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948A -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948A
KR20140140948A KR1020130062023A KR20130062023A KR20140140948A KR 20140140948 A KR20140140948 A KR 20140140948A KR 1020130062023 A KR1020130062023 A KR 1020130062023A KR 20130062023 A KR20130062023 A KR 20130062023A KR 20140140948 A KR20140140948 A KR 2014014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late
work table
pair
gu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211B1 (ko
Inventor
김곤
Original Assignee
김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곤 filed Critical 김곤
Priority to KR102013006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3/00Arrangements for removing bark-zones, chips, waste, or dust,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wood-working machine or in wood-work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3D59/001Measuring or control devices, e.g. for automatic control of work feed pressure on band saw blade
    • B23D59/002Measuring or control devices, e.g. for automatic control of work feed pressure on band saw blade for the position of the saw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7/00Guide fences or stop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Measuring equipment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1/00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 B27B31/003Arrangements for conveying, loading, turning, adjusting, or discharging the log or timber, specially designed for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18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mounted on a hanging arm or at the end of a set of bars, e.g. parallelo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원목을 제재하여 펠릿성형홈이 가공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판재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판재를 작업테이블의 타측단으로 동시에 잡아 당기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말단 근처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작업테이블상에 설치되는 판재이동수단;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말단에 인접 설치되어 판재이동수단에 의해 정해진 길이만큼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자동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컷팅수단;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이동시간 및 이동간격, 상기 컷팅수단의 회전속도 및 절단간격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된 마이컴이 내장되고, 전원공급과 자동 및 반자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제어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Cutting device for forming the wood pellet}
본 발명은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판재형으로 제재하여 판재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펠릿 성형을 위한 홈 가공이 된 복수개의 판재를 테이블 일측에서 동시에 공급하여 테이블의 타측에 설치된 절단 톱을 이용하여 설정된 길이로 자동 절단하도록 구성된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목재를 이용한 펠릿(pellet) 성형방법은 일반적으로 목재의 제재시 발생되는 톱밥이나 목재를 잘게 부숴 만든 칩에 바인더나 기타 첨가물을 혼합시킨 후에 성형기에 넣어 일정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되어 연료용 및 기타 소재로 이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특수한 용도 예를 들면 침구용이나 장식용 등 특정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원목을 제재하여 직접 펠릿을 만들어 사용하는 기능성 펠릿도 일부 존재하였다.
그러나, 원목을 직접 제재하여 크기가 작은 목재 펠릿을 생산하는 경우, 생산단가가 높기 때문에 그 이용분야가 매우 제한되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 나무의 종류에 따라 나무가 갖는 특별한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원목을 직접 이용한 펠릿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펠릿을 생산하는 장치나 그 방법은 전통적인 방법이 그대로 이용되고 있어서 펠릿의 생산성과 작업성 및 고품질의 펠릿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12-91524호(발명의 명칭: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연료용 펠릿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 : 2012.08.20) 한국 특허공개 제10-2011-101366호(발명의 명칭: 연료용 목재펠릿 제조장치, 공개일 : 2011.09.16)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4634호(고안의 명칭: 원형 톱기계용 금속판재 절단장치, 등록일 : 2006.8.17)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6678호(고안의 명칭 : 금속판상 소재 자동공급장치, 등록일: 2001.06.21)
본 발명은 원목을 일정 두께의 판재로 제재한 후에 펠릿 성형을 위한 가공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판재를 설정된 길이로 자동 절단하도록 하여 원목 펠릿의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고품질의 펠릿 셍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는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원목을 제재하여 펠릿성형홈이 가공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판재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판재를 작업테이블의 타측단으로 동시에 잡아 당기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말단 근처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작업테이블상에 설치되는 판재이동수단;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말단에 인접 설치되어 판재이동수단에 의해 정해진 길이만큼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자동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컷팅수단;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이동시간 및 이동간격, 상기 컷팅수단의 회전속도 및 절단간격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된 마이컴이 내장되고, 전원공급과 자동 및 반자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제어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판재이동수단은 펠릿성형홈이 가공된 복수의 판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말단 컷팅수단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좌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수평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 일측 클램프가 전후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 고정부재와, 상기 클램프 고정부재에 설치된 일측 클램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 이내에서 좌우 수평이동하면서 양측 클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판재를 클램프의 이동전후에 가압 및 가압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가압편과, 상기 클램프의 전후 수평이동과 상기 가압편의 좌우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 고정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일측 클램프와 가압편을 동작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제2동작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컷팅수단은 상기 판재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속도로 회전 가능한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원형톱을 강제 승하강시켜 복수의 판재를 절단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원형톱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의 일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당김 시 판재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는 회전중심축이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에 회전가능한 아이들 롤러 복수개가 일직선상에 연속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일측 가이드부재는 대향 측 가이드부재에 대해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킷팅수단의 일측에는 판재의 절단시 발생된 비산먼지 및 톱밥을 강제 흡입 배출하기 위한 분진제거수단이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는 원목으로부터 1차 제재된 판재의 표면에 펠릿성형홈이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상태에서 복수의 판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왕복 이동하는 판재이동수단에 의해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된 판재를 컷팅수단으로 자동 컷팅하여 펠릿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펠릿 생산을 통해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펠릿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자동공정을 통해 작업테이블에 안착된 복수의 판재를 동시에 컷팅하여 펠릿을 생산함으로써 생산공정 단축과 작업자의 노동력 감소를 통해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여 경쟁력 있는 기능성 펠릿의 생산 및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성형용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장치에서 컷팅수단이 설치된 정면부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장치에 사용되는 원목에서 제재된 판재의 외관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단장치에서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의 일측 분리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장치에서 판재이동수단의 발췌도,
도 7은 도 6의 판재이동수단의 분리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성형용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펠릿성형용 절단장치(100)는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작업테이블(20)과, 상기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상호 마주보게 작업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원목을 제재하여 펠릿성형홈이 가공된 복수의 판재를 수직으로 세워진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판재를 작업테이블(20)의 타측단으로 동시에 잡아 당기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1,22)의 말단 근처인 작업테이블(20)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1,22)가 설치된 방향으로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판재이동수단(30)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판재이동수단(30)의 말단에 인접되어 판재이동수단(30)에 의해 정해진 길이만큼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자동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20)의 말단 상면에는 컷팅수단(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테이블(2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판재이동수단(30)의 이동시간, 이동간격 및 상기 컷팅수단(40)의 회전속도 등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된 마이컴(도시생략)이 내부에 내장된 제어조작부(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어조작부(60)의 마이컴에는 판재이동수단(30)의 클램프 이동주기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컷팅수단(40)이 상하 승강되어 판재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화된 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상기 판재이동수단(30)의 이동주기에 맞춰서 판재의 가압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후술하는 제1,제2동작실린더의 작동시간 등이 셋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조작부(60)의 외측판넬에는 절단장치의 메인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전원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공급표시등, 절단장치를 자동이나 반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자동 및 반자동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면이 평평한 작업테이블(20)의 중앙부에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 사이에 고정되는 펠릿 성형용 복수의 판재를 작업테이블(20)의 타측단으로 잡아 당기면서 일정 크기로 컷팅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1,22)의 말단측에 판재이동수단(30) 및 컷팅수단(40)이 각각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절단장치(100)에 이용되는 판재는 원목을 일정 두께로 제재한 것으로, 제재된 판재의 길이에 적합하게 상기 작업테이블(20) 및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1,22)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절단장치(100)에서 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수단(40)이 설치된 부위를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컷팅수단(40)은 그 전방에 설치된 상기 판재이동수단(30)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원형톱(42)이 일단이 힌지고정되어 상하 동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원형톱(42)의 상단에 구비된 손잡이(45)에는 상기 작업테이블(20)의 일측면에 설치된 승강실린더(44)가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44)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원형톱(42)이 승강되면서 그 하부로 진입하는 판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4)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강실린더(44)의 동작을 위한 에어공급은 별도의 에어공급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에어공급 및 승강실린더의 동작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에 해당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컷팅수단(40)의 일측,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실린더(44)가 설치된 반대쪽에는 작업테이블(20)과 별도로 분리 구성되어 원형톱(42)으로 판재 절단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톱밥을 강제 흡입하는 분진제거수단(70)이 설치된다.
상기 분진제거수단(70)은 원형톱(42)의 힌지축 후단에 설치된 흡입호스(74)와, 상기 흡입호스(74)로 유입된 먼지나 톱밥 등을 저장하고 정화된 공기만 배출시키는 집진기(7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절단장치(100)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펠릿성형용 판재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되는 판재(10)는 원목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제재된 후에 판재의 양 측면 또는 일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펠릿을 성형하기 위한 펠릿성형홈(15)이 일정 깊이 및 간격으로 가공되어 있다.
상기 펠릿성형홈(15)은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일정깊이 홈 가공되어 판재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펠릿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컷팅수단(40)으로 절단될 때 각각의 펠릿이 낱개로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어 판재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고, 절단 후 별도의 연마공정을 거칠 때 각 펠릿은 낱개로 분리된다.
한편, 도 5는 복수개의 판재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지지하도록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 중 일측 가이드부재(21)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는 전후 또는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복수개의 판재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판재가 접촉하는 가이드부재(21,22)의 내측면은 표면이 매끄러운 수평단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프레임(25,25a)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이동롤러(24,24a)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판재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롤러(24,24a)가 설치된 구조의 상기 가이드부재(21,22)는 상호 대면하는 내측면에 이동롤러(24,24a)가 설치되되, 판재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동롤러(24,24a)의 회전축이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고정프레임(25,25a)에 고정 설치되어 판재의 이동시 아이들링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롤러(24)는 복수개가 고정프레임(25)의 일측면에 일직선으로 연속되게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재(21,22)는 어느 일측 가이드부재(22)가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재(21)는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서 대향측 가이드부재(22)에 대해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측 가이드부재(21)가 타측 가이드부재(22)에 비해 길이가 짧고, 고정프레임(25a)의 후단에 별도의 장공(28)이 형성된 폭조절구(26)가 구비되며, 상기 장공(28)과 작업테이블(20)의 상면에 관통된 고정공(29)에 고정구(27)가 결합되어 고정구(27)의 조임과 해제로 그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장치(100)에서 판재를 이동시키는 판재이동수단(30)의 구성을 발췌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상기 판재이동수단(30)의 분리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이동수단(30)은 펠릿성형홈이 가공된 복수의 판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작업테이블 말단에 설치된 컷팅수단(4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좌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한 쌍의 클램프(32a,32b)가 복수의 수평고정부재(33)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32a,32b)의 좌우 폭은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부재(21,22)의 설치폭보다 다소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32a,32b) 중 일측 클램프(32a)는 작업테이블(20)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 클램프 고정부재(50)에 고정되어 상기 판재의 이동방향과 일치되게 좌우 또는 전후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클램프 고정부재(50)에 고정 설치된 일측 클램프(32a)의 내측면에는 반대측 클램프(32b)를 향해 직각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양측 클램프(32a,32b)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판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도록 일측 클램프(32a)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 이내에서 유동가능한 가압편(55)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32) 직진 좌우이동과 상기 가압편(55)의 전후 수평이동은 상기 클램프 고정부재(5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 제 1 및 제2동작실린더(56,57)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며, 일측 클램프(32a)가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 고정부재(50)의 내측면과 일측 클램프(32a)의 외측면 사이에는 이동가이드(52)가 암수 구조로 각각 설치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동작실린더(56)의 동작에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2동작실린더(56,57)도 상술한 컷팅수단(40)의 승강실린더(44)와 마찬가지로 공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구성되며, 각 실린더에는 압축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에어공급 및 배출호스가 에어공급장치(도시생략)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당업자가 간단히 구성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8에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100)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작업테이블(20)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1,22)의 내측으로 원목을 제재한 후에 그 표면에 펠릿성형홈이 가공된 복수개의 판재(10)를 세운 상태로 위치시킨 후에 폭 조절이 가능한 일측 가이드부재(21)를 판재 외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양쪽 가이드부재(21,22)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판재(10) 일측 선단부는 가이드부재(21,22)의 일측 말단부 근처에 구비된 판재이동수단(30)의 클램프 내측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킨다.
이렇게 작업테이블(20)의 가이드부재(21,22) 내측에 복수의 판재(10)를 고정시킨 후에 상기 제어조작부(60)에서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작업방법을 선택한 후에 전원스위치를 켜면 판재이동수단(30)의 클램프가 후진하여 정렬된 복수의 판재를 가압편의 가압력으로 클램핑하여 컷팅수단(40) 측으로 판재를 이동시킨다.
상기 판재이동수단(30)의 클램프가 판재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가압력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44)가 하강(수축)하고, 승강실린더(44)의 하강(수축)으로 상기 컷팅수단(40)의 원형톱이 하강하여 이동된 판재를 절단한 후 상승함과 동시에 판재이동수단(30)의 가압편은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판재이동수단의 후진으로 다시 최초 위치로 원상복귀된다.
최초 위치로 복귀한 판재이동수단(30)의 가압편은 다시 제2동작실린더의 동작을 통해 판재를 클램핑하고, 판재의 클램핑 후 컷팅수단 측으로 클램프가 다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고, 상기 컷팅수단(40)이 다시 하강 및 상승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 가압편의 해제와 동시에 클램프가 다시 후진하여 판재를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판재로부터 일정 크기의 펠릿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컷팅수단에서 절단된 펠릿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지만, 판재에 형성된 펠릿성형홈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여러개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절단되고, 절단된 부재는 그 후공정인 연마공정에서 연마되면서 각각의 낱개 펠릿으로 분리되어 제품화가 이루어진다.
10 : 판재 15 : 펠릿성형홈
20 : 작업테이블 21,22 : 가이드부재
24,24a : 이동롤러 25,25a : 고정프레임
26 : 폭조절구 27 : 고정구
28 : 장공 29 : 고정공
30 : 판재이동수단 32a,32b : 클램프
33a,33b : 수평고정부재 40 : 컷팅수단
42 : 원형톱 44 : 승강실린더
45 : 손잡이 50 : 클램프 고정부재
52 : 이동가이드 55 : 가압편
56,57 : 제1, 제2동작실린더 60 : 제어조작부
70 : 분진제거수단 72 : 집진기
74 : 흡입호스 100 : 목재 펠릿 성형장치

Claims (6)

  1.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원목을 제재하여 펠릿성형홈이 가공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판재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판재를 작업테이블의 타측단으로 동시에 잡아 당기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말단 근처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작업테이블상에 설치되는 판재이동수단;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말단에 인접 설치되어 판재이동수단에 의해 정해진 길이만큼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자동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타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컷팅수단;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이동시간 및 이동간격, 상기 컷팅수단의 회전속도 및 절단간격이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된 마이컴이 내장되고, 전원공급과 자동 및 반자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제어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이동수단은
    펠릿성형홈이 가공된 복수의 판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말단 컷팅수단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좌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수평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 일측 클램프가 전후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 고정부재와,
    상기 클램프 고정부재에 설치된 일측 클램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일정 범위 이내에서 좌우 수평이동하면서 양측 클팸프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판재를 클램프의 이동전후에 가압 및 가압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가압편과,
    상기 클램프의 전후 수평이동과 상기 가압편의 좌우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 고정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일측 클램프와 가압편을 동작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 제2동작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수단은
    상기 판재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복수의 판재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도록 일정 속도로 회전 가능한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원형톱을 강제 승하강시켜 복수의 판재를 절단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원형톱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의 일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판재이동수단의 당김 시 판재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는 회전중심축이 작업테이블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에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가 일직선상에 연속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일측 가이드부재는 대향 측 가이드부재에 대해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수단의 일측에는 판재의 절단시 발생된 비산먼지 및 톱밥을 강제 흡입 배출하기 위한 분진제거수단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성형장치.
KR1020130062023A 2013-05-30 2013-05-30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KR10151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023A KR101517211B1 (ko) 2013-05-30 2013-05-30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023A KR101517211B1 (ko) 2013-05-30 2013-05-30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48A true KR20140140948A (ko) 2014-12-10
KR101517211B1 KR101517211B1 (ko) 2015-05-06

Family

ID=5245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023A KR101517211B1 (ko) 2013-05-30 2013-05-30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5905A (zh) * 2018-08-24 2018-12-18 王国成 一种装配建筑用木料切割装置
CN110181607A (zh) * 2019-07-11 2019-08-30 攀枝花学院 原木自动下料装置
KR102173931B1 (ko) * 2020-08-14 2020-11-04 홍용민 목재 자동 재단 장치
CN112140248A (zh) * 2020-09-27 2020-12-29 龙光菊 一种农业用木材模具固定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73B1 (ko) * 2019-10-29 2021-08-27 (유)명진테크 자동 사면 대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142A (en) 1971-02-05 1975-10-07 Automated Building Components Automated saw
IT1294630B1 (it) 1997-09-11 1999-04-12 Rossa Ercole Della Macchina automatica elettronica taglia/spacca legna
JP2000355004A (ja) 1999-06-16 2000-12-26 Shimomura Seiko Kk 木材チップ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1300904A (ja) 2000-04-24 2001-10-30 Nakajima:Kk 板材加工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5905A (zh) * 2018-08-24 2018-12-18 王国成 一种装配建筑用木料切割装置
CN110181607A (zh) * 2019-07-11 2019-08-30 攀枝花学院 原木自动下料装置
CN110181607B (zh) * 2019-07-11 2024-04-09 攀枝花学院 原木自动下料装置
KR102173931B1 (ko) * 2020-08-14 2020-11-04 홍용민 목재 자동 재단 장치
CN112140248A (zh) * 2020-09-27 2020-12-29 龙光菊 一种农业用木材模具固定切割装置
CN112140248B (zh) * 2020-09-27 2022-12-20 盐城精一机械有限公司 一种农业用木材模具固定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211B1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211B1 (ko) 목재 펠릿 성형용 절단장치
WO2018120438A1 (zh) 极柱切削机
CN206083976U (zh) 一种钢管自动切割机
CN202367813U (zh) 后上料高速电脑裁板锯
CN110900208B (zh) 一种钣金加工用剪板去毛刺一体机
CN205834366U (zh) 自动切割送料机
CN103433392B (zh) 一种暖风散热器四角打点铆合机
CN205466572U (zh) 一种数控人造板单块板裁板锯
CN207077547U (zh) 双工位砧板送料系统
CN206883292U (zh) 管状工件开槽机上料机构
CN206201130U (zh) 五头切角机
CN203236554U (zh) 带锯机的自动送料进给设备
CN108857104A (zh) 一种用于激光切割的下料分张机构及其工作方法
CN110976997B (zh) 一种生产线快速平面铣削机床
CN109590842B (zh) 一种全自动木头倒角机
CN203592194U (zh) 活塞环自动倒内角机
CN207709948U (zh) 发动机气缸盖组合夹具加工工模
CN203228260U (zh) 一种多刀式切割机
CN206882899U (zh) 管状工件开槽机开槽磨面机构
CN210648817U (zh) 一种方便调节切割长度的切削机床
CN206882900U (zh) 管状工件开槽机
CN200981134Y (zh) 一种单头倒角装置
CN113580240B (zh) 一种集成墙板自动化裁切加工机械
CN109623032A (zh) 一种型材锯料机
CN217997532U (zh) 贴片自动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