에 앞서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 또는 분말화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추출법, 알코올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법을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 추출법에 있어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 추출법의 추출용매로는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시클로헥산 및 석유에테르 등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시 첨가되는 추출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갈용 (갈근 또는 마가목)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2배 내지 20배(중량기준)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갈용 (갈근 또는 마가목)에 대하여 추출용매 5배 내지 15배(중량기준)를 사용하여 2회 이상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온도는 50 내지 110℃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이다. 추출시간은 추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8시간 추출한다. 또한, 추출시 교반기(shaker)로 교반할 경우에 더욱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엑기스는 감압증류법이나 박막증류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갈용 (갈근 또는 마가목) 추출물은 감압농축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3 내지 20 브릭스(Brix)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득된 추출물은 20 내지 80%의 고농축액의 형태 또는 분말형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진공농축, 스프레이 드라이 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50 내지 70℃에서 감압농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80 내지 100℃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살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음료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부작용이나 거부감없이 섭취가 용이하며 숙취 해소뿐만 아니라 간 기능개선 효과까지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약용작물 9종에 대한 추출용매별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약용작물 9종에 대한 추출용매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간세포를 이용하여 약용작물 9종에 대한 세포 독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약용작물 9종에 대한 지질 산화 억제력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약용작물 9종에 대한 Cytochrome P450 2E1(CYP2E1) 생성능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 및 대조구(DWAN 808)의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 및 대조구(DWAN 808)의 시간에 따른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예 1] 약용작물 9종의 추출물 제조
갈용, 갈화, 솔순은 금산 관내에서 채집하여 건조하여 사용하였고, 갈근, 마가목(마가목의 진피), 산수유, 포공영, 진피, 인진은 금산시장에서 국산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갈용, 갈근, 갈화, 인진, 마가목, 진피, 산수유, 솔순, 포공영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각 시료 200g에 각각 10배의 물과 80% EtOH를 가한 뒤 80℃에서 5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한다. 추출된 성분은 감압 농축하여 극성에 따라 분획을 제조하여 갈용, 갈근, 갈화, 인진, 마가목, 진피, 산수유, 솔순, 포공영 분말을 얻었다. 얻은 분말은 냉동보관하며 사용하였다.
상기 약용작물 9종의 시료 200g에 2L 의 물과 80% 에탄올로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이 80% 에탄올 추출보다 추출 수율이 약 2.02% 높게 나타났다. 80% 에탄올 추출 수율은 인진이 24.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갈화가 19.5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열수 추출 수율은 갈용이 29.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가목이 20.2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01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갈용 , 갈근 마가목 추출물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갈용, 갈근, 마가목 추출물 분말을 2: 1: 0.5로 혼합하여 혼합분말 조성물을 제조한 후 100ml의 물에 용해시켜 혼합 추출물(SP)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간 기능개선 및 숙취해소 활성 측정( in vitro )
실험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검정 수행하여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unpaired t-test에 의하여 *, p<0.05 수준으로 실시하였다(Values are mean±SE (n=3)).
1-1. 알코올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 , ADH ) 효소활성 측정
ADH 효소활성 측정은 Reacker의 방법을 변용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340nm에서 형성되는 NADH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도를 표시한다. 즉 시험관에 alcohol 0.1 ㎕, NAD수용액(2 mg/mL) 0.5 ㎕, 농도별 추출물을 0.1 ㎕를 첨가하고 0.01 M glycine-NaOH buffer solution(pH 8.8)를 총 부피가 1.8 mL이 되도록 첨가한 후 25℃ 항온 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ADH(18 units/mL) 0.25 mL를 가하여 34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ADH 대신 0.01 M glycine-NaOH buffer solution 0.25 ㎕를 넣은 것으로 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한 약용작물 9종의 추출 용매별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보다 80% 에탄올 추출물이 활성이 약 20% 높게 나타났다. 약용작물별 비교 평가에서는 500 ug/ml에서 갈근 158.1%, 갈화 152.1%, 인진 153.5%, 포공영 148.3%, 갈용 141.5%, 마가목 136.2%, 솔순 133.2%, 산수유 121.6%, 진피 120.4%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1-2.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Acetalgehyde dehydrogenase , ALDH ) 효소활성 측정
ALDH의 활성도는 Tottmar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NADH 생성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340에서 측정한다. ALDH의 활성도 측정을 위해 50 nM sodium pyrophosphate buffer solution(pH 8.8), 0.5 mM NAD, 0.1 mM pyrazole, 5 mM aceraldehyde인 반응액 2.25 mL에 0.1 mL ALDH(1 unit/mL)와 농도별 추출물 0.1 mL을 첨가한 후 25℃ 항온 수조에서 10분간 방치하고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이 분해되어 생성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효소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열수 추출물보다 80% 에탄올 추출물이 활성이 약 15% 높게 나타났다. 약용작물별 비교 평가에서는 500 ug/ml에서 갈근 135.1%, 갈화 132.1%, 마가목 130.1%, 인진 128.1%, 포공영 125.3%, 갈용 124.5%, 솔순 110.4%, 진피 109.6%, 산수유 105.6%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1-3. 세포 생존율 평가
추출물의 산화적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사멸억제활성은 Carmichael등(1987)의 방법에 따라 MTT assay를 실시한다. 간 세포주 NCTC clone 1469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이 되게 100㎕씩 분주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 100㎕, 각 추출물 농도별 시료 및 알코올을 첨가한 후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그 후 각 well에 MTT 용액 (1mg/ml)을 100 ㎕씩 첨가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4시간 배양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DMSO 100㎕를 첨가하여 shaking incubator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ELISA reader(Versamax,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정상 간세포(NCTC clone 1469)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였으며 아세트알데히드로 세포 사멸을 유도한 후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한 약용작물 9종의 세포 독성 평가를 한 결과인진, 포공영, 솔순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났으며 다른 약용작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세트알데하이드 존재 하 세포 손상 억제력을 평가한 결과 추출물 처리 없이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해 24시간 46.6%, 48시간 37.2% 세포 사멸이 유도되었으나 세포독성이 있다고 평가된 인진, 포공영, 솔순을 제외하고는 모두 85%이상 세포사멸을 억제하였다.
1-4. 지질 산화( Lipid peroxidation ) 억제능 평가
산화적 지질 산화 억제력은 Kang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간 세포주 NCTC clone 1469 세포주를 6 well plate에 2 × 106 cells/well이 되게 1 mL씩 분주하고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 2 mL, 각 추출물 농도별 시료 그리고 알코올을 첨가한 후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차가운 phosphate-buffered saline (PBS)으로 세척 후 세포를 회수하고 차가운 1.15% KCl을 이용하여 동질화하였다. 동질화 후 8.1% sodium dodecylsulfate 0.1 mL, 20% acetic acid (pH 3.5) 0.75 mL 그리고 0.8% thiobarbituric acid (TBA) 첨가하고 95℃에서 약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상온에서 상온 화 후 n-butanol/pyridine 혼합물 (15:1, v/v) 2.5 mL을 첨가한 후 1000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 액을 분획한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Berkman, USA)을 이용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 산화 억제능은 알코올 대사물질 중 가장 독성이 강한 아세트알데하이드 존재 하 추출물을 처리하여 지질 산화 억제력을 평가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 산화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해 지질이 산화된 정도 대비 추출물을 평가한 결과 갈근에서 약 50.1%의 가장 높은 억제능을 나타냈으며 마가목(48.1%), 갈용(45.3%), 포공영(41.8%), 갈화(38.1%), 솔순(30.5%), 진피(26.8%), 인진(16.6%) 순으로 나타났다.
1-5. Cytochrome P450 2 E1 ( CYP2E1 ) 활성 평가
CYP 2E1 활성은 Dicker 등의 방법에 준하여 aniline이 aniline hydroxylase에 의하여 생성되는 4-hydroxyaniline의 양을 측정하였다. 3.6 mM aniline과 450 uM NADPH 및 마이크로좀 시료를 potassium phosphate 완충액(pH 7.4)에 혼합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40% trichloroacetic acid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14,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에 10% Na2CO3와 2% phenol을 가한 후 실온에서 45분간 방치하여 발색시킨 다음 6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4-hydroxyaniline 검량선으로부터 활성도를 계산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물의 CYP450 2E1의 생성능을 평가한 결과 추출물 처리 없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약 2.40 ng/ml가 생성되었으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갈근에서 약 0.95 ng/ml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며 진피 0.98 ng/ml, 갈용 1.02 ng/ml, 포공영 1.15 ng/ml, 마가목 1.25 ng/ml, 갈화 1.49 ng/ml, 인진 1.67 ng/ml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솔순과 산수유는 CYP450 2E1의 생성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 실험예 2]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활성 측정( in vivo )
실험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검정 수행하여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unpaired t-test에 의하여 *, p<0.05 수준으로 실시하였다((Values are mean±SE (n=3)), 도 6 및 도 7에서 Values are mean±SE (n=5)).
2-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SP)의 혼합비 설정
약용작물 9종을 80% 에탄올과 열수 추출하여 알코올 분해하는 효소(ADH, ALDH) 측정한 결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높아서 80% 에탄올 추출을 선택하였다. 상기 약용작물 9종 중 ADH, ALDH 활성이 높고 세포독성이 없으며 산화적 지질 산화를 억제하는 실험을 통하여 갈용, 갈근, 마가목을 최종 선발하였다. 따라서 3종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비를 통하여 ADH, ALDH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단일 처리구 보다 활성을 상승시키는 최적의 혼합비를 선정하였다. 대조구는 단일 약용작물 3종과 시판중인 여명 808, 모닝케어, 컨디션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농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혼합하여 효소 활성을 평가한 결과 갈용: 갈근: 마가목의 혼합비 2:1:0.5에서 단일 처리구 보다 ADH, ALDH 활성이 모두 상승하는 최적의 혼합비를 선정하였다.
Figure pat00002
2-2. 실험동물
체중 80~100 g의 생후 4주령 SD계 수컷 흰쥐 120마리를 구입하여 2주간 실험 환경에 적응을 시킨 후 실험 전 12시간 절식시켰다. 정상대조군(NC), 알코올 대조군(EC), 복합소재 추출물(PC) 2배 간격으로 3처리 하여 총 8가지 처리군(5마리/군)으로 나누었다. 사육한 흰쥐에 1일 1회 50% 에탄올 용액을 체중 kg당 5g씩 경구 투여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와 대조구(DAWN 808)를 농도별로 경구 투여하였다. 무처리군은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2-3. 혈장 및 장기 채취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후 시간대별(2, 4, 8) 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청은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7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는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칭량한 후 액체 질소로 급냉시켜 -7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2-4. 혈중 알코올 및 ALDH 효소활성 측정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라 혈액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1,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0.3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 290 ㎕ 와 0.047 M NAD+ 100 ㎕를 혼합 한 후 시료 혈액 샘플 100 ㎕를 첨가하여 20 ℃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340 nm 흡광도 측정한다(A1). 혈중 알코올 측정을 위하여 (A1)에 ADH 또는 ALDH 효소를 50 ㎕ 첨가하여 20 ℃ 5분간 반응시킨 후 340 nm 흡광도 측정 하였다(A2).
Rat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와 대조구(DWAN 808)를 50 mg/kg, 100 mg/kg, 200 mg/kg 농도별로 경구 투여 한 후 1시간 후 50% 알코올(주정) Kg 당 5g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2시간, 4시간, 8시간 간격으로 심장 채혈하여 혈액 중의 ADH 활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혈액 중의 ALDH 활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혈액 중의 알코올의 분해 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구 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와 대조구(DAWN 808)는 50 mg/kg, 100 mg/kg에서 활성이 낮았으나 200 mg/kg에서는 대조구(DAWN 808)에 비해 11.7% 높게 활성이 나타났다. 시간별 비교하여 본 결과 알코올 분해 효소는 알코올 경구 투여 후 2시간, 4시간에서 알코올 처리구에 비교하여 약 30% 활성을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경구 투여 후 8시간이 지나면서 알코올 분해 효소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처리구에서는 알코올 투여 2시간 후 3.40±0.3 g/L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와 대조구(DWAN 808) 처리에서는 알코올 처리구에 비해 모든 시간대에서 각각 유의성 있게 에탄올 농도가 낮았으며, 8시간 뒤에는 각각 0.82±0.08 g/L, 0.88±0.05 g/L으로 투여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에탄올 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코올 처리구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알코올 투여 후 2시간째 2.45 g/L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그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와 대조구(DWAN 808) 처리에서는 2시간 때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낮추지는 못하였지만 시간이 경과 할수록 알코올 처리구에 비하여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와 대조구(DWAN 808) 처리 비교에서는 200 mg/kg에서 0.75 g/L, 1.15 g/L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구(SP)가 대조구(DWAN 808)보다 높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 활성을 보였다.

Claims (2)

  1.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은 2:1:0.5의 성분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개선용 조성물.
KR20130067296A 2013-06-12 2013-06-12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8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296A KR101482719B1 (ko) 2013-06-12 2013-06-12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296A KR101482719B1 (ko) 2013-06-12 2013-06-12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987A true KR20140144987A (ko) 2014-12-22
KR101482719B1 KR101482719B1 (ko) 2015-01-14

Family

ID=5258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296A KR101482719B1 (ko) 2013-06-12 2013-06-12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7929A (zh) * 2018-01-15 2018-05-29 南宁富莱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火麻仁油抗氧化软胶囊及其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47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3830B1 (ko) 2019-09-30 2020-09-09 주식회사 웰파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곰취-아로니아 복합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20210045966A (ko) 2021-04-14 2021-04-27 주식회사 웰파인 곰취와 아로니아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882A (ko) * 2009-08-28 2011-03-08 남종현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7929A (zh) * 2018-01-15 2018-05-29 南宁富莱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火麻仁油抗氧化软胶囊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719B1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605B1 (ko) 오이식초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US8637098B2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1483592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01740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및 컴파운드 케이 고함량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443B1 (ko)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KR101482719B1 (ko)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50007037A (ko) 항비만, 항암,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식품용 조성물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0829691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질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024238B1 (ko) 천마를 주재료로 하는 자연발효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897B1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A2606732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Gillani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ation of Fig (Ficus carica) Leaves Tea with Special Reference to Hypoglycemic Effect: Ficus Leaves Tea for Hypoglycemia
KR20190035139A (ko) 곤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80102658A (ko) 경구 투여용 해독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961788B1 (ko) 천문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16919A (ko) 산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7120008A1 (en) 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removing hangover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