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882A -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882A
KR20110022882A KR1020090080376A KR20090080376A KR20110022882A KR 20110022882 A KR20110022882 A KR 20110022882A KR 1020090080376 A KR1020090080376 A KR 1020090080376A KR 20090080376 A KR20090080376 A KR 20090080376A KR 20110022882 A KR20110022882 A KR 2011002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ater
powder
s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KR102009008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2882A/ko
Priority to PCT/KR2010/002464 priority patent/WO2011025120A2/ko
Publication of KR2011002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22Acac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72Pectine, pectin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86Xant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Abstract

본 발명은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 이외에 온천수 또는 그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온천수, 숙취 해소, 간 기능 회복,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Description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and Composition for Recovering Liver Function Using Spring Water}
본 발명은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은 그 기원이 인류 역사와 거의 함께 시작되어 현재까지 기호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술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 중 음주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될 수 있다. 즉 음주는 간질환 및 위, 대장, 뇌기능의 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음주의 피해 역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간의 보호, 숙취 해소 등을 위한 연구개발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미 오리나무 추출물과 마가목 추출물의 숙취 해소 활성(한국 특허 제0181168호)과 아카시아 추출물의 숙취 해소 활성(한국 특허 제0718189호)에 대해서 특허를 얻은 바 있다.
한편 최근 동물 실험을 통하여 온천수가 숙취 해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보고 되어 있는데(서울경제, 2009년 3월 26일자 기사 등), 온천수의 숙취 해소 효과는 그 온천수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들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천수가 오리나무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아카시아 추출물과 혼합될 때, 그것이 숙취 해소 활성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음 후 경험하게 되는 매스꺼움, 두통 등의 숙취(hangover) 현상은 알콜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데히드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간에는 알콜분해효소(ADH)와 알데히드분해효소(ALDH)가 존재하여 알콜이 인체에 유입되면 인체에 무해한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게 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숙취 해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온천수가 본 발명자가 이미 숙취 해소 활성에 대해서 특허를 얻은 아카시아 추출물(한국 특허 제0718189호),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한국 특허 제0181168호)과 혼합될 경우, 물이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과 혼합될 경우에 비하여 월등하게 알콜분해효소(ADH)와 알데히드분해효소(ALDH)의 활성을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 이외에 온천수 또는 그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아카시아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대상인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으로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마가목 추출물"은 추출 대상이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오리나무 추출물"도 마찬가지로 그 추출 대상이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점을 제외하면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온천수"란 땅 속에서 지열에 의하여 가온됨으로써 상 온 상태의 물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물로서 정의되며, 따라서 지열에 의하여 가온되지 아니한 지하수, 지상수 등은 상기 온천수의 의미에서 제외된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779-6번지 굴착 심도 1,000m에서 채수한 것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온천수의 숙취 해소 효과가 온천수에 포함된 미네랄에 의한 것임을 고려할 때 상기 "온천수"는 <도 1>에 기재된 미네랄을 그 함량대로 가지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굴착 심도"는 지표면을 기준으로 한 굴착 깊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온천수의 농축물"이란 온천수를 탈수시켰을 때 얻어지는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완전히 탈수되었을 때는 분말 형태의 결과물이 얻어질 것인데, 상기 "온천수의 농축물"에는 이러한 분말 형태의 결과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말 형태의 결과물은 그 온천수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들의 조성물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온천수(또는 그 농축물)을 숙취 해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숙취가 일으키는 증상의 예방,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증상의 발현 지연을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 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온천수(또는 그 농축물)을 포함하는 이외에, 숙취 해소 활성을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숙취 해소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천연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천연물 또는 화합물로서는 선지 분말 또는 추출물, 콩나물 분말 또는 추출물, 조개 분말 또는 추출물, 굴 분말 또는 추출물, 산미나리 분말 또는 추출물, 무 즙 또는 추출물, 오이 즙 또는 추출물, 부추 즙 또는 추출물, 시금치 즙 또는 추출물, 연근 즙 또는 추출물, 칡 즙 또는 추출물, 솔잎 즙 또는 추출물, 인삼 즙 또는 추출물, 백화사설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갈화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사인 분말 또는 추출물, 박 분말 또는 추출물, 생강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 분말 또는 추출물, 지구자 분말 또는 추출물, 수비계 분말 또는 추출물, 백출 분말 또는 추출물, 저령 분말 또는 추출물, 진피(진귤의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녹차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지치 추출물, 노근 추출물, 계피 추출물, 데커시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물의 의미는 아카시아 추출물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혼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 이외에 온천수 또는 그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을 온천수와 함께 사용하여 제조한 음료가, 온천수 대신에 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음료에 비하여, 알콜 투여에 의해서 유발된 글루타민산피루브산트랜스아미나아제(이하 "GPT") 및 글루타민산옥살로아세트산트랜스아미나아제(이하 "GOT")의 활성을 훨씬 낮게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아카시아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오리나무 추출물은 온천수와 함께 간 기능 회복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GPT 및 GOT는 간이 알콜 등이 원인이 되어 손상을 입을 경우 간으로부터 혈액 중으로 분비되기 때문에 간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는 효소이다.
본 명세서에서, "간 기능 회복"이란 알콜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간 손상의 예방, 개선, 치료, 또는 이러한 간 손상의 발현 지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에서 있어서, 그 유효성분의 함량, 및 간 기능 회복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해서 그 유효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천연물 또는 화합물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준용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본 발명의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의 형태의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 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숙취 해소용 조성물과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과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나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품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참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참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아카시아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마가목 추출물의 제조
<참조예 1> 아카시아 추출물의 제조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잎, 줄기, 꽃 및 뿌리를 선별하고 수세한 후 각각 일정량씩 취하여 70%의 에탄올로 80℃의 온도에서 5시간 침출시킨 후 감압농축하여 60 Brix 이상의 아카시아 추출물을 얻었다.
<참조예 2> 오리나무 추출물의 제조
오리나무의 잎·줄기·뿌리를 취하여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후, 70%의 에탄올로 80℃의 온도에서 5시간 침출하여 감압농축하여 60 Brix 이상의 오리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참조예 3> 마가목 추출물의 제조
마가목의 잎·줄기·뿌리를 취하여 세정한 후 물기를 없애고 잘게 자른 후, 70%의 에탄올로 80℃의 온도에서 5시간 침출하여 감압농축하여 60 Brix 이상의 마가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예 1~3
상기 참조예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을 꿀과 아래의 <표 1>과 같은 성분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100g에 강원도 철원에서 취수한 25~45℃의 온천수 1,200㎖를 혼합하고 1시간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0~10℃의 온도에서 저온 숙성시켜 숙취 해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표 1]
숙취 해소 음료의 성분 및 성분 비율(중량 %)
구분 오리나무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아카시아나무 추출물
제조예 1 10 70 10 10
제조예 2 30 30 30 10
제조예 3 70 10 10 10
참고로 상기 온천수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779-6 번지 굴착 심도 1,000m에서 채수하였으며, 수온은 35℃, pH는 7.3~8.3로 약알카리성을 띠었고,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하여 그 성분을 분석한 결과,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먹는물관리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한 먹는물의 수질기준을 모두 만족함과 함께 여러 미네랄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숙취 해소 음료의 비교 제조예 1~3
상기 참조예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을 꿀과 아래의 <표 2>와 같은 성분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100g에 온천수 대신에 물 1,200㎖를 혼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표 2]
숙취 해소 음료의 성분 및 성분 비율(중량 %)
구분 오리나무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아카시아나무 추출물
제조예 1 10 70 10 10
제조예 2 30 30 30 10
제조예 3 70 10 10 10
<실험예> 숙취 해소 활성 실험 및 간 보호 효과 실험
<실험예 1> 숙취 해소 활성 실험
상기 <표 1> 및 <표 2>의 각 제조예에서 제조된 숙취 해소 음료와 온천수 자 체가 숙취 해소 활성을 가지는가를 알콜탈수소화효소(ADH)와 알데히드탈수소화효소(ALDH) 활성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ADH 및 ALDH의 활성은 보스티안 등의 방법(Bostian KA, et al. Biochem. J. 173:787-798(1978))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ADH 분획 및 ALDH 분획을 S9 랫드 간 균질화물(Moltox Co., Boone, Nc, USA)로부터 얻었고, A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1.5 ㎖의 상기 각 제조예의 음료 또는 온천수 자체, 0.75 ㎖의 1M Tris-HCl(pH 8.8), 0.3 ㎖의 20mM NAD+, 0.3 ㎖의 에탄올 및 0.15 ㎖의 ADH 분획으로 이루어져 있고, AL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2.1 ㎖의 각 제조예의 음료, 0.3 ㎖의 1M Tris-HCl(pH 8.8), 0.1 ㎖의 20mM NAD+, 0.1 ㎖의 3M KCl, 0.1 ㎖의 0.33 M 2-머르캅토에탄올, 및 0.1 ㎖의 ALDH 분획로 이루어져 있다.
활성의 측정은 3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NAD+로부터 NADH의 생성 비율을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ADH 및 ALDH 활성
Figure 112009052948887-PAT00001
(상기에서 CTL은 무처리군으로서 제조예나 비교 제조예의 음료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결과는 철원권 온천수 자체도 숙취 해소가 있음을 보여주며, 오리나무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아카시아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할 때 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온천수를 사용한 경우가 월등하게 숙취 해소 효과가 높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2> 간 보호 효과의 측정 실험
상기 각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의 음료와 온천수 자체가 알콜 섭취가 유발하는 간 손상을 보호하는가를 실험하였다. 먼저 생후 6 주령 SD계 수컷 흰쥐를 (주)대한바이오링크(서울, 대한민국)에 구입하여 고형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체중이 비슷한 쥐를 무작위로 10 마리씩 9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9개의 군 중 하나는 음성대조군이고, 하나는 양성대조군이며, 나머지 7개의 군은 실험군이다. 음성대조군에는 알콜과 상기 제조예의 음료를 투여하지 않았고, 양성 대조군에는 2주 동안 20% 알콜(6g/kg)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실험군에는 2주 동안 20% 알콜(6g/kg)을 경구투여함과 함께 상기 각 제조예의 음료(4g/kg)를 경구투여하였다.
2주일 후 다음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 키트(아산제약,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GPT와 GOT를 측정하였고, 실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Figure 112009052948887-PAT00002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의 결과는 상기 <실험예 1>의 결과와 유사하게 철원권 온천수 자체도 알콜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며, 오리나무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및 아카시아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할 때 물을 사용한 경우보 다 온천수를 사용한 경우가 월등하게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높음을 보여준다.
통계 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Mean±SD 값으로 나타냈다. ANOVA 분석을 실시하고, Duncan 테스트로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도 1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779-6 번지 굴착 심도 1,000m에서 채수한 온천수의 성분 분석 결과이다.

Claims (36)

  1. (a) 아카시아 추출물, (b) 마가목 추출물, (c) 오리나무 추출물, 및 (d) 온천수 또는 그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 중 하나로 분획시켜 얻어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 중 하나로 분획시켜 얻어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 중 하나로 분획시켜 얻어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천수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779-6번지 굴착 심도 1,000m에서 채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선지 분말 또는 추출물, 콩나물 분말 또는 추출물, 조개 분말 또는 추출물, 굴 분말 또는 추출물, 산미나리 분말 또는 추출물, 무 즙 또는 추출물, 오이 즙 또는 추출물, 부추 즙 또는 추출물, 시금치 즙 또는 추출물, 연근 즙 또는 추출물, 칡 즙 또는 추출물, 솔잎 즙 또는 추출물, 인삼 즙 또는 추출물, 백화사설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갈화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사인 분말 또는 추출물, 박 분말 또는 추출물, 생강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 분말 또는 추출물, 지구자 분말 또는 추출물, 수비계 분말 또는 추출물, 백출 분말 또는 추출물, 저령 분말 또는 추출물, 진피(진귤의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녹차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지치 추출물, 노근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데커시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19. (a) 아카시아 추출물, (b) 마가목 추출물, (c) 오리나무 추출물, 및 (d) 온천수 또는 그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 중 하나로 분획시켜 얻어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은 아카시아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 중 하나로 분획시켜 얻어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가목 추출물은 마가목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 중 하나로 분획시켜 얻어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은 오리나무 잎,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온천수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779-6번지 굴착 심도 1,000m에서 채수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선지 분말 또는 추출물, 콩나물 분말 또는 추출물, 조개 분말 또는 추출물, 굴 분말 또는 추출물, 산미나리 분말 또는 추출물, 무 즙 또는 추출물, 오이 즙 또는 추출물, 부추 즙 또는 추출물, 시금치 즙 또는 추출물, 연근 즙 또는 추출물, 칡 즙 또는 추출물, 솔잎 즙 또는 추출물, 인삼 즙 또는 추출물, 백화사설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갈화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사인 분말 또는 추출물, 박 분말 또는 추출물, 생강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 분말 또는 추출물, 지구자 분말 또는 추출물, 수비계 분말 또는 추출물, 백출 분말 또는 추출물, 저령 분말 또는 추출물, 진 피(진귤의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녹차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및 데커시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천수를 이용한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4.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36.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KR1020090080376A 2009-08-28 2009-08-28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KR20110022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76A KR20110022882A (ko) 2009-08-28 2009-08-28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PCT/KR2010/002464 WO2011025120A2 (ko) 2009-08-28 2010-04-20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76A KR20110022882A (ko) 2009-08-28 2009-08-28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82A true KR20110022882A (ko) 2011-03-08

Family

ID=4362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376A KR20110022882A (ko) 2009-08-28 2009-08-28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22882A (ko)
WO (1) WO201102512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97B1 (ko) * 2011-12-22 2014-06-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를 함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482719B1 (ko) * 2013-06-12 2015-01-14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8030581A1 (ko) * 2016-08-09 2018-02-15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4561B1 (en) 2012-12-20 2022-08-10 Arabian German Medical Products Co. W.L.L. Composition comprising raphanus, theobroma and passiflora for treating opioid and alcohol ab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22B1 (ko) * 1999-12-20 2003-11-21 주식회사 조선내츄럴 숙취해소용 건강차 및 그 제조방법
WO2004030680A1 (en) * 2002-10-01 2004-04-15 Ja Lim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ando deep ocean water of the concentrate thereof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iver disease
KR100718189B1 (ko) * 2004-01-29 2007-05-16 남종현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US20100004329A1 (en) * 2004-12-14 2010-01-07 Toyo Shinyaku Co., Ltd. Alcohol metabolism enhancer and alcoholic bever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97B1 (ko) * 2011-12-22 2014-06-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천수를 함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482719B1 (ko) * 2013-06-12 2015-01-14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갈용, 갈근 및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8030581A1 (ko) * 2016-08-09 2018-02-15 남종현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19502721A (ja) * 2016-08-09 2019-01-31 ジョン ヒュン ナム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US10993468B2 (en) 2016-08-09 2021-05-04 Jong-Hyun Nam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120A2 (ko) 2011-03-03
WO2011025120A3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594B1 (ko)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20160130651A (ko) 아로니아와 오디를 이용한 항당뇨 및 시력 개선용 조성물
KR20110022882A (ko)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KR101103576B1 (ko) 죽순과 죽엽을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76535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20110068958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92197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조성물
KR20180078658A (ko)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07618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34251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030693B1 (ko) 조릿대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30385A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43347B1 (ko) 홍삼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10022883A (ko)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90041783A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KR101076583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906302B1 (ko) 홍경천 추출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101269040B1 (ko) 중금속 해독제 조성물
KR101150919B1 (ko)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76536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076098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96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076531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10083787A (ko) 불수감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