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498A -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498A
KR20140140498A KR1020140062946A KR20140062946A KR20140140498A KR 20140140498 A KR20140140498 A KR 20140140498A KR 1020140062946 A KR1020140062946 A KR 1020140062946A KR 20140062946 A KR20140062946 A KR 20140062946A KR 20140140498 A KR20140140498 A KR 2014014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roove
perforated plate
cooking vessel
embod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956B1 (ko
Inventor
브느와 렁글렁
싸씨 베찌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14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8Handles having indicating means, e.g.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3)와 그 바닥부(3) 상에 고정된 천공 플레이트(6)를 포함하는 컬로트(2)를 갖는 조리 용기(1) 내에 센서, 특히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홈(11)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용 홈(11)은 상기 바닥부(3)와 상기 천공 플레이트(6)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a) 컬로트(2)의 바닥부(3) 내에 또는 천공 플레이트(6) 내에 그루브(5)를 구현하는 단계,
b) 상기 그루브(5) 내에 막대(10)를 배치하는 단계,
c) 천공 플레이트(6)를 상기 바닥부(3) 상에 위치시키고 압인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3) 상에 상기 천공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상기 막대(10)는 압인 작업시에 상기 바닥부(3)와 천공 플레이트(6) 사이에 형성된 수용 홈(11)의 기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d) 상기 막대(10)를 제거하고 상기 수용 홈(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막대(10)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CHANNEL RECEIVING A SENSOR IN A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 특히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조리 용기는 특히 팬, 냄비, 튀김용 팬, 솥 또는 압력솥 등과 같이, 음식물 조리를 위하여 조리용 열판, 버너 또는 유사한 기기 위에 배치하게 되어 있다.
문헌 EP0931495에는, 바닥부, 및 그 바닥부와 그 바닥부 상에 압인된 천공 플레이트 사이에 통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온도 센서는 측정된 값을 처리하고 온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2개의 도선에 의해 전자회로에 연결된다. 온도 센서 및 2개의 도선은 조리 용기의 바닥부 내에 구현된 수용 홈 내에 배치된다. 그 수용 홈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바닥부 내에 그루브를 구현함,
b) 바닥부 상에 천공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그 천공 플레이트를 바닥부 상에 압인에 의해 부착함(sertissage), 천공 플레이트에 의해 덮이는 그루브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센서는 천공 플레이트 상에 사전 조립됨.
그러나, 본 출원인은 천공 플레이트를 바닥부 상에 압인하여 부착하는 단계에서, 바닥부의 물질 또는 천공 플레이트의 물질이 그루브 내로 침하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홈의 크기가, 폭, 높이, 길이에 있어서 일정하지 않다. 그러한 크기 변동은 센서 및 도선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이 특히 샌드 블래스팅 등의 표면 처리 단계,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분사에 의한 피복 침적 단계, 또는 특히 트리밍 작업 또는 연마 작업 등의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수용 홈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들을 해소하고, 용기마다 제어되고 일정한 크기의 홈을 수득할 수 있게 하는,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용기의 마무리 단계들과 연관된 오염을 면하는 홈을 수득할 수 있게 하는,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하기에 경제적인, 조리 용기 내의 센서 수용 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 목적들은 바닥부 및 그 바닥부 상에 고정된 천공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컬로트(calotte)를 갖는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특히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홈-상기 수용 홈은 바닥부와 천공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달성되며, 그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컬로트의 바닥부 내에 또는 천공 플레이트 내에 그루브를 구현하는 단계,
b) 그 그루브 내에 막대(bar)를 배치하는 단계,
c) 바닥부 상에 천공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압인에 의해 바닥부 상으로 천공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막대는 압인 작업 시에 바닥부와 천공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홈의 기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d) 수용 홈을 비우고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막대를 인출하는 단계.
따라서, 막대는 천공 플레이트를 바닥부 상에 압인에 의해 부착하는 작업 시에 센서의 수용 홈의 크기를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막대는 상기 방법의 d) 단계 동안 열 공정, 물리적 공정 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하여 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 또는 분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구현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수용 홈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을 응력을 바닥부에도 천공 플레이트에도 가하지 않는 방법에 의해 막대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막대는 전체 또는 일부가 열의 효과로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전이되는 밀랍으로 구현된다.
유리하게는, 진동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특히 모래 또는 석고를 기반으로 한 적어도 하나의 압축 물질로 구현된다.
그러한 구성들에 의해, 매우 경제적인 방법으로 막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막대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물질로 구현된다.
따라서 막대의 일부분은, 특히 막대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물질로 구현되고, 나머지 부분은 열 공정, 물리적 공정 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거나 분해될 수 있는 물질로 구현된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막대를 더욱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막대는 강성 골격, 특히 금속성 골격을 갖는다.
그러한 구성은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막대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구성은 또한 막대의 저항력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막대는 연성 골격, 특히 스레드(thread)를 가지며, 상기 방법의 d)단계에서 막대를 분해하기 위하여 그 골격을 잡아당긴다.
막대는 스레드를 잡아당길 때 분해되는 분말, 폴리머, 밀랍, 석고로 피복될 수 있는 스레드를 가진다. 그러한 구성은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막대를 인출하는 단계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방법은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 표면 처리 단계, 특히 샌드 블래스팅, 및/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분사에 의해 피복을 침적하는 단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마무리 단계, 특히 트리밍 작업 또는 연마 작업을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 갖는다.
따라서, 막대의 제거는 표면 처리 작업 및 마무리 작업 이후에, 그 작업들과 연관된 잔여물들의 침적으로부터 수용 홈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 결과, 막대를 제거한 후 센서 수용 홈은 청결하다.
유리하게는, 막대는 종방향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그러한 구성은 센서의 수용 홈 내로의 삽입을 용이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막대는 천공 플레이트를 바닥부 상에 압인하여 부착할 때 직면하는 압력에 의해 압축가능하지 않거나 미약하게 압축가능한 물질로 구현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부를 포함하는 컬로트 및, 그 컬로트의 외부면 상에 고정된 천공 플레이트 및, 센서를, 특히 온도센서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고, 수용 홈은 바닥부와 천공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홈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는 팬, 냄비, 튀김용 팬, 솥 또는 압력솥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되고 절대로 한정적이지 않게 개시된 실시예들을 숙지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라 그루브 및 그 그루브 내에 위치하게될 막대가 그 내부에 구현된 디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선(II-II) 방향으로의 디스크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및 그루브 내에 위치된 막대, 및 압인되어 부착된 천공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직선(IV-IV) 방향으로의 디스크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디스크, 및 그루브 내에 위치한 막대, 및 압인되어 부착된 천공 플레이트로서 이루어진 컬로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컬로트의 막대를 인출하는 원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 내지 도 6은 센서, 예를 들어 온도 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홈(11)을 갖는 조리 용기(1)의 컬로트(2)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컬로트(2)는 바닥부(3) 및 그 바닥부(3) 상에 고정된 천공 플레이트(6)를 포함하고, 수용 홈(11)은 바닥부(3)와 천공 플레이트(6) 사이에 배치된다.
컬로트(2)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디스크(2a)의 형태를 갖는 금속판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합금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방법의 a)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냉간 압인에 의해, 디스크(2a)의 외면(8) 내에 그루브(5)를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디스크(2a)는 2 내지 6 mm 사이에 포함되는 두께의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그루브(5)는 1 내지 15 mm 사이에 포함되는 폭과 1 내지 4 mm 사이에 포함되는 깊이를 갖는다. 그루브(5)는 디스크(2a)의 중심으로부터 외면(8) 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본 방법의 변형 실시예에서, 컬로트(2)는 알루미늄 주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그루브(5)는 몰딩으로 준비된다. 주물로 된 컬로트(2)의 두께는 5 내지 10 mm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방법의 b) 단계는 압축 불가한 물질로 구현된 막대(10)를 그루브(5) 내에 가져오는 것으로 구성된다(도 1).
본 방법의 c)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면(8)과 막대(10)를 덮기 위하여 디스크(2a) 상에 천공 플레이트(6)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천공 플레이트(6)는 디스크(2a) 알루미늄의 탄성 한계보다 월등히 높은 탄성 한계를 갖는 금속 또는 합금, 특히 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천공 플레이트(6)는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천공 플레이트(6)는 다른 형태, 특히 다각형 또는 환형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천공 플레이트(6)는 경우에 따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천공 플레이트(6)는 압인 작업에 의하여 디스크(2a) 상에 고정된다(도 3). 천공 플레이트(6)의 구현 방법 및 천공 플레이트(6)를 디스크(2a) 상에 고정하는 방법은 프랑스 특허 FR 2 693 894 및 FR 2 711 051에 더욱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압인 작업시에, 천공 플레이트(6)는 디스크(2a)의 물질 내에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막대(10)는 천공 플레이트(6)가 일단 디스크(2a) 상에 압인되어 부착되었을 때 그 천공 플레이트로 덮이는 그루브(5)의 횡단면에 맞춰진 횡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막대는 압인 작업 시에 그루브(5)와 천공 플레이트(6)의 변형을 방지 및/또는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막대(10)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이고 막대(10)의 종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하다.
한 실시예에서, 막대(10)는 열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전이되는 밀랍을 몰딩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러한 몰딩 작업은 막대(10)를 틀에서 꺼내기 쉽도록 연성 몰딩틀 내에서 구현된다.
한 변형 실시예에서, 막대(10)는 진동의 효과로 분해될 수 있는, 특히 모래 또는 석고를 기반으로 한 압축 물질로 구현된다.
유리하게는, 막대(10)는 막대의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골격(1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막대(10)의 조작은 본 방법을 실시하는 여러 다른 작업 시에 용이해진다. 골격은 유연할 수 있고, 막대 물질의 더욱 용이하고 완전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특히 막대의 물질 내에 심어진 스레드(12)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막대(10)는 강성 골격(12)을 가질 수 있다.
컬로트(2)가 디스크(2a)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압인에 의하여 컬로트(2)의 형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도 5). 디스크의 외면(8)은 바닥부(3)를 형성하는 중앙부를 갖는다. 그 압인 작업시에, 막대(10)는 압인되어 부착된 천공 플레이트(6) 하부에서, 그루브(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일단 컬로트(2)가 형성되면, 본 방법은 컬로트(2)의 하나 또는 다수의 내면 처리 및/또는 외면 처리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표면 처리 단계들은 샌드 블래스팅, 부착방지 피복의 침적 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분사에 의한 장식물의 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컬로트(2)의 하나 또는 다수의 마무리 단계, 특히 컬로트(2) 가장자리의 트리밍 작업 또는 연마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처리 단계 및 마무리 단계 시에, 막대(10)는 압인되어 부착된 천공 플레이트(6) 하부에서, 그루브(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따라, 본 방법의 d) 단계는 수용 홈(11)을 비우고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막대(10)를 인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막대(10)가 밀랍으로 된 실시예에서, 컬로트(2)는 경사진 위치에서 밀랍의 융해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놓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밀랍은 액체화될 것이고 수용 홈(11)을 비우기 위하여 흘러나올 것이다.
막대(10)가 압축재로, 특히 모래 또는 석고를 기반으로 한 압축재로 구현된 변형 실시예에서, 컬로트(2)는 경사진 위치의 진동판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진동 효과에 의해, 막대(10)의 물질은 분해될 것이고 수용 홈(11) 외부로 흘러나갈 것이다.
막대(10)가 골격(12)을 갖는 변형 실시예들에서, 골격(12)은 천공 플레이트(6)의 외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단부(13)(도 1)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막대(10)의 인출 시에, 그 단부(13)가 도구에 의해 잡힐 수 있고 골격(12)을 인출하기 위하여 그 단부(13) 상으로 인장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막대(10) 물질의 분해와 수용 홈(11)으로부터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용 홈은 2개의 전도 소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온도 센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수용 홈의 종축 방향을 따라 2개의 전도 소자를 구비한 센서가 삽입된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로서만 명시되고 도시된 실시 예들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이 가능하며, 특히 다양한 요소들의 구성의 관점에서, 또는 상응하는 기술의 대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 변형 실시예에서, 그루브(5)는 천공 플레이트(6) 내에 또는 일부는 천공 플레이트(6) 내에, 일부는 컬로트(2)의 바닥부(3) 내에 구현된다.

Claims (11)

  1. 바닥부(3) 및 상기 바닥부(3) 상에 고정된 천공 플레이트(6)를 포함하는 컬로트(2)를 갖는 조리 용기(1) 내에서 센서, 특히 온도 센서를 수용하는 홈(1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11)은 상기 바닥부(3)와 상기 천공 플레이트(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컬로트(2)의 상기 바닥부(3) 내에 또는 상기 천공 플레이트(6) 내에 그루브(5)를 구현하는 단계,
    b) 상기 그루브(5) 내에 막대(10)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천공 플레이트(6)를 상기 바닥부(3) 상에 위치시키고 압인에 의해 상기 바닥부(3) 상에 상기 천공 플레이트(6)를 부착하고, 상기 막대(10)는 압인 작업 시에 상기 바닥부(3)와 상기 천공 플레이트(6) 사이에 형성된 수용 홈(11)의 기하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단계; 및
    d) 상기 막대(10)를 제거하고 상기 수용 홈(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막대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상기 d) 단계 동안 열 공정, 물리적 공정 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거나 분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전부 또는 일부가 열로 인하여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전이하는 밀랍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진동으로 인하여 분해될 수 있는, 특히 모래 또는 석고를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강성 골격(12)을, 특히 금속성 골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연성 골격(12)을, 특히 스레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막대(10)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골격(12)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표면 처리 단계, 특히 샌드 블래스팅, 및/또는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분사에 의하여 피복을 침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 마무리 단계, 특히 트리밍 작업 또는 연마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종방향을 따라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0)는 상기 천공 플레이트(6)를 상기 바닥부(3) 상에 압인할 때 직면하는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지 않거나 미약하게 압축 가능한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내에 수용 홈(11)을 구현하는 방법.
KR1020140062946A 2013-05-29 2014-05-26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 KR102160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4883 2013-05-29
FR1354883A FR3006160B1 (fr) 2013-05-29 2013-05-29 Procede de realisation d'un canal de reception d'un capteur dans un recipient de cuis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98A true KR20140140498A (ko) 2014-12-09
KR102160956B1 KR102160956B1 (ko) 2020-10-05

Family

ID=4915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946A KR102160956B1 (ko) 2013-05-29 2014-05-26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07965B1 (ko)
JP (1) JP6392544B2 (ko)
KR (1) KR102160956B1 (ko)
CN (1) CN104207651B (ko)
ES (1) ES2565315T3 (ko)
FR (1) FR3006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151B2 (en) 2017-08-09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CN212788226U (zh) 2019-02-25 2021-03-2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564B1 (en) * 1998-01-23 2001-03-27 Seb Sa Cooking utensil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integrated into the bottom of the utensil
EP1591049A1 (en) * 2004-04-28 2005-11-02 Imura International U.S.A.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ntrolled heatable objects
US20070012199A1 (en) * 2005-07-18 2007-01-18 Mingle Metal (Shen Zhen) Co. Limited Cooking Pan With Temperature Display
CN101201132A (zh) * 2007-12-03 2008-06-18 吴克銮 陶瓷水龙头壳体的制造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8847A (en) * 1976-06-04 1977-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duction of sheathed heater
FR2693894B1 (fr) 1992-07-24 1994-09-30 Seb Sa Procédé pour modifier les caractéristiques d'une surface de métal.
FR2711051B1 (fr) 1993-10-13 1995-12-29 Seb Sa Récipient de cuisson à déformation de fond maîtrisée.
EP1745729A1 (de) * 2005-07-18 2007-01-24 Mingle Instruments GmbH Europe Bratpfanne mit Thermome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564B1 (en) * 1998-01-23 2001-03-27 Seb Sa Cooking utensil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integrated into the bottom of the utensil
EP1591049A1 (en) * 2004-04-28 2005-11-02 Imura International U.S.A.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ntrolled heatable objects
US20070012199A1 (en) * 2005-07-18 2007-01-18 Mingle Metal (Shen Zhen) Co. Limited Cooking Pan With Temperature Display
CN101201132A (zh) * 2007-12-03 2008-06-18 吴克銮 陶瓷水龙头壳体的制造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956B1 (ko) 2020-10-05
CN104207651A (zh) 2014-12-17
ES2565315T3 (es) 2016-04-01
JP6392544B2 (ja) 2018-09-19
EP2807965A1 (fr) 2014-12-03
FR3006160A1 (fr) 2014-12-05
CN104207651B (zh) 2018-07-17
JP2014230779A (ja) 2014-12-11
FR3006160B1 (fr) 2015-09-18
EP2807965B1 (fr)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0498A (ko) 조리 용기 내에서 센서를 수용하는 홈의 제조 방법
JP5390606B2 (ja) 嵌め込みにより作製された装飾部品
RU2635788C2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деталь, выполненная с помощью установки на аморфном металле
RU2259158C2 (ru) Гибкая форма повышенной жесткости
CN109599327A (zh) 为使沉积留存增加而用于表面纹理化的几何形状和图案
HUP0301934A2 (hu) Eljárás fżzżedény gyártására és ilyen eljárással elżállított fżzżedény
US20140174125A1 (en) Decorative piece with invisible setting
KR20010010381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RU2016145919A (ru) Литейная форма для мон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литья
CN103894546A (zh) 端部凹凸复杂铸件的精密铸造方法
KR101956471B1 (ko) 인덕션 조리기용 발열판
KR100910219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6309693B2 (ja) 高度の真空環境で金属を成形する金型装置
EP3214983B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ob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cooking vessel
MY147916A (en) Glass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848396A (zh) 一种铝锅分体式底板压铸工艺
JP2006166728A (ja) 製造装置
JP2004290661A (ja) 調理用容器の底部に配設される金属板及び該金属板を備えた調理用容器並びに該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KR10092556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201178965Y (zh) 电磁炉用的陶器容器
KR101133089B1 (ko) 특별문양표면이 구비된 장신구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7323A (ja) 茶漉し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急須
KR100643650B1 (ko)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JP2006187493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の被加熱調理具
KR102033996B1 (ko)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