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906A - 주차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906A
KR20140144906A KR20130067085A KR20130067085A KR20140144906A KR 20140144906 A KR20140144906 A KR 20140144906A KR 20130067085 A KR20130067085 A KR 20130067085A KR 20130067085 A KR20130067085 A KR 20130067085A KR 20140144906 A KR20140144906 A KR 20140144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put
vehicle
driv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906A/ko
Priority to CN201410091540.5A priority patent/CN104228682B/zh
Publication of KR2014014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6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 B60R2300/6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from a bird's eye view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aiding p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주차 안내를 위한 주차지원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주위의 영상을 취득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차공간을 인식하는 주차구획인식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주차공간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표시부는, 상기 주차공간 중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을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운전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 중 어느 하나를 주차선택공간으로 입력 받도록 형성된 주차지원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지원시스템 {PAKING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주차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차시 조향 조작 등을 보조하는 차량의 주차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다양한 편의시설이 증대되면서 최근에는 차량의 주차시 조향 조작을 자동화하는 주차지원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차지원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영상이나 초음파 센서의 감지신호 등을 통해 주차선이나 장애물 등을 검지하고, 가이드라인, 안내메시지 등을 통해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하거나, 조향 조작을 자동화하는 형태로 차량이 주차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지원시스템의 경우 제한된 조건이나 환경하에서 기 설정된 위치로 차량이 주차될 수 있을 뿐, 운전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상황이나 환경 조건이 반영되지 않아 실 사용상에 적지 않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주차지원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주위의 영상을 취득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차공간을 인식하는 주차구획인식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주차공간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표시부는, 상기 주차공간 중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을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운전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 중 어느 하나를 주차선택공간으로 입력 받도록 형성된 주차지원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은, 입력/표시부를 통해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이 표시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표시된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 중 어느 하나를 주차선택공간으로 입력하여 원하는 주차예정공간으로 차량의 주차 위치를 선택하여 주차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은, 선택된 주차선택공간 내에서 드래그를 통해 주차예정위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환경하에서 운전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주차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 있어서 터치 조작을 통한 주차예정위치의 조정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 있어서 주차예정위치 보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 있어서 주차예정위치 보정 기능을 보여주는 작동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100)은, 차량 주위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110), 주차공간을 인식하기 위한 주차구획인식부(120) 및 주차 가능한 공간을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표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의 전후 및 좌우측 영상을 취득하여 주차구획인식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사이드미러 등에 각각 카메라(110)가 구비될 수 있다.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카메라(110)에서 제공된 영상을 통해 주차공간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공간 정보를 입력/표시부(130)로 제공하게 된다. 또는, 필요에 따라,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차량에 설치된 초음파센서 등을 통해 주차공간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공간 정보를 입력/표시부(13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카메라(110)에서 제공된 영상 및 초음파센서를 통해 주차공간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차공간 정보를 입력/표시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영상처리를 통해 주차선 검출을 위한 기준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준선에 주차선의 기하학적 정보(예컨대, 주차선의 두께, 길이, 간격 등)를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주차선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구획인식부(120)는 검출된 주차선 간의 간격 등에 의해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장애물(예컨대, 주차된 다른 차량)을 검출 및 인식하기 위해 초음파센서 등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카메라(11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전후 및 좌우측 영상을 통해 탑뷰(top view) 또는 어라운드뷰(around view) 형태의 합성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인식된 주차공간 정보와 함께 입력/표시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뷰 또는 어라운드뷰 형태의 합성영상을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주위의 영상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Around View Mornitoring system, AVM) 등의 명칭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바 있다.
한편, 입력/표시부(130)는 주차구획인식부(120)에서 제공되는 주차공간 정보나 합성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운전자에게 차량 주위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입력/표시부(130)는 운전자로부터 각종 선택사항 또는 지시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입력/표시부(130)는 공지된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차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필요한 지령사항을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서의 화면표시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입력/표시부(130)는 주차선(L) 및 이에 의해 구획된 주차공간을 화면상 표시할 수 있다. 주차선(L) 등의 영상은 전술한 카메라(1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구획인식부(120)에서 영상 합성되어 탑뷰 또는 어라운드뷰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탑뷰 형태 이외에 후방 영상 또는 측방 영상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입력/표시부(130)는 주차선(L) 등의 영상에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P1, P2)을 화면상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표시부(130)는 주차선(L)의 구획된 주차공간 중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주차공간(P1, P2)을 색구분하여 표시하거나, 프레임, 음영 등을 화면상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차공간 정보는 전술한 주차구획인식부(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영상 처리 또는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차선(L) 및 장애물(O)을 검출하여, 입력/표시부(130)에 제공하게 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표시부(130)는 인식된 주차공간 중 장애물(O)이 존재하지 않고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주차공간(P1, P2)을 화면상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와 같이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주차공간(P1, P2)을 '주차예정공간(P1, P2)'으로 지칭토록 한다. 주차예정공간(P1, P2)은 차량이 인식 가능한 범위 또는 화면상 표시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복수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입력/표시부(130)를 통해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예정공간(P1, P2)을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운전자는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입력/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된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P1, P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주차예정공간(P1)을 '주차선택공간(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입력/표시부(130)는 주차선택공간(S)이 선택되면, 이를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화면상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표시부(130)는 운전자가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P1, P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주차선택공간(S)을 색구분, 프레임, 음영 등을 통해 화면상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차선택공간(S)이 선택되면,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표시부(130)는 선택된 주차선택공간(S)에 주차예정위치(F)를 색구분, 프레임, 음영 등을 통해 화면상 중첩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차예정위치(F)는 차량(C)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나 형상으로 화면상 표시될 수 있다.
주차예정위치(F)는 차량이 주차선택공간(S) 내 주차되게 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운전자는 드래그(darg) 조작 등을 통해 표시된 주차예정위치(F)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운전자는 화면상 손가락을 이동함으로써, 주차예정위치(F)를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두 손가락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주차예정위치(F)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조작을 통한 입력 및 화면 표시에는, 공지된 터치 패널이나 터치 스크린 관련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운전자에 의한 주차예정위치(F)의 조작과 관련하여는, 후술할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고하면, 차량(C)이 주차를 위해 주차선(L) 주위로 접근되게 된다. 또한, 차량(C)에 설치된 카메라(110)는 차량(C) 주위의 영상을 취득하여 전술한 주차구획인식부(120)로 제공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초음파센서 등이 장애물(O)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주차구획인식부(120)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3의 (b)를 참고하면, 주차구획인식부(120)는 제공된 영상 및 감지신호를 통해 주차가 가능한 주차예정공간(P1, P2)을 인식하게 되며, 입력/표시부(130)는 이를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화면상 표시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는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 등의 입력/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된 주차예정공간(P1, P2) 중 주차선택공간(S)을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주차선택공간(S) 내에서 터치 조작을 통해 주차예정위치(F)를 조정하게 된다.
운전자에 의해 주차예정위치(F)가 조정 및 입력 완료되면, 도 3의 (c)와 같이 차량(C)은 주차예정위치(F) 내로 주차 안내되게 된다. 이때, 차량(C)의 주차 안내는 공지된 주차보조시스템(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 SPAS)에 의해 이뤄지거나, 화면상 제공되는 가이드라인(G1, G2) 등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특히, 가이드라인(G1, G2)에 의해 주차 안내가 이뤄지는 경우, 가이드라인(G1, G2)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주차예정위치(F)를 기준으로 생성 및 표시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 있어서 터치 조작을 통한 주차예정위치의 조정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운전자는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입력/표시부(130)를 통해 주차선택공간(S) 내에서 주차예정위치(F)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도 4의 (a)를 참고하면, 운전자가 한 손가락을 드래그하는 경우, 주차예정위치(F)를 주차선택공간(S) 내에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 및 조정될 수 있다. 즉, 입력/표시부(130)는 하나의 터치점에서 일측 방향으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주차예정위치(F)를 대응되는 방향 및 이동량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와 같이, 운전자가 두 손가락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주차예정위치(F)는 주차선택공간(S) 내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입력/표시부(130)는 두 개의 터치점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주차예정위치(F)를 대응되는 방향 및 각도만큼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차예정위치(F)의 조정은, SPAS 등의 주차보조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안내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일반적인 주차지원시스템의 경우, 인식된 주차공간의 한 가운데에 차량이 자동적으로 정렬되어 주차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옆 주차공간의 다른 차량과의 위치 관계가 충분히 고려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의 (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옆 주차공간의 다른 차량(O)이 주차선(L)에 매우 인접하게 주차되어 있을 경우, 자차(C)를 주차선(L)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주차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일반적인 주차지원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세부적인 사항이 조정 불가함으로써, 운전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다른 차량과 관계없이 운전자가 차량(C)의 일측으로 화물 등을 적재하기 위해 주차선(L)에 차량(C)을 소정정도 붙이거나 떨어뜨려(즉, 양측 주차선(L) 한 가운데가 아닌 일측 주차선(L)에 편중하여)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일반적인 주차지원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조작이 불가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지원시스템(100)의 경우, 입력/표시부(130)를 통해 운전자가 주차선택공간(S)을 선택할 수 있을뿐더러, 선택된 주차선택공간(S) 내에서 주차예정위치(F)를 이동 및 회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종래와 같은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운전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130)는 주차예정위치(F) 보정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 있어서 주차예정위치 보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에 있어서 주차예정위치 보정 기능을 보여주는 작동예이다.
운전자가 주차예정위치(F)를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널을 통해 조정하는 경우, 조작상의 미숙으로 인해 차량(C)의 주차예정위치(F)가 주차선(L)을 침범하도록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시부(130)의 경우, 이와 같은 조작상의 미숙이나 오류가 보정될 수 있도록, 주차예정위치(F)가 주차선(L)에 침범되도록 입력된 경우, 자동 보정을 통해 운전자의 조작상 미숙을 보완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고하면, 전술한 주차구획인식부(120)에 의해 자차 주변의 주차선(L)을 검출 및 인식하고(S1), 입력/표시부(130)를 통해 입력된 주차예정위치(F)가 상기 검출된 주차선(L)에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 만약, 입력된 주차예정위치(F)가 주차선(L)에 겹치지 않는 경우라면, 이를 최종 주차위치로 결정하고 주차 안내를 실시하게 되지만(S6), 주차예정위치(F)가 주차선(L)에 겹치는 경우라면, 주차선(L)이 겹치지 않기 위한 최소 이동량을 계산하게 된다(S3).
또한, 계산된 최소 이동량만큼 주차예정위치(F)를 자동 이동 내지 보정하여, 주차예정위치(F)와 주차선(L)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고(S4), 이동 및 보정된 주차예정위치(F)를 최종 주차위치로 결정하여 주차 안내를 실시하게 된다. 도 6은 이와 같은 주차예정위치(F) 보정에 따른 작동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주차지원시스템 110: 카메라
120: 주차구획인식부 130: 입력/표시부

Claims (9)

  1. 차량 주위의 영상을 취득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영상으로부터 주차공간을 인식하는 주차구획인식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주차공간을 표시하는 입력/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표시부는,
    상기 주차공간 중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을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운전자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주차예정공간 중 어느 하나를 주차선택공간으로 입력 받도록 형성된 주차지원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로 형성된 주차지원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입력된 상기 주차선택공간을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주차지원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상기 주차선택공간이 입력되면, 상기 주차선택공간 내에 주차예정위치를 운전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주차지원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차예정위치는,
    상기 차량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표시되는 주차지원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운전자의 드래그(drag)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주차예정위치를 대응되도록 이동 또는 회전시켜 표시하는 주차지원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하나의 터치점에서 일측 방향으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주차예정위치를 대응되는 방향 및 이동량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주차지원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두 개의 터치점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주차예정위치를 대응되는 방향 및 각도만큼 회전시켜 표시하는 주차지원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입력/표시부는,
    상기 이동 또는 회전된 주차예정위치가 상기 주차구획인식부에서 검출된 주차선과 겹치는 경우, 상기 주차예정위치의 위치를 상기 주차선과 겹치지 않는 위치로 보정하여 표시하는 주차지원시스템.
KR20130067085A 2013-06-12 2013-06-12 주차지원시스템 KR20140144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85A KR20140144906A (ko) 2013-06-12 2013-06-12 주차지원시스템
CN201410091540.5A CN104228682B (zh) 2013-06-12 2014-03-13 驻车辅助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85A KR20140144906A (ko) 2013-06-12 2013-06-12 주차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906A true KR20140144906A (ko) 2014-12-22

Family

ID=5221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085A KR20140144906A (ko) 2013-06-12 2013-06-12 주차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44906A (ko)
CN (1) CN10422868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366A (ko) * 2017-07-07 2020-02-1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주차 지원 방법 및 주차 지원 장치
CN112644472A (zh) * 2019-10-11 2021-04-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驻车辅助装置
EP3960560A4 (en) * 2020-06-29 2022-06-08 Guangzhou Chengxing Zhidong Motors Technology Co., Ltd. PARKING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95B1 (ko) 2015-11-09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차 수행 장치 및 차량
CN110386135B (zh) * 2018-04-16 2021-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自动泊车控制装置、系统、车辆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5365A (en) * 1993-12-14 1995-07-05 Cosmic Commercial Services Lim High security entry system for a building or car park
DE10045616B4 (de) * 2000-09-15 2011-03-17 Volkswagen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inparken eines Kraftfahrzeugs
JP4835109B2 (ja) * 2005-10-31 2011-12-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目標位置設定装置
CN101561680B (zh) * 2009-05-11 2011-06-1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自主车辆的嵌入式导引装置及其智能复合导引方法
CN202896566U (zh) * 2012-10-31 2013-04-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自动泊车控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366A (ko) * 2017-07-07 2020-02-1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주차 지원 방법 및 주차 지원 장치
CN112644472A (zh) * 2019-10-11 2021-04-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驻车辅助装置
EP3960560A4 (en) * 2020-06-29 2022-06-08 Guangzhou Chengxing Zhidong Motors Technology Co., Ltd. PARKING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8682B (zh) 2016-08-24
CN104228682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923B1 (ko) 주차지원시스템
KR102326057B1 (ko) 주차 지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900232B2 (ja) 車両用駐車支援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10268905B2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EP2045132B1 (en) Driving support device, driving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I517992B (zh) 車用影像系統及其影像之顯示控制方法
US925484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parking
JP6045796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10228980A1 (en)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surrounding monitoring apparatus
KR20140144906A (ko) 주차지원시스템
JP5644477B2 (ja) 運転支援表示装置
US10450003B2 (en) Parking assist device and parking assist system
KR20140094116A (ko) 드래그 앤드 드롭을 통한 차량의 주차지원 방법
JP2010108185A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470230B1 (ko) 주차 영역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JP2008213647A (ja)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KR102251574B1 (ko) 주차 정렬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663290B1 (ko) 영상과 거리 보정을 통한 주차 보조 시스템
KR20150062277A (ko) 주차 보조 장치 및 방법
JP6429069B2 (ja) 運転支援情報表示システム
EP2481636A1 (en)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10960820B2 (en) Vehicle periphery image display device and vehicle periphery image display method
KR20120117263A (ko) 주차 지원장치 및 방법
KR101659606B1 (ko) 뒷바퀴 위치 표시 차량 후진 영상 시스템의 영상 표시 방법
JP2012030796A (ja) 車両用駐車支援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