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842A -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842A
KR20140143842A KR1020147031617A KR20147031617A KR20140143842A KR 20140143842 A KR20140143842 A KR 20140143842A KR 1020147031617 A KR1020147031617 A KR 1020147031617A KR 20147031617 A KR20147031617 A KR 20147031617A KR 20140143842 A KR20140143842 A KR 20140143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catheter
guiding element
lumen
si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 와이-빙 초우
토마스 로이 젠킨스
어더 엠. 린
메이 와이. 파더
제시카 크리스텐 찬
스코트 오. 참니스
Original Assignee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4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08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using radio-opaque or ultrasound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58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by means of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95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inflatabl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2017/2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particular tip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81Sinus (maxill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부비동 개방부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의료 장치가 기술된다. 장치는 부비동 개방부에 접근하고 확장시키고 세척하기 위한 한손 조작을 허용한다. 장치는 부비동 안내 카테터, 안내 요소, 벌룬 확장 카테터,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부비동 개방부를 처치하고 부비동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2년 4월 1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부비동의 처치를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Balloon Dilation Catheter for Treatment of the Sinuses)"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23,892호, 2012년 7월 25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75,569호, 및 2012년 9월 7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98,040호에 대해 U.S.C. §119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비동 질환(sinus condition)의 처치를 위한 의료 장치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비동은 소공으로 알려진 작은 개방부에 의해 비강(nasal canal)에 연결된 두개골 내의 속이 빈 강이다. 부비동과 비강 사이의 각각의 소공은 점막 조직의 층에 의해 덮인 뼈에 의해 형성된다. 보통, 공기가 소공을 통해 부비동 내로 그리고 그 밖으로 통과한다. 또한, 점액이 부비동의 점막 내층에 의해 계속해서 형성되고, 소공을 통해 그리고 비강 내로 배출된다.
부비동염은 하나 이상의 부비동 내의 염증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급성 부비동염은, 조직 부종을 초래할 수 있고 정상적인 소공-경유 배출 및 부비동의 통기를 일시적으로 방해할 수 있어 점액의 얼마간의 포집과 가능하게는 부비강 내의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상기도 감염 또는 알러지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만성 부비동염은 부비동의 만성 감염 및 염증을 유발하는, 하나 이상의 부비동 소공의 지속적인 협착 또는 막힘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장기간 질환이다. 만성 부비동염은 흔히 오래 지속되는 호흡기 알러지, 비용종, 비대성 비갑개 및/또는 비중격 만곡과 관련된다. 급성 부비동염이 전형적으로 단일 병원균(예컨대, 하나의 유형의 박테리아, 하나의 유형의 바이러스, 하나의 유형의 균류 등)에 의한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만성 부비동염은 흔히 다수의 병원균 감염(예컨대, 하나를 초과하는 유형의 박테리아 또는 하나를 초과하는 종류의 미생물)과 관련된다.
만성 부비동염은 처치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부비 해부학적 구조의 조직 및/또는 뼈 구조물에 수복할 수 없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만성 부비동염의 초기 처치는 보통 충혈 완화제, 스테로이드 비강 분무제 및 항생제(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의 경우)와 같은 약물의 사용을 수반한다. 약물 처치만으로 완치에 실패하는 경우, 외과적 처치가 권고될 수 있다.
만성 부비동염을 처치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외과 시술은 기능 내시경 부비동 수술(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FESS)이다. FESS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콧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내시경 및 다양한 강성 기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내시경은 부비동 배출을 개선하려는 시도로 비강 및 부비동 소공으로부터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강성 기구의 위치설정 및 사용을 가시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벌룬 부비동 성형술(Balloon Sinuplasty)™ 시술로 알려진 기술 및 이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부비동염의 처치를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 소재의 애클라렌트 인크(Acclarent Inc)에 의해 개발되었다. 미국 특허 제7645272호, 제7654997호, 및 제7803150호를 비롯한 다수의 미국 특허 및 특허 출원이 벌룬 부비동 성형술™ 시술의 다양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그러한 시술의 수행에 사용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벌룬 부비동 성형술™ 시술에서, 안내 카테터(guide catheter)가 코 속으로 삽입되고, 발병된 부비동의 소공 내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어서 안내와이어(guidewire)가 안내 카테터를 통해 발병된 부비동 내로 전진된다. 그 후, 확대가능한 확장기(예컨대, 팽창가능한 벌룬)를 갖는 확장 카테터가, 확장기가 발병된 부비동의 소공 내에 위치되는 위치로 안내와이어 위에서 전진된다. 이어서 확장기가 확대되어, 점막의 절개 또는 어떠한 뼈의 제거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소공의 확장 및 소공에 인접한 뼈의 재형성을 유발한다. 이어서 카테터와 안내와이어가 제거되고, 확장된 소공은 발병된 부비동으로부터의 개선된 배출과 그의 통기를 허용한다.
부비동을 처치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비록 상술된 확장 카테터가 사용하기 쉽지만,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공개 제2012/0071856호에 기술된 한손 조작이 가능한(single-handed operable) 벌룬 부비동 성형술™을 사용할 때,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발명의 명칭이 부비동의 경비 확장 및 세척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인 미국 출원 제13/550293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부비동을 추가로 세척할 수 있는 확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부비동에 접근하고 확장시키고 세척하기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의료 장치의 한손 조작에 유용한 핸들(handle)을 포함한다. 핸들은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핸들 몸체를 갖는다. 장치는 핸들 원위 단부에 부착된 부비동 안내 카테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장치는 부비동에 접근하기 위한 안내 요소(guiding element) 및 부비동을 확장시키고 세척하기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balloon dilation catheter)를 추가로 포함한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movement mechanism)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이, 부비동으로부터 의료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서 부비동에 접근하고 확장시키고 세척하도록, 안내 요소 및 벌룬 카테터의 한손 이동을 위해 핸들 본체를 따라 활주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핸들 및 안내 카테터를 통해 벌룬 카테터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핸들 및 안내 카테터를 통해 안내 요소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은 안내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나란히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포개져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벌룬 확장 카테터는 통합 샤프트 시스템(integrated shaft system)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고,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팽창 루멘(inflation lumen), 원위 부분 내의 조합된 세척 루멘 및 안내 요소 루멘, 및 근위 부분 내의 동축 세척 및 안내 요소 루멘들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고,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팽창 루멘, 원위 부분 내의 조합된 세척 루멘 및 안내 요소 루멘, 및 근위 부분 내의 나란한 세척 및 안내 요소 루멘들을 갖는다.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 및 안내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을 처치하기 위한 방법이다. 방법은 의료 장치를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의료 장치는 핸들과, 안내 요소와, 부비동 안내 카테터와, 세척 개구,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갖는 벌룬 확장 카테터를 갖는다. 방법은 코 해부학적 구조 내에 부비동 안내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코 해부학적 구조의 목표 공간 내로 안내 요소를 전진시키는 단계, 코 해부학적 구조의 목표 공간 내로 안내 요소 위에서 벌룬 확장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단계,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벌룬을 수축시키는 단계,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으로부터 안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근위 방향으로 활주시키는 단계, 및 벌룬 확장 카테터 세척 개구를 통해 코 해부학적 구조를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은 전두동 개방부(frontal sinus opening), 상악동 개방부(maxillary sinus opening), 사골동 개방부(ethmoid sinus opening) 및 접형동 개방부(sphenoid sinus openin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원리가 이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재하는 하기 상세한 설명과,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요소를 지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의 더욱 명확한 이해가 얻어질 것이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확장 카테터의 측면도.
<도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확대도.
<도 3>
도 3은 도 1의 카테터의 단면도.
<도 4>
도 4는 도 1의 카테터의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의 단부도.
<도 5>
도 5는 도 1의 카테터의 근위 팽창 튜브 전이부에 대한 중앙-팽창 튜브의 확대 절결도.
<도 6>
도 6은 도 1의 카테터의 벌룬 전이부에 대한 이중 루멘의 확대 절결도.
<도 7a 및 도 7b>
도 7a는 도 1의 카테터의 이중 루멘 및 하이포튜브(hypotube)의 확대 절결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이중 루멘 및 하이포튜브 섹션의 단면도.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벌룬 확장 카테터의 위치설정에 유용한 각도를 가진 부비동 안내 카테터의 집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개방부의 처치를 위한 의료 장치의 측면도.
<도 1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통합 샤프트 시스템의 확대 절결도.
<도 10a 및 도 10b>
도 10a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원위 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근위 단부의 단면도.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의 근위측의 확대도.
<도 12>
도 12는 도 11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의료 장치의 평면도.
<도 13 및 도 14>
도 13 및 도 14는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의 전방에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갖고(도 13)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의 전방에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을 갖는(도 14) 도 12의 의료 장치의 측면도.
<도 14a, 도 14b 및 도 14c>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도 12의 의료 장치의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도면.
<도 15>
도 15는 본 발명의 통합 샤프트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확대 절결도.
<도 16>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통합 샤프트 시스템의 추가 확대도.
<도 17>
도 17은 본 발명의 통합 샤프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절결도.
<도 17a 및 도 17b>
도 17a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근위 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원위 단부의 단면도.
<도 18a 및 도 18b>
도 18a는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핸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8b는 도 18a의 핸들의 절결도.
<도 19a 및 도 19b>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핸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절결도.
<도 20a 및 도 20b>
도 20a는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핸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0b는 도 20a의 핸들의 절결도.
<도 21a 및 도 21b>
도 21a는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핸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1b는 도 21a의 핸들의 절결도.
<도 22a, 도 22b 및 도 22c>
도 22a는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핸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2b는 장치가 부비동 소공의 확장을 위해 구성된 때의 도 22a의 핸들의 절결도. 도 22c는 장치가 세척을 위해 구성된 때의 도 22a의 핸들의 절결도.
<도 23>
도 23은 본 발명의 의료 장치의 핸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4a, 도 24b, 도 24c, 도 24d, 도 24e, 도 24f 및 도 24g>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확장 카테터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4b, 도 24c, 도 24d, 도 24e, 도 24f 및 도 24g는 카테터의 길이에 따른 상이한 위치에서의 도 24a의 카테터의 단면도.
<도 25a 및 도 25b>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확장 카테터의 단면도.
<도 26>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비동 개방부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의료 장치의 사시도.
하기 상세한 설명은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는 않은 도면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시한다. 이러한 설명은 명백하게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고, 현재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선의 모드로 여겨지는 것을 비롯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 개작, 변형, 대안 및 사용을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치 값 또는 범위에 대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집합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그의 의도된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적합한 치수 공차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는 예를 들어 그 구성이 환자의 부비동 개방부의 특히 효율적인 준비 및 처치를 제공하고 기계적으로 간단하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의료 장치의 간단함은 그것들이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장치는 충분히 강직성이어서, 그것이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에 접근하고 이어서 부비동을 간편하게 재형성 및 세척하는 데 유리하게 채용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해부학적 구조(예를 들어, 전두동 개방부, 상악동 개방부, 사골동 개방부 또는 접형동 개방부) 내의 목표 부위의 처치를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부비동 개방부와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은 또한 유스타키오관의 확장, 두개내 골절의 수복, 성문하 협착 확장과 같은 기도 시술, 및 귀, 코 및 목구멍의 다른 시술에 유용할 수 있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는 통합 샤프트 시스템(102) 및 팁(tip)(106) 부근의 고압 벌룬(104)을 갖는 부비동 재형성 카테터이다. 샤프트 시스템(102)은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인접한 이중 루멘 튜빙(tubing)을 포함한다. 인접한 이중 루멘 튜빙이라는 것은, 루멘들이 서로 이웃하지만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샤프트 시스템(102)의 구성은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 및 안내 카테터 루멘을 통한 벌룬(104)의 삽입 및 후퇴를 허용한다(예컨대, 본 명세서에 추가로 기술되는 8 및 도 9 참조).
팽창 루멘(108)은 팽창 포트(160)를 통한 물, 조영제 또는 식염수를 이용한 벌룬의 팽창을 위해 사용되고, 안내 요소 루멘(110)은 목표 부위로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내와이어 또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의 통과를 허용한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는 부비강 내에서 부비동 소공 및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의도된다.
부비동 벌룬(104)은 비-유연성 또는 반-유연성이도록 설계된다. 비-유연성 벌룬의 직경은 팽창 압력의 변화에 덜 민감하고 반-유연성 벌룬의 직경은 팽창 압력에 따라 다소 변할 것이며, 일부 경우에 이는 목표 영역에 대해 "모래시계" 또는 "도그-본(dog-bone)"일 것이다. 벌룬 자체는 삼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벌룬은 원형이고 반-유연성(나일론)이지만, 이는 또한 PET, 페박스(Pebax) 또는 다층 나일론/페박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이포튜브(116)가 추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부비동 안내 카테터를 통한 삽입 동안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중간 섹션(114) 상에 포함된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는 근위 섹션(124), 중간 섹션(114) 및 원위 섹션(118)을 갖는 샤프트 시스템(102)을 포함한다. 벌룬 확장 카테터 원위 섹션(118)은 선택적으로 부드러운 비외상성(atraumatic) 팁(106)을 벌룬(104) 및 직접 가시화 마커(direct visualization marker)(128, 129, 130)를 포함한다. 원위 섹션(118)의 원위 샤프트 부분(120)은 약 40 mm 내지 150 mm, 종종 약 60 mm의 길이를 갖는 나일론 또는 다양한 경도(72D, 70D 및 63D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페박스 또는 하이트렐(Hytrel)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가요성 샤프트 재료이다. 샤프트 직경은 약 1 내지 3 mm, 종종 약 2 mm이다.
벌룬 확장 카테터 근위 섹션(124)은 팽창 포트(160)를 갖는 루어 커넥터(luer connector)(132),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또한 도 4 참조) 및 팽창 튜빙(122)을 포함한다. 팽창 튜빙(122)은 나일론 또는 다양한 경도(72D, 70D 및 63D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페박스 또는 하이트렐로부터 선택된 가요성 재료이다. 루어 커넥터(132)는 조면화된(roughened) 또는 조면화되지 않은 팽창 튜빙(122)에 접합되어, 루어 커넥터(132)는 팽창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될 수 있고, 의료 시술 동안 벌룬 확장 카테터(100)로부터 멀리 가요성 있게 이동될 수 있다. 근위 섹션(124)은 약 100 mm 내지 400 mm, 종종 약 320 mm의 길이를 갖는다.
샤프트 시스템(102)의 중간 섹션(114)은 도 3 및 도 5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다. 중간 섹션(114)의 근위 단부(140)는 하이포튜브(116)에 의해 둘러싸인 단일 루멘 팽창 튜빙을 갖는다. 단일 루멘 팽창 튜빙에 대해 원위에 중앙-카테터 부분(144)이 있다(도 3의 원 AB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음). 중앙-카테터 부분(144)은 제1 단일 루멘 팽창 튜빙 섹션(142), 제2 단일 루멘 팽창 튜빙 섹션(143) 및 하이포튜브(116)를 포함하지만, 또한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 및 하이포튜브(116) 위의 중합체 재킷(150)을 포함한다(도 3 참조). 도 5에 도시된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은 도 3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 및 도 9에 도시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과 일렬을 이룬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은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 및/또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 둘 모두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팽창 루멘(108)은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으로부터 180° 떨어져 위치될 수 있거나, 이는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으로부터 90° 내지 180°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중합체 재킷(150)은 임의의 적합한 중합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종종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과 같은 비교적 강직성이고 윤활성인 재료로 구성된다. 중합체 재킷(150)의 절결 섹션(152)이 하이포튜브(116)의 근위 섹션과 정렬되고, 중합체 재킷(150)의 슬릿(slit) 섹션(154)이 하이포튜브(116)의 원위 섹션과 정렬된다(도 3 및 도 7a 참조). 절결 섹션(152)을 갖고 하이포튜브(116)에 고정된 중합체 재킷(150)으로 도시되지만, 중합체 재킷(150)은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에 고정된 완전한 원통(초기 안내 요소 진입을 위한 작은 윈도우(window)를 가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합체 재킷(150)은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과 함께 활주할 것이고,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을 덮을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중합체 재킷을 위해, 또는 그것이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에 부착될 필요가 없도록 그것을 스프링 로딩하기 위해, 또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이 핸들(614) 아래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압축되는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 둘레에 느슨하게 감긴 스프링 코일을 사용하기 위해, 금속성 재료의 사용을 고려한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중간 섹션(114)은 안내 요소 루멘(110)이 시작하는 안내 요소 삽입 포트(112)(도 7a 참조)를 포함한다. 안내 요소 루멘(110) 및 팽창 루멘(108)은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의 원위 단부로부터 도 3의 원 AD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벌룬 전이 섹션(148)까지 연장하는 나란한 루멘이다(도 3의 원 AC 및 상세히 도 7a 및 도 7b 참조). 중간 섹션(114) 및 그의 이중 루멘 구성의 재료 둘 모두는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삽입 및 후퇴 동안 그의 킹크 저항(kink resistance)을 보장한다. 중간 섹션(114)은 약 70 mm 내지 110 mm, 종종 약 90 mm의 길이를 갖는다. 샤프트 직경은 약 1 내지 3 mm, 종종 약 2 mm이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전체 길이는 약 210 mm 내지 약 610 mm, 종종 약 540 mm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직접 가시화 마커 및/또는 방사선 촬영 마커(radiographic marker)가 통합 샤프트 시스템(10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가시화 마커"는 사용 동안에 육안으로 또는 내시경의 사용에 의해 관찰될 수 있는 마커를 지칭하는 반면, 방사선 촬영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며 수술중 형광투시법과 같은 방사선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관찰된다.
직접 가시화 마커는 통합 샤프트 시스템(102)을 따른 다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가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른 변형이 대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 시스템(102)은 흑색, 어두운 청색, 어두운 회색 등과 같은 어두운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마커는 백색, 녹색, 적색 등과 같은 밝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커는 사용 동안 마커들을 서로 구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색상 및/또는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대비는 어두운 수술실에서 그리고/또는 혈액의 존재 하에서 환자 내측에서 내시경을 사용할 때 마커를 관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원위 샤프트 마커(128)(또는 "내시경 마커", 이는 그것이 전형적으로 사용 동안 내시경을 통해 관찰되기 때문임)가, 마커의 원위 에지가 벌룬(104)의 근위 테이퍼(taper)(140a)가 샤프트 시스템(102)과 만나는 위치로부터 1 cm.±.0.2 cm에 있도록 샤프트 시스템(102)의 원위 샤프트 부분(11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커는 샤프트 위치가 벌룬의 단부로부터 1 cm 떨어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고, 이는 벌룬이 시술 동안 안내부로부터 연장되었음을 나타낸다.
제2 원위 샤프트 마커(130)가, 마커의 원위 에지가 제1 원위 샤프트 마커(128)의 원위 에지로부터 1 cm.±.0.1 cm에 있도록 샤프트 시스템(1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위 샤프트 마커는 제1 및 제2 원위 샤프트 마커들(128, 130)을 서로 구별하기 위한 이중 마커이다. 제2 원위 샤프트 마커(130)는 벌룬(104)의 근위 단부로부터 2 cm 떨어져 있는 샤프트 위치를 나타내며, 따라서 벌룬이 시술 동안 안내부로부터 연장된 거리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원위 샤프트 마커(130)를 형성하는 2개의 마커는 각각 폭이 0.75 mm이고 색상이 백색이지만, 마커의 크기 및 색상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샤프트 마커의 색상, 길이, 및 마커의 수에 있어서의 차이는, 내시경 가시성 하에서 벌룬에 대해 근위에 있는 상대 위치의 지시를 제공한다. 제3 원위 샤프트 마커(129)가 벌룬(104)의 근위 테이퍼(140a)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내시경을 사용하여, 의사 사용자는 안내 카테터로부터 전진 및 후퇴된 카테터의 길이를 식별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부비동 소공, 다른 부비동 개방부, 또는 귀, 코 또는 목구멍 내의 다른 개방부와 같은 환자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벌룬(104)의 위치의 근사치를 구할 수 있다. 벌룬 위치의 이러한 근사치는 벌룬(104)이 더 이상 내시경을 통해 관찰될 수 없는 해부학적 위치로 충분히 멀리 벌룬(104)이 전진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내시경 마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일단 벌룬의 근위 부분이 더 이상 가시적이지 않으면 카테터가 전두 리세스(frontal recess) 내로 전진된 거리를 내시경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물론,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이한 수, 크기, 색상 및 카테터 샤프트를 따른 위치를 갖는 원위 샤프트 마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의료 장치(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부비동 안내 카테터(200a 내지 200f)를 도시한다. 이들 안내 카테터(200a 내지 200f)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근위 섹션, 덜 강성인 원위 및 비외상성 팁을 갖고, 각각 대략 0도(200a), 30도(200b), 90도(200d), 70도(200c) 또는 110도(200e 및 200f)의 미리설정된 원위 곡선을 갖는다. 안내부는 안내 카테터(200e, 200f)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덜 강성의 원위 섹션에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곡률이 상이한 부비동의 소공에 접근하는 데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70도 안내부가 전형적으로 전두동의 소공에 접근하는 데 사용되고, 90도 또는 110도 안내부가 전형적으로 상악동의 소공에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등등이다. 이들 안내 카테터(200a 내지 200f) 각각은 약 12.7 c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이들 부비동 안내 카테터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944,270호 및 제11/355,512호와 미국 특허 제7,654,997호 및 제7,803,150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 소재의 애클라렌트 인크.로부터 렐리바(Relieva)™ 부비동 안내 카테터로서 구매가능하다.
하기 설명에서, 부비동 안내 카테터는 200a로 지칭될 것이지만, 도 8에 도시된 안내 카테터(200b 내지 200f)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부비동 안내 카테터(200a) 내로의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삽입 후에, 안내 요소, 예컨대 부비동 안내와이어(즉,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 소재의 애클라렌트 인크.에 의해 제조된 렐리바 비거(Relieva Vigor)(등록상표) 부비동 안내와이어이고 도 6에 도시됨) 또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즉,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 파크 소재의 애클라렌트 인크에 의해 제조된 렐리바 루마 센트리(Relieva Luma Sentry)™ 부비동 조명 시스템)이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절결 부분(146)을 통해 그리고 부비동 안내 카테터(200a)의 원위 팁으로 삽입된다. 부비동 접근은 코 해부학적 구조 내에 부비동 안내 카테터(200a)를 위치시키고, 목표 부비동 내로 부비동 안내와이어 또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을 전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일단 부비동 접근이 달성되면, 벌룬 확장 카테터(100)는 부비동 안내와이어 또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 위에서 그리고 목표 공간 내로 전진된다. 벌룬 카테터 상의 내시경 마커가 배치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벌룬 확장 카테터(100)는 부비동 소공을 확장시키도록 팽창된다. 확장 후에, 벌룬은 수축된다. 안내와이어 또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은 코 해부학적 구조로부터 제거되고, 이어서 벌룬 확장 카테터(100) 및 부비동 안내 카테터(200a)가 제거된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는 동일한 환자의 추가적인 부비동 확장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공개 제2012/0071856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의료 장치(600)는 안내 카테터(602), 안내와이어(604), 부착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 안내와이어 이동 메커니즘(608) 및 흡입 경로(612)를 갖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벌룬 카테터(100)를 포함한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은 엄지손가락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핸들(614) 및 안내 카테터(602)를 통해 벌룬 카테터(100)를 전진 및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핸들(614)은 손가락 고정 페그(finger anchoring peg)(616a, 616b, 616c)가 장치(600)의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다. 로킹 탭(618)은 그것이 상향 위치에 있을 때 벌룬 카테터 메커니즘(134)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원위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한다. 로킹 탭(618)이 하향 위치에 있을 때, 벌룬 카테터(100) 및 안내와이어(604)는 안내 카테터(602)를 통해 핸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벌룬 확장 카테터(100) 크기는, 비록 5 mm × 16 mm, 5 mm × 24 mm 또는 7 mm × 16 mm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지만, 5 mm × 16 mm, 6 mm × 16 mm 및 7 mm × 16 mm일 수 있거나, 이들은 3.5 mm × 12 mm, 6 mm × 16 mm 또는 7 mm × 24 mm일 수 있다. 의료 장치들에 대한 벌룬 팽창된 직경은 하기와 같다: 3.5 mm × 12 mm의 경우 3.5 mm, 5 mm × 16 mm 및 5 mm × 24 mm의 경우 5 mm, 6 mm × 16 mm 및 6 mm × 24 mm의 경우 6 mm, 및 7 mm × 24 mm의 경우 7 mm. 의료 장치들에 대한 벌룬 팽창된 작동 길이는 하기와 같다: 3.5 mm × 12 mm의 경우 12 mm, 5 mm × 16 mm, 6 mm × 16 mm 및 7 mm × 16 mm의 경우 16 mm, 5 mm × 24 mm, 6 mm × 24 mm 및 7 mm × 24 mm의 경우 24 mm. 벌룬 카테터의 수축 시간은 약 30초이다.
벌룬(104)은 팽창 벌룬에 대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되며, 반-유연성 또는 비-유연성 재료, 예컨대 나일론(반-유연성)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비-유연성)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벌룬은 나일론으로 구성된다. 비외상성 팁 부분(106)은 벌룬 카테터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부드러운 재료(더 낮은 경도, 즉 약 20D 내지 55D)로 제조되고, 나일론, 페박스 또는 이들 재료의 화합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외상성 팁은 더 작은 직경의 재료(직경이 약 2.0 mm 미만, 종종 직경이 약 1.5 mm 미만)로 구성되어 그것이 부드럽고 비외상성인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팁은 길이가 대략 1 mm이고,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내에서 형광투시법 가시화를 위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로서 시각적 또는 내시경 가시화를 위한 0.5% 내지 5% 착색제 및 20% 황산바륨을 함유할 수 있다. 하이포튜브 샤프트(116)는 스테인리스강 및 니티놀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종종 304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다. 재료 및 카테터 구성의 조합(나일론 벌룬, 부드러운 비외상성 팁(106) 및 인접한 이중 루멘 설계)은 안내 카테터(200a) 또는 의료 장치(600) 내로의 벌룬 확장 카테터(100)의 삽입 및 이로부터의 제거 및 구불구불한 부비강 해부학적 구조를 통한 조종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벌룬 확장 전 또는 후에 유용한 부비동의 세척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6은 안내 카테터(2602), 안내 요소(2604), 이러한 경우 조명 안내와이어, 부착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608),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610) 및 흡입 경로(2612)를 갖는 벌룬 카테터(2606)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장치(2600)를 도시한다.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610)은 안내 요소(2604)를 전진, 후퇴 및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608)은 엄지손가락 또는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벌룬 카테터(2606)를 전진 및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핸들(2614)은 손가락 고정 페그(2616a, 2616b, 2626c, 2616d)가 장치(2600)의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다.
도 10은 부비동의 세척이 시술들 사이에 부비동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는 한손 시스템을 사용하여 부비동 소공의 확장 전 또는 후에 달성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26에 도시된 장치에 대한 대안적인 루멘 설계 및 벌룬 카테터 팁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벌룬 확장 카테터(100)로부터의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은 세척 루멘(1002)을 포함하는 변경된 통합 샤프트 시스템(1000)을 갖는다(도 10 참조). 팽창 루멘(1020)은 최근위 단부로부터 벌룬(104)까지 통합 샤프트 시스템(1000)의 길이로 연장하고, 부비동 소공의 확장을 위한 벌룬(104)의 팽창을 제공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샤프트 시스템(1000)의 원위 부분(1022)은 조합된 루멘(1004)(세척을 위한 그리고 안내 요소(1008)를 수용하기 위한 조합된 루멘)을 포함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샤프트 시스템(1000)의 근위 부분(1024)은 안내 요소 루멘(1006) 및 세척 루멘(1002)을 나란한 배열로 포함한다. 통합 샤프트 시스템(1000)은 벌룬 카테터(100)의 근위 단부에 부가된 세척 포트(루어 커넥터)로부터 조합된 루멘(1004)으로 진입하는 접합부(1010)까지 세척 액체의 유동을 제공한다. 세척 액체는 세척 개구(예를 들어, 벌룬(1516)에 대해 원위에 있는 벌룬 카테터(1500)의 원위 단부에서의 도 15의 세척 개구(1530) 참조)를 통해 벌룬 카테터로부터 배출된다. 도 10으로 돌아가면, 안내 요소(1008)가 세척 루멘(1002)의 원위 단부(1016)와 조합된 루멘(1004)의 근위 단부의 접합부(1010)까지 근위 방향으로(화살표(1014)의 방향으로) 후퇴된 때, 안내 요소 루멘(1006)이 안내 요소(1008)에 부착된 스톱퍼(stopper)(1018)(이러한 경우 솔더 링(ring of solder), 얇은 하이포튜브 또는 플라스틱 오버-라미네이션(over-lamination of plastic))와 플러그(1012) 사이에서 밀봉되도록, 안내 요소 루멘(1006)을 밀봉하기 위해 플러그(1012)가 안내 요소 루멘(1006) 내로 포함된다. 세척 유체는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 밖으로보다는 벌룬 원위 단부로 유동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1012)보다는, 안내 요소 루멘(1006)의 안내 요소 시일 영역이 안내 요소(1008)의 외부 직경에 가까운 치수일 수 있어서,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5)을 통한 세척 유체의 임의의 유동이 최소일 것이고(10% 미만), 대부분(90% 이상)은 벌룬 원위 단부로 유동할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 관하여 전술된 세척 루멘을 수용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34)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608)에 대한 대안적인 설계를 도시한다. 이러한 설계에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2)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은 동일 선상에 있지 않은데, 즉 이들은 세로로 줄지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 이웃하여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비록 이들이 포개져 있을 수 있더라도), 세척이 처치(예컨대, 벌룬 확장)에 후속하는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로부터의 장치(1100)의 제거 및 세척의 목적을 위한 재삽입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척 통로 밖으로의 안내 요소(1110)의 근위 이동을 허용한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2)은 벌룬 샤프트(1112) 둘레에 감기고, 메커니즘(1102, 1104)은 방해 없이 서로를 지나서 용이하게 활주하도록 형상화되고 위치설정된다. 도 12는 부비동 소공의 확장 및 세척을 위한 본 발명의 의료 장치(1100)를 도시한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2)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은 나란히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벌룬 카테터(100)를 부비동 내로 전진시키고 있거나 안내 요소 팁(106)을 장치(1000) 내로 후퇴시키고 있을 때 이루어진다.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은 안내 요소 팁(106)을 이를 손상시키지 않고서 설정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도록 스프링 오버로드 메커니즘(spring overload mechanism)에 의해 안내 요소(1110)에 연결될 수 있다.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 상의 근위 너브(nub)(1106)는 사용자가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을 근위 방향으로 당기거나,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에 이웃할 때, 특히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과 함께 장치(1000)를 보유하는 사용자가 그들로부터 멀리 또는 왼손잡이 사람의 경우에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과 함께 장치(1000)를 보유할 때 그들의 반대편으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원위 방향으로 미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 뒤에 있도록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안내 요소(1110)가 벌룬(1516)(도 15 참조)의 소공 내로의 전진 이전에 부비강 내로 삽입되고 있을 때 이루어질 것이다. 벌룬(1516)의 확장 및 수축에 이어서, 안내 요소(1110)는 안내 요소(1110)가 세척 이전에 부비동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2) 뒤에 있을 것이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102)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104)을 위치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구성이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 각각에서, 메커니즘의 원위 이동이 화살표(1400)에 의해 도시된다. 도 14a 및 도 14b에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404, 1414)은 핸들(1406)의 측부에 위치되고,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402, 1412)은 핸들(1406)의 상부 상에 위치된다. 도 14c에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424)은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422)의 상부 상에 위치된다. 이들 경우 각각에서, 메커니즘들은 각각의 메커니즘이 다른 하나의 메커니즘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안내 요소는 부비강(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으로의 접근을 위해 그리고 소공의 확장 동안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 내로 삽입되고 그곳에 위치될 수 있고, 벌룬 카테터(1500)를 통해 부비강의 세척을 위해 그곳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싱 특징부의 상대적인 기하학적 형상은 2개의 이동 메커니즘이 전략적으로(예를 들어, 크기에 의해 또는 위치에 의해) 서로 명백히 구별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들이 서로 지나침에 따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이동 메커니즘과 연속적인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위치시키기 위해 도시된 임의의 구성에서, 2개의 메커니즘을 서로에 대하여 또는 핸들에 대하여 위치설정하고 제위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로딩된 디텐트(detent), 마찰 요소 또는 자석이 메커니즘을 제위치로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해제를 위해 상이한 동작을 필요로 할 수동 작동식 포지티브 로킹 래치(passively activated positive locking latch), 예컨대 사용자 조작식 해제 버튼 또는 핸들 내의 소정 위치로 메커니즘을 활주시킴으로써 작동되는 자동 해제부가 메커니즘 및 그에 따라 벌룬(104) 및/또는 안내 요소(604)를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핸들(614)에 대해 제위치로 로킹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의 확장 및 세척을 위한 추가의 대안적인 카테터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벌룬 확장 카테터(1500)의 통합 샤프트 시스템(1504)의 근위 단부(1502)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루멘, 즉 세척 루멘(1506), 안내 요소 루멘(1508) 및 팽창 루멘(1510)을 포함한다. 루멘들은 모두 나란한 루멘들이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샤프트의 더 원위의 부분(1512)에서, 벌룬 확장 카테터(1500)의 벌룬(1516)의 근위 테이퍼(1514) 부근에서, 안내 요소 루멘(1508) 및 세척 루멘(1506)은 조합 루멘(1518)으로 조합된다. 안내 요소(1524)의 안내 요소 팁(1522)의 근위 단부(1520)는 조합 루멘(1518)과 안내 요소 루멘(1524) 및 세척 루멘(1506) 사이의 접합부(1526)에 위치되어 도시된다. 부비강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질 때, 안내 요소(1524)는 안내 요소 팁(1522)의 근위 단부(1520)가 접합부(1526)에 대항하여 안착되도록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위치로 근위 방향으로 후퇴되어, 효과적으로 안내 요소 루멘(1508)을 밀봉하고 안내 요소 루멘(1508) 내로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 밖으로의 세척 액체의 유동을 방지하지만, 부비동의 적절한 세척을 위해 세척 개구(1530)를 통한 그리고/또는 벌룬 확장 카테터(1500)의 근위 단부를 통한 세척 액체의 유동을 허용한다. 안내 요소 팁(1522)은 사용자가 그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에 의존하기보다는, 안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 로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세척 개구(1530)는 약 0.020 인치 내지 약 0.050 인치이고, 약 1 내지 10개의 임의의 수의 개구, 보통 약 2 내지 5개의 개구 및 종종 3개의 개구가 있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방으로 향한 팁 개방부(1531) 및 세척 팁(106) 상에서 120도 떨어져 이격된 3개의 반경방향으로 향한 개방부(1530)를 포함하고, 이때 전방으로 향한 팁 개방부의 내경은 0.037 인치이며, 측부 개방부 각각은 0.026 인치의 내경을 갖고, 비외상성 팁의 근위의 세척 루멘의 내경은 약 0.042인치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나선형 패턴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패턴으로 분포된, 임의의 적합한 대안적인 수의 측부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부 개방부가 의료 장치(100)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 2.5 mm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부 개방부가 의료 장치(100)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 3.5 mm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측부 개방부가 의료 장치(100)의 원위 단부로부터 약 4.5 mm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이들 측정값 각각은 원위 단부로부터 각각의 측부 개방부의 대략 중심까지의 것이다. 의료 장치(100)의 원위 단부로부터 벌룬(104)의 원위 단부까지의 세척 팁의 길이는 대략 7 mm이다. 각각의 측부 개방부는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비외상성 팁(106)의 근위에 있는 세척 팁의 세척 루멘의 직경이 전방으로 향하는 팁 개방부의 직경보다 큰 한, 각각의 측부 개방부는 약 0.020 인치 내지 약 0.050 인치 그리고/또는 약 0.030 인치 내지 약 0.040 인치 그리고/또는 약 0.033 인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벌룬(1516)의 원위 단부로부터 벌룬 확장 카테터(1500)의 원위 단부까지의 벌룬 확장 카테터 원위 팁의 길이는 약 5 mm 내지 10 mm, 종종 약 7 mm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장치에 대한 대안을 도시한다. 안내 요소(1524)의 원위 팁(1522)에 더하여, 플러그(1528)가 안내 요소(1524), 이러한 경우 안내 요소(1524)의 코일 상으로 용접된 하이포튜브 상에 포함되어, 안내 요소가 세척 동안 후퇴될 때 접합부(1526)에서 안내 요소 루멘(1508)을 밀봉하는 것을 보조하고 안내 요소 루멘(1508) 내로 그리고 하이포튜브(116)의 절결 부분(146) 밖으로의 세척 용액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24a, 도 24b, 도 24c, 도 24d, 도 24e 및 도 24f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 조립체(2400)에 대한 대안적인 설계이다. 도 24a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 조립체는 도 24e에 추가로 도시된 중앙-카테터 조인트(2402)를 갖는다. 벌룬 카테터 조립체는 팽창 포트(2404), 세척 포트(2406) 및 안내 요소(도시되지 않음)의 삽입을 위한 절결 부분(2408)을 갖는다. 도 24a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2400)는 근위 섹션(2410), 중간 섹션(2412) 및 원위 섹션(2414)을 갖는다. 근위 섹션(2410) 내의 카테터 샤프트(2416)의 단면이 도 24b에 도시된다. 카테터 샤프트(2416)는 세척 튜브(2418), 세척 루멘(2420), 팽창 튜브(2422) 및 팽창 루멘(2424)을 동축 배열로 포함한다. 중앙-카테터 조인트(2408)에 대해 근위에 있는 중간 섹션(2412) 내의 카테터 샤프트(2416)의 단면이 도 24c에 도시된다. 팽창 튜브(2426) 및 팽창 루멘(2428)은 세척 튜브(2430) 및 세척 루멘(2432)과 동축 배열로 유지된다. 슬리브(2434)(이러한 경우 하이포튜브)가 세척 튜브(2430)와 동축 배열로 있지만, 슬리브(2434) 내의 개방부(2436)가 안내 요소(도시되지 않음)의 삽입을 허용한다. 원위 섹션(2414) 내의 카테터 샤프트(2416)의 단면이 도 24d에 도시된다. 원위 카테터 샤프트(2438)는 나란한 루멘들, 즉 팽창 루멘(2440) 및 세척 및 안내 요소 루멘(2442)을 포함한다.
중앙-카테터 조인트(2408)는 도 24e에 추가로 도시된다. 중앙-카테터 조인트(2408)의 근위 부분(2450) 내의 카테터 샤프트(2416)의 단면이 도 24f에 도시되고, 중앙-카테터 조인트(2408)의 원위 부분(2452) 내의 카테터 샤프트(2416)의 단면이 도 24g에 도시된다. 도 2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루멘(2456)을 갖는 팽창 튜브(2454)는 세척 루멘(2460)을 갖는 세척 튜브(2458) 내에서 동축이다. 나란한 배열로 안내 요소 루멘(2464)이 있다. 하이포튜브(2466)가 안내 요소 루멘(2464) 및 세척 튜브(2458) 둘 모두를 둘러싼다. 하이포튜브(2466)와 안내 요소 루멘(2464)과 세척 튜브(2458) 사이에 커플러(2470)가 있다. 커플러(2470)는 중앙-카테터 조인트(2408)를 그의 원위 단부(2452)로부터 그의 근위 단부(2450)까지 가로질러 브리징하는(bridge) 튜브이다. 도 2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2470)는 나란한 배열로 있는 팽창 루멘(2472)과 안내 요소 루멘(2464)과 세척 루멘(2474)을 둘러싼다. 근위 부분(2450)과 원위 부분(2452) 사이의 전이 섹션(2480)은 원위 부분(2452)의 안내 요소 및 세척 루멘(2474)의 조합으로 근위 부분(2450)의 안내 요소 루멘(2464) 및 세척 루멘(2460)의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벌룬 카테터(2400)가 경사진 안내 카테터(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음) 내에 배치된 때 조합된 세척 및 안내 요소 튜브(2476)가 안내 요소의 전진, 후퇴 및 회전에 대한 윤활성 및 킹크 저항을 제공하도록, 라이너(종종 중합체 및 종종 PTFE 라이너)가 조합 루멘(2474) 내측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카테터 조립체(2400)의 도 24f에 도시된 근위 부분에 대한 대안적인 단면 설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동축으로 배열된 팽창 및 세척 루멘보다는, 안내 요소 루멘(2516) 및 세척 루멘(2514)은 별개의 나란한 루멘들이고, 또한 안내 요소 루멘(2516)과 나란한 배열로 있다. 도 25a에 도시된 근위 부분은 나란한 배열인 팽창 루멘(2502)과 세척 루멘(2504)을 포함한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4a, 도 14b 및 도 14c를 참조하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위치시키기 위한 추가의 대안적인 구성이 도 18a 및 도 18b, 도 19a 및 도 19b, 도 20a 및 도 20b, 도 21a 및 도 21b, 도 22a, 도 22b 및 도 22c, 및 도 23에 도시된다. 이들 실시예 각각에서, 메커니즘의 원위 이동이 화살표(1400)에 의해 도시된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804)은 핸들(1806)에 고정된 회전 지동륜(thumbwheel)이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804)은 벨트(1808) 또는 벌룬 캐리지(balloon carriage)(1810)에 부착된 반대로 감긴 스트링 구동부(string drive)를 통해 벌룬 카테터를 구동한다. 벌룬을 구동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은 랙 및 피니언(rack and pinion), 다른 유형의 기어 및 샤프트 시스템, 회전 리드나사 유형 구동부 또는 슬라이더 또는 레버를 갖는 선형/회전 래치팅(racheting)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802)은 핸들(1806)의 상부 상에 위치된다.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802)(및 안내 요소, 도시되지 않음)은 안내 요소 및 벌룬 카테터(1812)가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벌룬 카테터(1812) 위에서 활주한다. 또한, 하나의 메커니즘이 이동 슬라이더이고 다른 하나의 메커니즘이 제위치에서 회전하는 휠이기 때문에,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802)과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804) 사이에는 명백한 촉각적 구별이 존재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가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을 위한 슬라이더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위한 고정된 지동륜 또는 롤러를 고려한다. 대안적으로, 양 이동 메커니즘은 고정된 지동륜 또는 롤러일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902)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은 사용자에게 동일 트랙 내에서 동축인 2개의 분리된 슬라이더 메커니즘으로 보인다. 그러나,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은 벌룬 카테터 캐리지(1910)에 결합되고,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은 벌룬 카테터 캐리지(19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벌룬 카테터 벌룬 캐리지(1910)는 벌룬 카테터(1912)에 부착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은 벌룬 카테터(1912)가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 내에 위치됨에 따라 벌룬 카테터 캐리지(1910)에 결합된다. 일단 벌룬 카테터 캐리지(1910)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은 벌룬 캐리지(1910)로부터 분리되어 벌룬 캐리지(1910)로부터 멀리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1902)이 벌룬 카테터 캐리지(1910)를 지나서 근위 방향으로 활주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안내 요소를 세척 경로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의 벌룬 캐리지(1910)로부터의 분리는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 및 벌룬 캐리지(191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스프링 로딩된 버튼(1920)을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1904) 및 벌룬 캐리지(1910)가 분리될 수 있도록 2-상태(쌍안정) 토글 또는 버튼을 비로킹 위치로 플립핑할(flip) 수 있다.
벌룬 캐리지로의 벌룬 카테터 메커니즘의 재결합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이한 상태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능동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벌룬 카테터 메커니즘이 캐리지 위로 활주함에 따라 스프링 로딩된 로크와 자동으로 재부착함으로써 수동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대안적인 설계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안내 요소 캐리지가 스프링 로딩된 버튼의 사용자 작동을 통해 서로 탈착될 수 있도록 안내 요소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안내 요소 캐리지에 부착되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또는 사용자 작동식 누름 버튼 메커니즘 또는 다른 동작을 통해 안내 요소 또는 벌룬 카테터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고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벌룬 카테터 및 안내 요소 둘 모두를 위한 단일 외부 메커니즘을 포함할 것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의료 장치(600)를 위한 핸들(2006)의 설계를 도시하고, 여기서 안내 요소 이동 슬라이더 메커니즘(2002)은 안내 요소를 이동시키는 데 이용되지만,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스위치를 통해 제어되는 모터(2004)로 대체된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스위치는 누름 버튼(2008a, 2008b)이지만, 또한 당업계에 공지된 로커(rocker) 유형 또는 다른 스위치일 수 있다. 이들 스위치는 가변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벌룬 카테터(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외부 이동가능 제어부가 없기 때문에,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002)은 벌룬 캐리지(2010) 위에서 그리고 그 근위로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다. 모터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벌룬 구동 리드나사를 통해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랙 및 피니언, 벨트 구동부 또는 다른 전동(transmission) 유형과 같은 다른 장치를 통해 벌룬 카테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모터(2004)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장치 중 하나를 통해 전기적으로 동력공급될 수 있거나, 흡입 펌프의 공압 구동식 모터 회전 또는 세척 펌프와 같이 유압 구동식일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102)은 핸들(2106)의 상부 상에 위치되고,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104)은 핸들(2106)의 저부 상에 위치된다.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102)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104)의 위치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102)이 저부 상에 있고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104)이 상부 상에 있도록 역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메커니즘들은 각각의 메커니즘이 다른 하나의 메커니즘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안내 요소는 부비강(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에의 접근을 위해 그리고 소공의 확장 동안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 내로 삽입되어 그곳에 위치될 수 있고, 수술 현장으로부터 의료 장치(600)를 제거하지 않고서 또는 안내 요소의 후퇴를 보조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원을 요구하지 않고서 벌룬 카테터를 통해 부비강의 세척을 위한 용이하게 조작되는 핸들 제어의 사용에 의해 그곳으로부터 용이하게 후퇴될 수 있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202) 및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204)은 동일 트랙 내에서 동축이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요소(2224)는 안내 요소(2224) 및 벌룬 카테터(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설정 동안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202)의 압축된 상태에서 스프링(2226) 내에 유지되고 있다. 세척이 요구될 때, 안내 요소(2224)는 스프링(2226)을 압축해제하는 클램프 해제부 또는 버튼을 통해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도 22c 참조)으로부터 해제된다. 안내 요소(2224)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202) 내에서 느슨하게 되고 자동으로 세척 경로 밖으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프링이 전개된(압축해제된) 후에, 장치를 비-세척 모드로 재설정하기 위해, 안내 요소 및 스프링은 재설정될 필요가 있다(스프링은 재-압축되어야 함). 이는 화살표(1400)의 방향으로 안내 요소 상에서, 스프링을 근위측으로부터 재압축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식 플런저 유형 메커니즘 또는 핸들 내로 또는 안내 요소 둘레에 포함된 스프링 재설정-메커니즘을 당김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302)은 터널(2310)을 갖고,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304)의 돌출부(2312)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302) 아래로 지나갈 정도로 충분히 작다.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302)은 안내 요소의 후퇴 및 결과적인 세척의 사용을 위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304) 위로 지나갈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302)이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2304)에 대해 원위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안내 요소가 후퇴되고 손가락의 이동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2302)과 연속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처치된 영역의 가시화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600) 또는 장치(1100)와 함께 내시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내시경의 근위 단부와 장치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임의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장치(600) 또는 장치(1000)를 갖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볼 및 소켓과 같은 회전 및 관절 요소가 도 9에 도시된 핸들(614)과 안내 카테터(602) 사이에 삽입된다. 요소는 주어진 범위의 회전 및 굽힘 각도 내에서 조정 가능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방법 전에 또는 그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별개의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소정의 예 또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의도된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들 예 및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추가, 삭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의 임의의 요소 또는 속성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그렇게 하는 것이 그 실시예 또는 예를 그의 의도된 사용에 부적합하게 하지 않는 경우, 다른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되거나 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법 또는 공정의 단계가 특정 순서로 기술되거나 열거되었지만, 이러한 단계의 순서는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또는 그렇게 하는 것이 그 방법 또는 공정을 그의 의도된 목적을 위해 실행할 수 없게 하지 않는 한 변경될 수 있다. 모든 적절한 추가, 삭제, 수정 및 변경은 기술된 예 및 실시예의 동등물로 고려되고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4)

  1. 부비동(sinus)에 접근하고 확장시키고 세척하기 위한 의료 장치로서,
    상기 의료 장치의 한손 조작(single-handed operation)에 유용한 핸들(handle)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의 핸들 본체를 갖는, 상기 핸들;
    상기 핸들 원위 단부에 부착된 부비동 안내 카테터(guide catheter);
    상기 부비동에 접근하기 위한 안내 요소(guiding element); 및
    상기 부비동을 확장시키고 세척하기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balloon dilation catheter)를 포함하고,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movement mechanism)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이, 상기 부비동으로부터 상기 의료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서 상기 부비동에 접근하고 확장시키고 세척하도록, 상기 안내 요소 및 상기 벌룬 카테터의 한손 이동을 위해 상기 핸들을 따라 활주가능한,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핸들 및 안내 카테터를 통해 상기 벌룬 카테터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핸들 및 안내 카테터를 통해 상기 안내 요소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안내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의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상기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나란히 위치되는, 의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 및 상기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포개져 위치되는, 의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는 통합 샤프트 시스템(integrated shaft system)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상기 근위 부분 및 상기 원위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팽창 루멘(inflation lumen);
    상기 원위 부분 내의 조합된 세척 루멘 및 안내 요소 루멘; 및
    상기 근위 부분 내의 동축 세척 및 안내 요소 루멘들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통합 샤프트 시스템은,
    상기 근위 부분 및 상기 원위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팽창 루멘;
    상기 원위 부분 내의 조합된 세척 루멘 및 안내 요소 루멘; 및
    상기 근위 부분 내의 나란한 세척 및 안내 요소 루멘들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인, 의료 장치.
  11.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을 처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핸들;
    안내 요소;
    부비동 안내 카테터; 및
    세척 개구,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갖는 벌룬 확장 카테터
    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상기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 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 내에 상기 부비동 안내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의 상기 목표 공간 내로 상기 안내 요소를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의 상기 목표 공간 내로, 상기 안내 요소 위에서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벌룬을 수축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로부터 상기 안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안내 요소 이동 메커니즘을 근위 방향으로 활주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 세척 개구를 통해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상기 목표 공간은 전두동 개방부(frontal sinus opening), 상악동 개방부(maxillary sinus opening), 사골동 개방부(ethmoid sinus opening) 및 접형동 개방부(sphenoid sinus openin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부비동 개방부의 처치를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의 샤프트 시스템으로서, 근위 샤프트 섹션, 중간 샤프트 섹션 및 원위 샤프트 섹션을 갖는, 상기 샤프트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샤프트 섹션은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팽창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샤프트 섹션은 안내 요소 삽입 포트(insertion port)를 갖는 하이포튜브(hypotube), 안내 요소 루멘 및 팽창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요소 루멘 및 상기 팽창 루멘은 나란한 루멘들이며,
    상기 원위 샤프트 섹션은 팽창가능한 벌룬 및 안내 요소 루멘을 포함하는, 벌룬 확장 카테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샤프트 섹션은 비외상성 팁 부분(atraumatic tip portion)을 추가로 포함하는, 벌룬 확장 카테터.
  15.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직접 가시화 마커(direct visualization marker)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벌룬 확장 카테터.
  16.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방사선 촬영 마커(radiographic marker)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벌룬 확장 카테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외상성 팁 부분은 방사선 촬영에서 가시적인, 벌룬 확장 카테터.
  18. 부비동에 접근하고 확장시키기 위한 의료 장치로서,
    부비동 안내 카테터;
    안내 요소; 및
    벌룬 확장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의 샤프트 시스템으로서, 근위 샤프트 섹션, 중간 샤프트 섹션 및 원위 샤프트 섹션을 갖는, 상기 샤프트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샤프트 섹션은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팽창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샤프트 섹션은 안내 요소 삽입 포트를 갖는 하이포튜브, 안내 요소 루멘 및 팽창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요소 루멘 및 상기 팽창 루멘은 나란한 루멘들이며,
    상기 원위 샤프트 섹션은 팽창가능한 벌룬 및 안내 요소 루멘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은 하나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상기 핸들 및 안내 카테터를 통해 상기 벌룬 카테터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되는, 벌룬 확장 카테터.
  20.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직접 가시화 마커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벌룬 확장 카테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방사선 촬영 마커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벌룬 확장 카테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는 안내와이어(guidewire) 또는 부비동 조명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료 장치.
  23.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을 처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부비동 안내 카테터;
    안내 요소; 및
    벌룬 확장 카테터로서,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의 샤프트 시스템으로서, 근위 샤프트 섹션, 중간 샤프트 섹션 및 원위 샤프트 섹션을 갖는, 상기 샤프트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샤프트 섹션은 벌룬 카테터 이동 메커니즘 및 팽창 루멘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샤프트 섹션은 안내 요소 삽입 포트를 갖는 하이포튜브, 안내 요소 루멘 및 팽창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요소 루멘 및 상기 팽창 루멘은 나란한 루멘들이며,
    상기 원위 샤프트 섹션은 팽창가능한 벌룬 및 안내 요소 루멘을 포함하는,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
    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부비동 안내 카테터 내로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안내 요소 삽입 포트 내로 안내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 내에 상기 안내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의 상기 목표 공간 내로 상기 안내 요소를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의 상기 목표 공간 내로, 상기 안내 요소 위에서 상기 벌룬 확장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목표 공간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벌룬을 수축시키는 단계;
    상기 의료 장치 내로 상기 안내 요소 및 상기 벌룬을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비동 해부학적 구조로부터 상기 의료 장치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 해부학적 구조 내의 상기 목표 공간은 전두동 개방부, 상악동 개방부, 사골동 개방부 및 접형동 개방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47031617A 2012-04-13 2013-04-12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 KR201401438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23892P 2012-04-13 2012-04-13
US61/623,892 2012-04-13
US201261675569P 2012-07-25 2012-07-25
US61/675,569 2012-07-25
US201261698040P 2012-09-07 2012-09-07
US61/698,040 2012-09-07
US13/827,593 2013-03-14
US13/827,593 US9579448B2 (en) 2012-04-13 2013-03-14 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PCT/US2013/036362 WO2013155409A1 (en) 2012-04-13 2013-04-12 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42A true KR20140143842A (ko) 2014-12-17

Family

ID=4819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17A KR20140143842A (ko) 2012-04-13 2013-04-12 부비동의 처치 및 세척을 위한 벌룬 확장 카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5) US9579448B2 (ko)
EP (1) EP2836138B1 (ko)
JP (2) JP6612125B2 (ko)
KR (1) KR20140143842A (ko)
CN (1) CN104220015B (ko)
AU (1) AU2013245790A1 (ko)
CA (1) CA2870282A1 (ko)
ES (1) ES2744706T3 (ko)
IN (1) IN2014DN08038A (ko)
MX (1) MX2014012375A (ko)
RU (1) RU2014145533A (ko)
WO (1) WO2013155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6150B2 (en) 2009-12-15 2024-05-21 Lumend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the side wall of a body lumen or body cavity so as to provide increased visualization of the same and/or increased access to the same, and/or for stabilizing instruments relative to the same
US11877722B2 (en) 2009-12-15 2024-01-23 Cornell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the side wall of a body lumen or body cavity
RU2013118358A (ru) * 2010-09-22 2014-10-27 Аккларент, Инк.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отверстия пазухи
US9186100B2 (en) 2011-04-26 2015-11-17 Velano 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US8366685B2 (en) 2011-04-26 2013-02-05 Creative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US10076272B2 (en) 2011-04-26 2018-09-18 Velano Vascu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US8998985B2 (en) 2011-07-25 2015-04-07 Rainbow Medical Ltd. Sinus stent
US20130274600A1 (en) 2012-04-13 2013-10-17 Acclarent, Inc. Devices and Method for Maxillary Sinus Lavage
US9579448B2 (en) 2012-04-13 2017-02-28 Acclarent, Inc. 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US9463307B2 (en) 2012-12-21 2016-10-11 Medtronic Xomed, Inc. Sinus dilation system and method
ITRM20130654A1 (it) * 2013-11-26 2015-05-27 Mario Priore Dispositivo per la diagnosi ed il trattamento di patologie dell¿orecchio.
US9516995B2 (en) * 2013-12-17 2016-12-13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9510743B2 (en) * 2013-12-17 2016-12-06 Biovision Technologies, Llc Stabilized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10016580B2 (en) * 2013-12-17 2018-07-10 Biovision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treating sinus diseases
US9694163B2 (en) 2013-12-17 2017-07-04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for performing a sphenopalatine ganglion block procedure
USD802127S1 (en) 2014-06-02 2017-11-07 Simplicity, Llc Nasal dilator
USD834188S1 (en) 2014-06-02 2018-11-20 Simplicity, Llc Nasal dilator
USD772408S1 (en) 2014-07-09 2016-11-22 Simplicity Nasal dilator
JP2017530768A (ja) * 2014-09-11 2017-10-19 アクラレ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cclarent, Inc. ロープロファイルの耳管拡開システム
USD772406S1 (en) 2014-12-16 2016-11-22 Biovision Technologies, Llc Surgical device
US10322269B1 (en) 2015-01-19 2019-06-18 Dalent, LLC Dilator device
US10137285B2 (en) * 2015-04-22 2018-11-27 Acclarent, Inc. Balloon dilation system with malleable internal guide
CN104825120A (zh) * 2015-05-08 2015-08-12 南京微创医学科技有限公司 Oct内窥扫描成像系统中使用的光学时钟信号发生系统和方法
CN104905957A (zh) * 2015-06-30 2015-09-16 福州创方医药科技有限公司 鼻窦扩张冲洗器及其使用方法
US10123685B2 (en) 2015-08-25 2018-11-13 Acclarent, Inc. Apparatus and method to illuminate and orient guidewire
US10034681B2 (en) 2015-10-30 2018-07-31 Acclarent, Inc. Fluid communication features for Eustachian tube dilation instrument
US10300247B2 (en) 2016-02-03 2019-05-28 Velano Vascular,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luid transfer through a placed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US10675442B2 (en) 2016-02-08 2020-06-09 Nextern, Inc. Robotically augmented catheter manipulation handle
US10625062B2 (en) 2016-03-08 2020-04-21 Acclarent, Inc. Dilation catheter assembly with rapid change components
US10321913B2 (en) 2016-08-04 2019-06-1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Balloon positioning in a sinuplasty procedure
US10799092B2 (en) * 2016-09-19 2020-10-13 Covidien Lp System and method for cleansing segments of a luminal network
KR101802317B1 (ko) * 2016-11-25 2017-11-29 (의료)길의료재단 굽힘각과 풍선 위치 조절이 가능한 부비동용 풍선 카테터
US11071584B2 (en) * 2016-12-09 2021-07-27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Pulmonary vein isolation balloon catheter
WO2018106688A2 (en) 2016-12-09 2018-06-14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Pulmonary vein isolation balloon catheter
CN114470485A (zh) 2017-03-21 2022-05-13 威蓝诺血管股份有限公司 通过已放置的外周静脉导管进行流体输送的装置和方法
EP4059556A1 (en) 2017-03-21 2022-09-21 Velano Vascular, Inc. Methods for controlling catheter device size
CN106955412A (zh) * 2017-03-29 2017-07-18 关丽鹃 鼻窦扩张系统
US11039846B2 (en) 2017-04-25 2021-06-22 Biosense Webster (Israel) Ltd. Guidewire manipulator
CN107233656B (zh) * 2017-07-18 2022-12-02 依奈德医疗技术(上海)有限公司 鼻窦球囊导管系统
US20190069759A1 (en) * 2017-09-06 2019-03-07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ingle Handled ENT Tool
US10682496B2 (en) 2017-11-16 2020-06-1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handle
US20210023295A1 (en) * 2018-02-08 2021-01-28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Submucosal drug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08159550A (zh) * 2018-02-12 2018-06-15 倪关森 带有光源成像的可视化腔体扩张系统
US10688289B2 (en) * 2018-06-12 2020-06-23 Intersect 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nus access
WO2020005910A1 (en) 2018-06-28 2020-01-02 Sandler Scientific, Llc Sino-nasal rinse delivery device with agitation, flow-control and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11395906B2 (en) 2018-12-12 2022-07-26 Acclarent, Inc. Combined sinuplasty and seeker instrument with navigation and illumination modalities
CN113260325A (zh) * 2019-01-11 2021-08-13 美敦力施美德公司 窦扩张
JP7360443B2 (ja) 2019-03-22 2023-10-12 株式会社カネカ 内視鏡用処置具
USD877325S1 (en) 2019-06-06 2020-03-03 Dalent, LLC Inflatable therapeutic treatment balloon device
US11752020B2 (en) * 2019-06-19 2023-09-12 Michael J. Spearman Tool for placement of degradable ostial stent
JP2022545801A (ja) 2019-08-20 2022-10-31 ベラノ バスキュ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伸長型カテーテルを有する流体移送装置とその使用方法
CN111388847A (zh) * 2020-03-26 2020-07-10 乐恩(北京)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全组鼻窦给药器和给药方法
CN111419356B (zh) * 2020-04-16 2021-03-19 杭州市第一人民医院 摁压步进式穿刺辅助装置
US20210338920A1 (en) * 2020-05-01 2021-11-04 Lumend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avage and suction at a surgical site in a body lumen or body cavity
US20210338056A1 (en) * 2020-05-01 2021-11-04 Lumend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avage and suction at a surgical site in a body lumen or body cavity
CN112315418B (zh) * 2020-11-19 2023-03-14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的双管道消化内镜
CA3197752A1 (en) 2020-11-26 2022-06-02 Avia Vascular, Llc Bloo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13143747A (zh) * 2021-06-01 2021-07-23 黄海兵 鼻腔喷头组件及鼻腔冲洗装置
WO2023019158A1 (en) * 2021-08-10 2023-02-16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Point-of-care transesophageal echo-oximeter with a miniature nasal probe for central hemodynamics assessment
CN114271765B (zh) * 2021-12-23 2022-07-12 青岛钰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复合光穿透增强成像系统及增强成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889A (en) * 1992-12-01 1994-07-12 Cardiac Pathways Corporation Mapping and ablation catheter with individually deployable arms and method
US5441483A (en) * 1992-11-16 1995-08-15 Avitall; Boaz Catheter deflection control
US6217547B1 (en) * 1996-01-16 2001-04-1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Lubricous and readily bondable catheter shaft
US7654997B2 (en) 2004-04-21 2010-02-02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sinusitus and other disorders of the ears, nose and/or throat
US20060004323A1 (en) 2004-04-21 2006-01-05 Exploramed Nc1,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ilating and modifying ostia of paranasal sinuses and other intranasal or paranasal structures
US7462175B2 (en) 2004-04-21 2008-12-09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US7803150B2 (en) 2004-04-21 2010-09-28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ing sinusitis
US8894614B2 (en) 2004-04-21 2014-11-25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eable for treating frontal sinusitis
US8114113B2 (en) * 2005-09-23 2012-02-14 Acclarent, Inc. Multi-conduit balloon catheter
US20100274188A1 (en) 2007-12-20 2010-10-28 Acclar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Target Tissue Within the Eustachian Tube
US9011412B2 (en) 2008-05-16 2015-04-21 Ford Albritton, IV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surgical catheter and working device with a single hand
BRPI0919195A2 (pt) * 2008-09-18 2019-09-24 Acclarent Inc metodos e aparelhos para o tratamento de transtornos do ouvido, nariz e garganta
JP2010220883A (ja) * 2009-03-24 2010-10-07 Terumo Corp 医療用デバイス
WO2011140535A1 (en) 2010-05-07 2011-11-10 Entellus Medical, Inc. Sinus balloon dilation catheters and sinus surgury tools
RU2013118358A (ru) * 2010-09-22 2014-10-27 Аккларент, Инк.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отверстия пазухи
CN103118584B (zh) 2010-09-22 2016-06-22 阿克拉伦特公司 用于治疗鼻窦疾病的设备
CA2843145A1 (en) 2011-07-25 2013-01-31 Acclaren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nasal dilation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US9579448B2 (en) * 2012-04-13 2017-02-28 Acclarent, Inc. 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45790A1 (en) 2014-11-20
JP2015512758A (ja) 2015-04-30
ES2744706T3 (es) 2020-02-26
IN2014DN08038A (ko) 2015-05-01
JP6577075B2 (ja) 2019-09-18
EP2836138B1 (en) 2019-06-12
US9579448B2 (en) 2017-02-28
EP2836138A1 (en) 2015-02-18
US10905820B2 (en) 2021-02-02
US20210128816A1 (en) 2021-05-06
JP2018108407A (ja) 2018-07-12
WO2013155409A1 (en) 2013-10-17
CA2870282A1 (en) 2013-10-17
JP6612125B2 (ja) 2019-11-27
US11167080B2 (en) 2021-11-09
US11844539B2 (en) 2023-12-19
US20140107427A1 (en) 2014-04-17
CN104220015A (zh) 2014-12-17
RU2014145533A (ru) 2016-06-10
US20170128661A1 (en) 2017-05-11
MX2014012375A (es) 2014-11-25
CN104220015B (zh) 2018-09-28
US20210220546A1 (en) 2021-07-22
US20240041486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080B2 (en) Balloon dilation catheter system for treatment and irrigation of the sinuses
US11123479B2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 sinus opening
US11490912B2 (en) Device for removing kidney st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