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369A -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369A
KR20140140369A KR20130061141A KR20130061141A KR20140140369A KR 20140140369 A KR20140140369 A KR 20140140369A KR 20130061141 A KR20130061141 A KR 20130061141A KR 20130061141 A KR20130061141 A KR 20130061141A KR 20140140369 A KR20140140369 A KR 2014014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unit
pum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운
Original Assignee
이정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운 filed Critical 이정운
Priority to KR2013006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369A/ko
Publication of KR2014014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에어 버블(Air Bubble)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하도록 한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압 펌프부가 외부의 세척액을 유입받아 가압시키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가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하며; 에어 펌프부가 외부 공기를 유입받아 가압시키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가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며; 혼합부가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를 에어 버블로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에 혼합시켜 배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Apparatus of cleaning pip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에어 버블(Air Bubble)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하도록 한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 설치된 급수, 급탕 등과 같은 용도의 건축배관, 각종 화공플랜트의 공정용 배관, 열교환기의 전열관 등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로 인하여 배관 내벽 면에 생성된 스케일(Scale), 슬라임(Slime) 등과 같은 이물질이나, 작업 후에 신설 배관의 내부에 남아 있는 잔재들을 처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건축물 내에 설치된 급수관은 건물의 기능을 유지하고 보건 위생과 직결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세척의 필요성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배관이 길고 구조가 복잡하여 이에 상응하는 적절한 배관 세척운용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배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거의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되어 왔다.
배관 내에 부착되는 연성 스케일이나 슬라임 등은 배관 내부의 유체를 오염시키거나 관을 부식시킴으로써 적수의 원인이 되고, 또한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세척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이들 배관에 대한 주기적인 세척은 배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관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여 펌프의 반송 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난방 전열관의 열전달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여 건물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시킴으로 궁극적으로 건물의 생애 비용(Life Cycle Cost; LCC)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적절한 세척 장치의 운용 방법이 없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교체를 하거나 내부식성이 높은 고가의 배관재를 신설 배관에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는 물론, 높은 초기 투자비의 원인이 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65호(2008.11.21 등록)는 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유입밸브와 배출밸브를 설치하고, 유입밸브에 피그를 유입시켜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그를 배출밸브까지 이송시켜 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에도 떨어지지 않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관의 수명이 지속되고, 다양한 크기의 관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관 등 어디서나 설치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높이도록 한 관 내부 세척 장치 및 이에 따른 작동운용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관 사이에 설치되는 관 내부 세척 장치에 있어서, 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거용 부재물을 관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밸브와; 유입밸브를 통해 관 내부에 유입되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그와; 유입밸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관 내부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피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그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관의 내주면에 맞춰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의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원활히 제거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31394호(2008.05.15 등록)는 산업 및 가정용 배수라인의 배관에 퇴적된 스케일, 슬라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비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배관에 고수압의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펌프와, 배관에 삽입되어 펌프의 수압으로 이동하는 세척볼을 포함한 배관세척장비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입수관과, 일단은 입수관과 연통하고 타단은 제1연결관을 매개로 배관의 일단과 연통하는 제1관과, 제2연결관을 매개로 일단이 배관의 타단과 연통하는 제2관과, 제2관의 타단과 연통하는 출수관과, 일단은 제1관의 전단과 연통하고 타단은 제2관의 후단과 연통하는 제1바이패스와, 일단은 제2관의 전단과 연통하고 타단은 제1관의 후단과 연통하는 제2바이패스와, 제1관의 전단에 배치되어 제1관과 제1바이패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마개와, 제2관의 전단에 배치되어 제2관과 제2바이패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마개를 구비한 출수방향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높은 수압으로 세척볼을 밀어 배관 내벽을 양방향으로 긁어냄으로서 배관에 퇴적된 이물질의 제거 및 세척효율을 높이고, 세척볼의 이동방향 변경이 자유로우므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관 세척 장치는, 높은 수압으로 제거하는 방식을 대부분 채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고압에 의해 배관이 파쇠될 우려가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배관 내부 세척 시에 대부분 물을 이용하는데, 이때 배관 내벽에 누적되어 있는 이물질의 경우에는, 물을 이용해도 배관 내벽의 안쪽으로 오랫동안 붙어 있는 이물질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6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3139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에어 버블(Air Bubble)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하도록 한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의 세척액을 유입받아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부;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 외부 공기를 유입받아 가압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부;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를 에어 버블로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에 혼합시켜 배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혼합부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는, 기준 배관 압력을 설정해 두며,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의 압력이 기준 배관 압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기준 배관 압력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는, 기준 공기 압력을 설정해 두며,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의 압력이 기준 공기 압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기준 공기 압력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는, 외부의 세척액 공급 라인과 연결시켜, 세척액을 상기 가압 펌프부로 유입하기 위한 세척액 연결부; 및 배관과 연결시켜, 상기 혼합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배관으로 유출하기 위한 배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는,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이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는, 세척제를 상기 가압 펌프부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제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는, 상기 배관 세척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 및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와,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 및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가압 펌프부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으로 상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를 설정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으로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 및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가 가압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나,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가 가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여 가압 펌프 스위치 및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오프하고, 상기 가압 펌프부 및 상기 에어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압력 상승 알림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압력 상승 알림 신호에 따라 배관 내의 압력 상승을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전원을 공급받아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에 설정하고,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에 설정하는 단계; 가압 펌프 스위치의 온 입력을 확인하여 가압 펌프부를 구동시켜 외부의 세척액을 공급받아 가압시키고, 에어 펌프부를 구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유입받아 가압시키는 단계; 혼합부를 통해 가압 공기를 에어 버블로 가압 세척액에 혼합시켜 배관으로 배출하는 단계; 및 에어 펌프 스위치의 오프 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에어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가압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의 운용 방법은, 상기 가압 세척액의 압력이 상기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 이상이거나, 상기 가압 공기의 압력이 상기 기준 공기 압력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압 펌프 스위치 및 상기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오프하고, 상기 가압 펌프부 및 상기 에어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내압 특성에 맞게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하면서 에어 버블(Air Bubble)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내압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고압으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에어 버블이 배관 내벽에 누적되어 있는 이물질에 부딪치면서 함께 터지므로, 배관 내벽에 붙은 이물질도 함께 떨어져 나와 배관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배관 세척 장치의 제어 및 알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공기 가압, 혼합 및 배출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 세척 장치(100)는, 가압 펌프부(110),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에어 펌프부(130),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 혼합부(150)를 포함한다.
가압 펌프부(110)는, 냉난방 장치 등과 같은 배관을 세척할 때에 필요한 수돗물 등과 같은 세척액을 외부로부터 유입받고, 해당 유입받은 세척액을 가압시키며, 해당 가압시킨 세척액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혼합부(150)로 전달한다.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는, 안전밸브(Safety Valve) 등과 같은 액체 압력 조절 밸브로서, 가압 펌프부(110)와 혼합부(150) 사이에 설치되며,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해당 압력 조절된 세척액을 혼합부(15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는, 배관 세척 시에 배관이 막히거나 동작 오류 등으로 배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배관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배관의 내압 특성에 맞는 기준 배관 압력을 설정해 줄 수 있으며,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이 해당 설정된 기준 배관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해당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배관 내의 압력을 해당 설정된 기준 배관 압력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에어 펌프부(130)는, 배관 세척 시에 배관 내벽에 붙어 누적된 이물질에 부딪치면서 함께 터져 배관 내벽에 붙은 이물질도 함께 떨어지도록 할 때에 필요한 에어 버블(Air Bubble)을 생성시키기 위한 공기를 외부로부터 유입받고, 해당 유입받은 공기를 가압시키며, 해당 가압시킨 공기를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혼합부(15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 펌프부(130)는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 내에 에어 버블로 들어 갈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해당 유입받은 공기를 가압시켜 줄 수 있다.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는, 안전밸브 등과 같은 에어 압력 조절 밸브로서, 에어 펌프부(130)와 혼합부(150) 사이에 설치되며,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고, 해당 압력 조절된 공기를 혼합부(15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는, 배관의 내압 특성에 맞는 기준 공기 압력을 설정해 줄 수 있으며,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이 해당 설정된 기준 공기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해당 전달되는 가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배관 내의 압력을 해당 설정된 기준 공기 압력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혼합부(150)는,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세척액에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혼합시키는데, 이때 해당 전달되는 세척액에 해당 전달되는 공기를 에어 버블로 혼합시켜 주며, 해당 에어 버블이 혼합된 세척액(즉,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세척할 배관으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배관 세척 장치(100)는, 가압 펌프부(110)에서 가압한 세척액과 에어 펌프부(130)에서 가압한 공기를 혼합부(150)에서 혼합시켜, 에어 버블이 혼합된 세척액으로 배관을 세척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와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배관의 내압 특성에 맞게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에어 버블이 배관 내벽에 누적되어 있는 이물질에 부딪치면서 함께 터지므로, 배관 내벽에 붙은 이물질도 함께 떨어져 나와 배관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의 내압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배관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고압으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관 세척 장치(100)는, 세척액 연결부(210), 배관 연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액 연결부(210)는, 배관 세척 장치(100)가 외부의 세척액을 공급받도록 하기 위해서, 수도 라인 등과 같은 외부의 세척액 공급 라인과 연결시키며, 해당 연결시킨 세척액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을 가압 펌프부(110)로 유입시켜 준다.
배관 연결부(220)는, 배관 세척 장치(100)가 외부의 세척액을 배관에 공급하여 배관을 세척하기 위해서, 세척할 배관과 연결시키며, 혼합부(15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해당 연결시킨 배관으로 유출시켜 줌으로써, 해당 유출되는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으로 배관 내부를 청소하는데, 이때 에어 버블이 배관 내벽에 붙어 누적된 이물질에 부딪치면서 함께 터지면서 배관 내벽에 붙은 이물질도 함께 떨어지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배관 세척 장치(100)는, 역류 방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류 방지부(310)는, 체크 밸브 등과 같은 역류 방지 밸브로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와 혼합부(150) 사이에 설치되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세척액이 혼합부(150)를 통해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배관 세척 장치(100)는, 세척제 공급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제 공급부(410)는, 락스 등과 같은 세척제(또는, 배관 내부의 세균 등과 같은 오염물을 소독하기 위한 소독제)를 세척액에 혼합하기 위해서, 세척제를 보관하거나 외부로부터 세척제를 유입받아 해당 세척제를 세척액 연결부(210) 또는 가압 펌프부(110)로 공급해 준다. 이때, 가압 펌프부(110)는, 세척액 연결부(210)를 통해 외부의 세척액을 유입받고, 또한 세척제 공급부(410)로부터 세척제를 공급받아, 해당 유입받은 세척액에 해당 공급받은 세척제를 혼합시키며, 해당 세척제가 혼합된 세척액(즉, 세척제 혼합 세척액)을 가압시키며, 해당 가압시킨 세척제 혼합 세척액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혼합부(150)로 전달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배관 세척 장치의 제어 및 알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관 세척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510), 입력부(520), 제어부(530), 메모리부(540), 알림부(550)를 더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510)는,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배관 세척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즉, 가압 펌프부(110),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에어 펌프부(130),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 세척제 공급부(410), 입력부(520), 제어부(530), 메모리부(540), 알림부(550) 등)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시킨 전원을 배관 세척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로 공급한다.
입력부(520)는, 가압 펌프부(11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 입력과, 에어 펌프부(13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 입력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520)는,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에 기준 배관 압력을 설정해 주기 위한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에 기준 에어 압력을 설정해 주기 위한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제어부(53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52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와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520)는, 사용자의 세척제 공급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5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 입력에 따라 가압 펌프부(11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켜 주며, 또한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 입력에 따라 에어 펌프부(13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에 따라 기준 배관 압력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에 설정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에 따라 기준 에어 압력을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에 설정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메모리부(540)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30)는,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이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에 설정된 기준 배관 압력 이상이 되어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가 외부로 가압 세척액을 배출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바로(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가압 펌프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입력부(520)를 제어하여 가압 펌프 스위치 오프를 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0)는, 배관 세척 시에 배관이 막히거나 동작 오류 등으로 배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압력 상승 알림 신호를 알림부(5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30)는,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이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에 설정된 기준 공기 압력 이상이 되어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가 외부로 가압 공기를 배출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바로(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에어 펌프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입력부(520)를 제어하여 에어 펌프 스위치 오프를 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0)는, 배관 세척 시에 배관이 막히거나 동작 오류 등으로 배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압력 상승 알림 신호를 알림부(5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세척제 공급 명령에 따라 세척제 공급부(410)를 제어하여 세척제를 가압 펌프부(110)에 공급시켜 줄 수 있다.
메모리부(540)는, 제어부(53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부(540)는, 제어부(53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알림부(550)는, 제어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 상승 알림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장치 등을 통해 배관 세척 시에 배관이 막히거나 동작 오류 등으로 배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배관을 청소하기 위해서 수도 라인 등과 같은 외부의 세척액 공급 라인과 세척액 연결부(210)를 연결시켜 줌과 동시에, 세척할 배관과 배관 연결부(220)를 연결시켜 준 후에, 배관 세척 장치(100)의 전원을 온하게 되면, 전원 공급부(510)는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상용 전원을 배관 세척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즉, 가압 펌프부(110),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에어 펌프부(130),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 세척제 공급부(410), 입력부(520), 제어부(530), 메모리부(540), 알림부(550) 등)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준다(S301).
사용자가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에 기준 배관 압력을 설정해 주기 위한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에 기준 에어 압력을 설정해 주기 위한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입력부(520)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520)는 해당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 및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입력받는다(S302).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입력받은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에 따라 기준 배관 압력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에 설정하며, 또한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입력받은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에 따라 기준 에어 압력을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에 설정한다(S303). 이때,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입력받은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과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메모리부(540)에 기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배관 세척 장치(100)의 전원을 온한 다음에 가압 펌프부(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 스위치를 온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520)는 사용자에 의한 가압 펌프 스위치 온 입력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펌프 스위치 온 입력을 확인한다(S304).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04에서 확인된 가압 펌프 스위치 온 입력에 따라 가압 펌프부(110)를 구동시켜 준다. 그러면, 가압 펌프부(11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세척액 연결부(210)를 통해 세척액을 유입받고, 해당 유입받은 세척액을 가압시키며, 해당 가압시킨 세척액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혼합부(150) 및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할 배관으로 배출한다(S305).
가압 펌프부(110)와 혼합부(150) 사이에 설치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는,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해당 압력 조절된 세척액을 혼합부(150)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가압 펌프 스위치를 온 입력한 다음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또는, 바로), 에어 펌프부(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온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520)는 사용자에 의한 에어 펌프 스위치 온 입력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에어 펌프 스위치 온 입력을 확인한다(S306).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06에서 확인된 에어 펌프 스위치 온 입력에 따라 에어 펌프부(130)를 구동시켜 준다. 이에 따라, 에어 펌프부(13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고, 해당 유입받은 공기를 가압시키며, 해당 가압시킨 공기를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혼합부(15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06을 수행하지 않고, 상술한 단계 S305를 수행한 후에 바로(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에어 펌프부(13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혼합부(150)는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상술한 단계 S305에 의해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세척액에 혼합시켜 준다. 이때, 혼합부(150)는 세척액에 공기를 에어 버블로 혼합시켜, 해당 에어 버블이 혼합된 세척액(즉,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할 배관으로 배출한다(S307). 이에,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은 배관 내부를 청소하는데, 이때 에어 버블이 배관 내벽에 붙어 누적된 이물질에 부딪치면서 함께 터져 배관 내벽에 붙은 이물질도 함께 떨어지도록 해 준다.
에어 펌프부(130)와 혼합부(150) 사이에 설치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는,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고 해당 압력 조절된 공기를 혼합부(150)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상술한 단계 S307에 의해서 배관 청소를 완료한 다음에 에어 펌프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오프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520)는 사용자에 의한 에어 펌프 스위치 오프 입력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에어 펌프 스위치 오프 입력을 확인한다(S308).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08에서 확인된 에어 펌프 스위치 오프 입력에 따라 에어 펌프부(1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S309). 그러면, 에어 펌프부(13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중지하며, 이에 공기를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혼합부(150)로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압 펌프부(110)에 의해서 가압된 세척액만이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혼합부(150) 및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된 배관으로 공급되어, 세척된 배관 내에 공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 준다.
사용자가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오프 입력한 다음에 가압 펌프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 스위치를 오프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520)는 사용자에 의한 가압 펌프 스위치 오프 입력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펌프 스위치 오프 입력을 확인한다(S310).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10에서 확인된 가압 펌프 스위치 오프 입력에 따라 가압 펌프부(1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 그러면, 가압 펌프부(11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중지하며, 이에 세척액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혼합부(150) 및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된 배관으로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S3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30)는 상술한 단계 S310을 수행하지 않고, 상술한 단계 S309를 수행한 후에 소정의 시간(즉, 세척된 배관 내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가압 펌프부(11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세척제 공급 명령을 입력부(520)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입력부(520)는 세척제 공급 명령을 제어부(530)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제 공급 명령에 따라 세척제 공급부(410)를 제어한다.
세척제 공급부(410)는 세척제를 보관하거나 외부로부터 세척제를 유입받으며,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세척제를 세척액 연결부(210) 또는 가압 펌프부(110)로 공급한다.
가압 펌프부(110)는 세척액 연결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세척액과 세척제 공급부(41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를 혼합 및 가압시키며, 해당 가압시킨 세척제 혼합 세척액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혼합부(150)로 전달한다.
혼합부(150)는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상술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세척제 혼합 세척액에 혼합시켜 준다. 이때, 혼합부(150)는 세척제 혼합 세척액에 공기를 에어 버블로 혼합시켜, 해당 에어 버블이 혼합된 세척제 혼합 세척액(즉, 세척제 및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할 배관으로 배출한다. 이에, 세척제 및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은 배관 내부를 보다 깨끗하게 청소하는데, 이때 세척제 및 에어 버블이 배관 내벽에 붙어 누적된 이물질에 부딪치면서 함께 터져 배관 내벽에 붙은 이물질도 함께 떨어지도록 해 준다.
도 4는 도 3에 있는 공기 가압, 혼합 및 배출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307에 있어서, 혼합부(150)가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세척액에 혼합시킨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할 배관으로 배출함으로써, 배관 내부를 청소하도록 한다. 이때,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하고 해당 압력 조절된 세척액을 혼합부(150)에 전달한다. 또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고 해당 압력 조절된 공기를 혼합부(150)에 전달한다(S401).
일 실시 예에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는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이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설정한 기준 배관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가압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배관 내의 압력을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설정한 기준 배관 압력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는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이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설정한 기준 공기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가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배관 내의 압력을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설정한 기준 공기 압력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가압 펌프부(11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세척액의 압력이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에 설정된 기준 배관 압력 이상이 되어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가 외부로 가압 세척액을 배출시키는 경우를 감지한다(S402). 이때, 가압 세척액 배출 감지는, 압력센서를 구비시켜 가압 세척액의 압력을 감지한 후에 해당 감지된 가압 세척액의 압력과 기준 배관 압력을 비교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외부로 배출되는 가압 세척액을 검출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가압 세척액 배출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530)는 에어 펌프부(13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 공기의 압력이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에 설정된 기준 공기 압력 이상이 되어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가 외부로 가압 공기를 배출시키는 경우를 감지한다(S403). 이때, 가압 공기 배출 감지는, 압력센서를 구비시켜 가압 공기의 압력을 감지한 후에 해당 감지된 가압 공기의 압력과 기준 공기 압력을 비교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외부로 배출되는 가압 공기를 검출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가압 세척액 배출을 감지한 경우나, 상술한 단계 S403에서 가압 공기 배출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530)는 바로(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입력부(520)를 제어하여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에어 펌프부(1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S404). 또한, 제어부(530)는 입력부(520)를 제어하여 가압 펌프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가압 펌프부(1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준다(S405).
에어 펌프부(13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중지하며, 이에 공기를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140)를 통해 혼합부(150)로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가압 펌프부(110)는 제어부(5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중지하며, 이에 세척액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120), 혼합부(150) 및 배관 연결부(220)를 통해 세척된 배관으로 더 이상 공급하지 않는다.
제어부(530)는 압력 상승 알림 신호를 생성시키고, 해당 생성된 압력 상승 알림 신호를 알림부(550)로 전달한다. 이에, 알림부(550)는, 제어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 상승 알림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장치 등을 통해 배관 세척 시에 배관이 막히거나 동작 오류 등으로 배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406).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배관 세척 장치
110: 가압 펌프부
120: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
130: 에어 펌프부
140: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
150: 혼합부
210: 세척액 연결부
220: 배관 연결부
310: 역류 방지부
410: 세척제 공급부
510: 전원 공급부
520: 입력부
530: 제어부
540: 메모리부
550: 알림부

Claims (10)

  1. 외부의 세척액을 유입받아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부;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
    외부 공기를 유입받아 가압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부;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를 에어 버블로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에 혼합시켜 배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혼합부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는,
    기준 배관 압력을 설정해 두며,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의 압력이 기준 배관 압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기준 배관 압력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는,
    기준 공기 압력을 설정해 두며,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의 압력이 기준 공기 압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에어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기준 공기 압력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세척액 공급 라인과 연결시켜, 세척액을 상기 가압 펌프부로 유입하기 위한 세척액 연결부; 및
    배관과 연결시켜, 상기 혼합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버블 혼합 세척액을 배관으로 유출하기 위한 배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펌프부에서 가압시킨 세척액이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세척제를 상기 가압 펌프부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 및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와,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 및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가압 펌프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가압 펌프부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에어 펌프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으로 상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를 설정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으로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 및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가 가압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나, 상기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가 가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여 가압 펌프 스위치 및 에어 펌프 스위치를 오프하고, 상기 가압 펌프부 및 상기 에어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압력 상승 알림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압력 상승 알림 신호에 따라 배관 내의 압력 상승을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 장치.
  10. 전원을 공급받아 기준 배관 압력 설정 값을 가압 펌프 압력 조절부에 설정하고, 기준 에어 압력 설정 값을 에어 펌프 압력 조절부에 설정하는 단계;
    가압 펌프 스위치의 온 입력을 확인하여 가압 펌프부를 구동시켜 외부의 세척액을 공급받아 가압시키고, 에어 펌프부를 구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유입받아 가압시키는 단계;
    혼합부를 통해 가압 공기를 에어 버블로 가압 세척액에 혼합시켜 배관으로 배출하는 단계; 및
    에어 펌프 스위치의 오프 입력을 확인하여 상기 에어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가압 펌프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 장치의 운용 방법.
KR20130061141A 2013-05-29 2013-05-29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140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141A KR20140140369A (ko) 2013-05-29 2013-05-29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141A KR20140140369A (ko) 2013-05-29 2013-05-29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369A true KR20140140369A (ko) 2014-12-09

Family

ID=5245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1141A KR20140140369A (ko) 2013-05-29 2013-05-29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3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73A (ko) * 2017-08-03 2019-02-13 전연자 수도배관 세척방법
KR101954678B1 (ko) * 2018-11-13 2019-03-06 김봉환 배관 세정액 투입장치
KR20190081293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에스티홀딩스 마이크로 버블 크리닝 시스템
KR102143722B1 (ko) * 2019-07-09 2020-08-11 김봉환 분사방식을 이용한 하수배관 세정액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KR102215626B1 (ko) * 2019-11-22 2021-02-15 김봉환 배관 유휴 시간 방지형 분사방식을 이용한 하수관 세정액 투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73A (ko) * 2017-08-03 2019-02-13 전연자 수도배관 세척방법
KR20190081293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에스티홀딩스 마이크로 버블 크리닝 시스템
KR101954678B1 (ko) * 2018-11-13 2019-03-06 김봉환 배관 세정액 투입장치
KR102143722B1 (ko) * 2019-07-09 2020-08-11 김봉환 분사방식을 이용한 하수배관 세정액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KR102215626B1 (ko) * 2019-11-22 2021-02-15 김봉환 배관 유휴 시간 방지형 분사방식을 이용한 하수관 세정액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0369A (ko)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7722772B2 (en) Ion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2153824A1 (ja) ビールディスペンサー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0855309B1 (ko)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JP6534535B2 (ja) 給水システム
KR100588047B1 (ko) 상수 관로 세척 방법 및 장치
US9096446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JP6041400B2 (ja)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JP2019210039A (ja) 飲料サーバーの洗浄装置
JP6183059B2 (ja) 浴槽洗浄システム
KR200331889Y1 (ko) 배관세정장치
KR200389135Y1 (ko) 오존수와 공기방울을 이용한 배관 세척장치
JP2017013038A (ja) 空撃およびナノバブルによる洗浄装置
CN101639633A (zh) 一种显影液供给管路
CN113921425A (zh) 半导体清洗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00130127A (ko) 냉각장치에 설치되는 스케일이나 이물질 협착 방지 및 제거 시스템
JP3838197B2 (ja) 給湯装置
JP2012055417A (ja) 電気機器
KR20110005464A (ko) 난방배관 세척용 플로우콘트롤 장치
CN110332341A (zh) 一种倒流防止器
JP2015020008A (ja) 浴槽洗浄システム
KR100788395B1 (ko)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CN211292788U (zh) 一种脱硫塔pH检测系统
CN216888445U (zh) 一种落料管的堵塞检测装置及清堵系统
JP2018096164A (ja) 便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